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전차선로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이학표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철도는 도로 등 타 교통수단에 비해 속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해 수송 분담율이 저조한 ----- 중략

      • 철도 전차선주의 내진성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이학표 又松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지금까지 적용되어 온 전차선주 기초 작용하중 선정기준(KR E - 03080)에 지진하중은 구조물 무게 중심을 작용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는 구조물 질량의 6%, 수직방향으로는 구조물 질량의 3%만큼 추가하중을 부과하여 지진에 대응하고 있는데 이에대한 적정성여부의 검토를 수행하였다

      • 기후변화에 대비한 하수관거시설의 계획우수량 설계기준에 대한 일반극치분포 분석

        이학표 中央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후변화로 인하여 집중강우의 강도와 빈도가 과거에 비해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하수관거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사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하수관거로 인한 도심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하수관거의 서비스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예측하고 현재 적용하고 있는 설계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EV 분포와 Gumbel 분포의 모델식에 서울시의 과거 강우량을 적용하여 정상계열과 비정상계열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후가 변화하는 경우의 비정상계열 해석에는 위치매개변수에 시간을 고려하여 강우특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분포 모델식을 제시하였고 비정상계열의 핵심매개변수인 위치매개변수를 분석함으로써 비정상계열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해 보았다. 산정한 확률강우량을 정상계열의 확률강우량과 비교․검토한 결과 비정상계열의 확률강우량이 정상계열에 비해 같은 재현기간임에도 불구하고 GEV의 경우 최소 1.1mm, 최대 6.2mm 증가 하였고 Gumbel의 경우는 최소 1.0mm, 최대 4.6mm 증가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사상이 증가함을 나타내는 변수 에 대한 신뢰율을 분석한 결과 지속시간 10분과 60분의 경우 GEV 분포에서는 각각 65.8%와 75.8%이었으며, Gumbel 분포의 경우 80%이상의 신뢰율를 나타내었다. 이뿐만 아니라 위치매개변수에 연 최대강우량의 변화율를 적용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재현기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설계재현기간의 평가를 가능하게 했다. 강우사상의 증가로 지속시간 60분의 경우 시간이 50년이 경과 했을 때 GEV 분포는 재현기간 30년이 재현기간 17년으로 감소하고 Gumbel 분포는 30년 빈도가 15년으로 감소하였다. 이렇듯 비정상계열의 관점에서 하수관거의 서비스능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기대수명과 설계빈도를 재평가하여 새로운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제시 할 수 있었다. Climate change has brought variations of intensity and frequency of storms compared to those of the previous years. Accordingly, precipitation events that exceed the capacity of the sewer system frequently occur and then urban sewer system often fails to cope with the excessive waters, resulting in more damages due to flooding in the cities.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service of the sewer system in a safe and cost-effective manner, therefore, the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should be predicted and the currently applied design criteria for storm sewers need to be re-evaluated as well. In this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on both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climate were implemented using past rainfall data measured in Seoul with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and Gumbel distribution. In the non-stationary climate,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were estimated considering the location parameter including the variable of time. After the location parameter, the core parameter of bo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in non-stationary state, was obtained, probable rainfall depths were estimated under climate change. When the probable rainfall depth estimated in non-stationary climat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stationary climate, it increased by 1.1mm to 6.2mm for GEV distribution and by 1.0mm to 4.6mm for Gumbel distribution during the same return periods used in each compu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ncertainty on the parameter indicating the variation of rainfall depth due to climate change, confidence values of in GEV distribution was 65.8% and 75.8% and those in Gumbel distribution greater than 80% in each 10 and 60 minute duration, respectively. As the rate of change in annual maximum rainfall was applied to the estimated location parameter, the temporal change of the return period could be predicted, thus making it possible to evaluate the design return period. When 50 years was to pass, in the case of 60 minute rainfall duration, 30 years of return period was reduced to 17 years in GEV distribution and 30 years to 15 years in Gumbel distribution. Therefore, the life expectancy and design return period of the sewer assets could be re-evaluated and the design criteria for sewer system should be newly suggested, considering the temporal change in sewer service capabilities under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