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중 임베딩 기법과 Bi-RNN을 이용한 이미지 캡션에 관한 연구

        이준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문장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특징 벡터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Embedding 기법과 문맥에 맞는 문장 순서를 생성하는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Bi-RNN)을 적용한 디테일한 이미지 캡션 모델을 제안한다. 이중 Embedding 기법에서, Word Embedding 과정인 EmbeddingⅠ은 캡션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세트의 캡션 단어를 One-hot encoding 방식을 통해 벡터화하고 EmbeddingⅡ는 캡션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특징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 특징 벡터와 단어 벡터를 융합함으로써 문장 구성 요소의 누락을 방지한다. 또한 디코더 영역은 어휘 및 이미지 특징을 양방향으로 획득하는 Bi-RNN으로 구성하여 문맥에 맞는 문장의 순서를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인코더와 디코더를 통하여 획득된 전체 이미지, 문장 표현, 문장 순서 특징들을 하나의 벡터공간인 Multimodal 레이어에 융합함으로써 문장의 순서와 표현력을 모두 고려한 디테일한 캡션을 생성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Flickr 8K 및 Flickr 30K, MSCOCO와 같은 이미지 캡션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학습 및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객관적인 BLEU와 METEOR 점수를 통해 모델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모델은 3개의 다른 캡션 모델들에 비해 BLEU 점수는 최대 20.2점, METEOR 점수는 최대 3.65점이 향상되었다. This thesis proposes a detailed image caption model that applies the double embedding technique to improve sentence expressiveness and to prevent vanishing of image feature vectors. It uses the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 (Bi-RNN) to generate a sequence of sentences and fit their contexts. In the double-embedding technique, embedding Ⅰ is a word-embedding process used to vectorize dataset captions through one-hot encoding to improve the expressiveness of the captions. Embedding Ⅱ prevents missed sentence components by fusing image features and word vectors to prevent image features from vanishing during caption generation. The decoder area, composed of a Bi-RNN that acquires vocabulary and image features in both directions, learns the sequence of sentences that fits their contexts. Finally, through the encoder and decoder, the detailed image caption is generated by considering both sequence and sentence expressiveness by fusing the acquired image features, sentence presentation features, and sentence sequence features into a multimodal layer as a vector space. The proposed model was learned and evaluated using image caption datasets (e.g., Flickr 8K, Flickr 30K, and MSCOCO). The proven BLEU and METEOR score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model. The proposed model achieved a BLEU score maximum of 20.2 points and a METEOR score maximum of 3.65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scores of other three caption models.

      •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약물전달체의 제조 및 응용에 대한 연구

        이준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LGA microspheres can have been known that can apply as an injectable system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emulsion formation and cell adhesion on the microsphere surface. BSA-loaded PLGA microsphere was fabricated by oil-in-water(O/W) and water-in-oil-in-water(W/O/W) solvent evaporation method. Sodium alginate was dissolved in water phase to control initial burst and to improve lag time by PLGA bulk degradation.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cell attached on the microspheres was studi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Cellular proliferation behavior of the human disc cell cultivated with the PLGA microspheres was analyzed using a MTT assay. MTT assay revealed that the cells could be attached and proliferated on the PLGA microsphere surface. According to the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BSA-loaded alginate/PLGA microspheres can be used as an injectable system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SMEDDS is mixture of oils, surfactants, and cosurfactants, which are emulsified in aqueous media under conditions of gentle agitation and digestive motility that would be encountered in the gastro-intestinal(GI) 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epare 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MEDDS) for oral bioavailability enhancement of a poorly water soluble drug, atorvastatin calcium. Solubility of atorvastatin calcium was determined in various vehicles. Pseudo-ternary phase diagrams were constructed to identify the efficient self-emulsification region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the resultant micro emulsions were determined using a laser diffraction sizer. Optimized formulations for in vitro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assessment were Capryol 90(50%), Tetraglycol(16%), and Cremophor EL(32%). The release rate of atorvastatin from SMED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tablet(Lipitor), 2-fold. Our studies illustrated the potential use of SMEDDS for the delivery of hydrophobic compounds, such as atorvastatin calcium by the oral route. To overcome the solu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 the formation of solid dispersion using a spray-dryer with polymeric material, that can potentially enhance the dissolution rate extend of drug absorption was considered in this study. Eudragit E100 as carrier for solid dispersion is acrylate copolymer that soluble in acidic buffer solutions(below pH 5.0). It was used to increase dissolution of atorvastatin calcium as a water-insoluble drug in acidic environments. In this study, a spray-dryer was used to prepare solid dispersion of atorvastatin calcium and Eudragit E100 for purpose of improving the solubility of drug. Atorvastatin calcium and Eudragit E100 were dissolved in ethanol and spray-dryed. DSC and XRD were used to analyze the crystallinity of the sample. It was found that atorvastatin calcium is amorphous in the Eudragit E100 solid dispersion. FT-IR was used to analyze the salt formation by interaction between atorvastatin calcium and Eudragit E100. Comparative dissolution study exhibited better dissolution characteristics than the commercial drug(Lipitor) as control. The dissolution rate of atorvastatin calcium was markedly increased in solid dispersion system in simulated gastric juice(pH 1.2). This study proposed that this solid dispersion system improved the bioavaila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atorvastatin calcium. Solid dispersions of poorly water-soluble drug, atorvastatin, were prepared with Eudragit L100 to improve the solubility by spray dry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ssolution rate of solid dispersions,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SEM and DSC were found that atorvastatin is amorphous in the Eudragit L100 solid dispersion. FT-IR was used to analyze the salt formation by interaction between atorvastatin and Eudragit L100. The dissolution rate of solid dispersed atorvastatin was markedly increased compared to drug powder in stimulated intestinal juice (pH 6.8). Thus, the solid dispersed atorvastatin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with Eudragit L100 may be effective for the bioavailability. To overcome solubility of poorly water soluble drugs, we prepared solid dispersions containing nanoparticles of water insoluble pranlukast using spray dryer. These solid dispersions formulated to improve the dissolution of pranlukast. PVP-K30 used as a water soluble carrier for the solid dispersion and poloxamer used as a surfactant. Characterization of pranlukast solid dispersion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nd particle size analyzer. SEM and DSC were found that pranlukast is amorphous in solid dispersions. Particle size analyzer was used to investigate size of pranlukast in solid dispersions. The in vitro dissolution rate of pranlukast solid disper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drugs(Onon and Prakanon), as 11~33 folds. This studies illustrated the potential use of solid dispersion for the delivery of poorly water soluble drug, such as pranlukast by the oral route. The aim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properties and dissolution rates of sibutramine solid dispersions by spray drying. Sibutramine as appetite depressant for obesity treatment is soluble in low pH but insoluble in high pH. To improve bioavailability, it should be improve dissolution rate in pH 6.8 because sibutramine is absorbed at the small intestinal track. PVP has various molecular weights according to K values. We investigated effect of molecular weights of PVP on the release behavior of solid dispersion. DSC and XRD were used to analyze the crystallinity of the sample. It was found that sibutramine is amorphous in the solid dispersions. FT-IR was used to analyze the salt formation by hydrogen bond between sibutramine and PVP. As a result of in vitro release behavior, solid dispersion using PVP K30 is obtained good possibility of orally pharmaceutical formula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is solid dispersion system controlled the release behavior according to molecular weights. Even though the steroid drug dexamethasone is an efficacious antiinflammatory drug,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in an injectable formulation because of its poorly water solubility. So, polymeric film containing dexamatasone was designed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SIS(small intestinal submucosa) and sustained release of the drug from the polymeric system. PLGA[poly(D,L-lactide-co-glycolide)] is used for polymeric film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carriers in controlled release delivery system due to its biodegradability and relatively good biocompatibility. Also, the release behavior of dexamethasone on film controlled by adding the additive such as SIS. SIS derived from the submucosa layer of porcine intestine has been widely used as biomaterial due to low immune response and biocompatibility. SIS/PLGA film we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solvent and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ion microscopy(SEM). In vitro release behavior measured by HPLC and the PLGA molecular weight according to degradation of PLGA analyzed by GPC and pH meter. In this study, the films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SIS according to content showed zero-order release prof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ease of dexamethasone form films could be easily controlled by adding SIS.

      • 북한의 급변사태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이준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South Korea'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Jun-Hee Lee Major in Politics, Department of Security, Graduate School of Peace and Security,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Sangji University Adviser : Myung-hwan Kim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otential for and the factors of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caused by it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stabilit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ystem for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over three generations, and the possibility and methods of intervention by its surrounding nations, and suggest South Korea’s countermeasures. In the research, the factors causing the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its potential was diagnosed; specific types of sudden changes were deducted; their development phase was estimated;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by surrounding four nations following them and its methods were inferred; and the direction for South Korea’s countermeasures was proposed. Accordingly, this study was centered on the documents, and reports of previous study and the official statistics of governments while the existing studies were referred to, and objective documentary data, rather than a certain research method or interviews with those concerne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direction for the measures in case of North Korea’s sudden changes was propos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rategies for Korean Peninsula and North Korea of those four surrounding nations which will be able to lay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changes and sudden shift of situation in North Korea, if they would happen. First,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related to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were examined, and the potential of them were inferred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ontradiction in the leadership and political power structure, the succession of power over three generations, the financial crisis in bankruptcy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defectors of North Korea. North Korea is facing international isolation, such as the pressure against North Korean finance by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S.A, and comprehensive sanctions by UN Security Council because of its nuclear tests, bombardment onto Yeonpyeong Island, and missile launching of Gwangmyeongseong No. 3 on December 11, 2012, and internally, crisis of food, energy and foreign currency continues, so in case of its failing to solve the food crisis under Kim Jong-Un’s regime, the possibility of social disturbance and political division inside the power is hard to be ignored. When this economic and social insecurity of North Korea creates multiple synergy effects with political and military factors, the likelihood of its sudden changes will become bigger. In other words, if its structure of deteriorated economy and social control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occurrence of sudden changes, and the disorder and confusion continue, its probability is expected to become much higher. Such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were defined as “the state when an urgent and unstable situation outbreaks inside North Korea and it affects the power balance among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nations in the level demanding external intervention or threatening th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xtraction of common elements from diverse definitions of general sudden changes. For the preliminary notice of the signs of sudden changes, the stages were categorized into an inherent stage, a potential stage of sudden changes, an impending stage for sudden changes, and the occurring stage of sudden changes for the pro-active measures. The anticipated types of sudden change were proposed as ①the occurrence of a coup, ②massive escape from North Korea and creation of refugees, ③the occurrence of bloodshed by uprising of the public, ④the outbreak of a civil war by the conflict inside the military power, ⑤the attack by a surrounding nation as a surgical operation, ⑥an armed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and ⑦natural disasters by considering scholars’ existing opinion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North Korea. The factors causing those changes were assumed to be ①political and military factor ②social factor ③economic factor and ④internationally political factor. Moreover, with regard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the domestic ones were supposed to be ①the side effects of the reinforcement of Kim’s regime, ②the probability of conflict over the responsibility for the failure of policies, ③the side effects of the competition for outcome and loyalty among authorities, ④resistance by the elites excluded by the power, and the international ones were supposed to the four nations of ①the U.S.A. ②China ③Japan and Russia. The intervention by surrounding nations in case of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was predicted as follows. At first, the U.S.A. the country with the biggest interest in them, will intervene with a great importance in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hange of the leader and regime,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and is anticipated to lay its influence for the protection of its strategic benefit in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hina, the nation with the closest strategic interest in North Korea, will be mainly interested in the change of the leader and regime, the control of weapons for mass destruction, the US military intervention, and the large-scale influx of refugees. It will certainly intervene in any type of sudden changes, and in that process, its conflict with the U.S.A. and South Korea is foreseen. Japan, the nation most sensitive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is expected to devise measures to control weapons for mass destruction and refugees on the sea. It’s also expected to make efforts to cope with the sudden changes in North Ko 북한의 급변사태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상지대학교 평화안보ㆍ상담심리대학원 안보학과 정치학 전공 : 이준희 지도교수 : 김명환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 3대 세습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불안요인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급변사태에 대한 발생 가능성과 그 요인을 분석하고, 주변국의 개입 가능성 및 방법을 분석하여 한국의 대응전략을 제시하는데 두었다. 북한 급변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진단하고, 구체적인 급변사태의 유형 도출 및 전개 양상을 추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변 4국의 개입 가능성 및 그 방법을 유추해보고,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물들을 참조하여 기존 선행연구의 연구문헌, 보고자료, 정부공식 통계 등을 위주로 하였고, 어떤 특정한 조사방법이나 관계자와의 면담이 아닌 객관적 문헌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북한의 변화 상황과 북한 급변 사태 발생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변 4개국의 한반도 및 북한 전략을 고려하여 북한 급변사태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북한 급변사태에 관한 개념 및 정의를 살펴보았으며, 북한의 리더쉽․정치권력 구조의 모순성, 3대 세습, 파탄에 빠진 경제난과 탈북자 현황 및 분석을 통하여 급변사태의 발생 가능성을 유추해보았다. 북한은 핵실험, 연평도 포격사건, 2012년 12월 11일 광명성 3호 미사일 발사로 인하여,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경제 압박, 안보리의 포괄적인 대북제재 등 국제적인 고립에 직면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식량난, 에너지난, 외화난이 지속되고 있으며, 김정은 체제에서 식량난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사회적 동요와 권부 내 정치적 균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 예상되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경제․사회적 불안 요인이 정치․군사적 요인과 복합적인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면 급변사태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즉, 악화된 경제구조 및 사회통제구조가 급변사태 발생을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무질서 및 혼돈상태가 지속된다면 그 가능성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정의는 일반적인 급변사태의 다양한 정의 중에서 공통점을 추출하여 “북한 내부에서 급격하고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하여 한반도와 주변국의 세력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태로 외부의 개입이 필요 또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수준”이라고 하였으며, 급변사태 징후를 사전 인지하기 위해 평시 내재단계, 급변사태 가능단계, 급변사태 임박단계, 급변사태 발생단계로 구분하여 사전 대비를 하였다. 급변사태의 예상 유형은 기존 학자들의 주장 내용과 현 북한의 정세를 고려하여 ①쿠테타 발생 ②대규모 탈북사태 및 난민 발생 ③주민봉기로 유혈 사태 발생 ④군부균열로 내전 발생 ⑤주변국의 외과 수술적 공격, ⑥대남 무력도발. ⑦자연재해 등 일곱 가지로 상정하였고, 급변사태 요인으로 ①정치․군사적 요인 ②사회적 요인 ③경제적 요인 ④국제정치적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또한 북한의 급변사태 전개 변수 중 국내변수로 ①김정은 친정체제 강화 부작용 ②정책집행 실패 책임 두고 균열발생 가능성 ③권력기관간의 실적․충성 경쟁 부작용 ④권력 엘리트 탈락자의 반발을 변수로 상정하였고, 국제변수로는 ①미국 ②중국 ③일본 및 러시아 4개국에 대한 변수를 상정하였다. 북한 급변사태 시 주변국의 개입 전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예상하였다. 먼저, 미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국가로서, 대량살상무기, 지도자 및 정권 교체, 중국의 군사개입 큰 비중을 두고 개입할 것이며, 동아시아 및 한반도에 대한 전략적 이익 보호를 위해 그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북한에 대해 전략적 이해관계가 가장 밀접한 국가로서, 주요 관심사항은 지도자 및 정권교체, 대량 살상 무기 통제, 미국의 군사개입, 대량 난민 유입이 될 것이며 어떠한 유형의 급변사태라 할지라도 반드시 개입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미국 및 한국과의 충돌이 예상된다. 일본은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국가로서, 대량살상무기 통제와 해상 난민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 할 것을 보인다. 또한 자국의 안전을 보장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이 최대 현안이기 때문에 미국과의 동맹의 틀 안에서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과거 북한정권 수립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그 영향력이 매우 약화되었지만, 북한의 요청이나 난민 유입, 대량살상무기 처리 과정에서 군사 개입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급변사태 발생 시에 한국정부의 대응전략은 기본적으로, 첫째 급변사태가 발생하면 한반도의 통일에 유리한 방향으로 상황을 전개하고, 급변사태에 따르는 일련의 사안들을 ‘한반도 문제의 한반도화’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주변국들의 개입을 부추기는 명분을 주어서는 되지 않는다. 셋째 급변사태를 한반도 통일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

      • 급성 충수염 환자의 천공과 관련된 요인

        이준희 경북대학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대구시내 일개 병원에 충수염으로 수술 받은 환자 가운데 진단이 확인된 277명을 대상으로 충수염의 천공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였다. 전체 충수염 환자 277명 중 69명 (24.9%)이 천공성 충수염이었다. 연령별 천공률은 0-9세가 31.8%, 10-19세 14.6%, 20-29세 16.3%, 30-39세 20.9%, 40-49세 25.0%, 50-59세 36.0% 그리고 60세 이상이 52.8%로 소아나 노인이 천공률이 높았다 (p < 0.05). 증상 호소 기간(증상 호소 시작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천공률은 높아져 24시간 이내가 9.7%, 25-48시간 21.2%, 49-72시간 38.5%, 그리고 73시간 이후가 57.6% 이었다 (p < 0.05). 입원 시기(계절)별 천공률도 여름이 15.9%, 봄 22.2%, 가을 23.7%, 그리고 겨울이 37.7%로 대기의 기온이 낮을수록 천공률은 증가하였다. 체온이 37.8C 이상일 때의 천공률이 39.5%로 37.8 C 이하일 때의 13.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복부 강직이 없는 경우 천공률이 21.6%, 우측 하복부에 있는 경우 24.7%임에 비해 다른 부위에 있는 경우가 53.8%호 복부 강직도 천공률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 < 0.05). 충수돌기의 위치도 천공과 유의한 관련이 있어 위치가 retrocecal 이나 free 일때 19.7%, 36.8%로 retroileal 또는 retropreitoneal 일때의 52.9%, 75.0%보다 더 낮았다 (p < 0.05). 충수염 환자의 합병증 발병률은 7.6% 였고 창상 감염이 5.8% 였다. 천공성 충수염의 경우 합병증 발생율이 26.1%로 비천공성 충수염의 1.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평균 입원 기간은 천공성 충수염이 15.6일로 비천공성 충수염의 9.0일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p < 0.05). 충수염의 천공과 관련된 변수들을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증상 호소 기간, 체온, 연령, 복부 강직, 충수돌기의 위치, 그리고 입윈 시기(계절)가 충수염 천공의 판별에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이 6가지 변수를 이용한 판별식을 적용하면 충수염 환자의 천공 유무를 78.8%의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foration of appendicitis patient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for 277 patients with postoperative diagnosis of appendicitis at a hospital in Taegu City,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1989. Of 277 appendectomy patients, sixty nine (24.9 %) were perforated cases. Age-specific incidence rates of perforation were as follows: 31.8 % for 0 - 9 years, 14.6 % for 10 - 19 years, 16.3 % for 20 - 29 years, 20.9 % for 30 - 39 years, 25.0 % for 40 - 49 years, 36.0 % for 50 -59 years, and 52.8 % for 60 years over. The incidence rates of perforation in childhood and elderly (above 60) were higher than those for adults (p <0.05). The perfo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ymption duration (the period from symptom onset to the time of surgery); 9.7 %- within 24 hours, 21.2 % for 25 - 48 hours period, 38.5 % for 49 - 72 hours period, and 57.6 % for above 73 hours period (p < 0.05). The perforation rates by season were as follows 15.9% in Summer, 22.2 % in Spring, 23.7 % in Autumn, and 37.7 % in Winter, therefore, the incidence of perforation had increased with the air temperature decreased (p < 0.05). The perforation rate (39.5 %) of patients who had fever (above 37.8 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13.9%) of patients who were not (below 37.8 C) (p < 0.05). The perforation rate was 21.6 % for those who didn't have complaints of rigidity on the abdomen, 24.7 % for those who had complaints of rigidity on the right lower quadrant area, and 53.8% for those who had complaints of rigidity on the other areas. The rigidity on the abdomen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foration of appendix (p < 0.05). The perforation rates of those whose location of appendix (19.7%, 36.8 %) was free or retroceca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52.9 %, 75.0 %) whose location of appendix were retrocecal or retroperitoneal (p < 0.05).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of 277 patients was 7.6 % and that of wound infection was 5.8 %. The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 in perforated cases (26.1 %)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1.4 %) in nonperforated cases (p < 0.05). The mean duration (days) of hospitalization in perforated cases (15.6 day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9.0 days) in nonperforated cases (p < 0.05). We selected some factors such as symptom duration, body temperature, age, rigidity on the abdomen, the location of appendix, and admission season as significant variables by discriminant analysis to predict the perforation status preoperatively for the patients with appendicitis. We can predict the perforation status of appendix correctly with the level of 79.8 % accuracy using discriminant function model including above six variables.

      •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준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관하여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및 시설환경 측면에서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태권도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력)에 따른 태권도 수련 목적의 차이,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따른 차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대해서 수련생들에 대해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태권도 수련생의 성별 및 학력에 따른 교육 및 시설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력별에 따라 하위변인간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태권도 수련생의 수련목적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태권도 수련생의 수련목적에 따른 교육 및 시설만족도 요인에 대한 요인별 평균차이는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목적에 따라 수련생들이 태권도를 수련하는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use for more rational, systema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are a taekwondo trainee as of 2003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gender, educational level of being a Taekwondo trainee and to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trainee, and the reponses from 340 trainee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tastistical method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test, one-way ANOVA and LSD multiple comparison range test with SPSS/PC+10.1 Version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objective of training. The stronger objective of training was possessed by the male trainee than the female. Second, a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satisfaction, the male trainee expressed better psychological, rest, social,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trainee. By educational level, the middle school trainee were more contente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acilities than the high school trainee. The existing training centers are prohibited from signing in insurance because of insurance companies' too much loss, at present, by insurance companies. Therefo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systematic supplementation should be urgently taken, so as that both trainees and directors can be satisfied.

      •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과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및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준희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sychological entitlement is a relatively stable tendency toward highly inflated self-perceptions and a tendency to feel deserving of high levels of praise and rewards, regardless of actual performance levels.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for managers in many modern organization, but much of the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utside the workplace context, and there is little knowledge of the specific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in the workpl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behavioral outcome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and the mediating role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 survey of the 25 Korean firms was conducted. After excluding unanswered and untrusted answers,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study totaled 278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expected, psychological entitl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Second,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ird, the test of mediating mechanism unveile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in-role behavior through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worker abus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unethical ex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was mediated by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but, unexpectedly,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unethical in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was not found. Fourth, psychological entitlement–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such that these relationship is weaker when employees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co-worker or high level of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Lastly, the indirect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in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via relative deprivation were also moderated by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tiy. Generally, this study provide a meaningful step forward in psychological entitlement literature,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심리적 특권의식은 실제 성과와 상관없이 높은 수준의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자기 인식 경향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심리적 특권의식을 가진 개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심리적 특권의식이 조직 내 개인의 부정적인 정서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리적 특권의식에 관한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연구도 조직상황에서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조직이 종업원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직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어떻게 유지 혹은 관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특권의식과 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검증과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검증한다. 또한, 조직 내 동료간 교환관계와 개인의 평판, 고용가능성을 심리적 특권의식의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수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 소재의 민간기업, 공기업, 공무원 조직 등 25개 조직에 속한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응답이 미비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278부의 설문자료가 가설검증에 이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 검증으로 Sobel Test와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특권의식은 상대적 박탈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특권의식은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설과는 달리 역할 내 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보여 심리적 특권의식의 일부 긍정적인 직접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내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지만, 심리적 특권의식과 외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특권의식은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역할 내 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료간 교환관계, 평판,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상대적 박탈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료와의 좋은 관계, 높은 수준의 평판과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에서 동료간 교환관계, 평판,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내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이 종업원의 직무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작동 메커니즘 및 상황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리적 특권의식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확장과 함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한국전쟁 前後 '신해방지구' 개성의 농촌사회 변화

        이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 발발 이후 북한이 새롭게 획득한 지역인 ‘신해방지구’ 개성 농촌사회의 사회주의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개성은 1945년 해방 이후 5년간 미군정과 남한정부의 지배를 받았지만 전쟁 이후 북한에 편입되면서 사회주의화 과정을 거쳤다. 북한정부는 인삼업을 바탕으로 한 상업적 전통과 남한사회의 경험을 충분히 고려하여 점진적인 사회주의화를 추진했다. 북한정부는 전쟁으로 인해 상업기능이 마비된 이 지역의 농촌사회부터 사회주의화를 진행하였다. 농촌사회의 사회주의적 복구과정은 북한정부의 각종 호혜정책으로 농민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가운데 식량부족 해결책으로 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성의 특산물인 인삼은 주요 수출품목으로 전매국에서 관리되어 생산은 국영삼포와 민간경작자에 의해서 복구되었고 생산품은 전량 전매국에 수매되었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하여 남한사회에서의 개성의 지역사회와 경제 속에서의 인삼업을 살펴보고 戰後 이 지역이 북한지역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농업협동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해방 이후 개성의 지역정치는 일제 강점기 지역유지들이 주도하고 있었다. 해방 직후 개성인민위원회를 비롯한 좌익 성향 단체들이 조직되기도 했지만 이 단체들이 신탁통치에 찬성하면서 점차 지역민들의 지지를 잃었고 결정적으로 미군정이 반공정책을 펼치면서 좌익 성향의 조직들은 소멸되었다. 개성시장(부윤), 국회의원은 지역유지 출신이거나 중앙에 진출했던 개성출신의 명망가가 임명, 당선되어 개성의 지역정치는 일제 강점기 독자적인 지역성의 전통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한편 지역경제는 여전히 상업과 인삼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해방 이후 다양한 계층의 인구유입은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농민의 증가를 가져왔다. 지방공업은 섬유공업을 중심으로 경공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그 비중은 미미했다. 개성의 삼업은 전매제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해방 이후 삼업인들을 중심으로 전매제 폐지를 주장하고 나서 미군정과 전매국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미군정은 고부가가치 상품인 홍삼의 전매를 유지했고 개성삼업자들과의 관계를 재조정했다. 해방 이후 지속적인 인삼 식부면적이 감소는 장기적인 채굴량의 전망을 어둡게 했다. 농지개혁시 삼포는 몰수토지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개성의 삼포주들은 삼포를 보전받을 수 있어 향후 삼포경작에 안정성을 담보 받을 수 있었으나 한국전쟁의 발발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밀고 밀리는 전선은 1951년 7월 고착화되어 후방에서는 점차 일상생활이 가능해 졌다. ‘신해방지구’ 개성은 1950년 7월 이루어진 북한의 사회주의 개혁의 후속조치가 본격화 되었다. 북한정부는 개성과 개풍을 중앙에 직속시키고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을 무상으로 지급하면서 주민들의 생활안정에 주력했다. 한편 북한정부는 지난 기간의 반공의식을 일소하고자 학교, 민주선전실 등에서 사상교육을 통한 북한과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노력했다. 북한의 공민으로 1950년 7월 분배받은 토지는 戰線의 변화로 소유권 관계가 불분명해짐에 따라 1951년 초 토지조사사업이 실시되었다. 토지조사사업은 인구변화에 따른 조치로서 월남자의 토지는 국가에서 몰수하고 새로 유입된 인민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북한정부는 인구변화에 따라 공민증 사업을 통해 ‘불순분자’를 색출하고 사상검증을 실시했다. 북한정부가 ‘신해방지구’ 인민을 공민으로 인정하는 것은 이들에게 북한정부가 권리와 의무를 부과 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토지를 분배하고 각종 혜택을 통한 생활안정에 기여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 전부분의 증산을 요구했다. 개성이 북한지역에 편입된 이후 전쟁으로 파괴된 삼포의 복구와 인삼업의 정상화는 국영삼포와 민간경작자로 양분되어 진행되었다. 개성의 삼포는 월남자의 삼포와 잔류자의 삼포로 나뉘었는데 전자는 국영삼포에서 후자는 잔류자가 계속 경작하며 인삼업의 정상화를 추진했다. 북한정부에서는 인삼에 관한 내각결정을 내놓으며 삼업조합의 유지와 민간경작자들의 증산의욕을 고취시켜 인삼포를 빠르게 복구시켰고, 국영삼포에서는 기술인력양성, 품종개량, 묘삼식부를 통해 개성의 인삼업을 지원했다. 개성 인삼업은 1955년을 기점으로 각 협동조합에서 부업의 일종으로 인삼을 재배하면서 생산관계에서 국영삼포, 민간삼포, 협동농장으로 3분화되어 생산되었다. 민간삼포가 협동농장에 망라되면서 인삼의 농업협동화는 완료되었고, 인삼은 국영삼포와 협동농장에서만 생산되었다. 인삼의 협동화는 개성의 전통이 사회주의를 만나면서 전통이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정전협정 이후 개성의 농촌에서는 노동력 부족을 소겨리반, 품앗이 등의 상호부조 활동으로 극복하고 있었다. 또한 많은 남성들의 월남은 여성들이 노동에 참여하게 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다. 또한 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성은 노동의 주체 그리고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부여 받았다. 부족한 노동력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협동화가 대두되었는데 개성에서는 정동마을에서 최초로 목축부업협동조합 결성으로 귀결되었다. 개성시 당과 정부의 적극적인 원조에 따라 조직된 이 협동조합은 점차 농업 전분야로 확대되어 1955년 제3단계 농업협동조합으로 완료되어 ‘신해방지구’ 내 협동조합의 모범으로 선전되었다. 10월 농업협동조합의 결성과 운영은 ‘신해방지구’ 개성 농촌사회의 사회주의화 과정이었다. ‘신해방지구’ 개성의 사회주의화 과정은 북한의 당과 정부가 한국전쟁 이전 가지고 있었던 남반부 통치전략의 구체적인 실체였다. 북한정부는 지역적 정체성과 전통을 염두에 두면서 점진적인 사회주의화를 추구했다. 하지만 1950대년 후반에 들어서면서 북한의 급격한 정치적 경직화로 인해 유연한 사회주의화 정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 골프기술인지와 클럽피팅인식이 클럽피팅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골프클럽산업의 성장과 함께 골프클럽피팅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으며 골프인지와 골프욕구가 골프클럽피팅 소비행동에 어떠한 요인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골프클럽피팅업체 실무자에게 판매 촉진과 실무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럽피팅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형들로 구성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은 경기, 천안지역 골프연습장 이용자와, 피팅업체 방문자, 직업골퍼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했으며 이중 288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였다. 먼저 독립변인 문항들을 요인화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요인 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클럽피팅 소비행동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t-test와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골프기술인지와 클럽피팅인식이 클럽피팅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한 후,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을 .05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알아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서 클럽피팅소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클럽피팅업체 추천의사에서 여성보다 남성의 평규값이 높게 나왔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피팅업체 방문빈도에서 50대 이상보다 10대에서 40대사이의 골퍼들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직업유형에 따라서는 직업골퍼, 학생이 타직업에 비해서 피팅관심도, 피팅업체 방문빈도, 소비비용, 피팅업체 재방문의사, 추천의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력에 따라서는 3년 이하의 구력을 가지고 있는 골퍼보다 3년 이상의 구력이 있는 골퍼들의 평균이 소비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핸디캡에 따라서는 80타 이하의 상급자(lowhandicapper)집단의 평균값이 81~90타, 91타이상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교육수준에 따른 클럽피팅소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독립변인인 골프기술인지와 클럽피팅인식은 클럽피팅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골프기술인지의 하위요인인 골프기술욕구는 피팅관심도, 피팅업체 방문빈도, 소비비용, 피팅업체 재방문의사,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이언 기술만족도은 소비비용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티샷 기술만족도는 클럽피팅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클럽피팅인식의 하위요인인 클럽피팅을 통한 티샷기술향상기대 정도는 피팅관심도, 피팅업체 방문빈도, 소비비용, 피팅업체 재방문의사,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쳤고 클럽성능인식 또한 클럽피팅업체 재방문의사와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placed on promoting the growth of domestic golf club industry along with the developments of the golf club fitting industry. Within the present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for finding out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consumption activities of club fitting and the survey was structured with the forms to gain the answers by the self-evaluation method. Moreover, the users of driving ranges in the Gyeonggi and Cheonan regions, visitors to the fitting companies and the professional golfers were settled a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to distribute the total of 350 surveys and amongst the 350 surveys, 288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data processing of the study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7.0 v. for Window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for factoring the individual items an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amongst each factors,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executed. Furthermore, the frequency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al qualities of the surveyed subjects. Next, th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executed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of consumption activities for club fitting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qualitie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technical recognition for golf and the club fitting recognition placed on the consumption activities of club fitting, the correlation was confirmed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subjected towards the variables with correlations. Moreover,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in the study was settled as .05.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found through the study. First,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consumption activities of club fitting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qualities. Within the factor of recommendation for club fitting companies, the average value of males appeared greater than females and for the frquency of visitations to the fitting companies, the golfers in age groups between teens and 40s appeared with the higher value in comparison to those over the age of 50.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rofession, the professional golfers and students displayed higher values in the degree of interests for fitting, visitations to the fitting companies, consumed amount, intentions for revisiting the fitting companies and the intentions for making purchases. As for the experiences, the average of the golfer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s displayed higher within all activities of consumer activities in comparison to those with experiences under 3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handicap of the golfer, the average value of the low handicapper groups of under 80 stroke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groups of 81~90 strokes and groups over 91 strokes. However, the consumption activities for club fittings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technical recognition for golf and the club fitting recognitions held influences on the consumption activities of club fittings. For the technical recognition of golf, the low factors of technical desires for golf influenced on the degree of interest, frequency of visitations to fitting companies, consumed expenses, intentions for revisiting the fitting companies and the intentions for recommendation and the technical satisfaction for irons had influenced the consumed expenses. Nevertheless, the technical satisfactions for tee shots did not hold influences on the consumption activities of club fittings. The degree of anticipated technical improvements for tee-shot techniques through the low factors of club fitting influenced on the degree of interests, frequency of visitations to the fitting companies, consumed amounts, revisiting the fitting companies and their intentions for purchases and the functional recognition of clubs also displayed influences on the intentions for revisiting the club fitting companies and their intentions for making purchases.

      • 예비력 공급을 고려한 가상발전소의 Robust 최적 운영 방법

        이준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등 여러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설비에서 신재생에너지, ESS 및 전기차 등의 분산에너지자원으로 발전설비의 구성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대부분 수요지 근처 및 배전단에 접속되는 분산에너지자원이 확대됨에 따라 계통의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전력계통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VPP가 주목을 받고 있다. VPP는 에너지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 등 다양한 전력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VPP사업자는 각 시장에 맞는 입찰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에서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소유하고 있는 분산에너지자원의 최적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에너지 시장 가격을 예측하고, 재생에너지 자원의 발전량을 예측하여 수행하였으며, 예측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최악의 경우로 예측된 상황에서도 최적의 수익을 도출할 수 있는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자원을 하나의 자원으로 취급하여 자원의 시장 입찰량 및 에너지저장장치 충방전량을 도출하였으며, 불확실성을 고려한 가상발전소의 최적 운영 방법을 보여주었다. Due to various energy conversion policies such as the 2030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NDC) and 2050 carbon neutral scenario, the composition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s changed rapidly from fossil fuel-centere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o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such as renewable energy, ESS, and electric vehicles. In most cases, as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connected to distribution terminals and near demand areas are expanded, problems such as frequency and voltage fluctuations of the system are occurring. VPP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nage power systems more efficiently and stably. VPP provides power service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power markets such as energy markets and auxiliary service markets, and it is important for VPP operators to establish bidding strategies suitable for each market.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operation method of owned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that can maximize profits in the energy market and auxiliary service market. Here, it was performed by predicting energy market prices, predicting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to reflect the uncertainty of prediction, an operation method that can derive optimal returns even in the worst-case scenario was presented. A case study showed the optimal operation method of a virtual power plant considering uncertainty and the market bid amount and the charge/discharge amount of energy storage system were derived by treating resour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one resource.

      • 근린생활권 전통시장의 현황분석과 활성화를 위한 건축적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전통소매시장을 중심으로

        이준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린생활권 전통시장의 현황분석과 활성화를 위한 건축적 방안에 대한 연구 -부산광역시 전통소매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thod for Re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by Analysis of its Current Situation. -Based on Traditional Market in Busan- 建築學科 李 準 熙 指導敎授 李 誠 浩 시장이란 여러 가지 상품을 매매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기능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어 언제나 같다. 과거의 시장은 이처럼 상품의 매매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시장은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으며, 지역민들의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는 장소이며,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매매활동을 통해 각종 정보를 공유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삶의 터전이다. 이러한 시장이 산업화 고도성장을 통해 1970년대에 들어와 새로운 소매업태가 계속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의 기능에 큰 변화로 점차 현대화된 시장 구조와 시설 및 체계적인 유통과정의 발전을 따라오지 못하면서 전통시장의 입지가 좁아지게 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중소기업청은 2002년부터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낙후된 시설을 현대화하고 상인의 경영혁신을 지원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을 지금까지 시행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근린생활권 전통시장의 경우에도 활성화 사업에 있어서 자부담의 문제로 인해 시설현대화사업 중에서 아케이드 설치를 위주로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설현대화 위주의 사업으로는 근린생활권 중심으로서 목표 달성과 생활 공동체적 커뮤니티 형성, 사회문화적 기능 및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근린생활권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과 공간의 재구성이 요구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근린생활권에 위치한 전통시장의 현황 분석, 전통시장 활성화 성공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근린생활권 중심으로서 생활권 목표 달성과 생활 공동체적 커뮤니티 형성, 사회문화적 기능 및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과 건축공간적 재구성 등의 건축적 조건을 도출하여 근린생활권 중심으로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어 : 전통시장 활성화, 근린생활권 전통시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