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제류(偶蹄類) 형상을 통한 자아 표현 도자 조형 연구

        임단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we live in an era where there is an abundance of material. Withthe scientific advancement of contemporary times, everything hasbecome possible yet people are emotionally depressed and bored. Hope is something that seems to have decreased in recent years. Perhaps this has been brought about by the social mechanism ofthese contemporary times where most things havebeen divided intodiffering tasks. People have become nothing but a spare part of aorganization. Each individual's qualities are not acknowledged ratherthey have been ignored and neglected. They are only considered as apart of a mass. Through this study the anxious state of human beings have beencarefully observed. It provides a chance to revise much of people'semo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why we live in a period wheresituations aggravate nervousness instead of building reassurance. This has not been observed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but from athird person's point of view. For instance how would a viewer react toa piece of art that they see in front of them. What kind of emotions are evoked from it? This emotional state is expressed with reference to Artiodactyspecies. These have been used as an expression in ceramic art. The forms found in artiodacty species have been simplified andstudied to transmit personal observation on society and socialemotions. Furthermore, these shapes have been combined with thehuman body for further experimentations. Depending on the visual effect of the work, differing techniques wereused. The study has applied a number of making skills in ceramics toproduce the work - coiling, press-molding, slab-building. Stonewareclays were chosen for different aesthetical effects. For surfacedecoration iron oxide was applied for white and brown effect. Engobes, terra sigillata mixed with a number of different colorpigments decorate the surface of the clay work. Transparent andopaque glazes were combined together. On some pieces, glazes,engobes and other coloring agents were partially applied and thenwashed off. High-temperature ceramic crayons also added interestingresults to the overallsurface decoration. The clay works were fired in a 1.5㎥ gas kiln. The first firing took 8hours, reaching 800?. The second glaze firing took 10 hours, fired to1280?. Some were reduced and oxidized in the firing. A few were putinto a third firing, reaching a temperature of 1280?. <Work 10> wasfired in a 0.15㎥ electric kiln. This firing was for 6 hours, reaching700?, in an oxidized kiln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emotions such as loneliness, anxiety, andagitations have been carefully studied. The origins of such feelingswere traced and then put in light with subjective observation on thepresent society, its mechanism and psychology. One's experienceswere also put in relations to this research to put to test, some of the subjects dealt with in this study. The study is not simply looking at artiodacty species on visual levelbut it has been incorporated to transmit the conditions ofcontemporary times. This research material can contribute to futurestudies on the same subject matter. 현대사회는 급격한 과학 발달로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인류의 문명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원인 모를 상실감과 절망 그리고 무력감을 느끼며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세상과의 소통에서 소외되고 갈등을 겪고 있다. 이는 현대인 일부가 고도로 분업화되어 있는 거대한 조직 사회 속에서 조직의 부속품으로 전락되어 개개인의 특성과 자아를 찾지 못하고, 군중 속의 익명성으로 인해 삶에 무관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내적인 자아를 실현하기에 앞서 물질적인 쾌락과 외적인 성취를 추구하게 되면서 가치관을 상실하고 주체의식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 시대를 살아가면서 시대적 불안의 근원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해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불완전한 내면을 관찰하고 그 경험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성숙된 자아를 실현하고 내적 가치관을 재정립하고자 의미를 둔다. 더 나아가 단순히 본인의 주관적, 고백적 경험에 멈추지 않고 이를 보는 감상자들에게도 공감을 이끌어내 자신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며 자아를 찾아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고자 우제류 형상을 통한 자아를 표현한 도자 조형작품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자아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 미술사 속에서 자아가 표현된 작품을 참고하였다. 작품의 상징적 이미지의 소재가 되는 우제류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조형성을 참고하여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은 본 연구자가 자아를 인식하고 고민하는 과정을 우제류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제작해나갔다. 우제류의 형태적 특성을 단순화 시키거나 구체적으로 표현을 통해 조형적인 미를 강조하면서 인체와 결합시켜 재구성된 표현과정으로 내면세계를 감성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은 자유로운 형태 표현을 위하여 타렴성형 기법, 태토의 물성을 잘 표현하기 위해 속 파는 기법과 동일한 형태의 반복 제작 위해 석고 틀을 이용한 가압 성형 기법을 사용하였고 작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판 성형기법도 병행하였다. 태토는 우제류의 자연스러운 형태와 뿔이 주는 텍스쳐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작품 특성에 따라 백색도가 높아 발색에 효과적인 백토를 사용하였다. 표면 장식은 감성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백색 화장토, 테라시즐라타(Terra Sigillata)에 발색 산화물과 색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감으로 표현해주었다. 유약은 전반적으로 투명유와 불투명유를 사용하였지만 연구자 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유약을 섞어 다양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테라시질라타에 색 안료를 섞어 사용하거나 발색 산화물을 발라 닦아내기도 하였으며 고화도 세라믹 크레용을 사용하였다. 자연스러운 표현과 다양한 변화를 주기 위해 주로 붓으로 시유하였고 전체적인 통일감을 주기 위해서는 분무시유와 담금 시유를 하였다. 소성방법으로는 1.2㎥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800℃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을 한 뒤, 동일한 가스 가마 안에서 10시간동안 마침온도 1260℃ 2차 산화염 소성을 하였으며 <작품 2- 시대적 구유물>은 환원염 소성을 하였다. <작품 9- 사유자>는 만족스러운 색깔이 나올 때까지 1260℃ 3차 소성까지 했으며, <작품 3- 자화상>, <작품 10- 소통> 중 일부는 0.15㎥ 전기가마에서 700℃까지 6시간동안 3차 산화염 소성하였다. 우제류 형상으로 자아 표현을 작품으로 제작하면서 인간 존재에 대해 알아보고, 근원적 불안감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오히려 자신이 겪고 있는 자아 내부의 불안감, 고독감, 상실감은 인간 존재의 필연적 조건이며, 세계와 타인 속에서 삶의 주체자로 개별적 삶을 이끌 수 있는 존재로 성장해나가게 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작과정을 통해 본인 고유한 주관적 경험, 개성을 발견하고 스스로의 개체성과 주체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인간과 조형예술은 단순히 시공간을 넘어서 정신적 가치적으로도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우제류라는 이미지가 단순한 사물의 재현하는 소재의 수준에서 멈추지 않고 감성과 내면세계를 적절히 표현해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자아의 내면을 조형작업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하여 내적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작품으로 통해 주체적인 자아로 나아갈 것을 기대한다. 이에 아울러 후진들이 이를 이어받아 더 깊은 내적 연구와 다양한 표현 연구를 통하여 더 창의적인 도자조형 작업을 창조해나가길 기대해본다.

      •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

        임단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Regenerative medicine is a therapeutic concept that fundamentally replaces human cells or organs whose function has deteriorated or restores them to their original function,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rare and incurable diseases. With the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in regenerative medicine, regenerative medicine has been developing remarkably. Especially, in the field of stem cell therapy,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ed market and industry will grow greatly as six stem cell treatment drugs are licensed worldwide. However, apart from the socio-economic utility and value of stem cell therapies, there still exist problems with bioethical issues and uncertain safety and efficacy. The government is actively intervening in relation to stem cells to safeguard the public from the potential risks arising from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the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stem cell regulation is found in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s a 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the people from the risks arising from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reatment, the government imposes regulations on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herapy. Although the restrictions of the government limit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academic freedom of related workers, it is constitutionally legitimate in that it is allowed in the constitution to restrict the basic rights within the scope of not infringing the essence of the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to be legitimate. In fulfilling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Korea largely regulates stem cell research, stem cell therapy and stem cell treatment. Stem cell research must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or ensuring bioethics and safety in research according to the "Bioethics Act." Stem cell therapy is a medical treatment under the "Medical Law" and is protected under the Act except treatment by a non-medical person. However, the safety and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can be confirmed only in limited cases by the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Unlike stem cell therapy, stem cell medicine is basically a drug regulated by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Therefore, a stem cell medication can be applied to a patient after receiving clinical drug approval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rial with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In the case of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and the approval of the item, if the relevant items are designated as "Notification", there are questions about what characteristics the "Notice" shall have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law, and whether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clinical protocol) and the approval of the item shall be granted.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the answer can be derived from the administrative legal discussion of whe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 permit, exceptional approval, or patent. In addition to approval of clinical trial plans and approval of items, as a postmarketing management system, drug review system, drug revaluation system, st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ch as pharmaceuticals, and long-term follow-up survey are applied to stem cell treatment. Based on the review of regulations related to stem cell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in Korea,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gulation as follow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First, stem cell regulation is operated through various notification regulations, so that the stem cell related laws are complicated. To improve this, a separate law on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rea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tem cell related legal system should be rearranged. Second, regulating stem cells into drugs and medical practices on the basis of "minimal manipulation" cannot reasonably discipline the complex and specialized fields of stem cells. Therefore, stem cells should be specifically classified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nherent risk of stem cells and the risk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method. Third, because stem cell medicine is a remarkable treatment for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differentiated clinical trial standards and approval standards from those of general drugs. Fourth, stem cell therapy, except medicines for stem cell treatment, is limited in the current law to guarante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treatment. There needs to be a way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so that the public can receive stem cell therapy more safely.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hat the legislation of the "Law on the Support and Management of Advanced Rehabilitation Medicine" has been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legisl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enact the area of stem cell therapy which had not been enough for legal standard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safety standards presented in the bill are unclear, and they are subjected to the same procedure without distinguishing the risk of stem cell treatment. 재생의료는 기능이 저하된 인간의 세포나 장기를 근본적으로 대체하거나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치료개념으로, 희귀ㆍ난치 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재생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로, 최근 재생의료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줄기세포치료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줄기세포치료제가 판매허가를 받는 등 관련 시장과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줄기세포치료의 사회 경제적 효용성 및 가치와 별개로 생명윤리적 문제와 불확실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에서 발생하는 잠재적 위험성으로부터 국가는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줄기세포와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줄기세포 관련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에서 찾았다.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의무의 이행으로서 국가는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규제를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국가의 규제는 관련 종사자들의 직업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지만, 이는 기본권의 본질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본권 제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러한 기본권 제한이 기본권 침해에는 이르지 않는 것으로서 헌법상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이행에 있어 우리나라는 줄기세포에 관하여 크게 줄기세포연구, 줄기세포치료,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다. 줄기세포연구는 「생명윤리법」에 따라 연구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줄기세포치료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의료인이 아닌 자에 의한 치료가 금지됨을 제외하고서는 동법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다만,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의해 제한적인 경우에 한하여 줄기세포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줄기세포치료와 달리 줄기세포치료제는 의약품으로서 「약사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일반 의약품과 같이 규제된다. 따라서 줄기세포치료제는 임상시험계획승인을 받아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아야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임상시험계획승인 및 품목허가에 있어 이와 관련한 사항을 “고시”로 정한 경우, 이때의 “고시”는 행정법상 어떤 성질을 갖는 것인지, 그리고 임상시험계획승인과 품목허가가 강학상 허가, 예외적 승인, 특허 중 어떤 성격을 갖는 것인지가 행정법적 논의로서 도출될 수 있다. 임상시험계획승인 및 품목허가 외에도 줄기세포치료제는 시판 후 관리제도로서 의약품 재심사제도, 의약품 재평가제도, 의약품 등 안정성 정보관리제도, 장기추적조사가 적용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줄기세포와 관련한 규제의 검토를 바탕으로 현행 규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줄기세포 관련 규제가 각종 고시규정을 통해 운영되고 있어 줄기세포 관련 법 체계가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여 줄기세포 관련 법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둘째, 줄기세포를 “최소한의 조작”을 기준으로 하여 의약품 및 의료행위로 구분하여 규제하는 것은 복잡하고 특수한 줄기세포 분야를 합리적으로 규율할 수 없다. 따라서 줄기세포 고유의 위험성과 투여방법에 따른 위험도에 따라 줄기세포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규율해야 한다. 셋째, 줄기세포치료제는 그 생물학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치료제이기 때문에 줄기세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의약품과는 차별화된 임상시험 기준 및 허가기준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의약품인 줄기세포치료제를 제외한 줄기세포치료는 현행법상 그 치료행위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가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민들이 좀 더 안전하게 줄기세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줄기세포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국회에는 “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된 상태로, 동 법률안은 그 동안 법적인 기준이 미비했던 줄기세포치료 영역을 법제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법률안에서 제시하는 안전성 기준이 불명확하고, 줄기세포치료의 위험도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절차만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에 관한 공법적 연구

        임단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손실에 대한 대응은 인류 공동의 과제로 부상하고 있고, 이에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각국에 강력한 보전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오염행위를 억제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행위기준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보전행위가 강조되어야 한다. 그리고 적극적 보전행위로의 유도는 도덕적·윤리적 당위성에만 의존할 수 없고, 보전행위가 갖는 외부효과의 내부화 방안 또는 그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 더욱이 자원이용이라는 이익을 간과할 수 없는 국가로서는 적극적인 환경보전행위를 하면서도 자원의 이용이라는 이익이 저해되지 않도록 보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배경 아래 적극적 환경보전과 자원이용이라는 양 이익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제도로서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는 생태계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생태계서비스 공급이라는 적극적 환경보전 행위를 유도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계서비스지불제계약을 비롯하여 생태계서비스지불을 구현하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그러한 제도 대부분이 제도의 기본원칙과 제도 내에서의 국가 역할에 대한 고려 없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가 효과적인 환경보전수단으로 정착할 수 있으려면 제도의 체계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도에서의 국가 역할과 책임을 설정하여야 한다. 국가와 사적주체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는 오늘날 특히, 환경분야에서 그러한 협력의 현상이 두드러진다. 협력에 의한 환경행정에 있어서 국가가 어떠한 책임을 져야 하며 그러한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행정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보장국가론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는 사적주체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환경보전수단으로서, 국가에 부과된 자연환경의 질적 향상 임무가 사적부문에 이전하여 임무 수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적주체는 직접적인 임무 수행의 책임을, 국가는 임무 수행에 대한 보장책임을 짐으로써 국가와 사적주체가 자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책임을 분담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에서는 보장책임 실현을 위하여 생태계서비스 공급 성과 확보 수단, 임무 수행 능력 검증 수단 및 임무 수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 등의 보장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를 통해 환경보전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면서 사회적 외부편익을 발생시키는 환경보전행위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적부문의 협력이 강조되는 환경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다. 기존 환경보전제도를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로 편입함으로써 동 제도가 갖는 이러한 제도적 유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다만 편입의 요건으로서 수혜자부담원칙의 구현, 적극적 공급행위의 존재 및 공급자에 대한 비용의 지불이라는 세 가지 개념적 표지를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이를 모두 충족하는 환경보전제도로서 물이용부담금제도, 관리계약제도, 거래형 탄소상쇄제도, 자연환경국민신탁을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로 편입할 수 있다. 편입된 제도들은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로서 자연환경 질적 향상 임무 수행에 대한 보장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는 자연환경 훼손이 인간 삶의 질에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도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국가는 생태계서비스 공급이 실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구조를 마련해야 하나, 현재로서는 그러한 고려가 전혀 반영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러한 점에서 본 논문을 통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에서의 국가와 사적주체의 책임 영역을 명확히 하여 제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sponses to the los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are emerging as a common mission for humanity.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mmitted to ask each country to take strong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sake of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act of suppressing pollution.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umanity is currently facing, it is vital to emphasize active conservation actions that go beyond the socially acceptable standards of action. In addition, the inducement of active conservation actions cannot depend only on moral and ethical justific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pply internalization plans for external effects of conservation actions or an appropriate incentive system. Furthermore, as a country that is not able to disregard the benefits of use of resources, it is crucial to take conservation measures not to impede the benefits of use of resources while actively perform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ons. In this context,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system that allows a balance between the two benefits of activ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use of resources.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re a system encouraging activ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on by paying for the relevant supply of ecosystem services. In Korea, there is equipped with diverse systems facilitating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including the PES Contract. Nonetheless, most of such system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ystems and the roles of the state in the systems. To firmly establish the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s an effective mea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required to achieve a methodic organization of such systems, and def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Today, the state and private entities are cooperating in many fields, and such cooperation i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he environmental field. The Guarantee State Theor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regarding what kind of responsibilities the state needs to take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based on cooperation and how the administration is required to respond to fulfill such responsibilities.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re a mea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ased on cooperation with private entities, and the PES’s mission is performed when the mis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imposed on the state is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s. Here, the private entities bear the responsibility of direct performance of the mission, while the state bears the responsibility of guarantee of the performance of the mission. This way, the state and the private entities share the responsibilities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PES, in order to materialize the guarantee responsibility, it is indispensable to set up a structure of guarantee that allows a means to secure the performance of supplying ecosystem services, a vehicle of verifying the ability to perform the assigned tasks, and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mission. By incorporating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systems into the PES system,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institutional usefulness of this system. However, as requirements for incorporation, it is central to meet all three conceptual marker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beneficiary pays principle, the presence of an active supply action, and the payment of costs to the supplier. As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system that satisfy all of these, Water Use Charge, Environment Management Agreement, Trade-type Carbon-offsetting, The National Nature Trus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PES system. Incorporated systems must be equipped with a guarantee structure to perform the mis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PES system.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re significant as a system that can rationally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where damages to the natural environment bring about the quality of human life. Though the state is supposed to prepare a guarantee structure, such consideration is not put into practice. In this aspec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preparing a legal base to allow a more effective system by clarifying the scope o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private entities in the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 일 종합병원 암 환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여부에 따른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의 차이

        임단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입원 암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여부에 따 른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의 차이 파악하여 암 환자의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을 변화시키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여부 에 따른 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된 서술적 비교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상북도 소재 일 종합병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 록기관에 입원한 암 환자 129명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 의한 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5일부터 2021년 8월 1일까지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d test(Fisher's exact test), ANOVA, t-test, Mann-Whit ney's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paired t-test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 비작성군의 통증의 차이는 작성군 3.09( ±1.69)점, 미작성군 2.98(±1.47)점으로, 두 집단의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z=-0.089, p=.697).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 비작성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는 죽 작성군 52.09(±10.87)점, 미작성군 46.02(±7.34)점으로, 두 집단의 점수에 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875, p=.004).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 비작성군의 삶의 질 차이는 작성군 59.44 (±9.90)점, 미작성군 56.91(±10.47)점으로, 두 집단의 점수에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t=1.409, p=.161). 4.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군의 작성 전·후 통증의 차이는 작성 전 3.36(± 1.90)점에서 작성 후 3.09(±1.69)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z=-3.266, p=.001). 5.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군의 작성 전·후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는 작성 전 44.28(±10.70)점에서 작성 후 52.09(±10.87)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6.007, p<.001). 6.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군의 작성 전·후 삶의 질 차이는 작성 전 55.16( ±10.50)점에서 작성 후 59.44(±9.90)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t=-4.977, p<.001). 7.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따른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 차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에서 통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작성군에서는 연령 (t=-5.524, p<.001), 학력(t=2.14, p=0.111), 죽음경험(F=6.475,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에서 죽음에 대 한 태도는 죽음경험(F=4.114, p=.02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작성 군에서는 연령(t=4.286, p<.001), 학력(t=-3.667, p=.008), 소득수준 (t=2.860, p=. 00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에서 삶의 질은 성별(t=2.079, p=.042), 연령(t=2.423, p=.018)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작성군에서는 연령(t= 8.108, p<.001), 학력 (t=-2.623, p=.011), 소득수준(t=3.4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암 환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한 대상자는 통증에 영향을 주며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삶의 질이 높아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군에서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통해 죽 음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이를 받아드리면서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 을 것이라 생각된다. 추후 반복 연구를 통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군과 비작성군의 통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질 간에 관련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 서울시 (공유)개인형 이동장치 불법주차 시공간적 특성 분석 -마포구를 중심으로-

        임단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around the world,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electric scooters(PM) and electric bicycles are gaining popularity as a means of eco-friendly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for Fire Last Mile and among them, PM are attracting the most attention. The PM industry has rapidly expanded, with the number of companies and users soaring since PM's shared service business first launched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not only overseas but also in Korea in 2018. However, at a time when there are no PM-related laws and a safe culture of use has not been established, social problems continue to spread, with civil inconvenience complaints soaring and safety accidents and injuries continuing. In respon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vis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on Traction of Stopping and Parking Viol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oul City Traction Ordinance") for the first time since July 15, 2021.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hared PM traction policies, such as improving the traction system and preparing standards for installing parking zones to prepare fundamental solutions to unauthorized neglect. The time range of this study is from May 9 to May 20, 2022, and the spatial range is limited to Mapo-gu, and the issue is identified through news article keyword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building total floor area. As a result of checking the frequency of keywords through Word Cloud analysis, keywords related to violations of laws such as "drunk driving," "crackdown," "detection," "safety helmet" and "foul money" were also frequent in 595 news article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time characteristics of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of shared PM in Mapo-gu, 193 cases (44.7%) were reported from 9 a.m. to 10 a.m., indicating that citizens experienced the most inconvenience due to shared PM devices left unattended during work hours. As a result of spatial characterization, commercial areas were concentrated in Sangam-dong, Donggyo-dong, and Dohwa-dong, while residential areas were concentrated in Ahyeon-dong, Seogyo-dong, and Mangwon-dong. The locations of Zone 4 of the multiple reporting points are 192 Donggyo-dong, 453 Mangwon-dong, and 473 and 476 Gongdeok-do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area and the building total floor area data, it was concentrated in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and the first of many reported points was concentrated around the entrance to subway stations (Hongik Univ. Station) with high-rise buildings. The second point was found to have occurred repeatedly at certain points around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Mangwon-dong, Mapo-gu Community Sports Center and Sports Park. The third and fourth points were concentrated around the high-ris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near Gongdeok Station. It was found that PM are often used to get to the final destin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reporting points in Mapo-gu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parking areas was confirmed and additional necessary points for parking areas were reviewed. As such, the installation of PM parking zones that meet demand should be prioritiz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demand for PM use around the scheduled point of installation of parking zones and the number of illegal parking reports. Curr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set a standard for installing parking areas in sections of 2.0m or more sidewalks, near bicycle roads, subway stations and bus stops to secure effective sidewalks. In addition,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are mainly done on the back road and most of them conduct safety campaigns in cooperation with shareduse PM to their final destination, so differentiated parking standards are needed in areas where there are many back roads. In addition, the government will encourage private buildings to set up parking area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give conditions to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during deliberation by the Traffic Impact Assessment Review Committee or the Building Committee so that parking areas are mandatory in public disclosure. Second, the most important solution to illegal parking is to improve user awareness. Local governments should regularly PM companies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continuously manage them so that illegal and illegal towing of towing agencies does not occur and they will make efforts to come up with win-win measures with the shared PM industry. Shared PM companies promote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so that users can recognize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before using it. In addition, it will guide the management of habitual violations such as user penalties and restricted return zones. The terms and conditions will be changed to impose towing and storage fees on the end user when towing and penalties such as suspension of use and cancellation of account will be imposed if the return area is violat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urban problems will be solved by neglecting without permission and a culture of safe and sustainable use will be established. 최근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First-Last mile의 친환경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중 전동킥보드(PM)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PM의 공유 서비스사업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018년에 새로운 이동수단으로서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후 업체 및 이용자 수가 급증하는 등 산업 규모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하지만, PM 관련 법령이 부재하고 안전한 이용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거치식(Free-floating) 방식은 무단방치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켜 시민 불편 민원이 급증하고 안전사고 및 부상자가 속출하는 등 사회적 문제 또한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긴급히 시민 안전을 위해 『서울특별시 정차ㆍ주차위반차량 견인 등에 관한 조례』(이하 ‘서울시 견인 조례’)를 개정하여 2021년 7월 15일부터 전국 최초로 불법 주·정차 공유 PM 견인을 시행하였지만, 견인시행 이후에도 PM에 대한 법적ㆍ제도적 미비와 모호한 서울시 견인 근거 및 기준으로 인해 문제점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단방치의 근본적인 해결방안 마련을 위한 견인 제도 개선과 주차구역 설치기준 마련 등 공유 PM 견인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22년 5월9일부터 5월20일까지, 공간적 범위는 마포구를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뉴스기사 키워드 분석을 통해 이슈를 확인하고 공유 PM의 불법 주ㆍ정차 신고지점과 토지이용 및 건축물 연면적과의 연관성 분석 등을 통해 시공간적 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키워드의 빈도수를 확인한 결과, 595건의 뉴스기사에서 ‘음주운전’, ‘단속’, ‘적발’, ‘안전모’, ‘범칙금’ 등 법규위반과 관련된 키워드와 ‘견인’, ‘방치’, ‘주차’ 등 본 연구와 관련된 키워드도 빈도수가 높았다. 마포구 공유 PM 불법 주ㆍ정차의 시간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193건(44.7%)으로 오전 출근시간대 무단방치된 공유 PM 기기로 인해 시민불편이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 특성분석 결과, 상업지역은 상암동, 동교동, 도화동, 주거지역은 아현동, 서교동, 망원동을 중심으로 집중되었다. 신고다발지점 4개 구역의 위치는 동교동 192번지 일대, 망원동 453번지 일대와 공덕동 473번지 및 476번지 일대이다. 용도지역 및 건축물 연면적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신고다발지점 중 첫 번째 지점은 고층 건물이 있는 지하철역(홍대입구역) 진출입구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다. 두번째 지점은 망원동 저층 주거지와 마포구민체육센터 및 체육공원 주변으로 특정 지점에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지점은 공덕역 인근 고층 주상복합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최종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 PM을 자주 이용한다는 것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마포구의 주요 신고지점과 주차구역 설치 위치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주차구역 추가 필요지점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주차구역 설치 예정지점 주변의 PM 이용 수요와 불법 주ㆍ정차 신고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요에 맞는 PM 주차구역 설치가 우선되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유효보도폭 확보를 위한 보도 2.0m 이상 구간, 자전거도로 인근, 지하철 역사 및 버스정류소 주변 등에 주차구역을 설치하도록 기준을 정하였으며 이것은 신고지점과 매치가 되지 않을 경우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시민 불편 및 미관 문제는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불법 주ㆍ정차는 주로 이면도로에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최종 목적지까지 PM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면도로가 많은 저층 주거지 밀집지역에는 차별화된 주차기준이 필요하다. 추가로, 민간 건물에도 주차구역을 설치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공개공지에 주차구역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 또는 건축위원회 등 심의시 조건을 부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불법 주ㆍ정차의 근본적인 해결책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용자의 인식 개선이 우선 되어야 한다. 지자체에서는 공유 PM 업체 및 경찰청과 협업하여 안전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견인대행업체의 부정·불법 견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공유 PM 업계와의 상생방안 마련을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다. 공유 PM 업체는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이용자들이 이용 전에 불법 주ㆍ정차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홍보하는 것이다. 또한, 이용자 페널티 등 상습 위반 이용자 관리와 반납제한구역을 안내하는 것이다. 약관을 변경하여 견인시에 견인료 및 보관료를 최종 이용자에게 부과하고 반납구역 위반시 이용정지부터 계정 취소 등의 페널티를 부과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단방치로 인한 도시 문제 해결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다다이즘 뷰티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2010~2017년을 중심으로

        임단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컬렉션에서의 패션 디자인은 점차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디자인이 주목받기 시작하며, 기성가치나 형식에 대한 부정성을 가진 반예술·반미학적인 디자인이 다양하게 등장하게 되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뷰티 디자인의 트렌드 역시 창의적이고 모험적인 디자인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형태는 기존의 전통적인 미에서 벗어나 얼굴을 과도하게 왜곡시키거나 변형, 과장, 단순화 또는 독특한 소재를 사용하는 등의 반미학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미학·반예술이라는 개념이 구체적으로 등장한 시점은 20세기 초에 등장한 다다이즘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더욱 더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소재가 등장하는 등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예술사조로서의 다다이즘의 의의, 예술 장르에서 나타난 다다이즘의 특성 등에 국한된 연구가 주를 이루어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은 현대 패션에서의 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은 현대 패션에서의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뷰티디자인의 흐름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해 다다이즘의 개념 및 발생배경 및 예술 장르에서의 표현 방식을 분석하였으며, 건축, 제품 디자인, 디지털 디자인, 현대 패션과 같은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활용된 사례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뷰티 디자인 이미지의 다다이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현대 패션의 뷰티 디자인 자료는 2010년 이후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서 다다이즘이 표현된 뷰티 디자인의 특성은 해체성, 우연성, 퇴폐성으로 분류되었다. 다다이즘 뷰티 디자인의 특성 중에서는 퇴폐성을 나타낸 뷰티 디자인이 41.7%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우연성 29.9%, 해체성 28.4%로 나타났다. 퇴폐성은 왜곡의 형태로 추한 것의 개념에서 확장된 의미로서 부정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미를 해체하고, 기존 질서의 파괴 및 도덕적 타락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부의 전체적인 색을 바꾸거나 눈과 입 주변을 검게 또는 붉게 처리하는 등 주로 눈 주변을 강조 및 확대하여 악마적이고 비인간적인 이미지로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해체성은 얼굴의 본래 형태와는 전혀 다른 부조화된 형태를 그려 넣거나 의도적으로 파괴적인 표현을 통해 얼굴의 조형요소들을 재구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상은 Bk, W, R계열이 많이 사용되어 극단적인 대비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퇴행적 등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연성은 다다이즘의 우연 원리 그대로 이성적인 사고에 좌우되지 않는 우연에 의해 즉흥적으로 표현됨을 추구하여 도발적인 행위로 이어졌으며 얼굴을 캔버스화하여 즉흥적이고 무정형적인 페인팅기법을 사용하거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기존의 기성품을 오브제로 사용하는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낯설음, 도전적, 실험적 등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꼴라주 소재에 따라 크게 자연물과 일상소재로 분류되어 다양한 소재가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다이즘의 꼴라주 영향을 받아 자연물의 식물성 소재에서는 나뭇가지, 나뭇잎을 헤드드레스로 사용하고, 꽃은 얼굴에 꼴라주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동물성 소재에서는 새의 깃털을 얼굴 전체에 덮거나 동물의 모피를 사용하여 신체의 형태를 재구성하는 등의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광물성 소재에서는 인조보석이나 비즈장식을 얼굴에 부착하거나, 금속 소재로 만든 헤드드레스의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일상소재의 플라스틱 소재에서는 무정형성을 띈 헤드드레스의 형태가 주로 나타났으며, 실험적이고 미래적인 이미지를 주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 소재에서는 얼굴의 전체적인 형태를 왜곡시키고 새로운 형태를 구성하는 해체성을 가지거나 헤드드레스의 형태로 주로 나타났다. 패브릭 소재에서는 얼굴의 형태를 확장, 축소시키는 등의 왜곡이나 헤어와 얼굴을 덮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으며, 부자연스럽고 비인간적인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소재의 사용을 종합해보면, 재활용품이나 사소한 물건들을 무질서하게 사용하여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시킨 뷰티 디자인 표현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 요소에 의한 표현기법에 의해 형태, 질감, 색채로 분석되었으며, 형태의 점에서는 다수의 점을 표현하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으며, 눈의 착시효과를 주는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선에서는 페인팅 기법을 사용하여 이목구비를 무시하고, 무정형적이고 기하학적인 선의 표현으로 낙서를 한 듯 즉흥적인 표현으로 유희적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면에서는 얼굴의 음영을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얼굴형을 왜곡시키는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으며, 무정형적인 색채 표현으로 부자연스럽고 인위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질감은 인위적인 색상의 매트한 피부표현이나 금박 또는 리퀴드 타입의 물감을 이용한 이질적인 질감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색채는 R계열 색상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선명하고 다양한 색상의 극적 대비 활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조에서는 light톤과 dark grayish톤이 많이 나타났다. 색채 이미지에서는 로맨틱한, 내추럴한, 모던한, 클래식한, 엘레강스한, 고져스한, 댄디한, 캐주얼한, 쉬크한 이미지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뷰티 디자인에서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기존의 것을 부정하는 다양한 형태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모험적인 뷰티 디자인의 영역을 확장하고 구체화된 분석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은 뷰티 디자인 관련 연구가 적어 객관적인 분석에 한계점이 있었기에 향후 다다이즘의 단편적인 예술 사조를 넘어 다른 예술사조들과의 결합을 통해 폭넓고 객관적인 분석적 연구를 기대해본다. The fashion design in the modern collection has become increasingly creative and experimental, with varying degrees of creative and anti-art·anti-aesthetic design, which has emerged as a form of creative and formal design. The trend of beauty design in modern fashion designs is also shifting toward creative and adventurous designs, and this form of anti-aesthetic is reflected in the non-traditional designs, distorting the face of deformed, exaggerated, simple, or unusual materials. Following the trend, the concept of anti-aesthetic·anti-art is being more experimental with using preposterous materials, an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Dadaism is the very origin of these concept. The existing studies of dadaism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Dadaism as a art trend or the characteristic of its in various art genre but the studies of modern beauty design affected Dadaism are lack. Thus, a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 of experimental, creative beauty design affected Dadaism. Through the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the study analyzed the concept, background of appearance of Dadaism, expression mode in the art genre, and the characteristic which was used in modern design area for example architecture, product, digital design and modern fashion. Also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Dadaism in beauty design of modern fashion, the used data is consist of case appearing after 2010. A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ollowed at the below. Firstly, the characteristic of beauty design using Dadaism was grouped as deconstructivity, fortuity, decadence. Decadence had 41.7% rate, fortuity had 29.9%, deconstructivity had 28.4% in Dadaism beauty design. Decadence was kind of distortion which is derived from concept of ugliness. Decadence has negative properties, which deconstruct the traditional beauty and also emerges as the destructing existing order, the moral gangrene. it was shown by emphasizing eyes to express devilish and inhumane images. For example changing total skin color, coloring around eyes and mouth in dark or red was expressed. Decadence mainly showed Bk and R color to arouse grotesqueness and fear which reminds a blood. Deconstructivity resulted as a mismatching shape painting which differs from its own shape of face, and reorganizing the crude element of face using destructive expressions. To express the Deconstructivity, Bk, W, R colors and the contrast between achromatic color Bk and high chroma Strong, Bright tone were mainly used to give an extreme effect to show negative and retrograde images. Fortuity pursued spontaneous expressions by coincidences and was not influenced by rational thinking but rather caused provocative actions. For instance, Fortuity was expressed by using extempore, amorphous painting method considering a face as canvas. and using ready-made goods as an objet to think outside of the box. To express the Fortuity, R, YR, Y, B, PB color and the contrast between achromatic color and Vivid, Bright tone were mainly used and gave an extreme effect through showing unfamiliarity, challenge, experimental images. Secondly, materials of Dadaism beauty design were classified into a natural and daily materials and used various materials by Collage materials. With the influence of Dadaism, the natural materials can be segmented into plant materials and animal materials. In plant materials, not only branches and leaves were used for headdresses, but also flowers were used for expressing forms by using the Collage method on a face. On the other hand, Animal materials were used to cover the entire face by using bird’s feather animal’s fur to reconstruct the shape of body. Mineral materials were usually worn on the face by using artificial jewelries or beads, and also used to make headdresses which made from metal materials. Daily plastic materials mainly showed expressing experimental and futuristic images and shapeless headdresses were appeared. Paper materials were mainly showed as headdress forms and Deconstructivity consisting a new form and distorting overall shape of face. The fabric materials were used to expending or reducing shape of face, to covering hair and face and it was mainly showed to express images of contrived and inhuman. In a result, the using of the materials was appearing in various beauty design expressions by using recycled or small objects, combining disparate elements. Thirdly, Dadaism beauty design was analyzed into form, texture, color by the design expression technique. In form, dots were mainly showed as a form which express many number of dots and also showed images of an optical illusion. In lines, painting technique which ignores features and playful images were appeared by using spontaneous expression as if scribbling with shapeless and geometrical lines of expression. In side, distorted shape of face images were mainly appeared or exaggeratedly expressed shades of face. And also unnatural and factitious expressions appeared a lot because of formless color expression. In texture, disparate expressions of skin texture were appeared a lot by using factitious colors which express mat skin texture and glits or liquid type of paints. In color, R line colors were principally used and took the biggest part in using distinct and various colors of extreme-contrast application. In tones, light tone and dark grayish tone were appeared a lot. In color-image, various appearance took place which were romantic, natural, modern, classic, elegance, gorgeous, dandy, casual, chic image. Through this study, diverse forms were found which deny existing beauty designs by breaking the fixed idea in beauty design influenced by Dadaism in modern fashion. And not only the embodied analysis was can be made but also adventurous beauty design’s area was can be extended.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research an objective analysis because of relating studies about Dadaism beauty design. Therefore, from now on, extensive and objective studies can be expected by combining with other art trends over the fragmentary art trends like Dadaism.

      • 국내 전문학술지 게재 노래 활용 음악치료 연구 분석

        임단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를 치료적으로 활용한 기존 중재 연구에서 노래 자료(song material)와 노래 활동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어떠한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노래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분석대상 선정기준에 적합한 1997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노래를 치료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중재연구 78편을 대상으로 연구목표에 맞게 세운 기준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 학술지 내용에 따라 중재자, 노래선정 논거 등에 대해 상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래의 치료적 활용이 음악치료 이외의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나 노래를 선정할 때, 이에 대한 치료적 논거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아동과 영유아 대상으로 표현적 노래 활동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노인을 대상으로도 수용적 노래 활동보다 노래 부르기, 노래 연주 등의 표현적인 노래 활용이 많이 적용되었다. 특히, 노래자원은 매우 다양한 수용적, 표현적 형태로 심리 및 정서 영역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어서 가창활동을 통해 언어 및 의사소통 영역의 중재가 많이 제공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how, why, and for whom the song material and song activities are used in therapy. A total of 78 studie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ong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song activities, and the treatment goals. These categories were sorted into expressive and receptive styles for the review. The 78 studies had used songs published nationally in between 1997 and 2016,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objective of this particular study. Also, depending on academic materials, it sets forth detailed analysis about the mediators and basis for the selection of the so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apeutic use of songs is expending to other fields than music therapy, but the therapeutic rationale for selecting songs is not clearly presented. Also, expressive type of song materials were used remarkably for children and infants, and rather than receptively, active application of songs such as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was used for seniors as well. Such medium of songs have been accounted fo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language․communication areas. For psychological․emotional area, various song activities (expressive and receptive) were provided. For language communication area, singing was a widely applied therapeutic activity.

      • 뉴미디어 시대의 지역공동브랜드 디자인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의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임단비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금 시대는 세계화, 지방화, 뉴미디어의 시대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사회·문화적 환경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미 앞서가는 기업의 브랜드들은 이런 변화의 흐름에 맞춰 시대에 맞는 새로운 브랜드 전략으로 빠르게 태세를 전환하고 있지만, 지자체의 지역공동브랜드는 오히려 과거보다 못한 상태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에 지역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지역의 특성을 많이 나타낼 수 있는 지역공동브랜드의 한 분류로써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의 보유가 가장 많은 포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포항시의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의 현황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명칭이 사용된다는 것 외에는 브랜드 차별화 요소가 없고, 소비자와의 브랜드 스토리의 공유가 미흡하며, 스토리가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정보의 나열 정도이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체계의 일관성 있는 활용이 부족하여 브랜드 정체성에 혼란을 야기하는 등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사후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소비자와의 소통과 정보의 공유가 원만하지 못하며, 공식 웹 디자인을 통한 정보 전달 방식도 효과적이지 못하는 등 뉴미디어의 활용이 매우 부족하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제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인 사실만 나열하여 브랜드를 소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브랜드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화되고 개성 있는 스토리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또 지역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인 지역 명칭의 표기 외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일관성 있는 활용을 통하여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여 브랜드에 대하여 소비자와의 효과적인 소통을 도모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명확하고 일관성 있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This is the era of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new media. At this rate, the paradigm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s changing. Already leading corporate brands are quickly shifting to a new brand strategy tailored to the times, but local joint brands remain at a lower position than they used to b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local co-brand identity design should proceed in the New Media Era, and on the case of Pohang City, which has the most Geographical Collective Marks, as a classification of regional co-branding that can show a lo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rand identity on the head of the Pohang City Geographical Collective Mark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brand differentiating element except that local names are used, there is insufficient sharing of brand stories with consumers, and even if there is a story, it is usually a listing of information based on objective facts. Second, the lack of consistent use of the brand identity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brand identity, which has led to the continued lack of follow-up management of brand design. Third, communic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with consumers are not satisfactory, and the way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hrough formal web design is not effective, which is very lacking in new media utilization. Th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and distinctive story that only the brand can have by going further from introducing the brand by listing only objective facts. In addition, a differentiated strategy is needed other than the direct designation of the region as a way of expressing its regional identity. Second, through consistent use of the brand identity, the brand identit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management measures for the brand identity design. Third, the message that the company wants to use the new media actively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consumers and to communicate with the brand should be improved clearly and consistently.

      • Jessie J 가창 테크닉 분석 : 앨범『Who you are』의 수록곡「Do it like a dude」,「Price tag」,「Who you are」를 중심으로

        수정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591

        Since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19th century, the popular which has enjoyed by the public commercially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infused with culture and art. In the course of the change, the vocal technique has also undergone many changes in line with the mainstream pop music of the time. However, the technique is difficult to study in the academic sense, especially in expressing in words. There are not many kinds of literature in the field. Even if there is, the existing literature are out of date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tudies on the contemporary vocalis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vocal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vocalists which influence the popular music. Therefore, I examined the vocal technique of a contemporary English vocalist Jessie J who has an excellent vocal technique as well as musical ability to find out the contemporary vocal techniqu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artist’s unique ad-lib pattern, melisma, articulation, and phras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different vocal techniques in relation to the lyrics and its functions. Jessie J has proved her musical talent and gained popularity producing music in many genres including pop, R&B, and soul. She has received many prestigious music awards. Moreover, she is becoming an iconic figure with her unique vocal technique and vibrato. For this paper, I selected three of her songs in a different genre to compare her vocal techniques in each genre. The trendiest vocal technique was analyzed in the contemporary sense. Through this study, I found out that Jessie J had different articulation and melisma in a different genre.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for future researchers in practical music as there is lack of data in this area. In addition, I wish further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vocal technique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