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eoGebra를 활용한 함수적 표상 사이의 연결성 지도

        이효경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function using GeoGebra have an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functional represent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affective domai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at purpose, four periods of activity sheets related to learning of function using GeoGebra were developed. After two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ed inquiry learning using above activity sheets, the course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follow-up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From this, the followings were identified. First, students should regard their own problem-solving process as self- reflection with the belief that the results of GeoGebra is done correctly. Second, in GeoGebra environment, learning is done ‘from results to principles’, while ‘from principles to results’ in the paper-based environment, Third, the learning of function using GeoGebra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nectivity between functional representations students. Fourth, the learning of function concept using GeoGebra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 한국어 교재의 다의어 의미 분석에 대한 연구 : 동사 다의어를 중심으로

        이효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ducational status of polysemous words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most frequently used polysemous verbs and propose the polysemous verbs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n Chapter 1, the purpose, necessity and previous literature of the study and proposes research questions were revealed. Literature review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studies related to polysemous verbs, polysemous nouns and studies related to polysemous words educ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group. In Chapter 2, balanced corpus, raw corpus, tagged corpus were examined, and the theory of polysemy and lexical collocations were summarized to define the concept of basic meaning, extended meaning, collocation, collocate for this study. In Chapter 3, Korean language textbook corpus and balanced corpus as research subject are revealed. The selection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olysemous verbs, ‘하다, 보다, 가다, 되다, 오다’ was explained and proposes methods and procedures of analyzing the meaning, meaning frequency and collocation of the 5 selected verbs. In Chapter 4, the configuration of collocation of the 5 verb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divides meaning of each verbs were first analyzed. Then, meaning frequency of the 5 verbs was analysed from Korean language corpus and balanced corpus. Finally, the aspects of meaning presentation of the five verb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5, sugges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education field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include applic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collocation in teaching plan, supplementation of meaning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resentation of meaning by proficiency level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6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study and discusses limitation of the study. This study result provides useful resources for bo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r.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 다의어를 선정하여 한국어 교재에서의 다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한 다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다의어 연구가 일부 동사와 명사에 대한 연구, 학습자의 언어권별 다의어 교육에 대한 연구 중심이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다의어의 의미가 한국어 교재에 적절히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균형 말뭉치, 원시 말뭉치, 주석 말뭉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다의어와 연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기본의미, 확장의미, 연어구성, 연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대상으로 삼은 한국어 교재 말뭉치와 균형 말뭉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 다의어를 선정하기 위해 ‘UTagger’와 ‘Excel’의 ‘피벗 테이블’ 기능을 사용하여 다의어 ‘하다, 보다, 가다, 되다, 오다’를 선정하는 과정을 밝혔다. 또한 ‘Antconc’를 사용하여 연어구성을 분석하고 ‘Editplus’와 ‘Excel’을 활용하여 5개 동사의 의미와 의미 빈도를 분석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방법 및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5개 동사의 연어구성을 분석하여 각 동사의 의미 항목을 나누고 의미 항목별로 어떠한 연어구성이 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재 말뭉치와 균형 말뭉치에서 5개 동사의 의미 항목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5개 동사의 의미 제시 양상을 분석하였다. 동사의 각 의미가 한국어 교재의 어떤 등급에서 처음 제시되는지 교재별로 비교하고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동사의 어떤 의미까지 제시되는지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보다’의 연어구성을 활용한 수업 방안,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는 의미 항목의 보완 방안,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로 ‘되다’의 의미 항목을 제시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6장에서는 ‘균형 말뭉치’에 나타난 의미 빈도를 참고하여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다의어의 의미가 한국어 교재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등급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의미 항목을 제시해야 한다는 결론을 언급하였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다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어 수업을 하는 교사에게 적절한 참고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으며 교재 편찬자들에게도 교재 편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운영전>의 구조와 주제

        이효경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Unyoungjeon is an eccentric love novel which was enjoyed after the war of Imjin in the 17 century. It is a story that a scholar named Yuyoung played in the palace of Suseong, which was the palace of Anpyeong prince. He met unyoung, a court lady and his lover scholar Kim in his drunken dream. He listened to their tragic love story and he wrote a story. I tried to analyze the total structure of Unyoungjeon and investigate the theme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re-illuminate the literal valu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contemporary other novels. I investigated the total structure of Unyoung, which is the core of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triple frame structure and the shift of viewpoint. The story of Unyoung is a frame structure in the form of dream that Yuyoung, a dreamer meets Unyoung and scholar Kim in his dream and listens to their tragic love story. I investigated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the triple frame structure, which 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is thesis. First, in the first frame, which is the Ynyoung‘s dream world, I sought for the theme of alienation and emptiness. Second, in the second frame, which is the story of Unyoung and scholar Kim, I sought for the theme of their love. Third, In the third frame, the story that Unyoung confesses to Jaran, I sought for the theme of their friendship. I can say that these themes are connected closely. Finally, I compared and analyzed Unyoungjeon with jusaengjeon and choicheokjeon. I investigat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were represented in this novels. I arrange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17C eccentric love novel through this three novels. I re-illuminated the literal position of Unyoungjeo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is like this. Unyoungjeon describes the absord existential situation of a court lady, a class of special status. Unyoungjeon deals with the problem of love and desire, which man inherently has. Unyoungjeon deals with systematic inconsistency that Man is punished if he seeks love according to his own will and forces only obedience and chastity. This novel represented reality-oriented life view which seeks humanistic life importantly and justifies the pursuit of affection, which is the instinct of human. This novel makes the main character die and accomplish humanistic will rather than ambiguous compromise with society. The author borrowed the formal apparatus of dream story and used the triple frame structure to send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love effectively. This novel makes readers acquire reliance that they accept the story of Unyoung and scholar Kim as truth. I think that Unyoungjeon used the frame structure as an apparatus to send the aspect of that society.

      • 전환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진로정체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효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전환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 초4 패널, 중1 패널의 6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 2,057명, 고등학교 3학년 2,011명, 총 4,0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중학생이 높았고, 진로정체감은 고등학생이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정체감은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 또래, 교사 등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받는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는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하여 전환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환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사회적 지지 및 진로정체감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환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공고히 하고 건강한 진로정체감 형성을 위한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 전환기 청소년,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Transi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 Hyo – Kyoung Lee Educ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transition. Based on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6th year(2015) of the early 4th and 1st Grade panel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obtained. Data from 2,057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2,011 third graders in high school, total 4,068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 t-tests to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career senti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career sentiment,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is high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areer identity is high in high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i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also show that social support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it can help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ransition youth by mediating career identity. Therefore,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areer identity are important factors that may enhance th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Keywords: conversion youth, social support, feeling of direction, life satisfaction

      • Bilateral effect of the unilateral corneal nerve cut on both ocular surface and lacrimal gland

        이효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lateral cut of corneal nerve on the bilateral ocular surface and tear secretory function. Methods: 7 week-old femal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nerve cutting (NC) groups (n=60). The left cornea was partially incised with a 2.0mm circular trephine, through the upper half of the stromal layer. Lissamine green corneal staining and tear volum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corneal whole-mount staining using class III β-tubulin antibody was performed to assess corneal nerves. Flow cytometric analysis for dendritic cells (DCs), CD4+/CD8+ and regulatory T cells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neuropeptid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grading of corneal staining increased in the NC group, while the tear volume decreased over the four weeks. The nerve density decreased in bilateral corneas over two weeks. At day 14, CD11b+ or CD11c+ DCs and the mature DCs expressing CD86 or MHCII increased in bilateral cornea/conjunctiva. At day28, CD11c+CD86hi, CD11c+MHCIIhi, Th17 and IFN-ɣ secreting CD8+ T cells highly increased in bilateral draining lymph nodes. CD4+CD25hiFoxp3hi and CD8+CD25hiFoxp3hi regulatory T cells notably increased in spleen. In ELISA, NPY, CGRP and VIP were generally suppressed in the extra-orbital lacrimal glands at day14. Conclusions: The unilateral corneal nerve severing resulted in activation of the immune cells on the ocular surface and dysregulated lacrimal secretion bilaterally through the bi-directional neuronal signals. It suggests that the unilateral corneal nerve damage may alter immune homeostasis and mechanistical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inflammatory disorder such as dry eye. 목적: 단안의 각막 신경 절단이 양안의 안표면과 눈물 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7주령의 female BALB/c 쥐 60마리를 대조군과 신경절단군으로 나누었다. 신경절단군의 좌안 각막을 지름 2.0mm의 원형 절제기(trephine)로 각막 기질층 상부 1/2 깊이로 절제하였다. Lissamine green 각막상피 염색을 시행하였고 눈물량을 측정하였으며, 각막 신경을 평가하기 위해 class III β-tubulin antibody 를 이용해 각막의 온조직표본고정 (whole-mount) 염색을 시행하였다. 유세포분석을 통해 수지상세포, CD4+/CD8+ T 세포, 조절 T 세포를 분석하였고, 효소면역분석(ELISA)을 이용해 신경펩티드(neuropeptide)를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상피 염색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신경절단군의 양안에서 4주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눈물량은 신경절단군 양안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각막 신경 밀도는 양안 모두에서 2주동안 감소하였다. 14일째 희생하여 시행한 각막 및 결막의 유세포분석에서 CD11b+, CD11c+ 수지상세포와 CD11c+CD86hi, CD11c+MHCIIhi 세포가 양안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28일째 희생하여 시행한 배액림프절의 유세포분석에서 CD11c+CD86hi, CD11c+MHCIIhi 세포와 Th17과 IFN-ɣ를 분비하는 CD8+ T 세포가 양안에서 모두 증가해있었다. 비장에서 시행한 유세포분석에서 CD4+CD25hiFoxp3hi, CD8+CD25hiFoxp3hi 조절 T 세포가 증가해있었다. 실험 14일째 안와밖(extra-orbital) 눈물샘에서 시행한 효소면역분석에서 NPY, CGRP, VIP는 대체로 억제되어 있었다. 결론: 단안의 각막 신경 절단은, 이로 인해 촉발되는 양방향의 신경 신호 전달을 통해 안표면의 면역 세포들의 활성화와 양측 눈물샘에 대한 조절장애를 발생시킬 것이다. 이는 단안의 각막 신경의 손상이 면역 항상성을 변화시키고, 건성안과 같은 양안의 염증성 질환의 발생의 기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 朝鮮後期 民畵의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造形的 特性 硏究

        이효경 中央大學校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전통회화의 기법과 화법에 얽매지 않은 민화의 구도, 원근은 모두 자유스러웠다. 그들은 먼저 화폭 안에서의 여러 물체, 형상의 짜임새와 새로운 질서를 더 중요시했다. 진출색과 퇴거색을 통한 원근법, 중요한 것을 크게, 그렇지 않는 것을 작게 그리는 법 등 민화에 고유한 원근법도 썼다. 이러한 면에서 조선후기 한국의 책거리는 특별한 그림이다. 그 소재와 구도상의 특징, 색채 등은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현대 회화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한 보기 드문 정물화풍의 그림으로서 자유로운 시점과 구도 등의 독창적인 조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책거리 그림의 연원은 중국의 궁중회화이고, 그 중에서도 기명절지화로서 조선의 궁중이 그 모본을 그리게 된 시기가 17세기말에서 시작하여 18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전성기를 맞이하고, 다량으로 제작되었다. 19세기 초부터는 다른 회화양식과의 융합을 보이며 그 고유의 특이성을 잃어버리면서 점차 소멸하게 된다. 책거리 그림은 상류층에 걸 맞는 책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물건들 곧 종이, 붓, 벼루, 먹 등의 문방사우와 선비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화병과 꽃, 필통, 과일, 등잔, 도자기, 부채, 안경 등을 소재로 하였으며 그 소재들과 색채, 일반적 특성을 다른 민화와는 달리 입체적인 느낌이 나도록 사물을 표현하고 있다. 책거리 그림이 지닌 기법의 특수성은 다시점, 동시성, 정면성, 역원근법, 평행투시법, 반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자체에 특별한 뜻이 없는 수많은 일상용품들의 집합인 이 그림은 물체들의 형태, 선, 색깔들의 상호 조화나 균형을 위해 사물을 보는 사람의 눈을 한 자리에 고정시켜 투시하지 않고 삼차원 공간의 세 개 축(軸)안에서 시점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있다. 주제의 이미지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 문자와 책이 지닌 공통점, 상징적인 동, 식물의 등장이나, 책의 구조적 배치로 인하여 전체적인 화면이 새로운 세계를 구축함으로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또 다른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여백의 역할에 대해서도 거의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윤곽을 나타내는 선(線)과 색채로 화면 가득히 표현하고 있다. 전통예술이라는 것은 시대정신과 시대의 미의식을 담아내지 않으면 매너리즘에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전통은 언제나 극복되면서 재창조 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책거리 그림은 당시에 의식이나 생활과 사상 등을 반영한 그림으로서 뿐만 아니라 조형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흥미롭게 생각되며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고는 조선시대 민화 중 책거리 그림의 개념과 조형성을 살펴보며 그 그림이 지니고 있는 조형적 아름다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중국 산동지역의 문화 및 민요에 대한 연구 : 왕음선·위유금·이조방의 예술세계를 중심으로

        이효경 수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Popular folk music is like a precious gem in the Chinese music tradition. In particular, folk songs represented by popular songs of the general public are considered to be the essence of traditional popular music. From the old days to today, folk songs crea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efforts and sweat of workers have been an anchor and medium of emotional expression for the Chinese people. First of all, ethnically, Chinese folk songs can be classified into the Han Chinese folk songs and the Chinese ethnic minority folk songs. Secondly, according to geographic regions, they can be divided into folk songs of the Northwest, Northeast, Southwest, and North China. At last, concerning administrative division, China is divided into dozens of regions including Shandong, Shanxi, and Yunnan. Shandong folk songs examined in the study belong to the Han Chinese folk songs developed in Shandong Province in North China. It is the birthplace of numerous heroes, with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From this vast land, people of Shandong created Shandong folk songs, which is quite unique and yet representative of those developed in the Chinese nation. Shandong folk songs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 of Shandong through its long history and rich cultural implications. Since the foundation of New China, leading singers of Shandong folk songs, including Wang Yinxuan, Wei youqin, and Li Zhaofang,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Shandong folk songs as well as fostering many successors. The paper is divided in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paper and previous studies. The second part discusses the nature, history, and culture of Shandong and outlines the environment where Shandong folk songs developed. The third part analyzes and compar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ame clan issue of Shandong folk songs in three areas through detailed explanation. The fourth part describes the past development of Shandong folk songs through the lifetime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Wang Yinxuan, Wei youqin and Li Zhaofang as well as its current preservation and progress. It is hoped that the objective and detailed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handong folk songs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Shandong folk songs and Chinese culture.

      •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의 관계

        이효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지역연고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프로스포츠의 활성화, 즉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도록 지역주민의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지역연고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프로스포츠 구단, 지역주민 상호 간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의 재학생들 중 출생지가 대구광역시인 학생들로만 한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서 총 350명을 표집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을 적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으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로 판단되는 12부를 제외한 338(96.5%)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성향에 따른 지역애착도와 프로스포츠팀 동일시 및 충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직적 개인주의 성향,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지역친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팀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적 가치성향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문화적 가치성향의 수직적 집단주의 요인이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이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애착도가 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이 팀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지역애착도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이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 지역친분성이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팀 동일시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팀 동일시는 행동적 충성도와 태도적 충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팀에 대한 동일시와 충성도와 같은 적극적 참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팀 동일시와 팀 충성도는 개인의 집단주의적 성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연고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애착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지역연고 프로스포츠 구단의 발전에 지역사회 또한 관심을 가지고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대해 애착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힘써야 할 것이며, 비충성적 팬인 잠재고객의 특성 파악이 함께 수반된다면 스포츠 팬 행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establish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 among communities, pro sports teams, and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regional attachment by local residents' cultural value Inclination and their effects on local pro sports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in order to activate national pro sports based on local relations, or to induce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a total of 350 Daegu-born students at K University in Daegu,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by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of 350 copies returned, 338 (96.5%) comprised a valid sample, with the exception of 12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r showing some omissions. For data processing, an SPSS 15.0 program was used, and Cronbach'α coefficient was estimated to test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relations between regional attachment by individuals' cultural value Inclination and pro sports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which was tested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regional attachment, sub-factor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while 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cal acquaintanceship. Second,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team identification, the sub-factor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r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as for effects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n team loyalty, the sub-factor of cultural value Inclination, or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loyalty, whil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inal loyalty. Fourth, as for effects of regional attachment on team identification,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m identification. Fifth, as for effects of regional attachment on team loyalty, local identity and local dep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loyalty, while local identity, local dependency, and local acquaintance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inal loyalty. Sixth, as for effects of team identification on team loyalty, team identif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To put the results together, pro sports activation should be preceded by local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including team identification and loyalty, which are affected by personal collectivism and attachment to a community.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enhance a feeling of attachment to the community among local residents in order to activate national pro sports based on regional relations. It is necessary for communities to take interest in development of local pro sports teams and allow local residents to feel attached to them;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customers who are not loyal fans will be useful in analyzing sports fa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