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栽植密度가 多穗多孼性 在來種 옥수수( Zea maysL.)의 生長特性에 미치는 影響

        이희봉 忠南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Plant height of Suwon #19 was highest regardless of planting densities and MET1 was smaller til1 80 days after sowing but from 80 days after sowing to harvested time MET 1 was higher than Puyo 3×2 and it's growth rate was better in low density than high density. 2. Number of tillers of MET 2was somehow higher than any other varieties lines Mean number of tillers of MET 1 line was 2.5per plant in early growing period, but was maximized up to 4.5 per plant around 80 days after sowing. 3. Fresh weight of all varieties lines were highest in 60×20cm planting density and till 80 days after sowing Suwon #19 was highest. In harvested time MET 1 was higher than other hybrids lines and was showed the increase of 2000kg per 10a around 100days after sowing. 4. Total dry weight also was showed the same trend as total fresh weight. Till 80 days after sowing Suwon #19 was shown the increase of 70kg per 10 a in 60×20cm, and around 100days after sowing MET1 was shown the increase of 210kg per 10a. Total dry weight was high significant with total fresh weight in 1% level. 5. In flowering dates, the significance was shown between varieties/ lines and MET lines were latest as 76 days. Flowering dat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nt height Short varieties/ lines tend to have late flowering dates. 6. Lodging of all varieties/lines were shown high in 60×20cm and MET 1 was 5.7%; three times higher than other hybrids (1.8%) varieties The significance was shown between varieties/lines. 7. Ear hefght of MET 1 was 208cm and Suwon #19 was 155cm and ear height with plant height was not significant. 8. 100K. Wt. of MET lines had 9gr. but of Suwon #19 and of Puyo 3×2 had 32.2gr. and 23.2gr., respectively. 9. The ratio of stalk and leaf to ear of MET1 was 36.2 % and Puyo 3 X 2 was the same results but Suwon #19 was high 41.9% The ratio of stalk and husk to leaf of MET l was higher than any other varieties/lines. But, the ratio of stalk and cob to leaf of hybrids were higher than any other varieties/lines. 10. MET 1 of production of dry weight per day per 10 a was 27.25kg Next, Suwon #19 was 24.28kg and MET2 and MET3 was 18.75kg. Puyo 3×2 was somehow smaller than MET2 and MET3.

      •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 Neuropeptide Y 및 Somatostatin 면역조직화학 반응 양성 신경원의 변화

        이희봉 전남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상적 증상 및 부검을 통한 Alzheimer형 노인성 치매 (senile dementia of Alzheimer type: SDAT)로 판명된 환자의 뇌조직을 부검시 얻어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대뇌피질 및 해마 CA1 영역에서 somatostatin (SST) 및 neuropeptide Y (NPY)-면역조직화학 반응 양성 신경원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DAT 환자 대뇌피질의 somatostatin-면역조직화학 양성 신경원 (SST-IR)은 대뇌피질의 여러 부위에서 심한 변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측두피질에서 가장 심했는데, 이는 노인성 신경반 형성과의 연관성을 뒷받침해 주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SST-IR 양성반응은 노인성 신경반과 비슷한 소견이었다. NPY -IR 신경원 또한 SDAT 환자 대뇌피질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SST-IR 신경원과 아주 흡사한 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2중 면역조직 화학 염색에서 NPY와 SST에 동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원이 관찰되었으나 두가지 물질을 공유한 신경원의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SDAT 환자의 해마의 CA1 영역에 있는 추체충에서는 SST-IR 및 NPY-IR 신경원들이 퇴행성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SST-IR 및 NPY -IR 신경원들 중 대뇌피질의 신경원들만이 SDAT 환자의 신경변성에 관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Neuropeptide Y (NPY) and somatostatin (SST) immune neurons were studied in the frontal, parietal, temporal cortices and hippocampus in the control and Alzheimer brains. The changes of somatostatin-immunoreactive (SST-IR) neurons were prominent in neocortices of SDAT brains, Necrotic plaque-like structure formation was the most common changes seen in the neocortices, especially in the temporal cortex. The morphology of altered SST-IR neuronal elements was similar to neurotic plaques, demonstrated by the Beilschowsky's silver impregnation methods. Apparently intact SST-IR neurons were also found in SDAT brains, thus giving rise to the speculation that these neurons may have unusual survival and reorganization potential. Unexpectedly, there were no nodegenerative changes of SST-IR neurons in hippocampus CAI region of SDAT. Similar neuropeptide Y-immunoreactive (NPY-IR) neuron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hree cortical areas of the Alzheimer's brain, but not in the hippocampus. Besides the alteration in form and size there were also fewer NPY-IR neurons in the cortices of Alzheimer's brains compared to control brains. By double antigen immunocytochemistry for SST and NPY, costoring neurons were observed but not altered in SDAT brai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mong SST-IR and NPY-IR neurons only neocortical short association neurons are affected in the neuronal degenerative changes of SDAT.

      • 패션코디 시스템을 위한 의복 3D 모델의 매핑소스 구현

        이희봉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의복 3D모델에 대한 매핑소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매핑소스는 의복 3D모델과 동일한 토폴로지를 갖는 2D모델과 텍스타일의 영상으로 구성된다. 의복 3D모델을 2D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은 봉제선을 경계로 하여 의복 3D모델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3D모델의 봉제선에 힘을 적용하여, 적용된 힘에 따라 물리적인 방법으로 의복 2D모델로 변환하고, 의복 2D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의복제작과 반대되는 과정으로, 의복 3D모델에 여러 가지 텍스타일을 매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과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게임 및 애니메이션에서 이미 제작된 3D 모델을 의복 코디네이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즉, 매핑소스를 쉽게 구성할 수 있어, 동일한 의복모델에도 다양한 텍스타일을 매핑할 수 있어, 고객의 취향과 체형에 맞는 의복 코디네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실감있는 3D 드래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3D모델을 자동 생성한 후, 의복 3D모델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자연스러운 드래핑을 하고 있다. This research establishes a realistic 3D Fashion coordination system considering the personal bodies and sense. At first, the Korean 3D model DB has the 100 kind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ex, body type, age, and application. A personal virtual character is made by deforming the Korean 3D model according to the personal body data and modeling the 3D face. The Cloth 3D model DB has the 39 kinds of the men's clothes and the 90 kinds of the women's cloths through automatic/manual generation and outsourcing.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mapping source construction of 3D clothe model. It is essential to map the various textures to 3D cloth model. Mapping sources consist of the textile textures and the 2D pattern of the 3D cloth models. The 2D patterns are obtained by mapping the 3D skirt models to the 2D plane by physical method. The process of Mapping sources are grouping and modification of the 3D cloth model, group separate, applying physical method to each group and 2D pattern adjustment. This paper also proposes a physical draping the skirt 3D models. The method constructs a 3D basic skirt model using a truncated elliptical cone and generates the various skirt 3D models by controlling the elliptical cone. then, a draping of the skirt is generated by physical method. Since the above methods coordinate the clothes of the various design and textile to the personal body, they implement the virtual 3D fashion coordination for considering the personal body and sense.

      • 폴리머 포옴의 압력 종속 항복 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희봉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폴리머 폼은 그 내부에 수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어서 일반적인 재료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머 폼은 흡음성이나 충격흡수성이 뛰어나고 다른 재료와 비교하여 체적 당 무게가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경량화가 요구되는 자동차의 내장재 및 bumpper, side bar 등 자동차분야와 포장재, 매트리스,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고 있는 추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폼의 특성 중 압력 종속 항복 조건에 관한 연구를 실험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유압을 이용하여 3축 응력 압축실험이 가능한 실험 기기를 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3축 응력을 변화시켜가며 반복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각 시편의 응력 변형률 곡선을 측정하고 각 시편의 항복 응력값을 계산하여 3축 응력 p를 증가시킴에 따라 항복 응력값 s_(y)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폴리머 폼이 압력 종속 항복 조건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해진 항복 응력값과 실험조건을 이용하여 Hu와 Pae에 의해서 제시된 3축 응력의 영향이 고려된 항복 조건식의 실험상수 값을 계산하여 항복 조건식을 정립하였다. 또한, Hu와 Pae가 제시한 다공질 재료의 항복 조건식을 폴리머 폼에도 적용시켜 실험을 통하여 실험상수를 구하여 항복 조건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Polymeric foams are excellent energy absorber and have found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especially in the automotive industry, because of their energy absorbing and recovery behavior during impact as well as lightweight and moldabl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methodology to characterize the pressure dependent yield behavior of energy absorbing polymeric foams. For the compression test in a triaxial stress state, a specially designed device was placed in a press machine to produce and control oil pressure. For the test material, polyurethane foams of two different densities were used. The displacement of the specimen, the load acting on the specimen, and oil pressure applied to the specimen inside a device were measured and controlled. Stress strain curves and yield stresses for the four different oil pressure were obtained. It was found from the present experiment that polyurethane foam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yield stress with applied pressure or mean normal stress. Based on this observation, a class of yield criteria which included the effect of the stress invariant originally proposed by Hu and Pae empirically were established for the present polymeric foams. The obtained experimental constants which constituted the pressure-dependent yield criterion were verified.

      • 관상동맥 분지부 병변에서 스텐트 시술 후 동시 풍선혈관성형술 유무에 따른 추적 관찰 비교

        이희봉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최근 관상동맥중재적 시술에서 약물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 DES)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존의 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현저하게 재협착률을 낮추고, 분지부 병변에서도 모혈관에서의 재협착률을 낮춘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분지부 병변에서 2-stent 테크닉이 다시 주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약물용출 스텐트에서도 1-stent 테크닉에 비해서 재협착률 및 재시술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Purpose 곁가지가 2.0mm 이상 큰 분지부 병변에서 모혈관에만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후 동시풍선성형술을 시행할지 여부에 대한 지침, 혹은 동시풍선성형술 유무에 따른 장기적 결과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지부 병변에서 모혈관에만 스텐트를 삽입한 후 동시풍선성형술여부에 따른 장기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Method 2004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36개월간 전남대학교병원 및 전주예수병원 심장내과에서 관상동맥질환으로 분지부병변에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시행받은 환자 중 곁가지 기준 직경이 2.0 mm 이상이고, 모혈관에만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 36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스텐트 삽입술 후 동시풍선확장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Group I 군: N=264), 시행한 군 (Group II: N=100)으로 분류하였다. 동시풍선확장술을 하게 되는 예측 인자와 동시풍선성형술 유무에 따라 이들의 3년간의 장기적 예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Result 분지부 병변의 관상동맥 중재술 동안의 방사선조사시간(p<0.001) 및 조영제양(p=0.024)은 Group II에서 사용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동시풍선성형술 후 마지막 곁가지의 TIMI flow는 Group II에서 유의하게 좋았다(p=0.007).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결과 분지부 병변에서 모혈관의 협착과 관계없이 곁가지 개구부의 50% 이상의 협착만이 모혈관에만 스텐트 삽입술 후 동시풍선성형술을 하게 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3년간의 장기적 결과에서는 두 군간에 death, MI, TLR, definite stent thrombosis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않았고, all death, MI, TLR을 포함한 total MACE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52) Conclusion 이상의 결과를 보면 곁가지가 2.0mm이상 큰 분지부 병변에서 모혈관에만 스텐트 삽입후 곁가지의 혈류가 TIMI 0 혹은 1 flow로 확연히 감소하거나, 곁가지 개구부 협착이 90% 이상으로 더 심해졌을 경우에 한하여 동시풍선성형술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항공기 정비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희봉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군 비행부대에 근무하는 항공정비사는 항공기 위주의 직무 수행으로 인해 타부서에 비해 현장 근무와 잦은 야근 등으로 항상 스트레스에 노출됨에 따라 이직, 질병 등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다. 그러므로 항공정비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직무만족 효과를 높이고, 결과적으로는 직무상 발생될 수 있는 인적결함(Human Error)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항공정비사 439명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계급, 근무년수, 작업기종, 소속부대)중 계급은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계급이 높아지면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탈피하고 전 정비사를 부하로서 동일한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에 대한 지원(상관의 관심, 업무 토의)은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일선에서 근무하는 관리자급은 반드시 획일적인 업무 보다는 세심한 지휘배려가 정비사 개개인에게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책임감은 직무만족 요인과 정(+)적 영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비사 개인에게 명확한 임무 부여를 통한 책임감을 부여 시에 개인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과거 정비 분야는 부대정비대대 정비사가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가질 것이란 생각을 해왔는데 본 연구 결과는 항공전자정비대대 정비사가 다른 대대에 비해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항공무기체계의 급속적인 발달에 따라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군의 항공정비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적으로는 각자의 목표 설정 및 업무수행 능력 신장, 지휘관은 명확한 업무지침, 직무환경 개선 등 지속적인 관심제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It's a common knowledge that in an aircraft centric working environment, such as an Air Force base, long working hours and frequent night-shifts exposes aircraft maintainers to enormous amounts of stress. This environment brings various negative results to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such as frequent relocation and contracting diseases resulting from fatigue. Therefore, I conclude that by decreasing aircraft maintainer's work related stress, his job satisfaction rate will increase and eventually will decrease human error at the work place. A survey, based on 439 aircraft maintainers, were conducted to assemble empirical data on work 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sing the SPSS WIN statistics tool,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for technology statistics, relational, and regression behavio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rank, years in service, types of aircraft, assigned base), military rank had no 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work related stress. This is contrary to the common opinion that higher rank experienced less stress. It showed the necessity to view the maintainers as a whole unit of subordinates. Second, organizational support (boss's attention, task discussion) played a key role in raising the job satisfaction rate. In other words, line managers need to keep in mind that prudent management practices, rather than mundane tasks, showed yielding higher job satisfaction rates among individual maintainers. Third, among the elements that caused work related stress, responsibility directly impacted work related stress. The job satisfaction rate increased as the maintainer's task responsibility increased resulting from clear understanding of tasks at hand. Fourth, the cause of work related stress at each maintenance unit were different. Despite past belief that among the maintainers, base-level maintainers experienced much higher stress,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ess level for (aircraft) electronic systems maintainers were the highes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cent exponential growth in the sophistication of the aerospace weapon systems may have caused this situation. Consequently, I conclude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rate among the aircraft maintainers, individuals needs to focus on establishing individual goals and enhancing job skills. And at the same time, the unit commanders should provide clear task instructions and show consistent concern towards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 한국·일본·영국의 빈집정책 비교연구 : 최대유사체계분석을 중심으로

        이희봉 한성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나날이 증가하는 빈집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빈집관련 제도를 마련하여 빈집정책을 추진하려는 구축단계에 있다. 그러나 아직 빈집정책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의 목표와 방향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빈집문제를 해결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 합의에 이를 만큼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빈집정책 목표와 방향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보다 빈집정책을 먼저 경험한 일본과 영국의 빈집정책에서 우리나라가 참조할 수 있는 사례를 탐색하고자, 최대유사체계분석 방법으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 수행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빈집정책의 중요한 통제변수는 주택증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증가량은 주택공급량과 빈집멸실량으로 구성된 유량의 변수로, 그 중에 주택공급량은 주택정책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 중에서 빈집정책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한 것은 빈집멸실량 뿐이다. 영국은 주택공급량을 빈집의 재활용 우선 적용하는 형태로 빈집의 수량을 감소시켜오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인구감소와 주택의 공급이 증가로 인한 빈집의 증가상황에서도, 주택공급을 통제하거나 빈집의 철거 수량을 늘리는 정책적 결단을 실행하지 않고 있었다. 빈집정책의 목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빈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므로, 주택공급과 빈집의 멸실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으려면 영국과 같이 빈집정책을 주택정책과 병행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주택통계상의 빈집비율은, 미분양주택 등과 같은 사용의도가 있는 주택이 포함되어 있어 공가율의 개념이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법」에서 빈집의 정의는 ‘사용의도가 없는 방치빈집’을 의미하므로, 주택통계에서 사용하는 빈집비율을 지표로 사용하게 되면 정책의 목표가 혼동된다. 통계상 빈집비율을 ‘공가율’로 바꾸어 부르거나, 빈집정책의 지표로 활용하는 빈집비율을 ‘방치빈집비율’로 칭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빈집정책의 목표가 더욱 명확하게 정립될 것이다. 셋째, 빈집은 우리 생활환경의 일부이며 잠재적 자원이다. 빈집문제는 주민 공동의 문제이므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의 노력은 이와 같은 시민의식의 함양과 참여저변의 확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Korea is currently in the stages of establishing policies to addres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vacant homes. However, the ‘vacant house policy’ has not provided a solution that satisfies society. This paper is addresses the objective of the ‘vacant home policy system’ in Korea and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In order to achieve success, cases seen in Japan and England, which have experienced ‘vacant house policies’ before, must be observed for reference. Comparisons have been made accordingly with similar cases see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trol variable of the vacant house policy is that increasing number of homes. The increasing supply of homes and demolished unoccupied homes create a flux,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homes. The supply of homes falls under the field of the housing policy. The only thing that can be changed through the vacant house policy is demolishing unoccupied homes. In England, the problem of vacant homes is being solved through the recycling of unoccupied homes. On the other hand, in Japan, even with the population decreasing and the supply of homes increasing, the government was not using any policies to control the supply nor to was it demolishing unoccupied homes. The objective of the vacant house policy is to reduce the number of unoccupied homes and the problems that come with them. To achieve this goal and effectively control the supply of homes and demolishing vacant homes. The vacant house policy must run parallel with the housing policy like in England. Second, the ratio of vacant homes shown in statistical research includes unsold homes and homes with intent to use. Vacant house should be defined as homes with not intent to use and those that have been neglected. In other words, if the statistics were to be used, then the objective of the vacant house policy is bound to become confused. Making the terms to describe vacant homes according to context to ‘ratio of empty homes’ or to ‘ratio of neglected homes, will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vacant house policy. Third, empty homes serve as a part of our lives and can even be considered a potential asset. Since unoccupied homes are a problem for citizens, seeking voluntary action is ideal. The governmen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itizenship and create a basis for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