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근로장려금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이준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2019년에 근로장려금이 대폭 확대되는 시점에 앞서 근로장려금의 노동공급 유인효과를 알아보고자 근로장려금 수급의 처치효과와 근로장려금 수급 요건의 처치의도효과를 추정하였다. 데이터는 재정패널 자료와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근로장려금이 지급되기 직전연도인 2008년과 제도 시행 이후 3차년도인 2011년까지의 4개년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모형으로는 이중차분을 확장한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다. 패널조사에서 근로장려금을 수급하였다고 응답한 가구 중 상당 수가 실제로는 근로장려금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본 연구에서는 근로장려금 자격 조건을 갖춘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를 비교하여 정책효과의 하계라고 볼 수 있는 처치의도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의 비교집단 선정 방식에 따라 부양자녀가 없는 가구를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을 때, 부부 가구에 한하여 점증구간에서 유의한 처치효과와 처치의도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비교집단은 가구주의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아서 추정치에 선택편의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가구를 비교집단으로 설정하거나, 본래의 비교집단에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가구주의 연령과 교육수준을 통제하였다. 그 결과, 근로장려세제 정책을 지지할 수 있는 유의한 노동공급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전통 꽃 창살 문양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사찰 꽃살문을 중심으로

        이준원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미적행위는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까지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호신의 의미나 사회적 지위와 부의 상징으로 표현되어진 장신구가 현대에 와서는 개인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돋보이고자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이며 의지의 표출로 발전되어 왔다. 장신구는 고대 원시인들이 조개껍질이나 동물의 뼈에 구멍을 뚫어 장식하는 것에서부터 현대인들이 고가의 금, 은, 보석류로 장식한 것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배경과 사회성 그리고 경제 성장에 따라 그 형태와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현대에 와서 장신구는 개인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표출해 주는 표현 도구이자 패션을 마무리하는 하나의 장식물로서 그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장신구 역시 새로운 아이디어와, 보다 감각적이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한국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우리 문화의 자연적 아름다움과 민족성을 재인식 할 수 있는 전통적인 소재로 섬세하고 화려하게 표현되어진 사찰 꽃살문의 형태를 이용하여 장신구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사찰 꽃살문은 한국인의 민족성과 정서를 담아낸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경건한 불교 신앙심과 함께 소박하고 순수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함축되어 있는 사찰 꽃살문은 그 나름대로의 규칙과 질서를 갖추고 있어 그에 따른 세련된 멋과 독특한 정취를 담아 낼 수 있다. 따라서 사찰 꽃살문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정교하고 소박한 이미지를 현대적 정서와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 실용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한국적인 이미지를 장신구에 담아 전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과 범위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사찰 꽃살문의 형태적 특성과 조형미를 장신구에 도입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었고 꽃살문 문양을 금속 장신구에 적합하도록 단순, 생략, 반복 등의 조형적 원리를 이용하여 현대적 감각과 재료의 특징을 살려 한국적인 아름다움과 이미지를 현대적 시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꽃살문이 지니고 있는 규칙적이고도 질서정연한 형태적 특성을 기하학적인 형태로 조형화하여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고 금속의 표면을 착색하여 고전적인 부드러움과 아름다움을 강조할 수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우리 민족 문화의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민족성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조형화하고 한국의 정체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세계적인 새로운 감각의 장신구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개발로 우리민족 고유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알리고 그 가치를 더욱 더 부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Human's aesthetical actions pursuing the beauty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orms until today. Accessories, which were used for self-protection or symbolized social status and wealth in the past, have been developed as expression of human's instinctive desire and will to show individual's personality and beauty nowadays. The shape and pattern of accessories have been changed variously in accordance with the time, society and economic growth from ancient primitives' accessories of seashells and animal's bones having holes in them to modern people's ones decorated with expensive gold, silver and jewels. As the concept of accessories changed into expressing tools and ornaments that express individual's personality and beauty and that complete fashion in modern times, new ideas and more sensual, creative design development to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re required now.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ed on accessory design by using the shape of Floral Design Lattice Doors of Korean Temples which were expressed delicately and colorfully with traditional materials that highlight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show natural beauty of Korean culture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Floral Design Lattice Doors of Korean Temples are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s of Korea, which reflect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of Korean people. Floral Design Lattice Doors of Korean Temples, which imply pious Buddhistic faith and naive, pure Korean beauty, show polished elegance and unique atmosphere with their own rules and 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authentic Korean images in accessories by expressing dellcate and naive images of Floral Design Lattice Doors of Korean Temples according to modern emotions and senses including practicality and artistic asp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several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The first, the introduction of formal characteristics and beauty of Floral Design Lattice Doors of Korean Temples to accessories made it possible to highlight Korean Im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beauty and images could be expressed from modern point of view by emphasizing modern sens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hrough formative principles such as simplicity, omission and repetition suitable to metal accessories. And visual stability was obtained by shaping formal characteristics of Lattlce Doors of Korean Temples, regularity and order, to geometrical shape and also, classical softness and beauty could be emphasized by coloring the surface of metal. Most of al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new possibility of global accessory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shape Korea's natural beauty and national characters according to modern senses and highlight the identity of Korea, was suggested. Accordingly, these studies and researches could be an opportunity to show Korea's unique beauty and creativity and hight their values.

      • 유공케이슨 방파제 원호파괴에 대한 하중 저항계수 산정

        이준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에서는 혼성제 방파제가 70% 이상 설계되어 있으며, 해저지변위에 기초 사석을 경사식으로 구축하고 있다. 기존의 방파제는 결정론적 방법인 허용응력 설계법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나, 지반은 공간적, 시간적인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기존 설계법의 경우 이러한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하중저항계수 설계법과 같은 확률론적 해석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경사를 포함한 방파제의 경우 사면 안정성이 필수적으로 분석되어야 하지만 현재 국내 방파제 설계에서는 사면에 대한 하중저항계수 설계 기준이 없어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파제 사면의 원호활동파괴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고 국내의 조건에 맞는 설계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확률론적 설계법인 하중저항계수 설계법(Load Resistance Factored Design)을 이용하여 경사식 방파제의 상시 및 지진조건에 따른 원호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서 경사식 방파제인 국내의 유공케이슨 방파제의 설계자료 12개를 수집하였고, 케이슨 자중, 지반의 특성, 지진의 발생 등 다양한 조건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사면 안정 해석의 신뢰성을 분석하고 최적 하중계수와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사면안정 해석프로그램은 STABL로 변동계수를 물성에 따라 0.02~0.05로 가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은 신뢰성 Ⅰ, Ⅱ 단계인 FORM(First-order Reliability Method)과 MCS(Monte-Carlo Simulation)로 수행하였다. 결정론적 해석결과와 확률론적 해석결과를 비교하면 안전율은 거의 동일하며 상관계수도 0.8 ~ 1.0 값을 가지며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목표신뢰도지수에 적합한 최적 하중계수와 저항계수는 상시조건에서는 0.85, 1.00, 지진조건에서는 0.80, 1.00 값을 가졌다. Currently, more than 70% of the caisson breakwater is designed in Korea, and the foundation riprap is built with a slope on subsea ground. Existing breakwaters were designed using the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 which is a deterministic method, but because the ground has larg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t contains various uncertaintie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design method, this uncertainty is not considered,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 such as the load resistance factored design metho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reakwater with a slope, slope stability must be analyzed, but the current domestic breakwater does not have a design standard for the load resistance coefficient on the slope, so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is problems.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circular failure of the slopes of the breakwater is conducted, and the appropriate design standard for domestic conditions are set. To this end, using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Load Resistance Factored Design, the circular failure the breakwater with slope was analyzed at all-times and seismic conditions. To proceed with the analysis, 12 design data of the domestic perforated-wall caisson breakwater, which is breakwater with slope, were collected, and the reliability of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y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caisson self-weight, ground characteristics, and earthquake occurrence. and the optimal load factor and optimal resistance factor were calculated. STABL, which a slope stability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assum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0.02~0.05 depending on the properti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liability levelⅠ, FORM (First-order Reliability Method) and levelⅡ, MCS (Monte-Carlo Simulation). When comparing the deterministic analysis results and the probabilistic analysis results, the safety factor is almost the sam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has a value of 0.8 to 1.0,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The optimal load and optimal resistance factor for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were 0.85 and 1.00 with all-times conditions, and 0.80 and 1.00 with seismic conditions.

      • 산삼부정근 배양 시 약용버섯 유래 엘리시터 처리에 의한 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진

        이준원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삼(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엘리시터로써 버섯균사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버섯균사체 엘리시테이션 시스템을 확립하고, 기존에 처리해오던 MeJA와 비교, 혼용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의 함량 증진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산삼부정근의 가장 효과적인 엘리시터로서 버섯균사체의 종류를 확립하기 위해 7가지 버섯 균사체를 각각 처리하여 최적의 버섯균사체 종류를 선정하였으며, 처리형태 및 농도를 서로 달리하여 가장 효과가 좋은 조건을 규명하였다. 또한 균사체 엘리시터 처리 시간을 확립하여 버섯 균사체 엘리시테이션 시스템을 확립하였으며, 기존에 처리하던 방식인 메틸자스모네이트와 비교 및 혼용 처리하여 2차대사산물 함량 증진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산삼부정근의 버섯균사체 엘리시터로써 가장 효과적인 버섯 종류는 상황버섯 균사체였으며 무처리구보다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약 1.3배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의 형태는 살아있는 균사체를 100mg/g으로 처리하였을 때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2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구보다 약 2.1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균사체 처리 후 90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지의 냄새, 탁도, 거품 등 오염이 심해지고 진세노사이드함량 감소 등 여러 문제가 나타났다. 기존에 산삼부정근의 엘리시터로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메틸자스모네이트와 버섯균사체를 단독처리 혹은 공동처리하여 비교한 결과 메틸자스모네이트를 먼저 처리한 후 버섯균사체를 처리하였을 때 진세노사이드함량이 무처리구보다 약 9.1배가량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처리하던 방식인 메틸자스모네이트 단독 처리한 것 보다도 25%가량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버섯균사체를 처리한 후 메틸자스모네이트를 처리하면 효과가 거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버섯균사체를 먼저 처리하면 오염현상으로 인해 산삼부정근의 활력이 떨어지고 메틸자스모네이트의 효과를 충분히 받기 어려웠던 것으로 사료되나 정확히 어떤 반응이나 기작으로 인해 해당 결과가 나왔는지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고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을 통하여 산삼부정근의 엘리시터로서 버섯균사체를 처리할 때 버섯균사체의 종류, 형태, 농도, 처리시간의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또한 메틸자스모네이트와 버섯균사체를 적절히 처리하여 기존에 처리하던 방식보다 더 높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규명하였다. 식물 기내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적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생산단가인데,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 중 하나가 고가의 메틸자스모네이트와 같은 엘리시터 처리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균사체 엘리시테이션 시스템을 확립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메틸자스모네이트를 대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험결과와 같이 버섯 균사체의 단독 처리만으로는 메틸자스모네이트 처리 효과를 대체하기는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기내배양을 통한 대량생산 및 유용 성분함량 증진 등 산업적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 버섯균사체를 엘리시터로서 적절히 활용한다면 2차대사산물함량 증진과 더불어 약용버섯 균사체의 효과 등 산업적으로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nax ginseng C.A. Meyer belongs to the Araliaceae family, and is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otent medicinal plants in the world. Ginseng has been used for centuries as a health tonic. The most important active ingredient in ginseng roots is ginsenoside; however, its short supply and high price have limited the use of and research into this agent. For more efficient and controllable production of mountain ginseng and its active metabolites, tissue and organ cultures have been used as biotechnological alterna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methods to increase ginsenoside production; crude saponins were treated with mushroom mycelia to induce growth of panax ginseng adventitious roots. The type, shap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of mushroom mycelia were sequentially determined to identify factors that would yield the most effective results in terms of ginseng adventitious root growth;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ethyl jasmonate, which has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Phellinus linteus mushroom mycelia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mycelia, and yielded 1.3 times higher ginsenoside content than the controls. The highest ginsenoside content was obtained when 100 mg/g of live mycelia was used for treatment. Following a 72-hour treatment, ginsenoside content was 2.1 times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s. However, 90 hours after mycelia treatment, signs of contamination, such as odor, turbidity and foam in the culture medium were substantially increased, and ginsenoside content declined. Methyl jasmonate (MeJA) and mushroom mycelia, which represent the two most effective methods of obtaining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compared. Mushroom mycelia treated with MeJA first resulted in 9.1 times more ginsenoside than that in controls; this was a 25% increase in ginsenoid content over that with MeJA treatment alone. In contrast, it was confirmed that MeJA treatment following mushroom mycelial treatment had little effect. If initial treatment occurred with mushroom mycelia, the vitality of the ginseng adventitious roots was reduced due to contamination. Therefore, MeJA treatment was not sufficiently effective. The optimal type, shap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of mushroom mycelia were investigated under conditions of use to induce growth of ginseng adventitious roots. Treatments using MeJA and mushroom mycelia were performed, and their abilities to enhance ginsenoside content was investigated. Our study indicated that secondary metabolite content can be increased with mushroom mycelia. This can be especially useful in the industry during mass production via tissue culture to enhance the content of useful ingredients.

      • 웹 환경에서 회의록 검색과 열람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 국회회의록 시각화를 중심으로

        이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치는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맞닿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접근성이 떨어진다 일반 국민들은 . 정치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는 데, 신속성을 추구하는 저널리즘의 속성으로 인해 철저한 사실관계 확인이 결여된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언론에서 제공하는 정보마저도 신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다매체, 다채널의 환경으로 인해 가짜뉴스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권 언론은 더욱 엄중하고 명확한 진실을 검증할 필요가 있고, 일반 국민들도 직접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치 관련 정보에 높은 접근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론이 정치 분야에서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중 가장 날 것의 발언을 원자료로 기록하고 있는 국회 회의록에 주목하였다. 현재 국회 회의록은 전산화된 형태(hwp, pdf)로 제공되고 있으나,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검색이 용이하지 않아 일반국민은 물론이고 언론 등이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십 년간 사용해왔던 종이 문서에 가장 적합한 형식을 추가적인 가공 없이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웹브라우저나 모바일 환경에서는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 역시 문제이다. 따라서 국회 회의록 표기 양식과 외부의 메타 데이터를 연계해, 사용자와 소비 환경을 고려한 높은 가독성을 확보하고 검색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언론등에서 쉽게 활용하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속기의 첫 단계부터 데이터베이스화를 염두에 둘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종이 문서에 서로 다른 스타일의 텍스트로만 존재하던 숨겨져 있는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해 그 의미를 체계화하고 적합한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회 회의록은 표지, 본문, 게재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의록에 대한 외부 정보는 안건의 흐름, 참석 의원, 시기 등으로 분류된다. 회의록 내부의 정보를 가로축, 외부의 정보를 세로축으로 연결하고 기존의 종이 문서에서 나열식으로 표기된 정보들을 웹 환경의 특성에 따라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는 단편적인 회의록 열람을 넘어선 전체 맥락을 제공해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준다. 대화형태로 이뤄진 본문의 경우에는 주제별, 상황별, 인물별 텍스트스타일 변화를 통한 채팅형 UI 적용으로 웹 최적화 스타일 정의하고, 표지, 본문, 게재 부록은 데이터의 구분과 재배치,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회 회의록의 생산단계부터 데이터에 대한 소비를 염두에 둘 수 있도록 회의록 UI와 생산시스템을 구성해 데이터 생산자와 소비자의 괴리를줄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정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사실관계 확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itizens rely on the Media for political information due to limited accessibility. The media pursuing immediacy the most leads to occasional failure to provide people with the right and needful information. In the era of the fake news, the legacy media are asked to check and verify facts thoroughly and the general public need to retain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to politic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inutes which records every word from the National Assembly. The assembly minutes are now provided in the form of hwp and pdf, however, they are not expanded to the database causing inconvenience of the media and the public willing to use them. The current version is designed for printing purpose, which makes it hard to read on the online, especially on mobile. We propose a new minute open system featuring the following functions; searchable database, engagement to metadata related to bills and legislators, and higher readability on mobile. By adding context to the minutes with design, people can comprehend the whole picture easily. Taking web environment and its attributes into consideration, vertically presented information, such as roll call, bills, schedules and appendix, in the current minutes will be displayed in horizontal and layered way for better understanding. We also apply a conversational style to the statements of lawmakers. With the newly structured UI design and interactive visualization, we pursue to narrow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ublic and political information, and the demand for fact check and higher accessibility to politics is expected to be satisfied.

      • F/TA-50 전투기조종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준원 한서대학교 하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burnout of F/TA-50 pilo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especially, I would like to further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by classifying the sub-factor of job stress as excessive workload or burden, psychological stress, and job instability. To confirm the results, 113 fighter pilots operating FA-50 and TA-50 were used with the Air Force fighter pilot's job stress scale (based on single-seat aircraft),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burnout scale (MB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Job stress and excessive workload or burden, psychological stress, and job instability which are 3 sub-factor of Job stress ar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relationships with burnout, and Job instability was the highest in the subsidiary causes of job stress. This means that when pilots of F/TA-50 jet fighter feel a lot of stress, they also feel a lot of burno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ilot will experience burnout due to job stress cause (training for extreme situations, demanding high levels of flight duties and job performance conflic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ut job instability (Job stress sub-factor) and self-efficacy only show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pilots, the lower the self-efficacy, especially, Job instability(job stress sub-factors) such as problems with the schedule, anxiety about the completion of the mission, and support for the facility, affects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burnou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f F/TA-50 fighter pilots have low self-efficacy, they will feel burnout due to their lack of confidence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in air defense. Finally,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F/TA-50s. As a result of the three-step verification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the job stress, burnout and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of job stress sub-factors showed that only the job instability(job stress sub-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F/TA-50 fighter pilots, who play a pivotal role for air defense and national security, to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ir force combat power by suggesting measures to reduce burnout. 본 연구는 F/TA-50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 목적이 있으며,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업무과다/부담, 심리적 압박, 업무 불안정으로 분류하여 자기효능감과 소진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FA-50, TA-50을 운영하는 공군 전투기 조종사 11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단좌 기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소진(MBI : Maslach Burn-out Inventory)에 관련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및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및 하위요인인 업무과다/부담, 심리적 압박, 업무 불안정은 소진과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요인 중 업무 불안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F/TA-50 전투기 조종사는 소진을 크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종사들이 극한의 상황에 대비한 훈련, 고도의 비행직무 요구, 직무수행에 대한 갈등 등의 원인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아 소진을 경험할 것으로 판단된다.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업무과다/부담, 심리적 압박, 업무 불안정과의 관계에서 업무 불안정이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업무과다/부담, 심리적 압박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며, 특히, 일정에 대한 문제, 임무 완수에 대한 불안감 및 시설에 대한 지원 등 업무의 불안정 하위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기효능감과 소진 간의 관계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F/TA-50 전투기 조종사들이 자기효능감이 낮다면, 자신에게 주어진 영공방위의 업무 수행이 힘들고, 본인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결국 소진까지 이르게 되어 직업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F/TA-50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하였다. 1단계 독립변수(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2단계 독립변수(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3단계 매개변수(자기효능감)가 종속변수(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단계의 독립변수(직무스트레스)는 종속변수(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β값이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인 2단계의 β값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매개효과계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이 2.23로 1.96보다 높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추가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업무 불안정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Sobel test 결과값 또한 z값이 2.87로 유의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업무과다/부담, 심리적 압박, 업무 불안정이 높아질수록 소진은 높아지나, 자기효능감과는 업무불안정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및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산 기술로 이루어진 F/TA-50 전투기로 영공방위와 국가 안보를 위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공군 전투력 향상을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자외선 조사에 의한 Au 및 Pd 나노 입자의 합성

        이준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나노 크기의 금속 물질은 전기적, 자기적, 촉매적 성질로 인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성질은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매우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금속 나노 입자들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 그리고 균질한 입자의 합성은 나노 금속 입자의 응용에 상당히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연구 개발이 미흡하여 효과적인 나노 금속 입자 응용에 애로가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금속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 중에서 광환원법은 환원제의 첨가 없이 환원이 가능하고 균질한 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적게 들고 재현이 용이하다는 실용적인 장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금속 나노 입자 합성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광환원 법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 입자, 특히 Au와 Pd 금속 입자의 형성 거동을 조사하였다. 다른 변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자외선 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Au 및 Pd 나노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사 세기를 증가시켰을 경우 Au 및 Pd 나노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는 자외선 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이미 생성된 나노 입자의 핵에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광환원된 중성 금속 원자가 지속적으로 확산, 고착하게 되고 이를 통해 크기가 큰 금속 입자가 형성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조사 세기가 증가할 경우 동일한 합성 시간의 경우에도 광환원되는 중성 금속 원자의 양이 증가하므로 더 큰 금속 입자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전구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Au 및 Pd 금속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동일한 조사 조건에서 전구체 농도가 높을수록 광환원되는 중성 금속원자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