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이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은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성할 수 있는가. 연구 2는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타당성이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을 것인가 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자기성장의 하위요소를 자기이해, 자기수용, 타인이해, 타인수용, 자기개방, 자기주장으로 도출하고,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평가모형을 구안한 후, 프로그램 내용및 조직을 구성하고 평가하였다. 실험/비교/통제집단으로 설계하고 사전/사후/추후에 이혜진, 김성회(2013)가 개발한 대학생용 자기성장 척도로 측정한 결과 자기성장 전체점수와 하위요소 점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어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비교집단은 자기성장 전체에서는 추후에서 효과의 지속성이 없었으며, 일부 하위요소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내용 및 조직 구성은 타당하게 구성되었으며,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hosphoresce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PHOLEDs)에 효과적인 Red Host의 합성과 특징

        이혜진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tar-shaped 형태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triazin 화합물을 사용하여 Organic Light-Emitting Diodes(OLEDs) 의 red host material을 합성하였다. 2,4,6-tris(3-methyl-4-(thiophen-2-yl)phenyl)-1,3,5-triazine과 2,4,6-Tris-(3-methyl-4-trimethy lsilanyl-phenyl)-[1,3,5]triazine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1H-NMR과 13C-NMR, mass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UV/Vis, Photoluminescence을 이용하여 광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TGA, DSC를 이용하여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UV에서 TMTPT 화합물은 용액상태에서 345nm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내었고 PL에서 393nm에서 최대 발광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을 때 화합물의 녹는점은 280℃로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TMSPT는 UV에서 286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고 PL에서 최대발광파장()은 354 nm로 자외선 영역에서 나타났다. 또한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을 때 화합물의 녹는점은 321℃로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Star-shaped compounds based on triazine core unit, 2,4,6-tris(3-methyl-4-(thiophen-2-yl)phenyl)-1,3,5-triazine(TMTPT) and 2,4,6-Tris-(3-methyl-4-trimethylsilanyl -phenyl)- [1,3,5] triazine(TMSPT) were synthesized and investigated their application as red host in Phosphoresce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PHOLEDs). The structures of all compounds were confirmed by the various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1H-NMR, 13C-NMR, mass spectroscopy. Thermal stability and photophysical property for TMSPT and TMTPT were also investigated by TGA, UV-visible, photoluminescence. TMSPT is emission with max 354nm and TMTPT is emission with max 383nm was observed. TMTPT shows high thermal stability with the loss of 2% weight at 289 oC. The electroluminescence(EL) characteristics were also investigated. A multilayer EL device with the configuration of ITO/CuPC(10nm)/NPD(40nm) /TMTPT-[tris(3-Phenylisoquinoline)][tris(3-Phenyl-isoquinoline)]Ir(Ⅲ)(20nm)/Alq3(40nm)/LiF(1nm)/Al(100nm) has been successfully fabricat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13.3% at 1mA/cm2 was achieved with this new host.

      • 청각장애 아동의 화용기술 분석 : 명료화행위를 중심으로

        이혜진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gmatic skill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ed on clarification behavior. Eighte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eighteen normal children,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 age(7, 9, 11),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in each group of 18 participants there were three pairs of 7-year-olds, three pairs of 9-year-olds, and three pairs of 11-year-olds. Participants were observed interacting in pairs who were well known to each other. Each pair of participants was asked to undertake 12 tasks, with one of them as the speaker for six tasks and the other as speakers for the matching six tasks. The participants were seated at the table opposite each other. One of the pair was designed speaker and the other the listener. Language samples from the sequences were audio and video-tap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children's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f requests for clarification and into five categories of conversational repair strategies, and the percent of occurrence of each category was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wo groups in the number of requests for clarification and conversational repair strategies used b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2. The proportions of specific request used b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The proportions of general request used b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wo groups in the proportions of minor repair strategy, repetition, confirming and no response except for major repair strategy. The proportions of confirming used b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The proportions of minor repair strategy, repetition and no response used b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7세, 9세, 11세 청각장애 아동의 명료화 행위를 중심으로 화용기술의 특성을 분석해 건청 아동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7세, 9세, 11세로 KEDI-WISC의 동작성 점수가 85이상이며, 바른발음문장검사(신문자, 199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어가 60%이상인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 아동 각 18명으로 모두 36명이었다. 각 집단은 각 연령 당 2명씩 그룹이 지어져 총 18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아동의 명료화 행위, 즉 명료화요구와 발화수정전략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사용 빈도율을 건청 아동의 명료화 행위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 아동은 명료화요구 사용의 총 빈도에서는 건청 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각장애 아동은 화자의 메시지에 대해 특정적 명료화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일반적 명료화요구, 함축적 명료화요구, 자발적 명료화요구 순으로 사용하였다. 건청 아동은 특정적 명료화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일반적 명료화요구, 함축적 명료화요구와 자발적 명료화요구의 사용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각 명료화요구 유형별 사용 빈도율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정적 명료화요구와 일반적 명료화요구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각장애 아동은 발화수정전략 사용의 총 빈도에서는 건청 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각장애 아동은 청자의 명료화요구에 대해 주 발화수정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확증전략, 부차적 발화수정전략, 무반응전략, 반복전략 순으로 사용하였다. 건청 아동은 확증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주 발화수정전략을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부차적 발화수정전략, 반복전략과 무반응전략의 사용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각 발화수정전략 유형별 사용 빈도율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 발화수정전략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 부차적 발화수정전략, 반복전략, 확증전략과 무반응전략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아동이 의사소통이 중단 될 때, 명료화 요구하기와 명료화 요구에 반응하여 발화수정전략을 사용하려는 의도는 건청 아동과 차이가 없으나, 의사소통의 중단을 회복하는 화용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아직 습득하지 못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입체조형 수업모형 연구 : 중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이혜진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미술을 통해 작가가 추구하는 이념과 삶의 모습 등을 비추어 볼 수 있다. 즉, 미술은 제작자와 감상자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감상자는 미술 작품을 통해 작가의 생각을 깨달아 알고 평가하여 문화적 정체성과 미적인 안목, 그리고 작품 비평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광범위한 미술 중 한 분야인 입체표현은 우리나라의 교육 목표라고도 할 수 있는 전인적 교육을 위해 손꼽히는 분야이다. 입체표현은 공간과 사물의 형상을 창조하는 일이므로 제작자 스스로 직접 재료와 맞닥뜨리고 경험하는 가운데 그 재료가 가니고 있는 표현 가능성과 특징을 몸소 체험함으로써 알 수 있으며 변화 있는 표현을 통해 자신의 깊은 내면 또한 표현할 수 있다. 청소년 사이에 이기주의와 학교폭력 팽배한 이 시대에 학생들로 하여금 대의적으로 또는 작은 의미에서 학생 스스로가 자신과 타인, 그리고 공동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계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 표현 수업에서 단순한 입체작품이 아닌 ‘우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 입체조형 제작 지도를 시행하여 자아성찰과 더불어 자신 뿐 아니라 타인, 그리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모든 것들을 생각해봄으로써 개성 있고 창의적이며 전인적인 인간교육에 일맥상통하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구성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서론으로서 ‘우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 입체조형제작 수업 연구의 목적, 내용, 그리고 방법 및 제한점에 대하여 명시한다. Ⅱ장에서는 입체조형의 개념, 원리, 그리고 조형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입체조형교육에 관한 이론을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입체 조형 수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소와 소조의 용어 정리를 통하여 조소의 표현기법과 표현요소를 고찰한다. Ⅳ장에서는 입체조형 제작 수업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 학습 지도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체조형 제작 수업을 실제로 시행한 후 학습자의 작품 결과를 관찰하고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여러 관점에서 본 논문의 가치를 다시 살펴보며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조형 제작수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은 평상시보다 흥미로운 수업이 이루어질 것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다. 평면 표현과 달리 촉각을 자극하는 입체 표현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 또한 신장시키는데 긍정적이다. 둘째, ‘우리’라는 주제로 제작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서로 배려하며 존중하는 마음자세와 협동심을 길러줄 수 있다. 작품제작 계획단계에서부터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발표하는 수업 마무리까지 ‘우리’라는 주제를 상기시킴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또한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인성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입체 작품 제작을 통해 미술의 기초 지식인 조소의 표현원리를 이해하고 효율적인 재료를 선택하여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입체 작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히 공간감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이 자신이 제작한 작품에 대해 작품설명서를 작성하고 표현의도 등 작품 설명에 대해 발표함으로써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과 더불어 자신감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작품의 창의성, 완성도, 재료의 활용도 등 감상 시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인의 작품을 존중하는 자세를 가지고 긍정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해온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인 호기심, 직관, 지성, 감성, 등이 골고루 발달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미적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균형 있는 조형감각이 발달할 수 있을 것이며 창의력을 신장시킴과 더불어 협동심 중심의 인성교육을 할 수 있다.

      • 지역사회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과 효과평가 : 고혈압당뇨병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program on the basis of educational needs of hypertension or diabetes patients and educators who had registered KHyDDI(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 Initiative) project. With the educational needs survey, the needs of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were surveyed on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methods and contents.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needs and knowledge were compared. The subjects were 44 educators in the center and 60 high-risk group patients who had attended four KHyDDI meetings from August to June, 2009. The staged educational program has been developed with the three scopes (disease, nutrition and exercise) and three stages (basic, In-depth and individual education). For the effect evaluation of this program, we measured clinical outcome change, self-management, self-efficacy,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nd behavior change stages with the subjects of 32 in the basic education group and 37 in the staged education group.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needs survey leaded to the development of graduated education program with small-grouped, 30min-one hour, 50%-50% of theory-practice ratio, three months of education and with the scopes of disease, nutrition and exercise. Five categories were applied to the education program cont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eeds and knowledge of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The first category wa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needs and knowledge that basic education of contents were repeated. The second was the category with low knowledge level in high-risk group and adjusted basic education were repeated in all the stages by effective practice method The third was the category with large standard deviation in high-risk group's knowledge and the items were treated in the individual education with the objective of skill acquisition. The fourth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between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and the fifth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s between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in-depth education contents were applied with high participation of high-risk group. Educator training was reinforced for the consistency among the educators by having them follow the standard manual of education method and environment. Reciprocal planning and management for the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were necessary in every stage to narrow the gap between educators and high-risk group. In the staged education program, the evaluation was done by measuring and comparing clinical outcome, self-management behavior, self-efficacy, and stage of behavior with the subjects of basic and staged educational groups. In the clinical outco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p<0.05), fruit intake, regular meal(p<0.05), vegetable intake, salty food intake(p<0.01), hospital visit in poor blood pressure(blood sugar), prescribed medication, consistent food amount(p<0.05), regular examination of complication, normal blood pressure(blood sugar), normal waist circumference, normal body weight (p<0.01), prescribed medication(p<0.05), non-salty food intake(p<0.05). In the practice-oriented staged education program, compared with theory-based basic one, on the basis of educational needs of patients and educa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 food habit, self-efficacy, knowledge, attitude, practice, stage of behavior.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 in small subjects and short postal management period, but continued and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this program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considering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 period of chronic disease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단 고혈압․당뇨병교육정보센터를 방문한 고위험군과 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육요구도룰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효과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교육요구도 조사는 교육목적, 교육과정구성, 교육방법, 교육내용에 대하여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고 교육내용 영역 및 내용에 대해서는 요구도와 인지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9년 6월부터 8월까지 4개 교육정보센터의 자조모임에 참석한 고위험군 60명과 교육정보센터 44명의 교육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질환, 영양, 운동 3영역의 기본, 심화, 개별 3단계로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교육정보센터에 방문한 기본교육군 32명, 단계교육군 37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임상적 지표, 자가관리행태, 자아효능감, 지식태도실천, 행위변화단계를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요구도 조사결과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요구도가 높은 소그룹형태, 30-1시간이내수업, 이론 50%와 실습 50% 구성과 형태로 주로 구성하며 과정이수기간은 3개월로 하는 질환, 영양, 운동영역의 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요구도 조사 결과 교육영역별 교육내용은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필요도와 지식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유무에 따라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 구성에 적용할 수 있었다. 첫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목은 기본과정내용으로 반복하게 하였고 둘째, 고위험군의 인지도가 평균점수 이하인 항목은 기본교육과정내용을 조정하여 효과적인 실습방법으로 모든 단계에서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고위험군의 지식정도 평균 편차가 큰 항목은 개별교육과정에 포함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습득을 목표로 다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지식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과 다섯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고위험군의 참여도가 높은 실습 중심의 심화교육으로 구성하며 교육자도 표준 매뉴얼에 따라 교육방법, 교육환경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교육자 간 격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교육자와 고위험군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자가관리 목표, 단기 계획 설정을 고위험군과 교육자 상호약속에 의해서 계획하여 실천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단계마다 필수적으로 포함시켰다.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기본교육군, 단계교육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지표, 자가관리지표, 자기효능감, 행위변화단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임상지표 중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p<0.05), 식습관평가 중 과일 섭취, 규칙적인 식사(p<0.05), 채소 섭취, 염장식품 섭취(p<0.01), 자기효능감 중 혈압(혈당)조절 불량시 병원방문,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 복용, 식사량 일정유지(p<0.05), 정기적으로 합병증 검사, 정상적인 혈압(혈당)을 유지, 허리둘레 유지, 체중 유지(p<0.01), 지식태도실천 중 실천항목 중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복용(p<0.05), 행위변화단계에서는 싱겁게 먹기(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된 실습 중심의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은 이론 중심의 기본교육프로그램과 비교한 결과 임상지표,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지식태도실천, 행동변화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수가 적고 추구관리기간이 짧았고 임상지표측정이 부족했던 한계점은 있으나 환자가 노인이며 만성질환환자로서 유병기간이 긴 점을 감안하면 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행한다면 환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과 자아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진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 5차 년도에 해당되는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다변인 분석을 활용해서 청소년의 비행을 체계적으로 밝혀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청소년 비행과 다양한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 청소년 비행을 자신관련 비행과 타인공격 비행으로 구분하였고, 청소년 비행의 영향요인인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사회적 배경변인, 심리적 변인으로 선정하여 각 변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 비행과 부모의 애착적․감독적․부정적 양육태도 사이에서 공격성과 자아통제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신관련 비행과 타인공격 비행의 주요 영향요인은 성별과 비행친구의 유무, 학교폭력의 경험 유무, 부모의 양육태도 등이었고, 공격성과 자아통제의 매개효과에서는 자신관련 비행과 타인공격 비행 모두에서 공격성과 자아통제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비행과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부정적 양육태도는 공격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며, 자아통제력을 낮게 해주어 자신관련 비행과 타인공격 비행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양육태도 자체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공격성과 자아통제는 부모의 애착적 양육태도와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의 애착적 양육태도는 공격성을 낮춰주고, 자아통제력을 높여주어 모든 비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부모의 감독적 양육 역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자신관련 비행에서만 공격성과 자아통제에 영향을 주어 비행경험을 감소시켰다.

      • 신앙성숙도와 직업소명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기독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혜진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대학생들의 신앙성숙도,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이 각각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규명하고, 신앙성숙도, 직업소명의 하위요인들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은 성별, 학년, 신앙연수, 경건생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기독대학생의 직업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기독교대학과 서울, 경기 소재 교회의 청년부에 속해있는 기독대학생이다. 대학교 수업과, 청년부 교제모임시간에 양해를 얻어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이 중에서 무응답 및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29부를 제외한 총 391부(남 178명, 여 21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통계 분석방법은 상관관계 분석, F-검증, 단순 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고 통계의 유의확률은 .05(5%)로 설정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반적인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신앙성숙도 및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 척도의 집단 간 차이 검증은 일원변량분석으로 구하였다. 또한 신앙성숙도 및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신앙성숙도 및 직업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앙성숙도,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각 변인과 진로결정수준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고 직업소명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으며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직업소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년, 신앙연수, 경건생활에 따른 신앙성숙도,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신앙성숙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직업소명과 진로결정수준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진로결정수준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신앙성숙도와 직업소명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신앙성숙도는 4학년이 나머지 학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수준의 경우 1학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연수의 경우 직업소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신앙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건생활의 경우 신앙성숙도와 직업소명, 진로결정수준 모두 경건생활이 없는 집단이 나머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수준에서 신앙성숙도가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앙성숙도가 증가할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기독대학생의 직업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업소명이 진로결정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소명이 증가할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기독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앙성숙도와 직업소명을 바탕으로 기독대학생 스스로가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해 통찰력을 가져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해당 진로가 자신의 인생에 부여하는 의미와 목적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로상담에서 이를 적용할 때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통찰력과, 자신의 직업을 통해서 주께 하듯이 해야 하고, 자신의 직업을 통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며 자신의 직업이 사회와 국가, 나아가서 전 세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한다는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of students think that mathematics is important subject but find it boring and hard to study. One of ways to encourage them to be interested in math is to find a specific teaching method for beginning step of the math class.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teaching is expected to decrease when students do not find any interest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Animation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tool for the beginning of the class as most students like it. This may induce a positive response from students when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know if it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apply animation for math class.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 question for the research. 1. Does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influence accomplishment of learning? 2. Does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influence attitude? We may find the effect of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when examining <The number & operation> for the 1^(st)grade high school students. Two groups composed of the 1^(st)grade high school students of D high school in Seoul were chosen for the research. They were then separated into 2groups;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the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and control group which was not.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2groups were exposed to 8times of animation applied mass class. A researcher verified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pretest and posttest and then analyzed the experimental log. The research data is as follow. At first, the average score of each group's pretest for learning achievement was identical. When exposed to the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2.51 point was increased in their posttest result. 1point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s posttest result. Nevertheless, we cannot see it as reliable data Secondly, the average pretest score for both groups` attitude was the same. When exposed to the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0.21 point was increased in their pretest result, which is regarded as reliable data.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s 0.03 increased point for pretest does not mean it is reliable data.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attitud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log, lastly, we found that students were excited about the animation applied math class and became interested in it,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We also found that students` point view on the animation could be variable. High class students made an effort to find out what the relation between the animation and class is. Low class students, on the other hand, tended to be more focused on enjoying animation for fun. The more complex the animation applied class was, the harder they could understand. After taking everything in consideration, we can conclude the animation applied class does not hav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achievement of math learning. Rather, we can say that it doe not influence the students negatively because their achievement shown in posttest was not decreased. Additionally, the animation applied class induces students to improve their attitude and brings about their interest in math which was shown in the experimental log. We would say that the research has its limit as the animation applied class was to be performed more than 8times to verify its effect.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research which is available for 1 semester or 1year to perform to have reliable result. Currently, we cannot find any other good animation tools for teaching. We may use the animation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매체인 애니메이션을 도입 부분에 적용한 수업을 실시해 보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학 수업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가? 2.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학 수업을 수학적 태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수학10-가의 <수와 연산>단원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학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시 D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사전검사 점수로 통계 처리한 결과가 동질집단으로 검증된 두 반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설명으로 도입한 수업을 실시한 통제반으로 구분하였다. 8회의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업 후에 실험반, 통제반의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였고, 수업 효과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는 학습자가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동안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사전 검사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의 평균이 같았다.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업을 실시 한 후, 사후검사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의 평균은 2.51점 향상하였고, 통제반 학생들의 평균은 1점 향상하였다. 그러나 두 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사전검사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의 평균이 같았다.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업을 실시 한 후, 사후검사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의 평균은 0.21점 향상하였고,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의미 있는 결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통제반 학생들의 평균은 0.03점 향상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으로 도입한 수학 수업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동안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흥미를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런 태도는 수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준별로 애니메이션을 보는 관점이 달랐는데, 상 수준의 학생들은 애니메이션과 수업 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려고 노력하였으나 하 수준의 학생들은 애니메이션의 단순한 재미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고 내용이 어려워지면 이해하기 힘들어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애니메이션을 도입한 수학 수업은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사후검증에서 성취도가 하락하지는 않았으므로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도입한 수학 수업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관찰일지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흥미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