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추상화가 장성순의 작품세계

        장지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Chang, Sung Soun was born in 1927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abstract art in the 1960s and around. His abstract works and activitie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rt are recorded as quite important. Particularly noteworthy are the roles of founding members of the "Modern Artists Association" in 1957, which is most important in the beginning of Korean contemporary art, participation in the avant-garde group "Actuel," and international exhibition activities such as the 1961 Paris Biennale and the 1962 Tokyo Biennale. From an art history perspective, Chang's abstract painting is of sufficient value as a member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formation. His abstract works and activities are also recorded a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However,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Chang, Sung Soun's abstract art, which has lasted more than 50 years, is treated only as a collective trend of an era,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unique aesthetic achievements and methods that Chang, Sung Soun's abstract art has achieved rather than the art history evaluation by analyzing his works from the times around the artist's life, and to examine his status in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case of Chang, Sung Soun, despite his unique abstracts, he lacks research or work analysis materials than other writ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material, the archive of the works, was conducted to organize over 500 works by period. In addition, basic research work was carried out first, such as collecting, analyzing, and organizing articles and books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s well as active materials such as exhibitions. He was able to analyze and illuminate his life and works by age, supplementing his previous collection of talks with the author and his own oral records. First, it is true that Chang, Sung Soun was blinded by a new world from the 1950s to the 1960s, but he was more interested in Korean abstracts and reflected them in his work than in colonial abstracts that accepted Western techniques in an imitation and direct manner. Based on his unique experiences, he began abstract art, which was purely Korean and abstract, with no ideologies, titles, or themes. Second, from the 1970s to the 1980s, Chang, Sung Soun used to boldly throw away any image or new form he wanted to represent, even if it had been gained through all his efforts and hard work, and seek a new image again. It can be seen that he walked fearlessly through the path of an artist who must constantly modify his orbit or find a new path. Third, until the 1990s, Chang, Sung Soun presented bold and dynamic works through calligraphic black strokes of the amplitude and contrast of emotions changing from moment to moment. Chang, Sung Soun expressed his mental freedom by using this controversial brush strokes. Fourth, in the 2000s, Chang, Sung Soun was able to complete the pure formative language by intuition and sensibility, as freedom of conduct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were further heightened. Black brush strokes reflected the artist's spirit of being free from pain by characterizing transparency and created a more aesthetic screen. Chang, Sung Soun has been facing various aspec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deepening his art methodology and establishing his own abstract world. His abstraction does not stand out in new concepts or styles. Therefore, Western ar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formative type or simple comparison. I reconsider his status in modern Korean art, which has long sought to create a pure formative language with a change in content in the bowl of abstract expression. 장성순은 1927년 생으로, 해방이후 1960년대 전후 한국 추상미술의 탄생과 전개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작가이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그의 추상작품과 활동은 상당히 중요하게 기록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한국 현대미술의 출발에서 가장 중요한 1957년 「현대 미술가 협회」 창립멤버 역할이나 전위그룹인 「악뛰엘」참여, 그리고 1961년 파리 비엔날레와 1962년 동경 비엔날레등 국제전 활동이다. 미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장성순의 추상회화는 한국 현대미술 형성에 일익을 담당한 일원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도 그의 추상작품과 활동은 상당히 중요하게 기록되고 있다. 이 논문은 50년 넘게 지속된 장성순의 추상미술이 한 시대의 집단적 경향으로만 다뤄지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작가의 삶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작품세계를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이는 장성순의 추상이 이루어낸 독특한 미학적 성취와 방법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현대미술사의 흐름안에서 장성순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것이다. 장성순의 경우, 그의 독특한 추상에도 불구하고 다른 작가들보다 연구나 작품 분석 자료가 부족하다. 이 문제를 풀기위해 연구에 앞서 1차 자료인 작품에 대한 아카이브를 실시하여 500여점에 달하는 작품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또 전시등의 활동자료들은 물론 신문과 잡지등에 실린 기사 및 논문, 그리고 도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정리하는 작업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기초 연구 작업을 시행했다. 나아가 작가와의 대담집과 본 연구자와의 구술채록을 통해 기존의 연구를 보완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1950-1960년대에 장성순은 새로운 세계에 눈뜬 건 사실이지만 서구기법을 모방적이고 직설적으로 받아들인 추상보다는 한국적 추상에 더 관심을 갖고,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자신만의 독특한 체험을 바탕으로 이념도, 제목도, 주제도 없는, 오로지 한국적이고 순수한 추상을 지향하는 추상미술을 시작하였다. 두 번째, 1970-1980년대에 장성순은 그가 나타내고자 하는 어떤 이미지 또는 새로운 형태를 이룩하는데 하나라도 부적당하다고 생각될 때는 그것이 그동안의 모든 노력과 고심에서 얻어졌다 하더라도 대담하게 버리고, 또다시 새로운 언어를 찾아 나서곤 했다. 그는 끊임없이 궤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서야만 하는 예술가의 길을 두려움 없이 걸어간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1990년대에 장성순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감정의 진폭과 명암들을 서예적인 검은 획들을 통해 대담하고 역동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 분방한 붓질을 사용하여 장성순 자신의 정신적 자유를 표현하였다. 네 번째, 2000년대에 장성순은 행위의 자유, 의식의 자유가 더욱 고조되어 더욱 더 본능적 감각으로 직관과 감성에 의해 순수 조형언어를 완성시켜 나갔다. 검은 붓질은 투명함을 특성으로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화가의 정신을 반영하였으며 심미적으로 더욱더 깊어진 화면을 창조하였다. 장성순은 근·현대사의 다양한 국면들과 맞닥뜨려 나가면서 미술의 방법론을 심화하고 독자적인 추상세계를 구축해왔다. 그의 추상은 새로운 개념이나 양식이 돋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구미술과 관련지어 양식상의 유형화나 단순비교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오랜 시간 추상표현이라는 그릇에 내용적 변화를 담아 순수의 조형언어를 창조하고자 노력해왔던 한국 현대미술에서의 그의 위상을 다시 생각해본다.

      • 효용과 후회의 관점에서의 신제품 소비자 선호 체계 분석 연구

        장성순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IT/ET를 중심으로 한 하이테크 기술들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과거 전통적인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 및 신서비스의 출시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반면, 막대한 R&D 비용,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어 개발된 제품,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확산되지 못하는 경우, 이는 기업에 심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하여 기업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신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상품 수용 주체인 소비자들의 실질적 선호 체계를 면밀히 추정하는 것이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기존의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체계 분석법은 최대 효용 대안 선택을 골자로 한 McFadden(1973)의 확률효용모형(Random Utility Model, RUM)이며 이산선택모형(discrete choice model)을 통하여 추정될 수 있다. 이때, 오차항의 분포 및 모수의 분포 가정에 따라 로짓(logit), 프로빗(probit), 혼합로짓(mixed logit) 모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반면 최근에는, Tversky and Simonson(1993)이 제안한 맥락 효과(context dependent effect)를 고려한 이산 선택 모형들이 새로운 이산 연구 모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새로운 모형은 최대효용대안 선택이 아닌 새로운 선택규칙(choice rule)에 기반을 둔 모형으로써 이 중 최소후회대안 선택 규칙에 기반한 확률후회최소화모형(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 RRM) 과 후회의 개념을 활용한 상대적이점최대화모형(Relative Advantage Maximization Model, RAM)이 맥락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이산선택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모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두 모형의 선호함수 추정은 대안 선택의 후회(regret) 및 이점(advantage) 정도를 각 대안의 속성별 쌍대(bilateral) 비교를 통하여 계산된다. 본 학위논문은 신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출시를 위한 R&D 목표 선정과 확산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술경영학적 함의를 제안하기 위하여 효용(utility), 후회(regret) 그리고 상대적 이점(advantage) 등 포괄적인 선택 규칙의 관점에서의 소비자 선호 분석을 위한 신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 상황을 구성하는 대안 간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이산 선택 모형인 확률후회최소화모형(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과 상대적이점최대화모형(relative advantage maximization model)을 사용하여 맥락적 효과가 각 산업 분야의 대표적인 신제품 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이를 활용한 기업의 신제품 출시 전략 수립과 정책 설계를 위한 실증적인 함의를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모형은 이질적인 소비자 선호(heterogeneous consumer preference)와 다양한 소비자 선호 특성을 고려한 분포 가정이 가능한 확률후회최소화 혼합로짓모형(RRM mixed logit model with various distribution)과 상대적이점최대화 혼합로짓모형(RAM mixed logit model with various distribution)에 최우추정모수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global maximum problem)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지안 추정법(bayesian estimation procedure)이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IT/ET 산업의 대표적인 제품인 온라인 식료품 배송 서비스와 전기자동차 그리고 오픈뱅킹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컨조인트 (conjoint) 설문 실험 데이터를 활용, RUM과 RRM 그리고 RAM 모형을 다각도로 비교함으로써 효용과 후회의 관점에서의 실증 분석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cently, conversion from conventional product to new product in traditional industries have been emerged vigorously because of the advance of technology such as IT/ET. On the other hand, if new products or services cannot be successfully adopted by the market due to huge R&D cost, time and manpower, this can inflict serious economic loss on the company and even affect the survival of the company.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using new technologies, it is as important to meticulously estimate the actual preference of consumers, who are the recipients of products, as much as developing technologies for new products. Random Utility Model(RUM) has been utilized widely in discrete choice research regions since McFadden(1973) suggested the model for analyzing consumer demand for a new product. Random Utility Model can be divided into logit model, probit model, mixed logt mode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assumption of the stochastic term. On the other hand, recently, discrete choice models considering the contextual effect proposed by chorus(2012) and Leong and Hensher(2014) are getting attention as new discrete choice models. The models such as 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RRM) and Relative Advantage Maximization Model(RAM) are based on the choice rule, not the maximum utility choice, to compare alternatives at the level of attribute k which means incorporating context effect in their models. Specifically, those models calculate the regret and advantage by comparing alternative attribute k bilaterally. This dissertation suggests the advanced models for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choice rules such as regret, and relative advantage to derive implications in terms of management of technology perspective for setting R&D goals and establishing diffusion strategies. Furthermore, in this dissertation, context effects were analyzed for new products in the industry that is drastically changed because of social impact using the 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 and the relative advantage maximization model, which are discrete choice models that can consider the effects between alternatives constituting a choice situation. By comparing models, empir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the new products launch strategies and policy design for fostering the adoption of the products. In particular, the models proposed in this dissertation, the Bayesian RRM mixed logit model and the Bayesian RAM mixed logit model, which can incorporate heterogeneous consumer preferences have strengths that estimation using the Bayesian procedure that can resolve the global maximum problem. Additionally, in this dissertation analyzing stated preference data collecting by the conjoint survey for online grocery delivery service, electric vehicle, and open banking service, which are representative products using new technologies(IT/ET), the empirical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technology were derived from the various perspective of choice decision.

      •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성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현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또래관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간(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를 그 변인으로 삼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에서 또래관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또래관계가 높을 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또래관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이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뜻한다. 둘째,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은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낮은 또래관계는 자기효능감의 저하를 가져오고 이는 결국 학교 부적응에 이르게 된다는 학교적응에 대한 과정적인 접근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생활 및 상담지도에 보다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을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세분화 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는 모두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또래관계가 좋을 수록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결국 아동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지지됨으로써 학교적응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입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적응에 대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는 또래관계가 직접적으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또 다른 경로로 낮은 또래관계가 자기효능감의 저하를 가져오고 이는 결국 학교 부적응에 이르게 된다는 학교적응에 대한 과정적인 접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이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으나,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매개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ol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he peer relationship,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mong 6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self-efficacy and the subsequent elements of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orked as a mediator between th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potligh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each of all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peer relationship,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ppear to be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partly worked as a mediator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It suggests that the lower peer relationship decreases self-efficacy. In the end, it causes school maladjustment. Finally, this study analyzed each of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s a mediator to provide more meaningful data for the school life and counseling teaching.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m partly worked as a mediator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It suggests that the higher peer relationship increases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Eventually, it helps school adjustment. By supporting of the rol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not only we can give illustr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but also we can make sure the course of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er relationship has an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As another course, low peer relationship has a bad influence on self-efficacy, and eventually, it leads to school maladjustment. It provided procedural approach to the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partly worked as a mediator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Future research may need to test with more various mediators and to provide more programs which help school adjustment.

      • 방사선유도성 아포토시스에 대한 melatonin의 효과

        장성순 충북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Melatonin as an antioxidant exhibits the protective effects on apoptosis in normal cells. Recently, melatonin was shown to possess proapoptotic action by increas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certain cancer cells. The modification of radiation-induced apoptosis by melatonin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associated upstream regulators were studied in normal mice splenocytes and Jurkat T leukemia cells. C57BL/6 mice were exposed to a single whole body X-ray radiation dose of 2 Gy with or without melatonin pretreatment (250 mg/kg i.p. 1 hr before irradiation). The Jurkat E6-1 cel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control, irradiation-only (4 Gy), melatonin alone (1 mM) and melatonin pretreatment (1 mM melatonin 1 hr before irradiation). The apoptosis in mice splenocytes and Jurkat cells were evaluated using TUNEL assay and flow cytometry for Annexin V binding, respectively. The expressions of p53, JNK1, Bax and Bcl-2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method or semiquantitative RT-PCR. The highest level of apoptosis in the splenic white pulp was detected by TUNEL assay at 8 hr after irradiation. At this time, the apoptosis index (AI) of irradiation-only and melatonin pretreatment groups were 35.6% and 20.7%, respectively. This reduced apoptosis by melatonin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Bcl-2 expression and a reduction of Bax/Bcl-2 ratio through a relative decrease of p53 mRNA and protein. In the Jurkat cells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melatonin and radiation, both Annexin V-FITC(+)/PI(-) and Annexin V-FITC(+) cells (26.1% and 78.7%) were increased at 48 hr after irradiation when compared to irradiation-only (21.2% and 64.2%) or melatonin alone (23.6% and 63.9%). The expression of p53 between group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Annexin V binding. The irradiation or melatonin did not influence the JNK1 expression in Jurkat cell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melatonin enhances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Jurkat leukemia cells, while reducing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normal mice splenocytes. These differential effects on radiation-induced apoptosis by melatonin might involve the regulation of p53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