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全琫準의 供草硏究

        임태섭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Dong Hak peasants' war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left the most distinct historic footprints in Korean history. It is rare in Korean history that the lower class who are controlled rose against the governing classes' suppression and rapacity. Although there was the Hong, Gyoung Las's rebellion, it is just a common uproar. And we couldn't find the sense and soul of reformation in this rebellion. However there was a prominent leader Jeon, Bong Joon in the Dong Hak peasannts' war. He had the far-reaching aims as like Bo Gook Ahn Min, promoting the interests of the nation and providing for the people. And he wanted to reform and strengthen the nation. So we could say that the Dong Hak peasants' war has the important meaning in Korean history. And this thesis is purposed to examine the reason of the Dong Hak peasants' uprising with the following methods: First, we studied about the life and the scholarly backgrounds of Jeon, Bong Joon. It is the reason to study it that he is a prominent leader of Dong Hak peasants' war. If we study his life and scholarly backgrounds, we could find out the one of some reasons of the Dong Hak peasants' war. And we studied the contemporary social circumstances and particularly Cho, Byoung Gap's suppression and rapacity. Although it is known well, we must look into the contemporary social circumstances needed to understand this thesis procedure. Then we studied the procedure from the first uprising in Baek San to setting Jip Gang So. This is to examine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 Hak peasants' war. Although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 Hak peasants' war has important meaning, however this thesis of the Dong Hak peasants' war has important meaning, however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Examination Note of Jeon, Bong Joon in the first uprising. His follower, Kim Gyoung Cheon informed the Government against him, so he is captured and sent in Seoul. He had to undergo a severe and persistent cross-examination in five times. The first and second trail is performed by Korean public prosecutor, but the third, the fourth and the fifth trial is executed by the Japanese consul at Seoul. We couldn't help feeling wrath from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Japanese consul forced Korean sovereignty. During the five times trials Jeon, Bong Joon didn't lose the national attitude and show the pride as the leader of the Dong Hak peasants' army. Now we make sure that this research on the Examination Note of Jeon, Bong Joon proves his real worth and give us his love for the nation and his true patriotic spirit.

      • 종합병원의 공기 감연균 확산방지를 위한 건축공간 및 공조환경 계획 연구

        임태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SWINE 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의 확산이 전 지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종합병원의 경우, 이러한 전염성 환자가 예기치 않게 방문할 수 있고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입원할 수 있고, 격리 수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 종합병원은 생물학 병원균과 싸우는 곳이며, 경우에 따라 확산의 발원지가 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곳이다. 이러한 곳에 기류의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어 치유 받고 있는 타 환자가 감염된다면 또는 건강한 방문자가 감염된다면 그 확산은 걷잡을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들을 기반으로 중층 및 고층 의료시설에서 전염성 병원균의 기류 이동에 의해 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사례병원의 실측과 연돌효과를 중심으로 증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모델과 CFD 모델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병실 및 엘리베이터홀, 복도 등의 적정 급·배기량과 급·배기구 위치 및 형태에 따른 환기성능을 평가하여 고층 종합병원의 환기계획에 대한 기반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SARS 환자가 발생한 병원에서의 감염확산 보고서를 바탕으로 추적가스 농도에 따른 감염 위험성 및 급·배기구의 위치와 형태 및 량에 따른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의 결과, 전염성 감염균으로 가정한 추적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적가스의 농도에 따른 감염 위험율은 로그함수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급·배기구의 형태와 위치, 급·배기량에 따라 감염 위험율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층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연돌효과에 대한 발생 유무와 그 양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례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실측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 모델과 비교하여 향후 분석모델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측정결과를 요약하면, 사례병원의 층별 압력차 패턴은 전형적인 연돌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압력차에 의한 기류의 유입패턴을 보면 중성대를 기준으로 저층부에서는 출입문과 창문 등의 개구부나 틈새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엘리베이터홀로 이동하며, 엘리베이터홀에서 엘리베이터샤프트와 계단실을 타고 상부층으로 이동하고 다시 상부층의 병실 창문 등의 개구부나 틈새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엘리베이터문이 열렸을 때 풍속은 20층에서 3 m/s 정도를 보이고 있어 엘리베이터홀에 있는 통행자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 실내?외 온도차가 병실을 기준으로 21℃를 보이고 있는데 연돌효과의 강도는 실내?외 온도차가 크면 클수록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TAC2.5%(서울지방의 TAC2.5% 외기온도는 약 -11℃)를 기준으로 보다면 현 측정시점보다 연돌효과가 더욱 강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실측치와의 비교과정에서 CONTAMW 예측치는 실측치를 80에서 90%이상 예측할 수 있도록 Calibration되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CONTAMW와 CF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합병원 내에서 공기 감염균 환자의 층별 위치 및 급·배기의 특성에 따른 추적가스의 확산을 해석해 보며, 여러 가지 대안을 만들어 공기 감염균의 확산 방지를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기본 종합병원은 전형적인 연돌효과에 의한 각 공간간의 압려차 프로파일을 갖고 있으며, 각 공간간의 압력차 프로파일은 실내 기류의 공간간 이동패턴을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정된 층에서 공기 감염균으로 가정한 추적가스를 발생시키면 연돌효과에 의한 기류의 이동 패턴 때문에 저층부에서는 추적사스가 검출이 되지 않는 반면 상부층은 추적가스가 검출되고 있었다. 또한 1층과 2층에서 유입되는 외기는 연돌효과의 강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 때문에 연돌효과에 대한 확산을 최소화하려면 기존의 방법으로 줄이면서 진료실과 병실의 배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의 경우, 일반건물과 같이 급기량을 배기량보다 많이 설정한 경우, 오히려 기류를 불규칙하게 하여 공기 감염균의 확산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인형 급·배기구를 적용한 경우, 연돌효과에 의한 공기 감염균의 확산을 막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 성능향상을 위한 라인형 급·배기구의 기본적인 배치유형은 병실의 경우, 문 앞에 라인형 그릴과 각 창문 앞에 라인형 그릴을 설치한 것이며, 그 급·배기의 방법으로 저층의 경우, 문 앞의 라인형 그릴을 급기로 이용하고, 창문 앞의 라인형 그릴을 배기로 이용하면 환기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층의 경우는 그와 반대로 문 앞의 라인형 그릴을 배기로 이용하고, 창문 앞의 라인형 그릴을 급기로 이용할 때 환기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리베이터홀과 복도의 경우, 각 엘리베이터문 앞에서 라인형 그릴을 설치하고 다시 각 병실의 문 앞에서 라인형 그릴을 배치하는 방식이 환기성능의 향상에 도움을 주며, 급·배기 방법에 따라 저층이 경우, 엘리베이터문 앞의 라인형 그릴을 급기로, 병실문 앞의 라인형 그릴은 배기로 이용하면 각 병실에서 유출될 수 있는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부층은 저층의 경우와는 반대로 엘리베이터문 앞의 그릴은 배기로 병실문 앞의 그릴은 급기를 적용하면 엘리베이터로 부터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결국 기존의 고층 종합병원이 사용한 환기방식과 급·배기구의 형태와 위치를 일률적으로 전층에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공기 또는 기류에 부유가 가능한 병원균을 전체 병원공간으로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 보다는 본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급·배기의 방식과 급배기구의 형태와 위치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을 본 논문은 제시하고 있다.

      • 종합병원 병동부의 최소기준면적 설정을 위한 계획적 사례 연구

        임태섭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원이 수용하는 기능은 의료제도의 형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아울러 병원의 지역조건 및 설립목적, 운영 방침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의 영향하에 결정된다. 이와 같은 영향 아래서 형성된 병원의 기능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또한 서로 간에 복합적인 상호관련성을 갖게 되며, 이것이 사용자에게 병원이라는 물리적 형태로 인식되고 평가받게 된다. 우리나라는 1977년의 의료보험 개시와 그 이후 1989년의 전국민의료보험에 따라 전면적인 의료전달체계의 확립으로 인하여 전국민이 의료서비스의 혜택을 받게 되어 의료수요가 급속히 증가함으로서 종합병원 및 병원의 설립도 크게 증가하였다. 한국 의료관리연구원에서 조사한 전국병원 병상규모별 병상당 면적분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병원의 병상 당 면적은 6평 미만에서 24평 이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으나 병원마다 시설수준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다. 이런 원인중의 하나가 의료시설의 최소기준 미비에 있다. 선진국에서는 관련법규나 재정지원 기준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제시된 최소기준으로서의 시설의 질을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최소기준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형식적인 수치만을 제시하거나, 아예 규정자체가 없는 독일과 미국의 경우 단순히 병실의 환자 1인당 면적기준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병상간 간격이나 병상으로의 접근, 병상의 배치에 관한 기준을 가지고 있어 병실환경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위생시설에 있어서도 우리 나라는 병원의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반면 독일이나 미국의 경우 변기, 세면기, 샤워기나 욕실에 대하여 그 수와 설치규격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몸이 불편한 환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기준들을 제시하고있다. 독일이나 미국의 최소기준은 병실의 가구나 창, 그리고 환자의 휴식공간에 대한 기준의 제시가 되어 있어 환자의 병실내 생활환경을 보장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병실의 면적기준이외에 간호 부속실과 관련된 기준이 전무한 반면 독일이나 미국의 기준에는 설치하여야 하는 부속실의 종류의 그 시설규격 등을 규정하고 있다. 두 나라가 규정하고 있는 간호 부속실을 비교하여 보면 사무공간, 간호 작업공간, 직원 편의 공간, 보관공간, 환자 편의 공간 등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 나라와 일본은 주로 병실의 최소크기를 중심으로 최소 기준이 제정되어 있는 반면 독일이나 미국의 경우 침대배치, 병실내 시설, 위생시설의 수와 시설규격 등의 기준과 간호 부속실의 종류와 시설규격에 대한 기준 등 우리나라 병원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부분을 비교적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의료법 시행규칙에서 의료기관 시설규격에 관한 최소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실제 병원 계획의 최소기준으로는 극히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국내에 건립되었거나 혹은 설계가 완료되어 계획이 완료된 종합병원 병동의 평면유형 및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종합병원 병동의 계획은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기능을 적절히 수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우리나라 종합병원 병동의 실태와 문제점 및 병동 계획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병동당 병상수는 병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계획시 병동당 적정 병상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2. 기준층의 평면유형은 중복도형이나 이중복도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에는 평면유형이 다양한 병동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3. 환자부문 중 병실의 구성은 1, 2, 5, 6인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개인실의 비울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중심 개념의 관점에서 병상당 면적비를 높이고 병상주변의 환경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인실, 개인실 위주의 계획과 더불어, 다인실의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4. 간호관계자실의 구성에 있어서도 사용자 위주의 고려가 필요하다. 기존의 사례를 보면 청결물실과 오염물실의 구분을 따로 두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병동내 사용물품을 소독품 및 약품류 등 청결을 요하는 물품류, 린넨류, 의료장비와 소모품 등 일반 보관물품류, 오염린넨처럼 오염된 물품류 등으로 물품의 보관특성에 맞게 적정한 보관장소를 계획시 고려하여야 한다. 5. 환자의 생활부문에 대한 고려로서 과거 병원의 위생설비라 하면 세면기가 배치되어 있는 정도로 화장실과 욕실은 병동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엔 위생설비를 실내에 적극 도입하려는 시도를 볼 수가 있다. 6. 담화실(Day Room)의 면적배분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병실의 면적점유율은 높고, 간호자실은 낮은 편으로 나타나 아직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The functions of hospital are determined by the factors related to the medical system as well as local conditions, purposes for establishment, operation guidelines and other various factors. The functions of hospital determined as such must be very divers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a complicated way. Such functions are perceived and evaluated by users as a physical form. In Korea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as launched in 1977, and later in 1987 the system began to be operated as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for all the people. As result, all the people came to be covered by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hile the demands for medical services in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number of general hospitals and clinic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ward area of the hospitals throughout the nation produced by Korea Medical Management Institute, the area per ward differ widely from less than 6 pyongs to more than 24 pyongs,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wider differences of facilities among hospitals. One of the reasons for such wider differences may be lack of the minimum criteria for ward area. In advanced nations, the minimum quality of ward is controlled with relevant codes, subsidy conditions and other various means. Compared with the advanced nations, our nation specifies a formal number of beds. In contrast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pecify not only the area per patient but also criteria for distance between beds and layout of beds,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the ward effectively. In terms of the santiary facilities used by the patients, we have no extra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while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not only specify the criteria for toilette bowls, wash basins, showers and bathrooms but also recommend the criteria for handicapped people. Moreover,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uggests the minimum criteria for furniture and window of the ward as well as for patients' recess space, ensu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ward. While there is no criteria for nurses' room or relevant facilities in Korea,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pecify the criteria for such facilities; their specifications are about office space, nurse's workspace, support and amenity spaces and patients' amenity spaces. In all, while Korea and Japan provide the minimum criteria for the size of ward primarily,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pecify the criteria for layout of beds, number and size of in-hospital facilities and other sanitary facilities, types and dimension of nurses' rooms relatively in details. In Korea, the detailed regulations for Medical Law specify the minimum criteria for the medical facility sizes, which seems to fall far short of the required condi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plans and space compositions of the general hospitals constructed or designed in Korea, and thereby, suggesting the reform measures for specifications of the ward. The ward of a general hospital needs to be designed to accommodate the diverse needs from medical staff and patients. The problems can be addressed as follows together with their solutions; 1. There was found much difference of the bed number per ward among hospitals. When a hospital is planne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quired number of beds per ward. 2. Many plans show a super-imposed or dually super-imposed drawing, but recently, the plans tend to be diversified. 3. The number of beds per ward is 1, 2, 5 or 6 primarily, while the ratio of 1-bed ward increase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increase the ratio of area per bed for patients' convenience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ward by designing more 1-bed ward,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patients wards. 4.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users' needs when planning the nurses' rooms. Many hospitals do not distinguish the clean substances from contaminated one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required to separately plan the compartments for nurses: compartment for sterilizers and drugs, compartment for medical consumbles and ordinary items, and compartment for contaminated linen and other items. 5. Many existing hospitals deploy patients' toilettes and bathrooms in the center of each ward floor, while equipping each ward with a wash basin only. Recently, however, not a few hospitals attempt to introduce such sanitary facilities into the ward. 6. Although the ratio of the area for dayroom increases, the ratios of the area for wards and nurses' rooms remain lower still, which suggests the poor conditions of the ward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 감마선 분광을 위한 비스무트 나노입자가 첨가된 플라스틱 섬광체 연구

        임태섭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사성 물질의 빠른 발견 및 정확한 계측은 국가의 안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방사성 포탈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항, 항만 등 화물이 이동하는 곳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며 불건전한 방사성 물질의 유무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방사성 물질의 핵종을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거대한 화물을 한 번에 스캐닝하기 위해서 화물만큼 거대한 섬광체를 필요로 하는데, 플라스틱 섬광체는 대용량 및 대면적 제작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며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어 포탈 모니터링 시스템에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섬광체의 경우 방사성 물질의 유무는 계측이 가능하지만 구성 물질의 원자번호가 낮아 핵종 판별은 불가능하다. 플라스틱 섬광체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자 번호가 높은 물질을 접목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방사성 물질 중 가장 원자 번호가 높고, 독성이 없으며, 중성자의 반응 단면적이 작아 감마선 계측에 가장 적합한 비스무트를 플라스틱 섬광체에 첨가하여 감마선원의 핵종 판별이 가능한 섬광센서를 제작하였다. 플라스틱 섬광체 외부에 구멍을 뚫어 비스무트 나노입자를 채워 넣어 제작된 비스무트 첨가 플라스틱 섬광체와 일반 플라스틱 섬광체의 감마선 에너지 스펙트럼을 서로 빼주는 감법을 사용하면 입사 감마선의 에너지 피크를 얻을 수 있다. 감마선의 에너지 피크는 플라스틱 섬광체에 첨가되는 비스무트 나노입자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감마선 계측에 가장 적합한 비스무트 나노입자 사용량을 결정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결과로 결정된 비스무트 첨가 플라스틱 섬광체를 실제로 제작하여 Co-57과 Cs-137에 대한 에너지 피크를 획득하였다. 섬광센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획득한 에너지 피크의 에너지 분해능을 계산하고, 실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비스무트 로드 플라스틱 섬광체, 그리고 무기 섬광체인 BGO의 에너지 분해능과 비교하였다. Fast and accurat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radioisotopes are of principal importance for national security. The radiation portal monitoring systems must be installed at borders to detect illicit trafficking of radioactive materials and identify radioactive sources. For radiation portal monitoring systems, plastic scintillators can be manufactured on a large scale and used to detect radiations emanating from large cargo containers. However, plastic scintillators have a low effiective atomic number to identify radioactive sources. To overcome the weak points of plastic scintillator, the studies for high atomic number materials, specially bismuth, loaded plastic scintillator are conducted. In this study, a scintillation sensor capable of identifying the nuclide of gamma-ray sources is produced by containing bismuth nanoparticles, which has the highest atomic number among non-radioactive materials, in the plastic scintillator. The energy peak of incident gamma-rays can be obtained by subtracting energy spectra of the bismuth-contained plastic scintillator fabricated by drilling holes outside the plastic scintillator and the ordinary plastic scintillator. Since the energy peak of gamma-rays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bismuth nanoparticles used in the plastic scintillator, Monte Carlo simula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most optimum design of bismuth holes for gamma-ray measurement. Bismuth-contained plastic scintillators determined from Monte Carlo simulations are actually fabricated to find energy peaks of Co-57 and Cs-137. The energy resolutions of the energy peaks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a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confirm the practicality of the bismuth-contained plastic scintillator, and compared with the energy resolution of simulated results, bismuth-loaded plastic scintillator, and BGO.

      •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과 비크롬계 화성처리법에 의해 세라믹 코팅된 AZ31 마그네슘 합금의 전기화학적 부식특성 평가

        임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그네슘 합금은 다른 구조용 금속에 비해서 비중이 낮고, 비강도 및 강성이 크며 우수한 전자파 차폐성 및 진동 흡수성 때문에 자동차 산업 및 전자 기기 산업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의 낮은 부식 저항성은 마그네슘 합금의 적용에 큰 단점으로 작용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마그네슘 합금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세라믹 물질의 코팅은 마그네슘의 부식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 (PEO)은 마그네슘 합금을 비롯한 다양한 구조용 금속재료의 부식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친환경 표면 처리 방법으로, 최근의 마그네슘합금의 PEO에 대한 연구는 TiO2, ZrO2, Al2O3와 같은 부식 저항성이 큰 산화물계 세라믹 물질이 포함된 전해용액을 이용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CeO2는 비크롬계 화성처리법에서 마그네슘의 부식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하여왔으나, 아직까지 PEO공정엔 적용된 바 없는 첨가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으로 코팅층에 CeO2를 첨가하기위해, 전해용액 내에 CeO2 분말을 첨가하여 PEO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또 다른방법으로 PEO 코팅된 마그네슘 합금에 Ce계 화성처리법을 이용하여 코팅층에 CeO2를 첨가하였다. 전해용액과 화성처리액의 조성, 처리시간 등을 조절하여, CeO2를 첨가하지 않은 코팅층과 부식저항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CeO2 입자와 코팅층을 확인하였으며, SEM 으로 코 팅층의 표면 morphology와 두께를 관찰 하고, TEM 분석으로 코팅층의 자세한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중성의 3.5wt% NaCl 수용액에서 Potentiodynamic Test와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EIS)를 통해 CeO2 가 포함된 코팅층이 마그네슘합금의 부식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Magnesium (Mg) and its alloys have been used in a lot of fields such as automotive, aerospace, and computer industries due to their excellent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magnesium and its alloys are highly susceptible to corrosion that limited its widespread use in many applications.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This method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cess and produces well-adherent ceramic-like coatings, which remarkably enhance corrosion and wear resistance. In order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further, many attempts have been suggested. In particular, CeO2 and cerium compounds are good cathodic inhibitors as they show negative potential values. However, to our knowledge, the introduction of CeO2 into the PEO coatings of Mg and its alloys during PEO process has not yet been demonstrated.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of AZ31 Mg alloy was conducted in CeO2 particle–containing sodium silicate (Na2SiO3)-based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orrosion properties of CeO2–containing PEO coatings on AZ31 Mg alloy were evaluated by potentiodynamic test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analysis (EIS). Also, the cerium-based conversion coating (CeCC) is an alternative and environment-friendly method. Unfortunately, there exist micro-pores and micro-cracks in the PEO coating layers. Therefore,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many attempts have been suggested. However, to our knowledge, the introduction of PEO coatings with a CeCC post-treatment on Mg and its alloys has not yet been demonstrated. PEO of AZ31 Mg alloy was fabricated in sodium silicate (Na2SiO3)-based electrolyte. And then, the PEO coated samples were immersed at 70 °C for 30 min, and 1 hour. The effects of post-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PEO coatings were investigated in 3.5 wt% NaCl solution. Potentiodynamic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es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EO coatings.

      • Fibrotic Burden in Liver Differs Across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Subtypes

        임태섭 아주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 Aims: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MAFLD) is categorized into three subtypes: overweight/obese (OW), lean/normal weight with metabolic abnormalities, and diabetes mellitus (DM). We investigated whether fibrotic burden in liver differs across subtypes of MAFLD patien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multicenter study was based on cohorts of patients who underwent a comprehensive medical health checkup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20. A total of 42,652 patients with ultrasound-diagnosed fatty liver were include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 MAFLD, OW-MAFLD, lean-MAFLD, and DM-MAFLD. Advanced liver fibrosis was defined based on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NFS) or fibrosis-4 (FIB-4) index.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0.0 years, and 74.1% were mal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NFS-defined advanced liver fibrosis was the highest in DM-MAFLD (6.6%), followed by OW-MAFLD (2.0%), lean-MAFLD (1.3%), and no MAFLD (0.2%).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FIB-4-defined advanced liver fibrosis was the highest in DM-MAFLD (8.6%), followed by lean-MAFLD (3.9%), OW-MAFLD (3.0%), and no MAFLD (2.0%). With the “no MAFLD” group as reference, the adjusted odds ratios (95% confidence intervals) for NFS-defined advanced liver fibrosis were 4.46 (2.09–9.51), 2.81 (1.12–6.39), and 9.52 (4.46–20.36) in OW-MAFLD, lean-MAFLD, and DM-MAFLD, respectively, and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FIB-4-defined advanced liver fibrosis were 1.03 (0.78–1.36), 1.14 (0.82–1.57), and 1.97 (1.48–2.62) in OW-MAFLD, lean-MAFLD, and DM-MAFLD, respectively. Conclusions: Fibrotic burden in liver differs across MAFLD subtypes. Optimized surveillance strategies and therapeutic options might be needed for different MAFLD subtypes. 배경 및 목적: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질환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이하 MAFLD)은 세개의 아형으로 분류된다: 과체중/비만 (overweight/obesity, 이하 OW), 대사이상을 동반한 정상체중 (이하 lean), 당뇨 (diabetes mellitus, 이하 DM). 우리는 MAFLD아형에 따라 간 섬유화의 정도가 다른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 횡단면 다기관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에 종합 건강 검진을 받은 코호트를 기반으로 하였다.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이 있는 총 42,652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환자들은 no MAFLD, OW-MAFLD, lean-MAFLD, DM-MAFLD로 분류되었다. 진행된 간 섬유화는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이하 NFS) 또는 fibrosis-4 (이하 FIB-4) index를 기반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50.0세였고, 남자가 74.1%였다. NFS로 정의된 진행된 간 섬유화가 있는 환자의 비율은 DM-MAFLD (6.6%)에서 가장 높았고, OW-MAFLD (2.0%), lean-MALFD (1.3%), no MALFD (0.2%)가 그 뒤를 이었다. FIB-4로 정의된 진행된 간 섬유화가 있는 환자의 비율은 DM-MAFLD (8.6%)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lean-MAFLD (3.9%), OW-MAFLD (3.0%), no MAFLD (2.0%)의 순서였다. “no MAFLD”그룹을 참조로 하여 NFS로 정의된 진행된 간 섬유화에 대한 adjusted odds ratios (95% 신뢰구간)는 OW-MAFLD, lean-MAFLD, DM-MAFLD에서 각각 4.46 (2.09–9.51), 2.81 (1.12–6.39), 9.52 (4.46–20.36) 였고, FIB-4로 정의된 진행된 간 섬유화의 adjusted odds ratios (95% 신뢰구간)는 OW-MAFLD, lean-MAFLD, DM-MAFLS에서 각각 1.03 (0.78–1.36), 1.14 (0.82–1.57), and 1.97 (1.48–2.62)였다. 결론: 간 섬유화의 정도는 MAFLD의 아형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MAFLD 하위 유형에 따른 최적화된 감시 전략 및 치료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GM Lead Acid Battery with the Content of Positive Plate Active Material

        임태섭 창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들이 점차 증대되는 가운데, 지구 온난화를 야기하는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차량 경량화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 중 2차 전지를 이용하여 내연기관을 대체 혹은 보조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충전인프라 및 구매 비용 증가 등의 이유로 전체 시장에 10% 수준에 미치는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정차 시 엔진 구동을 멈추고 재출발 시 엔진을 가동하는 이른바 ISG (Idling Stop and Go)기능을 탑재한 자동차를 개발하여 양산적용중이 있으며,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는 약 5 ~ 15 %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차세대 연축전지로 불리는 AGM (Absorbent Glass Mat) 연축전지가 개발 및 기존 액식 연축전지 대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하지만 시내 주행 시, 잦은 ISG 기능 활성화로 인해 AGM 연축전지 부하가 가중되면서 수명 감소 및 시동 성능 저하를 야기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T (Sodium Perborate Tetrahydrate)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양극 기판과 활물질간 결합력 증대를 통해 계면 저항을 감소 시켜 고율 방전 특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SPT는 물과 반응하면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과산화수소는 금속과 반응해서 표면을 부식 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를 통해 기판 표면에 거칠기를 증대 시켰으며, 기판과 활물질간 계면에 7 ~ 8 μm 산화층이 형성되었을 때, 제품 고율방전 특성 및 수명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연구로는 기존 첨가제인 광명단에 나노 입자의 4BS seed를 포함된 Incorporated Nano Seed (INS)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양극판 분석과 제품 성능을 평가하였다. INS 함량이 증가할수록 4BS 입자 크기는 작아지면서 균일해지는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반응 비표면적 증가에 따른 고율 방전 특성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극판 제조 공정에서의 개별 극판에 대한 입도 분포의 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AGM 연축전지 200 대 대한 내부 저항 및 전압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제품 제조 공정 품질 편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두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실험 결과로 확인된 SPT와 INS의 각각의 배합 조건을 최적화하여 제품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SPT 2.0 wt%와 INS 2.0 wt%로 최적화한 조건에서의 제품 성능 및 수명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PT (Sodium Perborate Tetrahydrate) is to improve the roughness of lead grid to form hydrogen peroxide by water. a positive plat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SPT was prepared to compare its proper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oxide layer increased at the substrate / active material interface as the content of SPT increased, and proved to be an oxide layer through EDS analysis. Battery performance was confirmed that when the SPT content 2.0 wt%, the charging acceptance and high rate discharge test wer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SBA S0101 test was improved as SPT content increased. Nano seed incorporated in micro-sized 4BS (Tetrabasic lead Sulfate) seed wa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compared with Nano 4BS seed (NS). The dispersion of NS decreased due to the aggregation phenomenon, while the nano seed incorporated in micro-sized 4BS seed (INS) could confirm excellent dispersion. As the content of INS increased, the particle size of the active material became small and constant, which was confirmed through SEM and particle size analysis. The specific surface area for reaction was increased and the high-rate discharge and lifetime characteristics was improved. In order to confirm the variation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plate manufacturing process, internal resistance and voltage were measured for 200 AGM lead-acid batte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batteries quality variation decreased. Finally, SPT and INS were applied to optimal conditions of positive plate, and the positive plate analysis and batteries performance were evaluated. As 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CA and lif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as well as batteries quality variation in SPT/INS 2.0% under the optimization conditions.

      • Freestanding Vanadium Nitride Nanowire/Nitrogen-doped Graphene Porous Paper for Asymmetric Supercapacitor Anode

        임태섭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Vanadium nitride (VN) and nitrogen-doped reduced graphene oxide (NrGO) are the active material of pseudocapacitor and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respectively and are promising anode materials of asymmetric supercapacitors(ASCs) for their excellent intrinsic properties. However, due to the electrochemical instability of VN in aqueous electrolytes and the low capacitance caused by restacking of NrGO,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materials are worse than expected as an electrode of ASCs. In this study, a simple process was used to synthesize the VNNW/NrGO which indicates superb electrochemical performance by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both materials. The composite having a wrinkled surface and porous structure without addition of binders and conductive agents was fabricated as a freestanding paper electrode, resulting in an excellent specific capacitance value of 244.7 F/g at 0.5 A/g with a good rate capability at a capacitance retention of 70.7% at 10 times higher current density.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was also greatly improved (87.1% retention after 10,000 cycle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NrGO sheets wrap VN. Furthermore, NiO/rGO||VNNW/NrGO paper ASC device exhibits an excellent energy density of 20.24 Wh/kg at a power density of 850 W/kg. And these show that VNNW/NrGO paper electrode can perform well with the conventional electrode in AS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