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ㆍ유아 보육시설 계획안 : 보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제안

        임인옥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의 경험은 성인기에까지 영향을 끼치며 주변 환경이 유아의 행태를 수용함은 물론, 교정할 수도 있는 큰 기능을 갖는다. 그렇기에 유아들은 길러지는 방법에 따라 매우 크게 달라질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인생의 출발점에서부터 평등을 구현하고자 취학 전 아동에 대한 무상 교육을 실시하고 그 대상을 늘려가고 있다. 유아의 능력이 아니라 부모의 능력에 의해서 출발점이 달라지지 않도록 국가가 보장해주어야 한다는 배려에서이다. 이처럼 선진국들이 무상 유아교육을 확대하는 또 다른 이유는 여성의 경제 활동을 보장하고 장려하기 위함이다. 직장에서 일하는 동안 국가가 유아 교육의 일정 부분을 책임지기 때문에 여성들이 마음놓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이 곧 국가 발전과도 직결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그래서 무상 유아 교육 국가의 여성 취업률이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2년부터 저소득층의 만 5세 미만의 유아에 대한 무상 교육을 시작하기는 하였으나 혜택 대상이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러나 일단 시작은 되었으니 기대해 볼만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유아 교육의 평등한 출발과 유아 교육을 받을 보편적 권리에 대한 국가적 인식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보육의 질을 결정짓는 여러 요소가 있으나 보다 우수한 교육을 위해서는 발달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이 제공 될 때 가능하다. 영·유아에 대한 종전의 단순한, 생물학적 보호의 차원에서 보살피고 도와주는 소극적인 상황과는 달리 최근의 경향은 출생 직후부터 영아 자신이 무수한 감각을 인지하고 조직 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인 동시에 사회적인 존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영아기의 유아는 스스로 살아가고 배우는 과정에서 환경을 선택하기보다는 영아들이 속한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고 성장한다고 할 수 있다. 영·유아 보육시설 자체는 하나의 건축된 공간이지만 그 내부에서 생활하는 유아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생활공간으로서 그들의 행동 및 생활 체계를, 교사들에게는 생활을 교육시키고 보육하는 매개공간으로서 그들의 보육 목표와 가치, 그리고 프로그램의 특성을 잘 지원해야 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아동의 신체, 심리, 정서, 인지적 발달 단계에 맞는 건축적인 시설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한다. 취업모에 있어서도 영·유아 보육시설의 확대 보급은 여성의 문화적 권리 및 안정적인 취업을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취업모가 가족에게 영아를 맡길 경우, 가족간에 마찰이 일어날 수 있고, 기존 사회에서도 직장 내의 기혼 여성을 기피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아래서 직장을 한번 포기하게 되면, 다시 예전의 직장으로 돌아가기는 상당히 어려워질 뿐 아니라 다시 사회로 복귀한다고 하더라도 예전보다는 낮은 수준의 직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재취업의 기회는 상당히 적다. 또한 영아보육 시설의 확충과 정착은, 자녀의 양육이 가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우리의 전통적인 인식을 바꾸어, 영아보육의 대리 양육자였던 노부모들에게 노년의 문화권을 보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그간 자녀 양육에 매달려 자신들의 삶을 포기하고, 제2의 양육기를 가졌던 노부모들의 사회적인 추세는 노인 복지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영아보육시설의 증대는 원만한 가족 관계의 유지와 노년층의 문화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예상된다. 이러한 보육시설의 증대는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과 더불어 10여년의 짧은 기간 동안 양적 확대 위주로 이루어져 오면서, 물리적 환경의 질적인 측면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보건복지부의 주관으로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에 대한 연구가 한창 진행 중이다. 기존의 선행 연구들에서도 미비한 영아 보육의 여건을 문제로 삼았으며 영아 보육의 개선을 위하여 여러 방면에서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왔다. 선진국은 30∼40년에 걸친 긴 보육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특히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그들의 평가 기준 및 건축 계획 기준을 우리가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러므로 우리의 실정에 맞는 적합한 보육시설의 건축 계획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영·유아 보육시설의 확대 보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제가 되는 영·유아 보육에 관한 인문 사회적인 배경을 문헌 조사를 통하여 고찰한다. 제2절에서 우리나라의 보육의 역사 등을 살펴보고, 각국의 보육 정책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우리의 보육의 현 위치를 가름해본다. 제 3절에서는 보육시설의 주 사용자인 영·유아의 연령별 특성과 영아와 유아의 보육의 차이를 고찰해 봄으로써 보육시설 계획에서의 주안점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제 3장은 본 연구의 구체적인 도입 부분으로서, 보육 시설의 건축 환경적 특성으로서, 영·유아 보육시설의 시설 설비에 관한 관련 법규 즉 영·유아 보육법상의 설치 기준을 살펴보고 선행된 연구 결과를 적용한 건축 계획적 기준을 대비하여, 적정한 건축 환경 기준을 제시한다. 제 4장에서는 앞서 제3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근거로 하여, 그 기준 등을 적용한 영·유아 보육시설 건축 계획안을 통하여, 보육시설의 주사용자인 영·유아 및 보육교사의 행동 특성을 고려한 바람직한 내부 공간 및 설비 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계획안의 기본 개념은 대지의 효율성 및 건축적인 제약을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이상적인 모형을 자유롭게 구상한 것이다. 바람직한 건축계획 지침이 상당수 정리되어 있기는 하나 기존의 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많은 중요한 지침들을 간과할 수 있겠기에 여타의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이상적인 계획안을 구사하려 노력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발달 과정을 고려한 보육시설의 환경 계획은 유아의 경험을 풍부하게 할 뿐 아니라 성장에도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교사들의 입장에서도, 우수한 교육은 전적으로 교사와 유아의 질적 상호 작용에 있으며 이를 교사의 측면에서 보면 그들의 질적 에너지가 유아들을 위해 할애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즉 교사가 피로감등으로 인하여 유아들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물리적 환경이 보다 질서 있고 또 피로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편리하게 디자인됨으로써 보다 나은 에너지 교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계획안에서는 이러한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질적인 보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수요자인 부모들의 입장에서도 충분히 호감을 갖고 유아를 맡길 수 있는 환경이 설정되도록 계획안을 작성하여 또 다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의 시설 기준이 미약하고, 더욱이 대다수의 보육시설을 신설할 경우, 수용될 유아의 인원 산정의 기준을 현행 법령을 근거로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보육환경의 열악함을 벗어날 방도를 찾기가 쉽지 않은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교사 대 아동의 비율 또한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바이므로 향후 보육시설의 시설 기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거쳐 우리의 실정에 맞고 유아들의 요구에도 부합되는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어 법령으로 완비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experience of childhood have influence on a grownup, children are easily apt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 Even environment has the function to correct the misbehavior of children. On that account they are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how to educate them. In advanced countries, they put in operation the babyhood education gratuitously and spread for embodiment of equality in the start point of life. In our country, from 2002, we start free education to 5year old children of low income bracket. But it is not enough the benefited. Before everything else, national re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nurture which must be an equal start and universal right. Generally, there are many element to decide the quality of nurture, but tha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suitable to growth for superior education. However child care facilities are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is an important life space to children and teachers to support the nurture goal, value and an attribute. Therefore we must provide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fit the children's body, mental state, emotion and the growth of acknowledge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deal model without respect to efficiency of site and architectural restriction. It isn't bound down by the existing process, because do not failing to notice of main guide. The design of nurture environment which consider the process of growth enrich the children's experience. Being a teacher, superior education is reciprocal action in quality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it is possible to share qualitative energy, due to design conveniently and systematically. Accordingly, this study is a faithful reflection of such particulars and furnishes the environment for superior education. It will be a case, that gives the parents satisfaction to leave children, having a good impression.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공인 타당도 연구 : 24개월, 30개월 질문지를 대상으로

        임인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발달 평가도구인 ASQ 질문지의 기준점과 공인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ASQ는 4개월부터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24개월과 30개월용 질문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Q 24개월과 30개월 질문지의 기준점(cutoff point)은 무엇인가? 둘째, ASQ 24개월과 30개월 질문지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광주광역시, 전남에 거주하는 22개월부터 33개월 사이의 유아를 대상으로 기관의 교사 도움을 받거나 가정에 있는 유아를 직접 방문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24개월과 30개월용 각각 40명씩 총 80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인적사항 조사용 질문지, ASQ 24개월, 30개월 질문지와 DAYC, K-DD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Q의 24개월과 30개월의 기준점을 알아본 결과, 각 영역과 표준편차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타냈으며, 24개월의 기준점에서 큰 운동이나 문제해결영역을 제외한 3개 영역 중에서는 개인-사회성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30개월의 기준점에서는 의사소통, 큰 운동, 작은 운동 영역에서 33.00이상의 점수로 나타났다. 둘째, ASQ의 공인타당도의 결과로는 24개월의 의사소통, 작은 운동, 개인-사회성 영역과 30개월에서의 5개 영역 모두 80% 이상의 타당도를 보였다. 하지만 24개월 ASQ의 큰 운동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보다 효율적인 선별체계로서의 기초 확립을 위해서는 장애의 위험이 있거나 기준점의 경계선상에 있는 다양한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기준점과 공인타당도를 나타내는 후속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cutoff points and certified validity of ASQ(Ages & Stages Questionnaires) as an evaluation tool for infant and early-childhood development. ASQ is a selective tool designed to be filled out by parents and consists of 11 series ranging from 4-month to 48-month inf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questionnaires for 24-month and 30-month infants.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can be listed as follows: First, which are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nd 30-month ASQ respectively? Secondly, how much is the certified validity of 24-month and 30-month ASQ respectively? In this study, total 80 infants(40 for 24-month ASQ and 40 for 30-month ASQ) with their age ranging from 22 to 33 months were sampled from infants in Gwangju Metropolitant City and Jeonnam Province, whether they had impediment or not.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helps from organizational instructors or by means of the direct visit to infants at home. As a research tool, personal information survey, 24-month and 30-month ASQ, DAYC and K-DDST were us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nd 30-month ASQ showed that there were more or less differences depending upon each area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SQ, personality-sociality area marked highest score of all three areas except for heavy movement area or solution area. For the cutoff points of 30-month ASQ, communication area, heavy or slight movement area marked a high score over 33.00 respectively. Secondly,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certified validity of ASQ showed that 3 areas in 24-month ASQ(such as communication, slight movement and personality-sociality) and all 5 areas in 30-month ASQ had high validity over 80% respective]y. Nevertheless, the cutoff points could not be illustrated only for general infants in two areas of 24-month ASQ such as heavy movement and solution. Moreover, the certified validity could not be easily illustrated as well in this case. For establishing a foundation as more efficient selec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showing cutoff points and certified validity by sampling various infants who have potential risk of impediments or are located on the boundary of cutoff points.

      • 유료양로시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인옥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괄목할만한 경제발전을 해온 우리나라는 국민소득의 향상 및 의학의 발전으로 인구 고령화 현상이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목적에 둔 우리나라도 퇴직 후 길어진 여생의 삶을 영위 해야하는 많은 노인층에 대한 사회보장적인 대비책의 검토가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최근 전반적인 국민소득수준의 향상과 경제력 있는 노인 인구 층에서 ‘보다 나은 삶’을 영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하고 있는 점을 가만할 때, 노인복지정책은 이러한 중산층이상 노인층의 다양한 욕구충족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을 위한 유료양로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유료양로시설 서비스의 필요성과 공급의 보편화를 목적으로 유료양로시설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깨닫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2006년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유료양로시설은 69개소로 정원 3,954명중 2,490명이 입소해 있다. 극히 일부 노인만이 유료양로시설을 이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의 대부분이 경기도에 편중되어 있고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사회적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유료양로시설에 대한 일반인들의 부정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참여 민간기업은 이익산출 보다는 사회에 수익을 재분배한다는 의식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노인국가정책의 문제로 관계법상의 개선이 요구된다. 유료양로시설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자유시장 원리정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시설설립에 있어 정책적 배려 및 지원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민간의 참여 유도가 요구된다. 셋째로 노인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로 노인복지시설 운영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적은 수입과 저조한 입주율로 대부분의 시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국가의 재정적 도움과 입주환경과 입소조건이 다양화로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다. 노인문제는 단지 개인이나 가족이 해결 할 수 없는 사회문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정책과 민간업체의 적극적인 개발ㆍ육성이 상호 보완되고 또한 시설의 운영에 있어 전문화가 되어 유료양로시설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Korea, which has recently achieved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in the rapid process of the aging society with the national income hike and the medical technology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advanced countries. So the social welfare measures is deeply necessary to taken for the aged who are supposed to live longer lives after retirement, with the aged society coming soon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desire for more improved lives are being expanded with the overall national income hiking among the senior citizens with financial power, the policy makers in the field of the aged's welfare should put a more interest in meeting the needs for the senior citizens in the middle class or more.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of the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are on the rise.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detecting their problems and proposing their activation methods in order to make people consider their necessity more deeply and use them with ease as necessary. The conclusions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of 2006, there are 69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with a living capacity of 3,954 persons in Korea and only 2,490 persons are living there. So only a small part of the senior citizens are using them and what is worse, most of the institutions are located in Gyunggi Province. In addition, the institutions in operation are having many problems in keeping them going well. To solve those difficult problems: First of all, the social recognition concerning the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should be changed. The negative impression of ordinary people on those institutions should be changed and the companies, running those institutions, have the business purpose of redistributing the social wealth rather than making the profits. Secondly, the laws and regulations of social welfare for the aged should be improved. To activate the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the free market principle should apply to the relevant policy-making process an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lead the private secto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expanding the institutions by providing them with the political consideration and assistance. Thirdly, The needs of the aged should be detected and a variety of the quality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ly,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should be improved. Most of the facilities for the aged are suffering from the financial difficulties. So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financial assistance to them and make the facilities financially healthy. Consequently, this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people's opportunities of choice thanks to the diversification of accommodation environment and qualification. The problems concerning the aged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ocial problems, which cannot be solved by only an individual and a family. To solve them, the government should cooperate supplementarily with the private sectors by administrating the active assistance policy and developing and fostering the related private businesses. In addition, the paid institutions for the aged should be developed in the healthy way by specializing their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