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지각-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실외놀이시설물 디자인 연구 : Container System을 적용한 놀이시설물 제안

        임윤석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주택가 대부분의 실외놀이시설은 형식적이고 법적인 규제만을 만족하고 있어서 많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외면당하고 있으며, 학령전(만7세미만) 어린이와 이후의 어린이(만7세이상)로 세분화가 되어있지 않다. 이는 어린이들의 발달 특성이 나이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같은 공간, 같은 시설물에서 놀이를 즐겨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설치되어있는 놀이시설은 다양성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어 유아들은 쉽게 놀이시설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린다. 지각능력의 발달이 최고점에 이르는 유아기(7세미만)에는 감각적으로 자극되는 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져야 할 뿐 아니라, 지각적 능력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움직임을 위한 환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일상생활중 하나인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런 지각-운동의 발달을 향상시켜주고,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놀이시설물을 제안함으로써 놀이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지각-운동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들의 구분된 놀이시설과 지각-운동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기존 실외놀이 시설물의 개념을 바꾸어 만7세 미만의 유아만을 대상으로 하는 놀이시설물을 제안하며, 그들 시기에 가장 필요로 하는 지각-운동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놀이시설물에 지각-운동의 학습적 요소를 적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놀이시설물에 이동성을 갖추도록 하여, 일정기간을 주기로 종류가 다른 놀이 시설물을 순환시켜 유아들에게 조금 더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배경 및 필요성과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 2장에서는 유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본적인 사용자 특성을 알아보고 지각-운동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지각-운동에 관한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리한 후 지각운동의 발달에 대해 이해한다. 그리고 놀이의 정의와 가치 및 놀이와 유아발달과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놀이시설물 디자인을 위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놀이시설물의 계획에 있어서 기본조건과 설치기준 대한 법적 타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실제 사용대상인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시설물과 놀이시설물의 색채를 조사하고, 실내·외 놀이시설물의 현황을 분석 후, 본 연구의 핵심인 지각-운동의 학습적 요소 분석과 적용요소 설정을 통해 놀이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전제를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지각-운동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습적 요소 적용과 놀이시설의 다양함을 위해 Container System을 적용한 놀이시설물 디자인을 제시한다. 끝으로 5장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앞으로 타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st of outdoor playgrounds around residence areas are just conventional spaces and they meet the only limits in the relative regulations. They are not specialized and classified for the children under or over 7 years old, and they tend to be disregarded by children. These problems are derived from the fact that children have no choice among playgrounds and playing facilities of the same type, even they show different developing attributes respectively as they are growing. Consequently, it is natural that children come to lose their interests in the boring and almost unchanging sights of playing which have no variety and no fun any more. As a child comes into the babyhood(under 7 years old), he or she needs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more active and emotionally stimulated activities, and should be in environments to lead more various actions for his or her perceptu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objectives to develop perceptual-motor for children through daily playing motions, and to make children get interests in the playing itself through more diverse and amusing facilities. Under the backgrounds that kids need the playing space for developing perceptibility, this study is going to provide a playing system for children aged under 7, by changing the concept of the existing outdoor playgrounds, and it is applying educational factors to study sensory exercises into the facilities. And the facilities are going to be flexible and mobile, and children are able to enjoy favors to play in a regularly changing establishments. Consequently, this study is advanced by the following process. In the first chapter, the objectives, backgrounds, needs and the criteria and methods of study are mentioned, and the mainly concerned terms are defined in this section. Secondly, the researches go into the basic user characters by studying on the infants, and on the concept and the development of perceptual-motor. And the definition and the values of pla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ying activities and babies' growth are the next research. The third chapter is general overview on the playing facilities design. The basic conditions and the legal validity on the installation standards are studied. And the study analyses the preferable colors by user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facilities, and it provides the proposition for the playground design by analysing and applying educational factors of facilities. And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playground design which is applying educational factors for developing perceptibility, and Container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facilities, through the studies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Finally, the conclusions are induced from the above researches and the next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further studies.

      • 랩뷰(labview)를 이용한 encoder의 각도 측정 방법과 분석에 대한 연구

        임윤석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have to make some processes for the coming future industry. One of them is high speed and high resolution encoder for the various developments of robotics industry and precise control systems. Furthermore, the concept of feedback control is getting more important factor. Therefore, encoder technology must play important role as the device that has high reliability. This paper explains an efficient analyzing method of rotary encoder such as incremental type encoder and absolute type encoder by LabVIEW program

      • 부분방전 신호의 비선형적 해석과 그 응용

        임윤석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방전 메카니즘을 해석할 수 있는 카오스 이론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부분방전이 일어나는 방전 메카니즘을 비선형적으로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각종 파라미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안된 방법으로써, 최근 신호처리 분야에서 비선형적인 해석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카오스(CHAOS)이론을 이용하여 부분방전을 일으키는 메카니즘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오실로스코프를 통하여 얻어지는 신호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교적 정확한 감도의 부분방전 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본 논문의 실험결과로 얻어진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부분방전신호는 결정론적 비선형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임이 밝혀졌으며 그 구체적인 증거로써 최대 리아프노프지수는 1.082, 리아프노프 차원은 6, 상관차원은 각기 7과 4차원으로 결정되었다. 연구결과 부분방전 신호를 카오스적 특성을 갖는 신호로 규정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퍼지이론 등을 도입하면 수명예측 및 열화진단 분야의 응용에도 상당한 진척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method, very different from typical statistical analysis from the point of view of a nonlinear analysis, used in this paper was voted to get basic parameters on the nonlinear analysis of the mechanism on the Partial Discharge. In the proposed method, we asserted the CHAOS theory as the way to analyze the mechanism on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n particular, computer based automated measurement system was constructed to obtain accurate time series according to time and phase evolution.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largest Lyapunov exponent was 1.08 and the correlation dimensions are considered 4 and 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al Discharge is originated from the deterministic chaotic dynamical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providing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as chaotic in that sufficiently enough data base of different patterns are accumulated and Fuzzy theory is includ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life time prediction and degradation analysis.

      • 언어치료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

        임윤석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치료사들의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전문성을 보다 굳게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해 언어치료사 261명을 대상으로 자격종별, 직위, 언어치료 경력, 말더듬 치료 경력에 따라 말더듬 치료 본질, 학생 시절 말더듬 임상실습, 교육의 필요성, 기관 자체의 활동 영역에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언어치료사의 자격종별에 따른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은 말더듬 치료 본질, 임상실습, 교육 필요성, 기관자체 활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치료사의 직위에 따른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은 말더듬 치료 본질, 교육 필요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치료사의 언어치료 경력에 따른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은 말더듬 치료 본질, 임상실습, 교육 필요성, 기관자체 활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치료 경력에 따른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은 말더듬 치료 본질, 교육의 필요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치료사의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은 자격종별, 직위, 언어치료 경력, 말더듬치료 경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었고, 그 중 말더듬 치료 본질, 교육의 필요성 영역 부분에서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 항공레저스포츠산업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따른 차이 연구

        임윤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in the consumers of the air leisure sports industry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rvice workers and coaches. The subjects of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user population of air leisure sports facilities by simple random sampling. A total of 380 users were sampled and among the data collected, 35 samples with insincere or omitted answers and which could not be collected were excluded and finally 345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entitled 'A Study on Difference of Selection Attributes in Consumers of the Air Leisure Sports Industry' and measured reliable results at .620~.847 of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tes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 of model using SPSS WIN ver. 17.0 program.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urposive method and procedure of data analysi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t-tes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gender showed tha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ogram,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one-way ANOVA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age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p<.001, F=5.963), human resources(p<.05, F=2.761), and environment(p<.05, F=2.438). Third,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but environment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ogram, human resources, facilities(p<.05), and price(p<.01). Fourth,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monthly incom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ram, price, and human resources. Fifth,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item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p<.001) and program(p<.01). Sixth,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participation period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p<.001). Finally,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by place of residence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program, environment(p<.01), price, human resources(p<.001)] but faciliti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항공레저스포츠산업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따른 차이 연구를 규명하여 종사자와 지도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항공레저스포츠시설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단순무작위추출법을 활용하여 총 380부를 표집 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이 일부가 누락되고 회수하지 못한 자료까지 합하여 35부를 제외한 345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는 '항공레저스포츠산업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따른 차이 연구'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사 결과 .620~.847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측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ver. 17.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형의 가설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t-검증,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의 목적에 맞게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에 대한 t-test 결과로 가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인적자원, 시설, 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연령에 따른 선택속성요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일원변량 분석을 한 결과로 가격(p<.001, F=5.963)요인과, 인적자원(p<.05, F=2.761)요인 그리고 환경(p<.05, F=2.438)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직업에 따른 선택속성 요인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환경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프로그램, 인적자원, 시설요인(p<.05), 가격요인(p.<01)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월 소득에 따른 선택속성 요인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가격, 인적자원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종목에 따른 선택속성 요인의 차이에 대한 결과 가격(p<.001)요인과, 인적자원(p<.01)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 년 수에 따른 선택속성 요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가격(p<.001)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거주 지역에 따른 선택속성 요인의 차이에 대한 결과 시설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 즉 프로그램, 환경(p<.01), 가격, 인적자원(p<.001)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운영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

        임윤석 全北大學校 情報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School Account System" unit work of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used in school and to find out improvement methods or that. It was made in 2002. 11 for the reduction of staffs school affairs and the early settlement to the information- oriented school. To achieve the object, prior research materials and documents referring to this research wer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and also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intended for "The public staffs School Administration" the users of this system. From the collected data.,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 A.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school administration processing circumstance were frequently can't accessible to sever at(to) the branch of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delay of connecting to it. and old specification of administration Computer. Without solving this problems quickly, if the system apply to real school circumstance will be disordered. B. There are a mount of menu in whole system and nothing to do with between menu to other menu then working unnecessary process repeatedly. Therefore it need that reconsider of adjusting build system up on reflecting of menu's connection. C. Organization of menu in this system is similar to former working way and maintaining similar form that it help reduce of charging about new system usage. D. There is still exist to need correct errors at program alike input and save of data etc, and some content do not match in real school accounting running process E. As running school accounting system all data and files are computerizable . it lead to reducing of handwriting books and files but we find a way more effective system using in combination according to conditions of school. F. School personnel include school manager need to conversion of understanding on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As promoting of educational management G. Excessive schoolwork standardization and computerizable induce unifying and civilization of school management H. It had short term result and system developing and operate better than full verification and after administered of model then adapt to school it makes minimize of inconvenience errors on management. I. Superior office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are some parts deal with handwriting book than forced to computerizable all content of school work J. Security technology and security moral reinforce of system, get out of excessive fear of an information-oriented which most valuable resource in 21th century, to catch up the opportunity get in a advanced country.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staffs school to reduce the school works and reform the inconvenience and the stabilization of the system. After all, when the results or this research are used for school management, they will contribute to better school administration

      •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al Organization of Mouse Cerebellar Cortex

        임윤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신경 조직의 형태는 신경 사이의 연결성, 나아가 신경 회로의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뇌는 비교적 신경 세포의 종류가 적고 연결성이 단순하여, 신경 조직의 구성 원리를 탐구하기 적합한 영역이다. 그러나, 비교적 단순한 소뇌에서도 종래의 기술적인 한계로 인하여 신경 조직의 형태에 대한 정확한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연속 단면 주사전자현미경(SBSEM)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신경세포의 모양을 복원하여, 소뇌 피질 내의 세포간, 세포내 구조를 전례 없이 자세히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소뇌 피질 세포의 구조에 적합한 신경세포 골격화 및 돌기 분리 방법을 개발하였다. 퍼킨지세포의 수상돌기들은 균일한 층상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층 사이의 간격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평행섬유로부터 퍼킨지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시냅스 사이의 간격 또한 측정할 수 있었는데, 퍼킨지세포의 수상돌기가 이루는 층 사이의 간격과 유사했다. 사이신경세포의 수상돌기들도 층상 구조를 이루었으나, 퍼킨지세포의 수상돌기보다 불균일했다. 사이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삭돌기의 공간적 분포가 거리에 따른 사이신경세포 간의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퍼킨지세포의 수상돌기를 경유하는 경로를 따라 분석하였을 때, 표면의 돌기의 분포와 평행섬유로부터 들어오는 시냅스의 분포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퍼킨지세포 돌기의 면적당 밀도 및 평행섬유로부터 들어오는 시냅스의 길이당 밀도는 퍼킨지세포 수상돌기의 풍성한 말단 가지를 따라 균일하게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퍼킨지세포가 받는 시냅스 밀도는 가지의 수가 많은 구간에서 높게 나타났다. 퍼킨지세포 세포체로부터의 거리 및 수상돌기에 대한 방향에 따라 소뇌 피질 내 세포들은 서로 구분되는 고유한 분포를 가지고 있었다. 평행섬유는 퍼킨지세포 수상돌기의 말단부, 특히 말단부 가지의 시상 측면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평행섬유가 퍼킨지세포 수상돌기 사이의 틈을 통해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한다는 시각적 관찰과 일치한다. 오름섬유와 사이신경세포는 평행섬유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중심부 수상돌기 및 세로방향에 비교적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으며, 말단부의 시상 측면을 따라서는 밀도가 낮았다. 이러한 구조는 퍼킨지세포의 수상돌기를 중심으로 볼 때 오름섬유 및 사이신경세포가 분포하는 영역과 평행섬유가 분포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것으로, 각 종류의 세포와 퍼킨지세포 사이의 접촉면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오름섬유와 사이신경세포가 넓게 접촉하도록 한다. 실제로, 종래에는 오름섬유와 사이신경세포 사이에는 시냅스가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본 연구에 사용한 전자현미경 영상에서는 두 종류의 세포 사이의 넓은 접촉면을 따라 소수의 시냅스가 확인되었다. 퍼킨지세포 표면의 돌기 또한 수상돌기를 중심으로 한 방향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보인다. 퍼킨지세포 표면의 돌기는 평행섬유와 시냅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퍼킨지세포 표면의 돌기들이 평행섬유가 많이 지나가는 시상측면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돌기들이 세로방향으로 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직관에 위배되는 돌기의 형태는 퍼킨지세포의 돌기와 평행섬유 사이의 연결성에 특수한 규칙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시냅스 위치 분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퍼킨지세포 표면의 각 돌기는 단일한 평행섬유로부터만 시냅스를 받는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관찰들로부터, 소뇌 피질의 구조는 공간적인 제약 내에서 요구되는 연결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방식으로 조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attern of neural organization is critical to connectivity and consecutively the functions of the neural circuits. The cerebellum is a good model system to study the principles of neural organization because it consists of a few cell types and the connectivity is simple. Even for the cerebellum, however, exhaustive description of the organization has not been possible chiefly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We analyzed the cellular and subcellular organization of the cerebellum in an unprecedented detail, from the reconstruction of serial block-fa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BSEM) images.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 method for neural skeletonization and spine separation. The Purkinje cell (PC) dendrites form regular parallel laminae.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laminae, which coincides with the typical spacing of parallel fiber (PF) to PC synapses. The laminae of interneuron (IN) dendrites are less regular and parallel than those of the PC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 dendrites and axons limits the inter-IN connection distance. The spine and PF synapse density along the PC dendritic path correlate. Spine area density and synapse linear density are constant at distal PC dendrites. Consequently, the synapse density peaks at the distance where PC dendrites arborize most. Different cell types have specific angular distributions around the PC dendrites, which depend on the distance from the PC soma. The PFs are denser on the sagittal sides of PC dendrites because PFs pass through the chasm of the dendritic plane perpendicularly. The climbing fibers (CFs) and INs arborize in the vicinity of the proximal PC dendrites where PFs are sparse while they do not in the distal dendrites where PFs are dense. Furthermore, CFs and INs are denser on lateral sides of the PC dendrites than on the sagittal sides. Such organizations segregate the space for CF-IN from PF-PC spine and facilitate the CF-IN contacts. Indeed, the CF-IN synapses, which have not been found, were first discovered among the abundant contacts. Likewise, the PC spines have a specificity in the angular distribution. Naively, one would expect that spines prefer the sagittal sides where the PFs are dense to facilitate the PF-PC contacts. Whereas the spines are preferentially rooted on the sagittal sides, they are arced toward the lateral sides. This counterintuitive morphology of PC spines implies that the PC spines choose input specificity over diversity: while a straight spine would have an enhanced chance for contacts to many PFs, an arced spine would have contacts with large area to few PFs. The distribution of synapse number per spine verifies that a spine typically has only one synapse. In summary, these observations support that the cerebellar neural organization principle is governed by the interplay between the spatial restriction and wiring specif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