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의 연령에 따른 하악 치조골 골밀도

        이철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하악 치조골의 골밀도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남녀별, 연령별, 치아 부위별 및 협·설 피질골과 해면골별로 비교함으로써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측정 부위의 정상교합자를 10대에서 60대까지 나누어 분석하고, 연령별로 남녀 5명씩 선정한 후 CBCT 촬영 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다음 EZ3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치부에서 대구치부까지 12부위를 선정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 Hounsfield unit(HU)으로 표현하였다. 각 부위에서 얻은 평균 골밀도를 남녀, 연령, 부위에 따라 나누어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 평균 골밀도는 10대 협측 피질골 635.8 HU, 해면골 353.5 HU, 설측 피질골 695.6 HU, 20대 협측 피질골 1090.5 HU, 해면골 493.1 HU, 설측 피질골 1143.4 HU, 30대 협측 피질골 996.6 HU, 해면골 496.8 HU, 설측 피질골 1035.6 HU, 40대 협측 피질골 962.3 HU, 해면골 432.1 HU, 설측 피질골 949.3 HU, 50대 협측 피질골 845.6 HU, 해면골 369.9 HU, 설측 피질골 913.2 HU, 60대 협측 피질골 699.1 HU, 해면골 170.3 HU, 설측 피질골 657.4 HU로 나타났다. 2. 부위별 평균 골밀도는 전치부 협측 피질골 733.1 HU, 해면골 389.8 HU, 설측 피질골 738.5 HU, 견치부 협측 피질골 781.7 HU, 해면골 398.9 HU, 설측 피질골 828.7 HU, 소구치부 협측 피질골 886.9 HU, 해면골 384.2 HU, 설측 피질골 973.8 HU,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 1084.9 HU, 해면골 370.9 HU, 설측 피질골 1055.3 HU로 나타났다. 3. 각각의 부위에서 남녀의 평균 골밀도를 비교한 결과 72개의 조사부위 중 50대 소구치부 해면골과 60대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은 남자가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하악 치조골의 협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20~60대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하악 치조골의 해면골 골밀도는 전치부, 견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60대에서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10대, 50대, 60대에서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낮아졌다. 20~40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하악 치조골의 설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10~60대에서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하악 치조골 골밀도의 연령별 수치를 알 수 있고, 나이변화에 따른 골밀도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부위별 골밀도 수치도 알 수 있어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ndibular alveolar bone density by sex, age and posi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Maxillofacial CT scan data was obtained from 60 Korean patients(30 males, 30 females). We selected 5 males and 5 females's data with normal occlusion at each ages from 10s to 60s. Alveloar bone density was measured at buccal cortical bone, cancellous bone, and lingual cortical bone, and at the position of incisor, canine, premolar, and mol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bone density of the first decades was 635.8 HU(Hounsfield unit) at buccal cortical bone, 353.5 HU at cancellous bone and 695.6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second decades, 1090.5 HU at buccal cortical bone, 493.1 HU at cancellous bone and 1143.4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third decades, 996.6 HU at buccal cortical bone, 496.8 HU at cancellous bone and 1035.6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fourth decades, 962.3 HU at buccal cortical bone, 432.1 HU at cancellous bone and 949.3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fifth decades, 845.6 HU at buccal cortical bone, 369.9 HU at cancellous bone and 913.2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sixth decades, 699.1 HU at buccal cortical bone, 170.3 HU at cancellous bone and 657.4 HU at lingual cortical bone. 2. The mean density of incisor area was 733.1 HU at buccal cortical bone, 389.8 HU at cancellous bone and 738.5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canine area, 781.7 HU at buccal cortical bone, 398.9 HU at cancellous bone and 828.7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premolar area, 886.9 HU at buccal cortical bone, 384.2 HU at cancellous bone and 973.8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molar area, 1084.9 HU at buccal cortical bone, 370.9 HU at cancellous bone and 1055.3 HU at lingual cortical bone.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sex except in the 50s premolar cancellous bone and 60s molar buccal cortical bone. 4. At buccal cortical bone,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40s in incisor area, at 20s in canine and premolar area, at 20-30s in molar area. It was in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 at 20-60s. 5. At cancellous bone,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30s in incisor, canine, premolar and molar area, and was decreased distinctly at 60s. It was de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s at 10s, 50s and 60s. There was no stastically differences among in anterior-posterior areas at 20s, 30s and 40s. 6. At lingual cortical position,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s, 30s and 40s in incisor area, at 20s in canine and premolar area, at 20s and 30s in molar area. It in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 at all ages.

      • 20 L 시험챔버를 이용한 가구의 오염물질 방출량 평가방법 개발

        李喆元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n interest of an indoor air quality has been increased as most of people spend a long time inside a house and building. In recent days, sick house syndrome was big issued in a serious social problem since an indoor air quality significantly affects our health. The major reason inducing this kind of sick house syndrome is due to interiors such as building materials, furniture, various living materials. Among those materials, the furniture is major contamination source because the furniture (0.5 7 m²/㎥) shows larger emission area than wall paper (1.0 m²/㎥) and floor material (0.5 m²/㎥). Som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toluene could be reduced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furniture. Hence, the indoor air qual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emission rate from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because pollutant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are mostly caused by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In Korea, pollutant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measured using 20 L small chamber method, but test methods for large items such as furniture and electrical products are not developed. Otherwise, large chamber methods are used to test large items in other countries. The large chamber methods are not popular and cost effective to measure concentration of VOCs and formaldehydes. The domestic companies producing furniture have some difficulties to use large chamber method because of poor capital. Therefore, new test methods for effective price need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20 L test chamber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results of large chamber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changes of emission rate with loading rate of cutting surface of furniture showed the volume of chamber did not affect emission rate, but loading rate was significant for emission rate.In addition, this experiment confirmed the possibility to estimate the results of large chamber method using the results of small chamber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20 L small chamber after cutting the materials (woods, coated panels and boards) of furniture to small pieces. The results were used to develop the new method estimating the emission rate of whole furniture by considering the loading rate. The pollutants emitted from cutting surface needed to be evaluated since most of aldehydes are emitted from the cutting surface. E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coated surface and cutting surface were quite different. Therefore, the emission rates of the coated and cutting surface were measured separately. By comparing present test method with previous test method, the possibility of test for cutting surface was confirmed. The efficiency of low VOC tape was tested to estimate the emission rate from cutting surface with and without low VOC tape. The test results between small chamber and large chamber methods for wardrobe and kitchen furniture were compared. The emission rates of TVOC and formaldehyde for wardrobe using small and large chamber were 0.71 mg/(unit·h), 0.07 mg/(unit·h), 0.66 mg/(unit·h) and 0.05 mg/(unit·h), respectively. In the case of kitchen furniture, the emission rates of TVOC and formaldehyde using the small and large chamber were 1.14 mg/(unit·h), 0.02 mg/(unit·h), 1.03 mg/(unit·h), 0.03 mg/(unit·h),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TVOC and formaldehyde using small and large chamber method for wardrobe and kitchen furniture was around 10 % and 40 %, respectively.Therefore, the results of TVOC and formaldehyde indicated small chamber method could predict the emission rate for whole furniture effectively. Developed new method is useful to improve products emitting low VOCs since it is possible to verify main parts releasing VOCs and HCHO. Without additional test, the emission rates ofother furniture containing same materials can be predicted. In addition, this new small chamber method is cost effective because of above reasons.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출전 선수들이 경험한 홈경기 효과

        이철원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 참가한 한국 선수들이 경험한 홈경기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내용은 Cola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13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이 파악되었으며, 이에 관한 원자료가 지닌 본래 의미를 최대한 보존하는 선에서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general restatement)’로 재진술 하였다. 이를 통해 44개의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로 범주화하였다. 구성된 의미들을 구조화 작업을 통해 총 15개의 주제(theme)를 도출했으며 4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과 2개의 범주(category)로 분류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서 다수의 홈경기 효과를 경험하였다. 홈경기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하여 행정적 지원, 컨디션 조절, 멘탈강화(동기부여) 등을 경험하였다. 이런 효과들은 참여자들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경기장 사전적응에 관해 대한체육회와 연맹의 행정지원, 홈경기라는 특성상 시차 적응과 비행 피로 전무(全無)로 인한 컨디션 조절 용이, 홈 관중 응원에 의한 동기부여를 가장 강하게 경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선수들은 홈경기였기에 감수해야 했던 사항들로 인해 경기준비와 휴식시간에 큰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하였다. 특히, 홈경기라는 특성상 숙소와 경기장 이동 시 한국 관객과 언론의 관심 때문에 훈련방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여자들은 원치 않는 상황에서도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홈경기라는 특성상 언론과 관객들의 관심에 부응하지 못할 시 경험하게 될 부정적 여론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서 홈경기와 관련한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관객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올림픽대회의 특수성이 선수에게 갖는 의미를 이해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선수들의 정상적인 경기력 발현을 위해 부정적인 요인들은 지양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 자료가 향후 동계올림픽대회 참가 선수들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으로 개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home ground effects experienced by Korean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athletes among the participant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zzi. As a result, 21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identified, and the raw materials were re-examined as a ‘general restatement’, to the extent that it preserves the original meaning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is, 44 'formulated meanings' were categorized. A total of 15 them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constructed meanings,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theme clusters and two categori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ome home ground effects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e positive aspects, administrative support, balancing of condition, and mental strengthening were mentioned. These certainly played a positive role on their performance. In particular,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the Federation on the pre-adaptation of the stadium, not being exposed to jet lag and flight fatigue, and motivation from the support of the home audience were the strongest of all. Negative effects were also mentioned. The players said that they were under a whole lot of stress during the preparation and break time just because it was a home game. In addition, due to the environment of a home ground, it was found that their training was frequently interrupted due to the interest of the Korean audience and the media, when moving to the accommodation and the stadium. They indicated that they were forced to accept it even when they were not in the mood. These were all triggered by the concerns about negative public opinion, when the game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media and the audience. This research showed that athletes came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experiences related to home games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y were expecting for the audience and other officials to understand what the specialized characteristics of the Olympic Games means to them. Moreover, they wanted continued support for positive factors, while avoiding negative factors, for their normal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this data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management program for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Winter Olympics.

      • 유해조류의 적응을 방지하기 위한 딥러닝과 강화학습을 활용한 퇴치 시스템의 구현

        이철원 건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이 경작을 시작한 이래로 유해조류는 논, 밭, 과수원과 같은 다양한 농업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유해조류는 인간의 생활에 해를 입하는 조류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비둘기, 참새, 까치, 직박구리, 그리고 박새와 같은 조류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유해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다양한 퇴치 방법과 장치들이 연구되어졌지만 여전히 유해조류로부터 매년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이는 유해조류가 퇴치 위협들을 빠르게 학습하고 적응할 수 있는 생물학적인 특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해조류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해조류의 적응을 방지할 수 있는 방식의 퇴치 기법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해조류의 적응을 방지하기 위해 딥러닝과 강화학습을 활용한 퇴치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다양한 환경에서 유해조류를 탐지하기 위해 비전센서를 사용하며, 비전 기반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인 Faster R-CNN을 활용하여 유해조류를 행동에 따라 분류하는 Wild Bird Behavior Classification(WBB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탐지 기법을 기반으로 유해조류의 반응을 Long-term과 Short-term으로 구분하여 적응을 판단하고, 유해조류의 반응에 따라 가장 적응할 수 없는 형태의 퇴치 소리 위협를 가하는 방식의 기법을 제안한다. 위협 수단에 적응하려는 유해조류의 반응을 학습하기 위해서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과 몬테카를로(Monte Carlo) 이론을 활용한 Anti-adaptation Wild Birds Repelling(AWBR)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한 WBBC와 AWBR알고리즘을 실제 유해조류인 직박구리, 까치, 박새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WBBC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학습시키는 방법보다 3.6% 개선된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평균 95.7%의 탐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또한 AWBR 알고리즘은 기존에 사용되던 소리 재생 기법들보다 평균 43.5% 더 긴 시간 동안 유해조류를 퇴치하고 적응을 방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실제로 딥러닝과 강화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유해조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음 검증하였다. Since humans began farming, wild birds have been seriously damaging various agricultural environments, such as orchards. Various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repel these wild birds, but wild birds are still causing damage by adapting new methods of repelling because of their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prevent the adaptation of these wild birds. In order to prevent adaptation of wild birds, In this paper, detection and repelling algorithm are proposed. The detection algorithm is a Wild Bird Behavior Classification(WBBC) that can accurately detect wild birds using the Deep Learning and wild bird behavior classification method even in a complicated agricultural environment such as orchards. The repelling algorithm is Anti-adaptation Wild Birds Repelling(AWBR) that can prevent the adaptation of wild birds through the learning to responding wild bird using the Monte Calro theory of Reinforcement Learning. We have verified the proposed WBBC and AWBR algorithm through experiments. The WBBC algorithm is improved the detection accuracy of 3.6% according to wild bird's behavior classification method using Faster R-CNN than general methods and achieved an average detection accuracy of 95.7% in various our experiment environments. The AWBR algorithm evaluated the adaptation prevention performance using the captured wild birds in around orchard, such as the Brown-eared Bulbul, Great Tit, and Eurasian Magpie. This repelling algorithm has verified that the adaptation prevention effect through learning wild bird by long-term and short-term policy is improved by 43.5% longer than previous threat sound playing methods.

      • 스마트폰을 활용한 지능형 로봇 SLAM 기법의 오버헤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철원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우리는 지능형 로봇의 계산적 슬램 오버헤드를 개성하는 새로운 계획을 제안한다. 아이디어는 스마트폰의 유휴자원을 하나의 슬램 프로세서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로봇과 스마트폰이 협력하는 하나의 새로운 모델을 디자인하였다. 실험결과로, 우리는 스마트폰이 슬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매우 도움이 되고, 로봇이 더 빠르게 움직일 때, 스마트폰으로 인한 이득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 ARM 920T 프로세서 기반의 초음파 SPIROMETER 구현

        이철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흡 측정기는 수년 동안 여러 연구 과제로 실행이 되어 왔지만 실용화 단계에 앞서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은 사례가 많았다. 또한 현재 실용화된 1세대 호흡 측정기는 센싱 방식에 있어서 터빈을 이용하여 그 회전율로서 호흡의 흐름 및 양을 측정하고 있어나, 그 방식 자체에 갖고 있는 단점으로는 호흡의 측정이 측정 시작과 측정의 끝 부분에서 터빈관성에 의해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2세대 측정방식에서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법으로 호흡시 저항체에 의한 간섭율을 압력의 변화로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호흡량 및 흐름을 측정하는 방식이 있이나, 이 방식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항상 교정을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시에 불편함을 가져오고 있다. 그래서 3세대 방식으로 제안하는 방법이 관성 및 압력의 오차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그리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호흡 측정방식이 연구 중이다. 폐활량 검사기는 호흡 기체의 용적 유량의 순간적인 변화량을 측정하는 의료기기 이다. 과거에는 기계식 폐활량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유체 흐름의 “양” 변화를 유체의 압력 변화로 전환시키는 차압식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압력 손실과 유지 보수가 힘들고, 특성 검사 주기가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써 초음파의 송수신시 매질인 공기의 흐름에 의한 반송형식인 초음파의 전달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호흡량 및 흐름을 측정한다. 이 연구는 현재 초기 단계에 있어 기초 초음파 센서의 연구 개발, 신호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의 설계, 처리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환자를 대상으로 약한 호흡에서도 폐활량 측정이 가능 하도록, 관성의 오차 및 압력의 오차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송수신시 초음파 신호를 향상시켰으며, ARM 920T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약한 호흡에도 정확하고 빠른 검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단순성 골낭종의 스테로이드 주입술

        이철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단순성 골낭종에서의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단순성 골낭종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4세에서 46세까지 평균 15.2세였고, 남자 12명, 여자 14명이었으며, 추시기간은 9개월에서 64개월까지 평균 27개월이었다. 상완골 7예, 대퇴골 7예, 종골이 8예, 그리고 요골, 척골, 경골 및 거골이 각 1예였다. 총 26예에서 세침 흡인술로 병변에 도달하여 낭종액을 배액 후 DepomedrolⓇ (methylprednisolone acetate, 파마시아코리아, Korea)을 1회 최소 80 mg에서 최대 240 mg까지 주입하였다. 추시 방사선 촬영은 투여 후 적어도 12주 간격으로 시행하였고 호전이 보이지 않을 경우, 추가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재투여 하였고, 최대 8회까지 시행하였다(1-8회, 평균 2.5회). 치료 결과는 방사선 사진을 판독하여 정하였으며, 추시기간 중 효과 판정 방법은 Oppenheim의 분류에 의하여 치유, 호전, 불완전 폐쇄, 재발로 평가했다. 그리고 치유 또는 호전을 치료 성공으로 불완전 폐쇄 또는 재발을 치료 실패로 규정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스테로이드의 한번 주입으로 완전 치유된 예는 없었으며, 1회 주입한 6예 중 3예(호전 3예)(50%), 2회 주입한 9예 중 6예(치유 4예, 호전 2예)(66.7%), 3회 주입한 6예 중 6예(치유 3예, 호전 3예)(100%), 4회 이상 주입한 5예 중 4예(치유 3예, 호전 1예)(80%)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이는 치료 성공을 보였다. 상완골 7예 중 치유 4예, 호전 2예, 불완전 폐쇄 1예였으며, 대퇴골 7예 중 치유 3예, 호전 2예, 불완전 폐쇄 1예, 재발 1예였으며, 종골 8예 중 치유 1예, 호전 3예, 불완전 폐쇄 4예였다. 그리고 경골 1예에서는 치유, 요골과 거골의 각 1예에서는 호전을 보였으며, 척골 1예에서는 치유를 보였다. 장골에서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17예 중 14예(치유 9예, 호전 5예)(82%)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단골(거골, 종골)에서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9예 중 5예(치유 1예, 호전 4예)(56%)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16세 이하에서 장골에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14예 중 11예(치유 8예, 호전 3예)(79%)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17세 이상에서 장골에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3예 중 3예(치유 1예, 호전 2예)(100%)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16세 이하에서 단골에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4예 중 3예(치유 1예, 호전 2예)(75%)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17세 이상에서 단골에 단순성 골낭종이 발생한 경우는 총 5예였으며 그 중 2예(호전 2예)(40%)에서 호전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특히, 17세 이상에서 단골의 단순성 골낭종에 있어 스테로이드 주입술에 잘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단순성 골낭종의 위치에 따른 치료 결과는 장골에 비교하여 단골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로이드의 국소적 주입 요법은 장골에서 높은 치유율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으며, 단순 골낭종의 치료에 있어 일차적 치료법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셀룰러 휴대폰의 전자파가 인체두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철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SAR가 휴대폰 케이스 차폐 유, 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파 흡수율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임상 실험은 불가능하므로 인체와 동일한 전자적 성질을 가지는 모의 인체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단말기 전면 케이스와 뒷면 케이스에 차폐를 통하여 전계와 자계를 비교함으로서 실제적으로 자계가 전자파흡수율에 영향을 미침을 비교하였다. 휴대폰 전자파가 인체보호기준의 전계장강도와 흡수율(SAR)의 수치를 넘을 수 없음을 제시 하였으며 ANSI/IEEE C95.1- 1992 RF 안전 지침서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전자파 장비에 대하여 안전을 유지하려면, 몸 전체에 대해서 평균한 전자파 흡수율이 0.08mW/g이하일 것과, 임의의 인체 조직의 전자파 흡수율을 정육면체 모양으로 1g 평균을 취한 SAR 값이 1.6 mW/g을 초과하지 않을 것, 손, 손목, 발, 발목은 10g 평균을 취했을 경우에 4mW/g이하의 단말기 설계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 하였다. 전자파 흡수율 실험 시스템은 위치제어용 로봇과 SAR실험용 프로브 및 모의 인체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휴대 전화등 전자파원으로부터 모의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 에너지를 실험하는 것은 근거리 전계 실험용 프로브이다. 프로브는 인체 유사 액체에 흡수되는 전계를 등방성으로 실험 할 수 있도록 세 개의 직교하는 미소 다이폴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계에 의해 다이폴 안테나에 여기되는 신호를 전계의 세기로 환산하여 우리가 원하는 전자파 흡수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 전자파 흡수율 실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SAR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계장인데 이는 SAR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는 안테나에서 방사된 자계가 단말기의 내부에 차폐 목적으로 코팅되어있는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에 유도되어 이곳에서 2차 전류가 방사된다는 것이다. As cellular phone users increase, it gives us uneasiness for harmful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phone during the communication to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SI/ IEEE RF safety indicator, average SAR value must do not exceed 0.08 mW/g or below on body to saftly maintain on the RF equipment for users in a short distance. The SAR value that took 1 g average with a regular cube shape must do not exceed 1.6mW/g. There is strict regulation that the SAR value of a hand, a wrist, a foot and an ankle must below4 mW/g which took a average of 10g.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deriving SAR value on body is impossible to clinical demonstration directly. We cannot expose an electromagnetic wave to a person for the purpose of experiment directly, and it is hard to measure a SAR value of a human body each part directly. Therefore, We makes the Phantom model which used a medium having an electric characteristic as a human body organization in case of human body head to become, and a problem measures an electric field or temperature distribution. We evaluates the electromagnetic wave energy by using the measurement way that used conspiracy human body, and is absorbed from the ocean in case of electromagnetic wave of cellular phone especially adheres to a human body most, and to use by a human body.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e method of decreasing absorption rate in human body and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energy. SAR is the physical amount of human body absorption degree of an electromagnetic wave as a basic limit of a human body protection basis about an electromagnetic wave exposure widely. We must check the definition and a basis of a SAR basis for low SAR by a cellular phone electromagnetic wave definitely. From the results, we enabled other intention to compare the SAR experiment that used a computer phantom by a foundation with the same technical base comparative experiment with SAR through terminal shield because in a comparison several with efficiency of shield. An element give an influence to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as knowing in the experiment results of this paper divides in two ways greatly and can see. The first is an electronic total emitted in an antenna of a terminal, but this gives a direct influence to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The conductivity that there is an electronic total emitted in an antenna in the second on a coating with a shielding purpose in the inside of a terminal is an electronic total emitted in the second in excellent matter. Therefore, when we architect the method decreasing SAR value, we concentrate to make effectively lower the field strength which flows to side better than concentrate to detect the field inner side. The proposed method to decreases the amount of SAR value is possible to apply on IMT-2000 and futur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o contribute on the experiment method of electromagnetic absorption rate by decreasing the error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