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우울정도에 따른 Draw-a-Story 검사의 반응 차이 연구

        임윤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정도에 따른 DAS 검사의 반응 차이를 알아보고, DAS 검사가 대학생의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검사의 내용적 분석(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대학생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검사의 형식적 분석(공간사용, 세부사항 사용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대학생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검사의 자극그림 선택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대상은 S시와 A시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501명으로, BDI 척도 점수들 기준으로 하여 상위 20%에 해당하는 100명을 우울집단으로, 하위 20%에 해당하는 100명을 비 우울집단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Beck의 우울척도를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한국판 Beck의 우울증 척도(K-BDI)검사와 DAS 검사의 유형 A와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집단 간 DAS 검사의 내용적 분석과 형식적 분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집단 간 자극그림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x2 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DAS 검사의 내용적 분석에해당하는 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에 따라 우울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이와 같은 차이를 보였다. 즉, 우울집단이 비 우울집단에 비해 적대적이고, 불행하며, 부정적인 정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따. 둘째, 집단 간 DAS 검사의 형식적 분석에서는 공간사용 점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세부사항 사용 점수에서는 성별의 차이만 보였다. 즉, 우울집단이 비 우울집단에 비해 용지의 공간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간 DAS 검사의 자극그림 선택에서 우울집단은 '고양이'그림을, 비 우울집단은 '중성적 아이'그림과 '병아리'그림을 많이 선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AS 검사가 대학생의 우울을 측정하고, 변별하는데 유용성을 입증함과 동시에 우울상황에 놓인 대학생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조력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40~5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 및 체형관리 행동 :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임윤희 광주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기대와 욕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미(美)에 대한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하면서 피부 및 체형관리를 통하여 본인만의 뚜렷한 개성을 추구하고, 신체적인 건강 이외에도 정신적인 건강을 지향함으로써 양적인 삶에서 질적인 삶에 대한 관심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404부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피부 관리 행동, 체형관리 행동, 전문 관리실 이용실태를 파악하여, 좀 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에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요인은 총 4개의 집단으로, 군집 1은 노후추구형, 군집 2는 건강추구형, 군집 3은 개성 및 여가추구형, 군집 4는 환경 및 사회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의 분포는 ‘노후추구형’이 가장 많았고, 부산의 경우 건강추구형이, 경남권의 경우 노후추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둘째. 피부 관리 행동에서 피부타입은 ‘건성 피부’가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11.8% 만이 자신의 피부상태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피부 주름 및 탄력이 가장 큰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절반 이상이 각자의 방법으로 피부 관리를 하였으며, 80.7%가 대체적으로 자기만족(자신감)을 위해 피부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형관리 행동에서 현재 체형이 대체적으로 보통이거나 불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61.9%가 복부 및 허리가 가장 큰 문제라고 응답하였다. 전체의 절반이 체형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그 외 체형관리를 하는 가장 큰 목적은 ‘건강’을 위해서였으며, 개성 및 여가추구형이 체형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 관리실 프로그램 경험여부는 전체의 20.3% 만이 관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경남권에 비해 부산권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는 개성 및 여가추구형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를 받아본 경험이 없는 대상자 중 절반이상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부족해서였으며, 이에 73.9%는 전문 관리실을 이용해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는바와 같이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자기 피부와 체형에 만족하지 않았으며, 전체의 과반수이상이 피부 및 체형관리를 자기만의 방법으로 꾸준히 하는 것으로 보였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는 개성 및 여가추구형이 피부 및 체형 관리를 가장 많이 하는 결과가 나왔으나,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모든 사람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oday, there is a gradually growing expectation and desire for a healthy and beautiful life, and this underscores the continued concern and need for lifestyle. With demand for beauty increasing, the concern is rapidly changed from a quantitative life to a qualitative life by searching one's own unique individuality through skin and body care, and aiming for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quire in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kin care behaviors, body care behaviors and the states of specialized care shops through a survey on 404 women in their 40s to 50s to get more scientific and efficient data.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4.0 was used for an analysi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ifestyle factors consist of total 4 groups—group 1, 2, 3 and 4 were called as aging-, health-, individuality- and leisure-, and environment- and society-seeking types, respectively. The highest distribution of lifestyle was an ‘aging-seeking type.’ The ‘health-seeking type’ and ‘aging-seeking type’ were the highest in Busan and Gyeongnam, respectively, showing the difference. Second, skin care behaviors showed that for skin type, ‘dry skin’ was the highest by 57.2%, and only 11.8% of the whole were satisfied with their skin condition. The biggest problems were skin wrinkles and elasticity. More than half of the whole used the skin care in their own way, and 80.7% used the skin care for self-satisfaction(confidence) in principle. Third, body care behaviors showed that their present body was normal or unsatisfactory in principle. 61.9% responded that the biggest problems were abdomen and waist. One half of the whole responded that they did not use the body care. For the rest, the very purpose of using it was for their health. Women of ‘individuality- and leisure-seeking type’ often used the body care. Fourth, for experience of specialized care shop programs, only 20.3% of the whole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receiving the care, and they had a lot of experience in Busan than Gyeongnam. By lifestyle, women of ‘individuality- and leisure-seeking type’ had a lot of experience. More than half of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in receiving the care were not rich enough to afford the care, so 73.9% had an intention of visiting the specialized care shops. As stated above, Many of those surveyed have not been satisfied with their skin and body. Majority of the whole have steadily used the skin and body care in their own way. Although the skin and body care was the highest for individuality- and leisure-seeking types according to the lifestyle, continuous follow-up researches will be needed for the results which everybody is most reliable in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ways

      • 재가자의 화두수행법에 관한 고찰

        임윤희 능인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some time past, many people getting interested in the way of practicing including monks and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who didn't become monks, as Kanhua chan become popular. However,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feel some difficulty about studying the subject matter because there is not the proper climate for practicing Zen, although their interest about it and the number of practitioners are increasing. Of course, it is not easy to combine a daily incident with subject matter in the daily life for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even though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subject matter in Kanhua chan is expressed as the four cardinal behaviors (walking, stopping, sitting, and lying) and Eomukdongjeong (Speaking, being silent, moving, and being still: At any time, any place, and in any circumstance, one's mind should not be disturbed.). Distinguishing whether a person is a monk or a believer who stays in the secular society is not an important matter because the ultimate objective of Buddhism is enlightenment. However, the believers in secular society are busy with their daily matters and don't have a lot of chances to get systemic education like meeting good teachers and getting the subject matter checked and taught by them continuously.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finding out how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could continue Zen in their daily lives. Thus, the aim of this paper is finding out how to lead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to achieve ultimate enlightenment by leading them into the world of Zen, where is full of the sublime. Essentially, studying a subject matter is started with learning the Zen knowledges and selecting the subject matter. However, the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are easily given up because they are hard to know about tao and Zen knowledge if without a good teacher, and barely get the chance to have kind, systematic teaching. So there is a need of selfization, which means becoming oneself, of the subject matters, but not an external condition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As Hyenung(慧能) mentioned about the Zen knowledges that come from outside and that exist in oneself from his book 『Liutsu t'anching』earlier, the Buddhists in the secular society should look for the way of studying with choosing the subject matter by themselves through internal Zen knowledge that occurred by realizing the truth of all things, but not an external one. The subject matter that chosen inside of the Buddhists in secular society by considering and accepting the bad condition to meet a good teacher and ask to teach Zen knowledges when they want to practice Zen could be the driving force to continue study. So I found out that studying about the subject matter is possible with experience existential and direct perception by reflecting one's real intention, and not necessary to practice externally. Therefore, people can possibly experience and reach the state of nirvana in daily life, and don't need to leave the secular society and combine their lives and practices together. So, in this paper, we could look through the external Zen knowledge that choosing the subject matter by Zen knowledge and the internal Zen knowledge that choose the subject matter with generating wisdom oneself. I demonstrated it is important that paying attention on the study of the subject matter by internal Zen knowledge, which is chosen by itself, to Buddhists in the secular society practice Zen smoothly even in a bad condition. 최근엔 간화선(看話禪)이 대중화되어 출가자 뿐만 아니라 재가자들도 접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그에 따른 수행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재가자의 선수행에 대한 관심과 그 수행인구의 증가에 비해 그에 적합한 수행풍토가 형성되지 않은 관계로 재가자들은 화두 공부를 그저 어렵다고 여기어 접근하기 힘들어 한다. 물론 간화선에서 화두란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墨動靜)’이라 하여, 일상생활에서 가능하다 하더라도, 재가자들은 일상 삶속에서 화두를 병행하기란 그리 쉬운 것이 아니다. 불교의 궁극적 목표가 깨달음이라고 볼 때, 출ㆍ재가의 구별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재가자는 일상생활의 분주함 뿐만 아니라, 참스승을 만나 화두결택에서부터 지속적인 지도와 점검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선수행을 하는데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재가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선수행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재가자도 지고한 선의 세계로 인도되어 궁극적인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래 화두공부는 우선 선지식을 만나 화두를 결택 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재가자는 선지식의 참문이 어려울 뿐 아니라 친절하고 체계적인 지도를 받기 어려워 쉽게 포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외부적인 조건이 아닌 화두의 자기화(自己化)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일찍이 혜능(慧能)이 『육조단경』에서 밝힌 바와 같이 선지식을 외부로부터 밖의 선지식과 스스로 내안의 선지식을 언급했듯이, 재가자는 밖의 선지식을 통한 화두 결택이 아닌 내 안의 참 된 반야를 일으킴으로써 돈발되는 안의 선지식을 통해 스스로 화두를 결택해서 공부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하여 재가자가 선수행에 있어서 선지식을 만나 지도받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여 스스로 내 안에서 간택된 화두는 공부를 이어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두공부는 꼭 외재적인 수행형식이 아니더라도 ‘자성본심(自性本心)’에 의한 실존적인 직각체험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수행에 있어서는 수행과 생활을 일체화하여 반드시 출가라는 형식이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체험되며 해탈할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이 또한 재가 불 교수행인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선수행의 시작인 화두 결택에 있어서 선지식에 의해 결택되는 밖의 선지식과 스스로 참된 반야를 일으킴으로써 화두가 결택되어지는 안의 선지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재가자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원활한 선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간택된 안의 선지식에 의한 화두공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함을 조명하였다.

      • 신체건강지각이 마음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를 통한 자기초점,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임윤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건강지각이 마음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자비를 통해 자기초점을 중심으로 한 매개효과검증에 있다. 그리고 신체건강지각이 마음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자비를 통해 비난을 중심으로 한 매개효과검증에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인천, 강릉, 전주, 광주, 대구, 부산 지역의 성인남녀이다. 연구도구로는 신체건강지각척도(KHSME,V1.0), 마음건강척도(MFS), 자기자비척도(K-SCS), 자기초점척도(SDSAS), 자기비난척도(SC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연구도구의 신뢰도검증을 하였고, 신체건강지각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화를 하기 위해 M-Plus 6.12를 활용한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로 신체건강지각은 마음건강(r=.431, p<.01), 자기자비(r=.665, p<.01)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자기초점(r=-.484, p<.01)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비난은 신체건강지각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마음건강은 자기자비(r=.418, p<.01)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초점(r=-.510, p<.01), 자기비난(r=-.804, p<.01)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자기자비는 자기초점(r=-.823, p<.01), 자기비난(r=-.340, p<.01)과 유의한 부적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자기초점은 자기비난(r=.564, p<.01)과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다. 신체건강지각이 마음건강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자비를 통한 자기초점으로 이르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신체건강지각은 자기자비(B=0.376, t=21.138, p<.001)와 자기초점(B=0.067, t=3.491, p<.01), 마음건강(B=0.457, t=7.309,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 자기초점(B=-0.953, t=-28.102, p<.001)과 마음건강(B=-0.680, t=-4.009, p<.0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초점은 마음건강(B=-1.277, t=-9.396, p<.0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신체건강지각이 마음건강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자비를 거쳐 자기비난으로 이르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신체건강지각은 자기자비(B=0.376, t=21.138, p<.001), 자기비난(B=0.634, t=9.408, p<.001), 마음건강(B=0.965, t=43.541,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 자기비난(B=-1.566, t=-13.127, p<.001), 마음건강(B=-0.930, t=-22.302, p<.0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비난은 마음건강(B=-0.937, t=-72.707, p<.0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체건강지각이 자기자비를 통해 자기초점을 거쳐 마음건강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더불어 신체건강이 자기자비를 통해 자기비난을 거쳐 마음건강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로써 한국성인용 신체건강지각척도를 타당화하고, 국내 최초의 자기자비, 자기초점, 자기비난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신체건강과 마음건강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rect and indirect Physical Health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Mental Health and attempt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through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 through Self critical cognition between Physical Health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568 survey results conducted by 600 where it is located at Seoul, Incheon, Gangneung, Jeonju, Gwangju, Daegu, busan of South Korea. The survey consisted of, the Korean version of KHSME,V1.0, MFS, K-SCS, and SDSAS and SCC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M-Plus 6.12(Muthén & Muthén, 1998-2011)program and verif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and mediation model of how Physical Health perception to Mental Health, Self-Compassion through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Private Self-Compassion through Self critical cognition the author used bootstrapping method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factorial structures and reliability of Physical Health perception scal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allow; Physical Health percep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r=.431, p<.01), Self-Compassion(r=.665, p<.01), Private Self-Consciousness(r=-.484, p<.01). Self critical cognition has no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Health perception. Mental Health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r=.418, p<.01), Private Self-Consciousness(r=-.510, p<.01), Self critical cognition(r=-.804, p<.01). Self-Compass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ivate Self-Consciousness(r=-.823, p<.01), Self critical cognition(r=-.340, p<.01). Private Self-Conscious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 critical cognition(r=.564, p<.01). For the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esented descriptive statics for each variable of respondents’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Physical Health perception to Mental Health through Self-Compassion through Private Self-Consciousness, Physical Health percep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B=0.376, t=21.138, p<.001)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B=0.067, t=3.491, p<.01), Mental Health(B=0.457, t=7.309, p<.001). Self-Compass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ivate Self-Consciousness(B=-0.953, t=-28.102, p<.001)과 Mental Health(B=-0.680, t=-4.009, p<.001). Private Self-Conscious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B=-1.277, t=-9.396, p<.001). further more, this study presented descriptive statics for each variable of respondents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Physical Health perception to Mental Health through Self-Compassion through Self critical cognition, Physical Health percep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B=0.376, t=21.138, p<.001), Self critical cognition(B=0.634, t=9.408, p<.001), Mental Health(B=0.965, t=43.541, p<.001). Self-Compass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 critical cognition(B=-1.566, t=-13.127, p<.001), Mental Health(B=-0.930, t=-22.302, p<.001). Self critical cognit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B=-0.937, t=-72.707, p<.001). However, the path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Health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and Self-Compassion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elf critical cognition was verified and suggested as well. There were no studies that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Health perception on Mental Health and Self-Compassion through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 through Self critical cognition of the Korea. In this respec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is.

      • 외식업체의 SNS 활동이 고객가치,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윤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Social network service(SNS) is used as a means of marketing by popularizing PC and smartphone. Because researches on SNS activity not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construct factors on SNS activity and customer value supplying by foodservice industry on the basis of SNS information quality construct factor, service quality construct factor, and SNS utilization of the other type of business. This study performed to analyze effect factors of SNS activity in foodservice industry on the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ubjects were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customers. They were men's and women's(numbers 550, ages 10~59), especially taking SNS activity. Period for investigation was August 15, 2012~August 31, 2009, and method wa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n 492 valid samples were used excluding stale or unreliable respons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SNS activity in foodservice industry on customer value, sub-factors(easiness, reliability, responsiveness, sharing, interaction, and usefulness) impa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value(p<.05).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customer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value impa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p<.001). Thir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customer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value impa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p<.001). Fourth,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impa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p<.001). This result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behavioral intention.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asiness, responsiveness, sharing, interactivity, and usefulness of SNS activity in foodservice industry impacte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value, but reliability should be supplement. Also, customer value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impacted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mechanism to enhance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increasing SNS market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suggested that support of SNS activity and imprinting on customer value will generate positive e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 산조춤 정체성 고찰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임윤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tudy on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through a examination on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through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A study on the Sanjo dance which is naturally generated along with Sanjo and emphasizes the artist's free will and original world of ar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oday's music and dance history. In the preceding studies, the development of the Sanjo dance, the transmission status of the Sanjo dance, and the artistic value of the Sanjo dance as individual works have been actively studied, but the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ve the position and value of the Sanjo dance within the genre of Korean dance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on the Sanjo dance, derive components of identity, examine the concept, creation tim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and category, and prepare an approach and interpretation standard for dance study. The Sanjo dance, <Geumseonmu>, which was created after 2000 and has an active performance activity, transmission, and succession system,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s a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in-depth interview, oral transcript, and embodiment was used. In the first stag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 Sanjo dance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explore its identity. In the second stage, the view of ar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fe and performances of Lee Eun-joo, the creation background of <Geumseonmu> and work intent, content of the work on the formal compon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and the terminology of dancing steps, and the composition of the stage space were analyzed. In the third stage, the identity components of the Sanjo dance derived from signifiant and signifie were used to interpret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and identify its artistic valu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is the result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elements of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expert group. First, in forming the concept of the Sanjo dance, contents related to Sanjo music must be included. Second, in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since there is a limit to discussing the exact timing, it needs to be judg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njo dance among those performed at least after the 1900s. Third, in terms of expression, there is only free expression, but the content and method of expression are not limited to music. Fourth, even in presenting the category of the Sanjo dance, how to classify works based on the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dance may individually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judgment for each Sanjo dance.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Lee Eun-joo prepared th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criteria for the Sanjo dance <Geumseonmu>. First, it is differentiated in that <Geumseonmu> uses sanjo music that has not been used in the existing Sanjo dance.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 has been evaluated as a song with originalit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eomungo school, and was confirmed that it had a high impact on the expressive originality of the dance work. Second, in relation to the time of creation of <Geumseonmu>, the suitability as the Sanjo dance and the legitimacy of the time of value evaluation of the work were proved.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which was started to be performed in early 2000, not only corresponds to the birth of the Sanjo dance, but is also judged to have reached a historical point in time when the value of the work should be evaluated. In addition, it has both traditional elements and new dance directing ele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time. Third, the identity of a choreographer based on the dance spirit of Han Young-sook's Salpuri dancing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vein of traditional dance leading to the teacher, Han Young-sook and Lee Eun-joo, <Geumseonmu> was confirmed that the dance has a strong inner side that emits simple dancing steps and restraint beauty through gestures of self-expression. Fourth, <Geumseonmu> is a work that serves as a model of creation with the originality of tradition. <Geumseonmu> is accepted as a new form of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 and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accepted as a dance that broadens the horizon of creation based on tradition in the development of d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inner, formal, artistic essences and aesthetic sense of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were identified. First, <Geumseonmu> is a danc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mind and body,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Sanjo dance. The inner mind is released through dance, and various ideas and meanings are added to the dance through the artist's creative work, not by following precedent dances. Second, it is a dance with inherent feminist tendencies. This work was created in love with the wonder of Shin Yun-bok's <Beautiful Woman> and portrayed the beauty of women's inner and outer appearance that had a life of long-suffering. Third, it is a traditional dance that makes good use of the most Korean elements. Through the use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images that are the models of Korean beauty, it became the driving force of dance that completed original performance aesthetics. Fourth, it is a work that stands out for its artistry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art fields. Lee Eun-joo developed her work through her experience and learning in various fields of art, and her excellent insight and high knowledge as an artist were used as a means to enhance the completeness and artistry of her work. Today, at the point where numerous Sanjo dances are transmitted, inherited, and created, the Sanjo dance will be understood as a certain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new dance, and creative dance, and a new term called a new traditional dance is being created, but there is no conceptual agreement on this either. There is confusion for what criteria to classify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the Sanjo dance shall be u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on how to accept the boundaries of the Sanjo dance within the Korean dance gen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identity of the Sanjo dance, though it is still insufficient. 산조춤 정체성 고찰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산조춤 정체성 고찰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산조와 더불어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며 예술가의 자유의지와 독창적인 예술세계가 돋보이는 산조춤 연구는 오늘날 음악사적으로나 무용사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그간의 선행연구는 산조춤의 전개양상 및 산조춤의 전승현황, 개별적 작품으로서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에 관한 산조춤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산조춤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조춤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한국무용 장르 안에서 산조춤의 위치와 가치를 증명하고 정체성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개념, 창작된 시점, 특징, 분류와 범주를 고찰해 산조춤 연구의 접근방식과 해석기준을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산조춤이 갖는 범주의 경계에서 2000년 이후 창작되어 활발한 공연활동과 전승, 계승체계를 갖춘 이은주의 산조춤 <금선무>를 선정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설문지조사, 심층면담과 구술채록, 체현 등을 통한 참여관찰법을 활용했다. 1단계 문헌연구를 통해 산조춤의 개념과 범주 등에 대한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정체성을 탐색하고, 2단계 이은주의 생애와 업적을 통해 예술관을 살피며 <금선무>의 창작배경과 작품의도, 형식적 구성요소, 춤의 특징과 춤사위 용어정리, 무대공간구성 등에 관한 작품내용을 분석했다. 3단계 기표와 기의로 도출된 산조춤의 정체성 구성 요소들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를 해석하고 예술적 가치를 규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한 산조춤의 정체성 내용 요소에 관한 탐색 결과이다. 첫째, 산조춤의 개념을 형성하는데 있어 산조 음악과 관련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산조춤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시점을 논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최소한 1900년대 이후에 추어진 산조춤 중에서 산조춤이 갖는 특징에 근거하여 판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표현적인 측면에 있어서 자유로운 표현만 있을 뿐 그 표현 내용과 방법이 음악에 국한되지 않는다. 넷째, 산조춤의 범주를 제시함에 있어서도 한국무용의 일반적인 분류 체계에 근거하여 작품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는 각 산조춤마다 개별적으로 판단주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산조춤 정체성 구성요인의 고찰을 통해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의 접근방식과 해석기준을 마련했다. 첫째, 기존 산조춤에서 사용되지 않은 산조 음악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인다. 정대석의 <거문고산조>는 기존 거문고 유파와 다르게 독창성을 지닌 곡으로 평가되고 있어 무용작품의 표현적 독창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창작된 시점과 관련하여 산조춤으로서 적합성과 작품의 가치평가 시점의 당위성을 증명했다. 2000년에 초연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는 산조춤 출현의 시기적 태동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할 역사적 시점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며 창작된 시점의 특징을 근거로 전통적 요소와 신무용적 연출요소를 지니고 있다. 셋째, 한영숙 살풀이춤의 춤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안무가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스승 한영숙 - 이은주로 이어지는 전통춤의 맥을 기반으로 자기표현의 몸짓을 통해 담백한 춤사위와 절제미가 발산되는 내면이 강한 춤으로 확인됐다. 넷째, 전통의 독자성을 보유한 창작의 본보기가 되는 작품이다. <금선무>는 전통무용의 새로운 전승형태로 받아들여지며, 춤의 전개에 있어 전통을 기반으로 한 창작의 지평을 넓힌 춤으로 수용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작품분석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가 지니는 내면적, 형태적, 예술적 본질과 미감을 규명했다. 첫째, 산조춤의 대표적 특징인 정신과 육체의 결합으로 이뤄진 춤이다. 내면의 심성을 춤으로 풀어가며 답습이 아닌 예술가의 창작 작업을 통해 다양한 사상과 의미를 더하며 정신적 자아 형성을 춤에 내포하고 있다. 둘째, 여성주의적 성향이 내재된 춤이다. 여성의 내면과 외형의 아름다움을 그려낸 신윤복 <미인도>의 경이로움에 심취하여 만든 작품으로, 인고의 세월을 견뎌온 여성 예술가로서 고고한 여인의 자태를 춤으로 지켜내고 있다. 셋째, 가장 한국적인 구성요소를 잘 활용한 전통춤이다. 한국적 미의 전형(典型)이 되는 전통적 이미지의 활용과 재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공연미학을 완성하는 춤의 원동력이 되었다. 넷째, 다양한 예술분야의 결합으로 예술의 완성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은주는 다양한 예술분야의 경험과 학습을 통해 작품을 전개하고 있으며, 예술가로서의 탁월한 안목과 높은 식견은 작품의 완성도와 예술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수많은 산조춤이 전승, 계승되고 창작되는 시점에서 산조춤을 전통무용, 신무용, 창작무용의 어떠한 범주로 이해할 것이며, 신전통춤이라는 용어가 생성되고 있으나 이것 또한 개념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무엇을 기준으로 산조춤의 개념과 범주를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 이번 연구는 부족하나마 산조춤의 정체성 고찰을 통해 한국무용 장르 안에서 산조춤 경계의 범주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해석의 방향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기독교상담 사례연구

        임윤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체장애를 갖고 있는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경험에 관한 기독교 상담 사례연구로서 연구주제에 부합되는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 질적연구방법의 다중사례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은 ‘성경말씀과 기도’가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이 호소하고 있는 우울의 문제에 어떠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지, 또한 그들의 삶의 변화에 개입하시는 하나님은 어떠한 성경말씀으로 인도하고 계신지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 관점의 상담접근이 필요하였고, 이에 성서를 기초로 한 해결중심 라이프웨이 상담코칭 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신앙발달단계의 분석과 심리검사, 가계도 분석 등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우울의 형성에 기여한 체계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두 사례에 대한 ‘차이와 유사성’의 특성을 비교하면서 유의미한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으로서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여성 내담자 상담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피는 하나의 실제적인 사례이다. 더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근거기반 접근들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of Christian counseling on depressive experiences of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t was conducted as a multi-case stud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which two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at matched the research top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power 'The Word of the Bible and Prayer' exerts on the problem of depression that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complaining about.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pproach counseling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God, who intervenes in the change of their lives, was to confirm what kind of Bible he was leading. Therefore, detailed and in-depth data such as analysis of the stage of faith development, psychological test, and family tree analysi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ible-based solution-oriented lifeway counseling coaching method. And, we looked for systems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depression. As a result, meaningful results could be deriv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two cases who experienced depression. This study is a practical case of examining the role of God's Word and prayer in counseling adult female clients who are experiencing depression as Christia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t is expected that more studies will be accumulated to establish evidence-based approaches to depression in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