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러닝 환경에서 디지털휴먼 교수자 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 및 학습효과 분석

        장민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러닝 환경에서 디지털휴먼 교수자 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 및 학습효과 분석 생성형 AI의 등장과 지속적인 학습환경의 확장으로 AI튜터, AI강사 등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ntelligence Tutoring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 졌다. LMS 및 AI 디지털교과서와 같은 데이터 기반 학습 플랫폼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는 지능형 시스템이 개별화된 학습경 험과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튜터는 캐릭터나 챗봇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실제 인간의 모습을 닮은 디지털 휴먼이 등장하면서 학습자와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학습효과뿐만 아니라 콘텐츠 개발의 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러닝 제작환경에서는 콘텐츠의 생산성 향상과 개발 방식의 간편화를 위해 디지털 휴먼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디지털 휴먼은 매우 사실적인 3D 인체모델을 의미하며, 한 번 제작된 디지털 휴먼으 로 빠르게 다수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다. 특히 생성형 AI 및 TTS(Text to Speech) 기술과 결합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시간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제작으로 이어졌으며, 간편한 콘텐츠 개발과 수정 방식을 통해 다국어 지원과 같은 맞춤형 학습지원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이러닝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직접적 소통에 제한이 있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상 몰입을 통한 학습자의 참여와 태도를 향상시켜야 하며, 이는 교수실재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러닝 콘텐츠는 학습자가 교수자의 존재 및 교수학습적 지원에 대한 실재감을 높게 인식함으로써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러닝에 도입되고 있는 디지털 휴먼 교수자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닝에서 학습을 지원하는 가상 존재는 학습자가 그를 실제 인간과 같이 인 식하고 상호작용하게 되는 의인화 효과가 높을수록 학습을 촉진한다. 따라서 가상 존재에 대한 인격적 설계원리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실제 인간 과 매우 유사한 모습의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휴먼은 단순히 외형을 통한 의인화에서 나아가 사회적 행위자로서 역할 수행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존재 가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교수자로서 디지털 휴먼의 효과적 설계원리 탐색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디지털 휴먼 교수자 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과 학습효과를 실제 인간 교수자와 비교하였다. 연구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러닝에 등장하는 실제 교수자, 교수 자 디지털 더블, 일반 디지털 휴먼에 대한 각 학습자 집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 활용된 이러닝 콘텐츠는 K-MOOC에서 운영되는 강좌 <휴먼컴퓨터인터페이스>의 1주차 콘텐츠를 사용하였다. KMOOC 강좌는 국내 대학 기관과 교수자가 제작 및 관리하므로 콘텐츠의 품질이 보장되어있다. 또한 <휴먼컴퓨터인터페이스> 강좌는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은 융합적 학문으로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습자가 특정 사전지식 없이도 학습이 가능하지만, 일반 상식의 수준보다는 난이도가 있어 학습효과를 측정하기에 적절한 콘텐츠이다. 이러닝에 등장하는 교수자 디지털 더블은 디지털 휴먼 전문 제작사를 통해 실제 강의 교수자를 촬영 및 녹음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제작되었 다. 그리고 디지털 휴먼은 해당 제작사에서 사전 제작한 일반 남성 디지 털 휴먼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온라인 학습환경에 익숙하며, KMOOC의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20대 학습자 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각 3개 집단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3차시의 영상을 각 5분씩, 총 15분간 학습 하도록 하였다. 교수자 유형에 따른 종속변인은 강의를 들은 학습자의 인식과 학습경험 을 살펴보기 위해 교수실재감 및 학습효과와 디지털 휴먼 인식으로 설정 하였다. 학습자는 콘텐츠에 등장하는 교수자의 행위와 더불어 교수자를 통해 경험한 학습 과정의 효과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였고, 디지털 더블과 디지털 휴먼 교수자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에게는 디지털 휴먼에 대한 인식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교수자에 대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은 이러닝 교수자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간 교수자와 디지털 휴먼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디지털 더블과 인간 교수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대리인 이론의 관점에서 학습자는 실제 교수자와 동일한 외모와 목소리를 가진 디지털 더블을 실제 교수자와 유사하게 인식하고 디지털 더블이 안내하는 학습 상황에 참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휴먼 교수자 제작 시 학습자가 전문가로 인식할 수 있도록 외형 및 목소리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교수자의 강의 콘텐츠가 교수자 디지털 더블과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강의 콘텐츠보다 더 높은 학습효과를 보였으며, 교수자 디지털 더블과 일반 디지털 휴먼의 강의 콘텐츠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가상 존재의 의인화가 학습자의 동기와 참여에는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학습 효과는 선행연구와 일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휴먼 교수자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첫 번째 연구 결과에서 실제 교수자만큼의 교수실재감을 나타낸 디지털 더블의 효과를 고려했을 때, 디지털 더블의 제 작을 보다 정교하게 한다면 학습 효과를 더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셋째,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디지털 휴먼 인식에 는 차이가 있었다. 학습자는 디지털 휴먼 교수자보다 교수자 디지털 더블 에게 호기심과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했다. 이는 사회적 맥락을 가진 디지털 더블에 대해 더 높은 사회적 정서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디지털 휴먼 교수자에 있어 정체성 요소에 대한 설계가 우선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앞선 연구 결과와 연결 지어보면, 디지털 휴먼 교수자는 사회적 정체성에 기반하여 외형과 목소리가 설계될 필요가 있다.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이 인식된 디지털 휴먼에 대해 학습자는 친밀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존재와 그의 교수-학습적 지원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휴먼 교수자에 대한 교수실재감과 학습효과를 탐색함으로써 교수자와 닮은 디지털 더블이 실제 교수자만큼의 교수실재감을 가 질 수 있다는 점을 밝혔으며, 학습자가 일반 디지털 휴먼보다 교수자 디지털 더블에게 더 긍정적 인식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 는 AI 튜터 등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인격화와 시각적 구현 방안으로서 디지털 휴먼의 효과를 제안하고 있으며, 디지털 휴먼 제작에 있어서 실제 교수자와 동일한 모습의 디지털 더블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ri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expansion of continuous learning environment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such as AI tutors and AI instructors. Based on data-driven learning platforms such a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AI digital textbooks, intelligent systems that can assist instructors in their roles can provid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s and personalized feedback. These intelligent tutors come in various forms such as characters and chatbots, and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humans that resemble real humans have begun to interact with learners, which can improve not only learning effectiveness but also efficiency in terms of content development. In recent years, digital humans have been utilized in e-learning production environment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simplify content development. Digital humans are highly realistic 3D human models, and they are highly productive because multiple contents can be quickly created with a single digital human. They can also be combined with generative AI and text-to-speech technologies to further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content creation. These advantages have led to the creation of digital human instructors, who can easily develop and modify content to support customized learning, such as multilingual suppor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online environments, where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have limited direct communication, e-learning needs to improve learner engagement and attitudes through immersion,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esence. Therefore, e-learning content should be designed to engage learners in learning by increasing their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the instructor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In light of thi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mpact of digital human instructors on learning and how the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he higher the persona effect of a virtual being that supports learning in an e-learning environment, the more the learner perceives it as a real human being and interacts with it. Therefore, the personality design principle for virtual beings should be considered, and digital humans that can be made to strongly resemble real humans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for anthropomorphism through appearance, but also for role performance as social actor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xistence value formed through thi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 design principles of digital humans as instructor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this end, it compared the classroom realism and learning effects of digital human instructor types with real human instructo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n experimental study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groups of learners regarding real instructors, an instructor’s digital doubles, and general digital humans in e-learning. The e-learning content used in the experiment was the week one content of the course “Human Computer Interface” operated by K-MOOC. K-MOOC courses are produced and managed by domestic university institutions and instructors, so the quality of the content is guaranteed. In addition, “Human Computer Interface” is an interdisciplinary course that is not biased toward one field, and learners from various backgrounds can learn without specific prior knowledge. However, the content is more difficult than just general common sense, so 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learning effects. The digital doubles of instructors were created by filming and recording actual lecturers using a company specializing in digital humans.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igital humans were pre-produced by the company and used as general male digital huma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3 learners in their 20s who were familiar with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had the highest usage rate of K-MOOCs.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randomly assigned 3 videos to study for 5 minutes each, for a total of 15 minutes. The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instructor type were classroom pres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digital human perception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Learners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process experienced through the instructor in addition to the instructor’s behavior in the content, and their perception of digital humans was also measured for learners who studied the digital double and digital human instructor content.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hich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perceived instructor presence based on the type of instructor.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man instructors and digital huma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gital doubles and human instru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agency theory, this suggests that learners perceive a digital double with the same appearance and voice as a human instructor as similar to a human instructor and engage in learning situations guided by the digital double. Therefore, when creating digital human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actors such as appearance and voice so that learners recognize them as experts. Second, the lecture content of the real instructor had a higher learning effect than that of the digital double and digital human instructo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cture content of the digital double and general digital human. This suggests that anthropomorphizing virtual being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er motivation and engagement, but the learning effects were in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Although this study did not find a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iveness based on the type of digital human instructor, give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double in the first study, which showed a sense of presence as good as a real instructor,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on of more sophisticated digital doubles can further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digital humans based on the type of digital human instructor. Learners perceived the instructor’s digital double to be more curious and real than the digital human instructor. This could be attributed to higher social-emotional responses to the socially contextualized digital double, suggesting that designing for identity factors should be prioritized in digital human instructors.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 digital human instructors should be designed to look and sound like their actual social identity. Learners may have an intimate and positive perception of a digital human with a recognizable identity as an instructor, which may lead to acceptance of the digital human instructor’s presence and his/he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By exploring the perceived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of a digital human instructor, this study found that a digital double that resembles an instructor can have as much presence as an actual instructor, and that learners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an instructor’s digital double than a generic digital human. These results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humans as a way to personify and visualize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such as AI tutors.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ed that digital doubles that look like real tu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creating digital humans.

      • 웨딩 상품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향 연구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장민경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웨딩 상품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향 연구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장민경 지도교수: 최선은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향장미용학과 이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해지고 개성화 되어가고 있는 웨딩 상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웨딩을 준비할 때 고려하는 점, 웨딩촬영, 웨딩드레스, 웨딩메이크업등 각 파트별로 나뉘어 있는 웨딩상품에 대한 예비신부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20대~40대까지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웨딩을 준비할 때 있어서는 전체적인 샵의 분위기와 직원들이 친절도에 따라 웨딩업체를 선정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고, 정보화 시대인 만큼 웨딩업체를 알아보는 경로는 인터넷 검색이 많은 것으로 나왔다. 웨딩촬영은 전문가의 의견이 들어가는 것 보다 예비 신부들의 주관적인 의견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웨딩촬영은 전문적으로 운영되는 웨딩스튜디오를 이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크게 나타났지만, 그 외에 컨셉이나 중요부분에 대해서는 예비 신부들의 취향이 더 많이 반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웨딩드레스는 웨딩포토와 다르게 전문가의 의견을 듣겠다는 객관적인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조사를 통한 스타일 보다는 피팅 후 자신에게 잘 맞는 웨딩드레스를 초이스 할 것이라는 선호도가 크게 나타났다. 웨딩메이크업 또한 전문가의 의견을 듣겠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고, 전문가가 실제로 진행하였던 신부들의 스타일을 보며 웨딩메이크업을 진행하고 싶다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성폭력 그림자 가설의 검증 :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장민경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Ferraro가 주창한 성폭력 그림자 가설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여성의 높은 범죄두려움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고 여성의 연령에 따른 범죄두려움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국내의 선행연구들에서 진행된 성폭력 그림자 가설의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범죄두려움을 측정함에 있어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모형에 고려하지 않았던 이유로 세심한 결과 도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 사이의 구조를 Ferraro가 제안한 통합모형을 토대로 경로모형을 설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제공한 2015년 전국범죄피해조사(KCVS) 표본을 사용, 연구의 특성상 남성을 제외한 만 14세 이상 여성 7,918명을 분석에 최종 활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재산·폭력 범죄두려움의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하고, 성폭력 그림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각 연령 집단간의 경로계수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각 경로들의 직·간접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일원분산분석에서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재산·폭력·성폭력 범죄두려움이 가장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체경로모형 결과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변수가 재산·폭력범죄두려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지역사회무질서와 범죄피해인식은 범죄두려움에 정적효과, 지역사회연대는 무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연령 집단간의 경로계수차이에서는 여성들의 나이가 많을수록 범죄두려움과 범죄피해인식이 낮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변수간 직·간접효과를 추정한 결과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개별변수가 재산·폭력 범죄두려움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Ferraro(1995)의 성폭력 그림자 가설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고, 여성의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한국적 맥락에서 제시하였다.

      •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

        장민경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 교사가 느끼는 아동권리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는 아동권리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실천 경험은 어떠한가? 첫째, 그룹 면담에서 연구자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권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편안한 분위기에서 권리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의 인권, 권리 것에 대해 알고 있지만,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아동의 권리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개별 면담에서는 아동권리의 경험과 그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아동권리의 필요성 인식에서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의견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2015 유치원 교육과정을 충실히 실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유아의 권리를 존중해 주고 유아들이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사립교사들은 아동권리는 교육과정에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아동권리를 실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시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실제 아동권리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육기관도 있었다. 그러나 유아교사들은 아동의 권리를 존중해 주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과 제도적인 개선이 시급함을 이야기하였다. 즉, 교사 대 유아 수의 높은 비율로 인한 현실적인 어려움, 교사와 부모의 권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연수나 교육기회의 확대, 맞벌이 부모들을 위한 국가적인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경험에 대해 알아보며, 아동권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아동권리를 실천해가는 경험의 어려움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유아교육환경에서 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국가 정책이 개선되어 교사의 교권이 보호되고 아동이 자율적이고 존중받는 삶의 주체자로 성장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완주 신풍유적 초기철기시대 동경의 제작기법 및 부식특성 연구

        장민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경(銅鏡)은 유리로 만든 거울이 보급되기 이전에 널리 사용된 청동제 거울을 말하며 의기에 속해 무덤의 부장품으로 중요시된다. 동경은 동검과 함께 한국 청동기의 시·공간적 변천과정을 설명하는데 여러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표지로 삼은 유물이며 한국 청동기 전체의 제작기술 발전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는 유물이므로 그 의미와 가치가 높다. 우리가 현재 발굴하여 보게 되는 이러한 청동유물은 대부분 부식되어 원래의 표면색을 잃고 부식물에 덮여있다고 할 수 있다. 매장환경에서 자연적으로 부식된 청동유물의 부식특성은 일률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실험실에서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청동유물의 부식에 대한 연구는 유물의 보존 및 장기부식 연구와 진위여부 판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주 신풍유적 초기철기시대 구역에서 출토된 동경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제작기술을 밝히고 고대 청동유물의 부식특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분석에는 금속현미경, ICP-AES, SEM-EDS, FE-EPMA, Raman Micro-Spectroscopy를 사용하였다. 동경은 Cu-Sn-Pb의 삼원계 합금으로 60∼66% Cu, 25∼30% Sn, 0∼3% Pb 범위의 성분조성을 갖는다. 미세조직은 δ상과 α+δ공석상으로 구성된 주조조직으로 어떠한 열처리 가공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부 동경의 미세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납황화물은 납이 함유된 원광석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이며 철이 함유된 황화물이 존재하는 것은 황화동광을 원료로 사용하였거나 Cu-Fe-S로 구성된 동피(Matte)의 성분이 잔류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경의 형태학적 부식특성으로는 Cuprite와 Malachite와 같은 부식생성물의 유무에 따라 유형Ⅰ, 유형Ⅱ로 분류할 수 있었다. 미세조직과 부식층의 경계 주위를 관찰한 결과 부식되지 않은 금속조직 내부영역, 일부 광물화된 중간영역, 완전 광물화된 표면영역 등 3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두 유형 모두 중간영역에서는 α+δ공석상의 선택부식이 발생하였다는 점과 산화주석(SnO2)으로 구성된 고주석부식층이 형성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완전 광물화된 표면영역인 부식층에서는 Cuprite(Cu2O). Malachite(Cu2CO3(OH)2), Cassiterite(SnO2)와 같은 부식생성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러한 부식생성물들이 일률적으로 성장하지 않은 것은 각기 다른 합금비율과 장기간 매장 중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요인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완주 신풍유적 동경에서 나노 결정질 SnO2의 존재를 통해 청동유물이 매장환경에서 자연부식 되었을 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주로 균열, Pb입자가 부식되어 빠지고 남은 hole, α+δ공석상에 존재하였고 쌍정이 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차생성구리는 EDS 분석결과 86.89∼100.00wt%의 Cu가 검출되어 고순도 구리인 것을 확인하였다. Bronze mirrors were widely used before the spread of glass mirrors and were considered important items of tombs in the spirit. Bronze mirrors, along with bronze swords,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ime and space in Korea's bronze age. It is also a relic that can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bronze ware as a whole. Most of these bronze artifacts that we are currently discovering are corroded, losing their original surface color and covered with corrosive materials.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corroded bronze relics in burial environments do not appear uniformly and are limited in their reproducibility in the laboratory, so these stud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rvation of the relics and in the study of long-term corrosion and authenticity. Therefore, in this study, various analysis methods were applied to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early iron age zone of Sinpung site in Wanju to reveal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ancient bronze artifacts in depth. Metallography, ICP-AES, SEM-EDS, FE-EPMA and Raman Micro-Spectroscopy were used for the analysis. Bronze mirror is a ternary alloy of Cu-Sn-Pb and has a component composition in the range of 60 to 66% Cu, 25 to 30% Sn, and 0 to 3% Pb. The microstructure is a cast structure composed of δ phase and (α+δ) eutectoid, and no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The lead sulfides present between the microstructures of some bronze mirrors appear to be caused by lead-containing ore, and the presence of iron-containing sulfides is based on copper sulfide as a raw material or remains of matte composed of Cu-Fe-S. Morphological corrosion characteristics could be classified into Type I and Type II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orrosion products such as Cuprite and Malachite. Observations around the boundary between the microstructure and the corrosion layer revealed three major areas: the inner area of ​​the non-corroded metal structure, some mineralized intermediate areas, and the fully mineralized surface area. Both types had the common feature that the selective corrosion of (α+δ) eutectoid occurred in the intermediate region and the formation of high tin corrosion layer composed of tin oxide(SnO2). Corrosion products such as Cuprite(Cu2O), Malachite (Cu2CO3(OH)2) and Cassiterite(SnO2) have been identified in the corrosion layer, which is a fully mineralized surface area. It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ccurring in stores. Above all, the presence of nano-crystalline SnO2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rtifacts when the natural corrosion in the burie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observed secondary copper was mainly present in cracks, holes left by corrosion of Pb particles, and (α+δ) eutectoid, and some twin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EDS analysis, the secondary copper was found to be 86.89 to 100.00wt% Of Cu, and thus, high purity copper.

      • 교통약자 관점에서 본 인사동 보행환경 평가 :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지침 이행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장민경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표적인 역사문화 거리로서 1990년 후반부터 보행자 친화적인 계획들을 통해 꾸준히 보행환경에 대해 노력한 인사동 거리를 대상으로 교통약자의 보행환경 및 접근성 관련 내용을 알아보았다. 인사동 거리는 1990년 후반부터 전통문화 복원뿐만 아니라 보행자 친화적인 계획들을 꾸준히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2002년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을 통하여 보행에 어려움이 없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으로 대상이 확대되었다. 2002년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에서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계획을 통해 교통약자 보행환경 관련 지침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된 지 7년이 지난 현재 여전히 교통약자들이 보행하기에는 불편한 환경으로 조성되어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2002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에서 제시한 교통약자 보행의 접근성 관련 지침을 평가하고 현황에 잘 이행되었는지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지침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에서의 교통약자 보행의 접근성 관련 지침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및 주차장에서부터 보도부, 보도부에서 개별건물까지에 이르는 연결성이 있는 대상을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다. 사례연구의 범위는 인사동길로의 접근, 인사동길의 보행환경, 인사동길에서 건물로의 진입로 나뉘어 진행하였으며, 교통약자 중에서도 휠체어를 이용하는 지체장애자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인사동 거리의 1층 상점과, 인사동길 보도부, 지하철 안국역과 주변 공영주차장을 모두 조사해 본 결과 지침을 이행한 상점과 주차장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또한 지침을 이행했더라도 실제 휠체어를 타고 시뮬레이션 시 진입하기 어려운 상점도 다수 존재했으며, 지하철 안국역과 주변 공영주차장 4곳을 접근하고 보행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지침 이행에 어떠한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2002년에 제시된 지침의 항목이 상세하지 않고 지침의 기준이 느슨하여 나타나는 문제로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관리 매뉴얼(2007)과 서울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2002)의 기준을 반영하여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지침이 좀 더 세분화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인사동길은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보행 유동인구가 많으며, 가판대와 노점상이 많은 인사동길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침의 항목과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지구단위계획에 제시된 지침은 건물의 신증축시 인허가 과정에서만 체크가 가능하여 기존 건물의 환경은 개선하기가 힘든 문제와 지침 이행의 강제성이 취약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허가 과정은 인사동 심의위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심의위원회 자체에 교통약자 관련 전문가가 없고 자문 내용에 교통약자 보행 및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항목이 없는 것이 지침 이행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인사동 지역은 신축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지 않아 기존 건물을 대상으로 지침을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통약자를 배려한 보행환경에 대한 필요성과 관련 이론의 사회적인 인식이 낮은 문제와 지속적인 운영방안 없어 나타나는 분석된다. 담당 공무원 및 건축가나 설계자의 교통약자 보행특성의 필요성 및 전문지식이 부족하며, 지침 이행 후의 사후 관리·감독이 부재하다. 또한 상인들이 교통약자를 배려한 환경 조성의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다. 이와 같이 분석된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교통약자 보행환경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지침이 개선되어야 한다. 2002년에 제시된 지침보다 상세한 지침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이행을 위하여 건물 신·개축시 건축물 허가기준과 더불어 베리어프리 공식 상점 제도 도입하여 상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한다. 또한 지침의 기준에 맞추어 개조할 시 공사비용 일부를 공공에서 지원하며, 가로환경 개선 및 보행환경 개선 사업 시 교통약자 관점에서 유기적인 정비를 실시한다. 더불어 사전심의 과정에서 교통약자 관점의 항목과 기준을 추가한다. 셋째, 운영 및 인식의 개선을 위하여 상인교육을 통하여 교통약자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담당 공무원 및 주민협회에서 지침 이행의 관리·감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교통약자에 대한 지식을 보유한 전문 인력의 보강과 관련 부서를 확충한다. 더불어 교통약자의 요구사항을 수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 제도를 마련한다. 현재 교통약자를 배려한 환경조성 사업이 여러 곳에서 진행 중이며, 교통약자 보행 관련 지침과 매뉴얼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침들이 교통약자가 보행하고 진입하기에 어려움이 없는 기준으로 제시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침대로 이행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침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기존 지침으로 조성된 환경을 실제 보행했을 시의 어려운 점을 파악하고 이행의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에 교통약자들을 배려한 보행환경 조성에 어떠한 노력들이 필요한지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situa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he street of Insa-dong, the representative cultural and historical venue of Seoul, where continuous efforts had been made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pedestrian-friendly urban design plans from late 1990s. In Insa-dong, the pedestrian-friendly urban design plans had been executed consistently from late 1990s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established in 2002 had included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for the handicapped not only for the people without difficulty with walking. The Guidelines had been prepared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with expansion of facilities for them. But, in seven years now,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Insa-dong is not proper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still. This study has a purpose to assess the Guidelines which Insa-dong Urban Design Plan in 2002 has suggested, to confirm if they are well followed, to analyze their effects and limit and to suggest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range of the study included sidewalks from the public transport area and parking lot, and the area that connects from the sidewalks to the individual building to assess the Guidelines of Insa-dong Urban Design Plan regarding accessibil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Case study had been executed separately in the areas of accessibility to the street in Insa-do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ccess road to a building from the street. The target of the study had been limited to the wheelchair users among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ult of the survey of the shops on the ground floor of the Insa-dong area, sidewalks of the Insa-dong Street and Angug subway station and public parking lot nearby showed that most of the shops and parking lots did not follow the Guidelines. Also, many shops were not accessible with the wheelchair though they executed the Guidelines. The Angug subway station and four public parking lots were also difficult to access and walk in. Accordingly, identified problems concerned with the fulfillment of the Guideline of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had been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guidelines set in 2002 didn't have detailed items and had loose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guidelines more segmented by reflecting the 'Manual for installment and management of the transportation and traffic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2007) and the 'Manual for installment of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2002, publish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Also, items and standards of the Guidelines that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a-dong Street, which has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as a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Seoul and many street vendors, should be prepared. Secondly, the fulfillment of the Guidelines are currently checked only when approving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and extension. So there remains the problem that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the existing buildings and the compulsory performance of the Guidelines are hard to make. The approval of the new building and extension is handled by the Insa-dong Review Committee but a specialist of the mobility handicapped doesn't exist in the committee and the contents of the advice do not include items regard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universal design. Also, a way to force fulfillment of the Guidelines for the existing buildings should be prepared as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is scarce in Insa-dong district. Thirdly, the social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theory thereof is poor. Also,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such an environment is not existing. The public officer in charge, architect and designer do not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are not executed after fulfillment of the Guidelines. The analysis shows that following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First, the Guidelines for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should be revised and more detailed items and standards than those in the 2002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merchants by introducing the Official Barrier-free Shop Certificate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approval regula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and extension to fulfill the Guidelines of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Also, public subsidy should be provided when renovating a build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Guidelines and the maintenance in regard to the viewpoint of the mobility handicapped should be implemented when improving street and pedestrian environment. The items and standards regarding accessibil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should be added in the approval review. Thirdly, understanding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necessity of the universal design should be recognised through education for the merchants. Also, the public officer and residents' council should manage and supervise the fulfillment of the Guidelines periodically. Specialist with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department for them should be reinforced. Also, consistent monitoring should be done to collect opinion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re under way in many places and the guidelines and manual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re being presented. The presentation of the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is important of course, but fulfillment of the guidelines is also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iculties by actually walking in the environment prepared according to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hecked if the guidelines are follow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sents the necessary efforts to make a pedestrian environment that considers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he Insa-dong Urban Design Plan in the future.

      •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장민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민속은 한 민족이 정착하여 살아가면서 만들어온 생활양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민족의 정신과 문화가 만들어지게 된 토대로써 우리나라의 정신적‧예술적 총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민속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술과 국어의 교과 간의 융합을 통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해서 다각적인 시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한국 민속 문화가 생성되고 전승된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민속 문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로써 민속 문화를 활용한 창의적인 미래 문화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며, 기존의 학생들이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한 수업에서 느끼지 못하였던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연구를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교육 현황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현장에서 직접 지도하고 있는 교사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7종의 2009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미술 교과서를 통해서 한국 민속 문화의 개념 설명과 도판 수록 정도, 영역 별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민속 문화와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이 연간 수업을 기준으로 주로 1〜2회 실시한 정도에 머물러 있으며 미술을 통해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해 이해하는 수업이 서양의 미술 작품과 비교하거나 동양의 재료 활용의 측면에 편중되어 있었다. 설문에 응답한 학습자들도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한 수업을 해보았지만 개념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교과서에서 한국 민속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설문에 응답한 절반 이상의 미술 교사들이 한국 민속 문화 이해에 대한 수업을 진행할 때, 교과서를 이외의 다른 자료를 찾아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재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 3장에서는 한국 민속 문화 중에서 탈놀이 문화, 세시풍속 문화, 민속 생활 상 문화의 세 가지 영역을 선정하여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를 융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는 탈놀이와 관련된 희곡을 통해 한국 탈놀이 문화를 이해하고, 친구들과 협동하여 탈을 만들고 탈 극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두 번째는 세시풍속인 연등 문화와 관련된 시를 통해서 세시풍속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만의 등(燈)을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이다. 세 번째는 민속 생활상 문화와 관련된 전래동화를 통해 한국 과거 민속 문화와 현재의 문화가 어떻게 전승되었고 달라졌는지 비교하여 이해하고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해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보았다. 이처럼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 융합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이 이해력을 기르고 민속 문화의 의미에 대해서 사고하도록 구성하였다. 각 프로그램에 맞추어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과, 창의 발문 수업모형, 창의적 문제해결법과 다양한 자료와 방법을 활용한 탐색활동 및 창의적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하였고, 학습 후에 나타난 다양한 결과물 분석을 통해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활성화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도 있었다. 이처럼 제 4장에서는 본 논문의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로써, 학생들이 한국 민속 문화의 이해도 향상과 중요성을 인지하였으며, 미술과 국어 교과의 융합을 통해서 미술 표현력과 언어화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미술과 국어의 융합을 통해서 미술 교과 및 국어 교과의 흥미도가 향상되는 교육적 효과를 이와 같이 도출 할 수 있었다. 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과 교사의 한국 민속 문화 이해의 중요성 인식하고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교과서 상에서의 융합적 미술교육 프로그램 내용의 계획성 및 학습의 효율성 향상을 통해 한국 민속 문화 학습의 이해를 높이면서 다각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한국 민속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과 국어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민속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한 인식 전환과 민속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증진과 더불어 창의적인 표현 능력이 향상되는 교육으로써 앞으로의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미술교육의 발전에 보탬이 되어 학생들이 많은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folk culture to nurture the self-esteem and the identity as a Korea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lklore - the lifestyle which has been created by an ethnicity - is the foundation that has created the spirit and the culture of the Korean race and is the spiritual and artistic whole of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Korean folklore culture from multilateral viewpoints by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so as to see the folklore culture of the past and of the present by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In that sense, the study aimed to nurture creative future culture talents by utilizing the ethnic culture and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the Korean ethnic culture-related classes with interest.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e study. Chapter 2 studi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For this aim, surveys targeting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were conducted and the current education state was identifi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2015 revised art division curriculum, the concept explan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contained illustration level of the Korean ethnic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seven types of revised 2009 art textbooks and the current state of containing the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ethnic culture in respective fields were examined in detail. As a result,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ethnic culture and other subject lessons merely took place once or twice a year and when it comes to the lessons of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through art, they were focused on making comparisons with the Western art works or the utilization of the Eastern materials. The learners, who took part in the survey, participated in the lesson regar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but most of them did not have a good idea about the concept. In addition, more than 50 percent of the art teachers who responded that the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is insufficient in textbooks had been carrying out the culture-related lessons with other materials found in textbook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was identified so as to improve the problem at schools. Chapter 3 developed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by designating three fields - the mask dance culture, the seasonal customs culture, and the ethnic lifestyle culture - among the Korean ethnic cultures. The first program aims to understand the Korean mask dance culture through mask dance and related plays and perform mask play by cooperating with friends and making masks. The purpose of the second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seasonal customs culture through the poetry related to the lotus lantern culture and to make one's own lantern. The third program aims to understand how the past Korean ethnic culture and the current ethnic culture were handed down through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lated to the ethnic lifestyles and apply the program making expressions through illustrations. As examined above,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was designed to enable learners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culture. The autonomous cooperation learning model, the creative epilogue lesson model, the creative problem solution method, the discovery activities using diverse materials and methods, and the creative expression method were applied according to respective programs. The developed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were generated by analyzing various outcomes, and some improvements had to be made for the invigoration of the program at schools. The applied and analyzed results of Chapter 4 found that students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ethnic culture and perceived that the culture was important and their art express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had improved through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enhancement of the interest toward art subject and Korean language subject through the combination of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was also identified. As the method to vitalize the program at schools, the measure to invigorate the development of the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which leads students and teachers to perceive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thnic culture learn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planning the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contents within textbook and the learning efficiency was suggested. The art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combined art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thnic culture - the education which converts perception throug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ethnic culture, improves students' interest toward the ethnic culture, and enhances creative expression ability -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t schools and guide students to growth by contributing to the progress of art education.

      • 미혼여성의 모유수유 의도와 관련된 신념요인 :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장민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에 대한 실천율을 높이고자 모유수유 행동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Ajzen의 ‘계획적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근거로 모유수유 행동의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과 인구 통계학적 요인을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은 편의 표집방법을 통하여 선정된 총 350명의 직업을 가진 미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 된 설문지중 총 317부가 통계처리에 이용되었다. 영양학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영양사, 의료계종사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2008년 12월부터 약 3달 간 이루어졌다.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만 26세였으며 만 30세 미만인 여성이 85.5%이었다. 학력은 대학, 대학원 졸업자가 60.6%로 많았으며, 직업과 수입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2. 모유수유 시 예측되는 행동 결과에 대한 태도의 평균은 25점 만점에 16.77±3.07로 모유수유 행동 결과에 대한 태도는 매우 긍정적 이었으며, 모유수유 행동 결과에 대한 신념은 5점 만점에 3.78±0.49로, 모유 수유 행동 결과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4.25±0.40로 높게 나타났다. 신념과 평가 모두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 문항들은 ‘엄마와 아기가 더 친밀해 질 것이다’,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유보다 아기에게 더 우수한 영양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 것이다’ 등이 있다. 3. 주관적 규범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69±3.05로 대상자들은 준거인 들의 영향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적 신념의 경우에는 2점 만점에 0.80±0.68, 순응 동기는 5점 만점에 3.89±0.79로 대상자들은 준거인 들의 권유에 따를 것이라 하였으며 특히 ‘어머니’를 비롯한 ‘모유수유 경험이 있는 형제, 자매, 친구, 직장동료’의 격려에 ‘모유수유 경험이 없는 준거인 들 의 권유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따르겠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4. 인지된 행동통제력은 25점 만점에 6.81±3.73로 다소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중 통제신념은 5점 만점에 2.25±0.69점, 인지된 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67±0.84로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문항들 중 ‘커피, 술, 담배 등 아기에게 해로운 기호품을 삼가야 할 경우’의 문항에 대해서는 모유수유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 결과를 보인 반면, ‘기차, 버스, 식당 등 공공장소에서 모유를 먹이는 것’, ‘직장에 다닐 경우’는 통제신념과 인지된 능력 모두에서 가장 부정적 결과가 나타났다. 5. 조사 대상자들의 모유수유 행동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0±0.87로 매우 높은 모유수유 행동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6. 계획적 행동이론에서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 변수들 간에 상관성을 알아 본 결과 행동의도와, 행동 결과에 대한 신념, 평가, 태도, 규범적 신념, 순응 동기, 주관적 규범, 통제신념, 인지된 능력, 인지된 행동통제력의 10가지 변수들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행동의도의 경우 나머지 9가지 변수들과 모두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25세 미만과 25세 이상인 두 연령 그룹의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에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해 본 결과 연령 그룹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25세 미만과 25세 이상인 연령그룹의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기 분석한 결과 25세 이상인 그룹의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력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25세 미만인 그룹의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력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미혼여성의 모유수유 행동의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계획적 행동이론은 모유수유 행동의도를 알아보기에 매우 유용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모유수유 교육자료 개발 시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25세 미만의 그룹에서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모유수유 교육 시 연령별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of breastfeeding intention among unmarried female and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Ajzen. Investigation target was unmarried female who have job, and 317 questionnaires becam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ttitude of breastfeeding was high by 16.77±3.07 in 25 perfect score and specially 'promotes psychological closeness between mother and infant' and 'provides the best nutrition for the infant' were very positive. Subjective norm of breastfeeding was 3.69±3.05 in 5 perfect score and they strongly follow mother, friends with breastfeeding experience, siblings with breastfeeding experience. Perceived control was little low by 6.81±3.73 in 25 perfect score. Especially 'when they have to breastfeed in public' was the most difficult situation of breastfeeding. Behavioral intention about breastfeeding was very high by 4.40±0.87 in 25 perfect scor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ory of planed behavior variables have significant interrelation.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 among the age groups. The result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n breastfeeding intention by age groups was remarkable. The old group'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 influence their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young group's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 influence their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the young group's attitud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t was very useful to find out the factors of breastfeeding intention among unmarried femal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be effectively used in creating educational program that will increase the rate of breastfeeing. Because attitude does not influence for behavioral intention from young group, various education by age must attain.

      •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장민경 울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in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and Overcome the Discrimination of their Children - Focused on the Grounded Theory - Jang, Min-Kyeong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Ulsan University Major Advisor : Jung, Min-ja, pr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and overcome discrimination and to identify specific influences on that. The research topic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in a family with a child with a disability experience and overcome discrimination like?’ This study was performed,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aged between 35 and 54. Their final education ranges between no education and graduation from university, and they use a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ey listened to a sufficient description about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5 through April 2016,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ed field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an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collection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open coding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nd in the stage of axial coding,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categories and processes by a paradigm, and in the stage of selective coding, this study looked for a core category, described the outlines of the stories, drew the correlations of the categories and classified their types, centering around the core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pen coding, 19 sub-categories and 12 final categories were drawn, centering around 36 concep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ategories by the paradigm in the axial coding,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experience and overcome the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usal conditions were ‘difficulties in family relationship’ and ‘difficulties in family life’;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experience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ntextual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henomenon were ‘the weight of life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lack of support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the negativity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egativity on non-disabled children.’ In addition,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internal resolution method’, ‘external resolution method’ and ‘social discrimination prevention plan’, and the mediating conditions that stimulate action/interaction and do a controlling action was ‘the positivity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ositivity on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result was ‘mature parents: Overcoming discrimination.’ The processes in which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and overcome discrimination were ‘the stage of stress from childbirth and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age of recognizing the positivity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age of accepting disabled children and preparing a plan for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stage of the rediscovery of life.’ First, in ‘the stage of stress from childbirth and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ny their lives changed with a hard shock difficult to accept as their child who was born in joy is diagnosed with a disability. In this stage, they suffer from various mental and physical stresses,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ve a sense of isolation or difficulties. Second, in ‘the stage of recognizing the positivity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perceive the positivity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m. In addition, this is a stage in which they regard the nurtur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way of living by actively opening them to the outside. Third, ‘the stage of accepting disabled children and preparing a plan for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is a stage in which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take a receptive attitude toward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a stage in which they make efforts to make the world as one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in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live with the disabled with constant affection and hop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 as to overcome social atrophy or isolation. Lastly, in ‘the stage of the rediscovery of life,’ they take interest in and look around the ordeal due to the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and the pains of the people around taking interest. In addition, with gratitude for many things around, they have a time of the redevelopment of their lives, looking back on the hard past due to the difficulties and stres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ore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turned out to be ‘the process from experiencing and overcoming discrimination to becoming mature parents,’ a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s among the categories appearing continuously, centering around the core category, the types of mature parents who went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overcoming the discrimination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adaption type’ and ‘pioneer type.’ The ‘adaption type’ mothers were seriously affected psychologically when their children were first diagnosed with a disability, and conflicts frequently occurr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and parenting stress. However, they are a type in which they learn accepting the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as a fate. The ‘pioneer type’ mothers are a type in which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situation as they came to know the positive aspect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ake the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give learning and teaching to their lives, and would live confidently concerning the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in society. Like the above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from experiencing and overcoming the discrimination to becoming mature parents’ experienc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uld be understood. The process from experiencing and overcoming discrimination to becoming mature parents in the process of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 process that most mothers who nurtu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eptance of parenting stress a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perceived negatively or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endure mentally and physically difficult processes and become mature parents from the diagnosi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acceptance of disabled childre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promot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rawing up a policy on the support for the healthy living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members of society concerning the process from experiencing and overcoming discrimination to becoming mature parents. Key word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Process of overcoming, Grounded theory analysis, Mature Parents 국문초록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차별 경험 과정과 극복 과정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은 어떠한가?’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장애아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아가족의 어머니로 연령은 35세에서 54세이며, 최종학력은 무학에서 대학교 졸업까지로, 연구의 의의와 목적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연구에 응하기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진행되었고, 관련분야에 대한 문헌조사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지속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기초로 개방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축 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과 과정 분석을, 선택코딩에서는 핵심 범주 발견과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며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범주의 관련성 도출과 유형을 분류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36개의 개념을 중심으로 19개의 하위범주, 13개의 최종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장애아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은 ‘가족관계의 어려움’, ‘가족생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으로는 ‘장애아 차별의 경험’이,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장애아 부모의 삶의 무게’, ‘장애아 가족지지 부족’, ‘장애아 양육의 부정성’, ‘비장애아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성’이 나타났다. 또한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의 전략은 ‘내부적 해결방법’, ‘외부적 해결방법’, ‘사회적 차별 예방 방안’으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중재적 조건은 ‘장애아 양육의 긍정성’, ‘비장애아 자녀에게 미치는 긍정성’이였고, 그 결과 ‘성숙한 부모: 차별극복’으로 나타났다.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은 ‘장애아 출산·양육의 스트레스 단계’, ‘장애아 양육의 긍정성 인식 단계’, ‘장애아 수용과 차별 예방 방안 마련의 단계’, '삶의 재발견 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장애아 출산·양육의 스트레스 단계’는 기쁨 속에서 태어난 자녀가 장애아 진단을 받게 되면서 장애아어머니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격과 함께 변화된 자신의 삶을 부정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장애아 자녀를 양육하면서 다양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를 겪고 소외감이나 어려움을 느끼는 단계이다. 두 번째 ‘장애아 양육의 긍정성 인식 단계’는 장애 자녀와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양육의 긍정성을 인식한다. 나아가 외부에 적극적으로 장애아 자녀를 개방함으로써 장애아 자녀를 돌보는 것을 하나의 살아가는 방법으로 느끼는 단계이다. 세 번째 ‘장애아 수용과 차별예방 방안 마련의 단계’는 참여자들은 물론 가족들도 장애아 자녀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는 단계이다. 장애아 자녀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과 희망을 갖고 사회적 위축이나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 장애인 복지에 관심을 가지며 장애인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삶의 재발견 단계’에서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시련으로 주변 사람의 아픔에 관심을 갖고 살피게 된다. 또한 주위의 많은 것들에 감사함을 느끼고 장애아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스트레스로 힘든 지난날을 되돌아보며 자신의 삶에 대해 재정비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선택코딩에서 핵심 범주는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서 성숙한 부모로 나아감’으로 나타났으며,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나타난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장애아 어머니의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을 겪은 성숙한 부모의 유형은 ‘순응형’, ‘개척형’으로 나타났다. ‘순응형’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장애를 처음 진단 받았을 때 심리적 충격이 컸으며 경제적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자녀의 장애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게 된 유형이다. ‘개척형’의 어머니들은 장애아 양육의 긍정성을 알게 되고 상황에 순응하면서, 자녀의 장애를 자신의 삶에서 배움과 가르침을 주는 기회로 여겨 사회적으로 자녀의 장애에 대해 당당하게 살고자 하는 유형이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장애아가족 어머니가 경험하는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서 성숙한 부모로 나아감’의 과정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장애아 양육과정의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은 장애아를 양육하는 다수의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과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차별 경험을 부정적 혹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받아들이는 정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의 대부분은 장애아 진단에서부터 장애아 수용까지 정신적·신체적으로 힘겨운 과정을 견디며 성숙한 부모로 나아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차별 경험과 극복 과정에 대비하여 장애아 어머니의 정서적 안정 도모와 장애아 자녀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는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어: 장애아동 어머니, 차별 경험, 극복 과정, 근거이론 분석, 성숙한 부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