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염기 교정과 프라임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레쉬-니한 증후군의 치료학적인 유전자 편집

        장가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herited human genetic disorders are mostly caused by nucleotide alteration in an associated gene or its regulatory elem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nucleotide alterations in the genome such as point mutations, insertions, and deletions. Introduction and correction these nucleotide alterations in living cells and organisms are great challenging to manage the human genetic diseases. Although the conventional CRISPR-based nuclease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applied to treat genes associated with various genetic diseases, the nuclease-based gene editing to correct targeted mutation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low correction frequency, generation of DNA double-strand breaks, and requirement of donor DNA templat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recent studies show that CRISPR-mediated base and prime editors allows editing of desired mutations in the genome. Lesch-Nyhan Syndrome (LNS) well known as rare genetic disease is caused by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1 (HPRT1) gene mutation. A HPRT1 deficiency causes hyperuricemia and a various spectrum of neurological symptoms such as motor dysfunctions, cognitive impairment, and behavioral disorder. Although the causal role of HPRT1 has been confirmed over the past 50 years, there is no fundamental treatment for LNS patients. To provide proof-of-concept evidence regarding the feasibility of CRISPR based gene therapy, I applied CRISPR-mediated base and prime editors to correct LNS-related HPRT1 gene mutation. I generated several cell lines which introduced LNS patient-derived mutations including c.333_334ins(A), c.430C>T, and c.508C>T with optimized base and prime editors. Then I also corrected these mutations in the cells up to 46.7% and generated corrected cell lines. Furthermore, I analyzed the function of HPRT1 in these established cell lines and confirmed that HPRT1 functions are fully disrupted in the mutant cells and rescued in corrected cells. From these results, I first suggest that CRISPR-mediated base and prime editors can be used for generating LNS model cells and treating the disease by HPRT1 gene correction. These genome editing tools could be widely used to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genetic mutation in LNS patients. 유전되는 인간의 유전적 장애는 대부분 관련 유전자 또는 그 조절 요소에서 뉴클레오타이드 변형에 의해 발생한다. 유전체에는 점 돌연변이, 삽입, 결실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뉴클레오타이드 변화가 있다. 살아있는 세포와 유기체에 이러한 뉴클레오티드 변화를 도입하고 수정하는 것은 인간의 유전 질환을 관리하는 데 큰 도전이다. 기존 크리스퍼 기반 핵산분해효소가 개발돼 다양한 유전질환과 연관된 유전자 치료에 광범위하게 적용됐지만 표적 돌연변이를 교정하기 위한 핵산분해효소 기반 유전자 편집은 교정빈도가 낮고 DNA 이중 가닥 절단 발생, 외부 DNA 템플릿 요구 등 여러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연구는 크리스퍼 매개 염기 교정 가위와 프라임 교정 가위가 유전체에서 원하는 돌연변이를 편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희귀 유전질환으로 잘 알려진 레쉬-니한 증후군은 하이포잔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 전이효소 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HPRT1 결핍은 고혈증과 운동 기능 장애, 인지 장애, 행동 장애와 같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지난 50년 동안 HPRT1의 인과적 역할이 확인되었지만, LNS 환자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다. 크리스퍼 기반 유전자 치료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개념 증명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크리스퍼 매개 염기 및 프라임 교정 가위를 적용하여 LNS 관련 HPRT1 유전자 돌연변이를 교정했다. 최적화된 염기 및 프라임 교정 가위로 c.333_334ins(A), c.430C>T, c.508C>T LNS 환자 유래 돌연변이를 도입한 세포 주 여러 개를 생성했다. 그런 다음 46.7% 효율로 세포 내 돌연변이를 수정하고 수정된 세포주를 생성했다. 나아가 이러한 확립된 세포 주 들에서 HPRT1의 기능을 분석해보니 돌연변이 세포에서 HPRT1의 기능이 완전히 망가졌고 교정된 세포에서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에서 필자는 먼저 크리스퍼 매개 염기 및 프라임 교정 가위를 사용하여 LNS 모델 세포를 생성하고 HPRT1 유전자 교정을 통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유전체 편집 도구는 LNS 환자의 다양한 유형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개념화 연구

        장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인지의미론의 방법으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지의미론은 언어를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객관 세계에 대한 개념화로 보고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개념화 과정은 물리적․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공간 경험은 인간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신체적 경험이며, 따라서 우리는 덜 구체적인 경험을 개념화하기 위해 공간 경험을 사용한다. 이미 많은 인지언어학적 연구가 비공간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는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포착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고는 현대중국어에서 공간 개념의 하위 개념인 공간 척도 개념을 나타내는 공간척도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어휘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어에서 공간 척도를 가지고 비공간 경험을 인지하고 표현하는 개념화 방식을 밝혔다. 공간척도사는 차원 공간에서 존재하는 사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량 혹은 두 사물 간 떨어져 있는 거리의 양에 대한 척도의 의미를 원형의미로 삼는 어휘이다. 통사적․의미적 기준에 근거하여 본고는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를 ‘大/小’, ‘长/短’, ‘宽/窄’, ‘高/低(矮)’, ‘厚/薄’, ‘深/浅’, ‘粗/细’, ‘遠/近’ 등의 여덟 쌍으로 규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먼저 개별적인 시각에서 중국어 공간척도사 각 대립어 쌍의 의미를 자형의미․원형의미․확장의미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자형의미는 이들 어휘들이 가지는 글자로서의 어원적 의미이며, 자형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어 공간척도 개념의 문자화가 공간사물과 공간이동 개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는 공시적인 측면에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단어로서의 의미이다.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인 공간량 척도의미를 고찰함에 있어서 인지의미론의 바탕․윤곽․탄도체․지표 등의 개념을 적용하였고, 공간척도사 원형의미의 서술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x차원의 대상 공간물을 바탕으로 두고, 이 공간물의 y차원적인 공간량(tr)과 기준(lm)의 관계를 윤곽으로 부각한다. (x≥y) 이 모형을 가지고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의 의미구조를 규명하였고, 아울러 영상도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이러한 원형의미가 공간영역에서 출발하여 사물은유․그릇은유․지향적 은유․구조적 은유․주관화 등 다양한 기제에 의해서 감각․시간․사건․추상․주관영역 등 다양한 인지영역으로 폭넓게 투영되어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의미 확장의 신체적․인지적․문화적 근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정리하여, 한국어․영어의 경우와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언어의 공간척도사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은 공통점이 주를 이룬다. 이는 인간이 공통된 물리 환경과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통점 외에 차이점도 있는데, 지각, 시간 및 추상물에 대한 개념화에 있어서 중국어가 한국어와 영어보다 공간척도 개념에 더욱 의존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본고는 중국인의 전체적이고 공간적인 사유 방식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 8쌍을 대상으로 삼고, 이들 어휘의 자형의미․공간의미․확장의미를 살피고 이에 반영된 공간척도 개념과 비공간 경험의 개념화 방식을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한국어․영어의 개념화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서 보편성과 상대성을 규명하였고 아울러 그것의 물리적․문화적․인지적 근거를 밝혔다. 이로써 공간척도사의 의미 및 공간척도와 관련된 개념화 방식을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장가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a total of 189 surveys were analyz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survey’s background variable and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χ² (Chi-square) was perform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more than 80% showed affirmative response in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perception degree, degree of interest, degree of importance of personal life, degree of the provision of self-development, degree of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lleviation of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y, degree of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out the whole life, degree of grasping the lifelong education target, degree of importance in activating the reg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continuously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econd, from the perception degree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lifelong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education career. Third, from the perception degree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career, and the area of the student’s dis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ays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ntinuos promo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needs of lifelong education to the group of young age and low education career must be provided. Second, the active support in lifel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mental disabilities is needed. Third, mor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to improve occupational ability needs to be developed and various forms of education must proceed such as online education that can exceed the limits of time and distanc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the situation. Fourth, practical support such as budget for educational activity and cost support(transportation costs, activity costs, etc.) is required. Fifth,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human networks by public relations or dispatching handouts and official document for cooper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secur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utilize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who have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89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검정, 우선순위 문항에 대해서는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평생교육 개념 인식 정도, 관심도 정도, 개인의 삶에 대한 중요도 정도, 자기발전 제공 정도, 삶의 질 향상 정도, 교육 기회격차 해소 정도, 전 생애 필요도, 평생교육의 대상 파악 정도, 지역 활성화에 대한 중요도, 지속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에서 80% 이상의 긍정적 응답을 보였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연령, 교육경력, 담당 학생의 장애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령이나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 집단에 대해 평생교육 중요성과 필요성 인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 및 정보 제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적 장애를 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직업능력신장을 위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 내용이나 상황 등에 따라 시간과 거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 활동을 위한 예산 및 경비 지원(교통비, 활동비 등)과 같은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다섯째, 인적 네트워크에 의한 홍보나 유관기관의 협조공문 및 유인물 발송을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문인력 확보방안을 모색하고, 특수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 등의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아버지의 養育態度 및 養育行動과 兒童의 社會的 能力과의 關係 硏究

        장가영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low level paternal rearing attitude and activity was investigated and then those consequences resulted i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competence were also appear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paternal rearing attitude, activity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ollowed by above two factors is also subjected to this paper. Five new village nursery schools which placed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3-6 year-old preschool children, who are 104 boys and 97 girls among 201 children, were tested as objections. Fathers themselves recorded their paternal rearing attitude and activity on the bill titled "Paternal Rearing Attitude and Activity". Also, children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ir tutors with bill called "Social competence Scale". Statistic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Analytic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Low level paternal rearing attitude's little more traditional and rearing activity show lower score than jeneral paper and there is no sex difference with these factors. 2. Low leve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s not low and there is no sex difference. 3. Low level paternal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ave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considerably and there is a sex difference. That is, social competence II, which is so called compliance of social promise, for boy was appeared highly supposed that his father owns traditional rearing attitude. 4. Low level paternal rearing activit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ave partly positive correlation thoughtfully and there is no sex difference. That is, social competence II for both boy and girl was shown greatly provided that their fathers care for their children very well, attendence and attention were appeared greatly suppose they activate vigorously in community society. 5. Low level paternal rearing attitude and activity have more partly positive correlation in question and there is a sex difference. In another speak, mutual activity and interaction with boy and father in home were increased importantly if paternal rearing attitude advanced affected on his children.

      •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장가영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analysis by confirming the impa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rovide data that can help medical institutions' judgment standards, and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earch data were surveyed on 122 nurses with more than on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experience at the general hospital level who obtained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93.4% were women, 47.5% were in their 30s, 65% were married, and 76.2% were college graduates. As for the position, 74.6% were general nurses and 33.6% were working for 5-10 years. The working department was 57.4% in the general ward, and 95.1% had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 77.9%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was 'know in detail', and the number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was '0 times' 59.0%. The average degree of improvement by chapt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s is 3.64±0.83 out of 5, an average of 4.00±0.77 points out of 5 point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organizational culture averaged 3.18±0.96 points out of 5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by the head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by sub-item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accurate surgery and procedu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ge,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each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dicating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all related.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s a factor that affects patient safety guarante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s by using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s a way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conduct continuous evaluation rather than an attitude to establish patient safety in line with temporary external evaluation items for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nd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environment that can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for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t is suggested to study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argeting not only the nursing profession of medical institutions but also members of other occupations.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객관적인 정보와 분석제시와, 의료기관의 판단 기준에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제공하고, 의료기관평가인증의 활성화, 환 자안전보장활동 및 올바른 조직문화 정착에 기여 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한 종합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1회 이상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표준편차, T 검정, 분 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93.4%, 연령은 30대가 47.5%, 기혼이 65%, 대학 졸업이 76.2%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74.6%, 근무경력은 5-10년 33.6%였다. 근무부서는 일반 병동 57.4%였으며, 환자안전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95.1%였다.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에 대해 ‘자세히 안다’ 77.9%였으며,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 ‘0회’ 59.0%였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0.83점,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5점 만점에 평균 4.00±0.77점, 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18±0.96점 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 차이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차이에는 결혼상태,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문화의 차이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하부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정확한 환자 확인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진 간 의사소통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며, 정확한 수술·시술 확인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예방 활동은 연령,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감염예방 활동은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와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조직문화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의료기관평가인증과,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모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은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 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병원의 환자안전과 조직문화를 증진 시키는 방법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전략적 으로 활용하여 병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위한 일시적인 외부평가 항목에 맞춰 환자안전을 확립하려는 자세보다는 지속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 하며, 의료기관평가인증의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 조직 구성원들의 근무경 력별, 직급별 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의 간호직 뿐만 아니라 다른 타 직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의료기관평가인증,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 Top Managers' Pledging: Determinants and Effects

        장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and financial effects of share pledging by executives and directors. The sample includes more than 1,000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in S&P1500 from the fiscal year of 2010 to 2014.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tests suggest that the occurrence of pledging is influenced by the firm size, executives’ age, the percentage of shares held by executives and CEO tenure.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o find financial effects of pledging,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ruals occurs more frequently in companies where shares are pledged by executives. Finally, share-pledging by executives heightens stock return volatility when tested without control variables. This paper is meaningful as it is the first to study the determinants and financial effects of pledging, in addition to being the first to study executives’ share pledging as the main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