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차로 지방부 도로 속도예측을 위한 신경망 적용

        이종필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의 안전성 판단방법으로 사용된 기술중의 하나는 운전자의 기대에 대하여 도로 기하구조가 일치하는 설계일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로의 설계일관성 평가측면에서 지방부 2차로 도로의 평면 곡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 예측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신뢰성 높은 예측모형의 하나로 신경망 모형을 개발하였다. 도로 기하구조 특성에 의해 속도가 결정된다는 가정하에 선정된 총 30개 조사지점에 대한 곡선반경, 곡선길이, 교차각, 시거, 차로폭, 차선을 조사하여 이를 신경망 모형의 입력층 자료로 이용하였다. 입력층 자료에 따라 네가지 유형의 신경망 모형을 제시하였고, 기존 예측모형인 Lamm, Glennon, Krammes의 회귀모형과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모형 A와 B는 기존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제시된 모형이다. • 모형 A : 곡률각 • 모형 B : 곡률각, 곡선길이, 편각 • 모형 C : 곡선반경, 곡선길이, 교차각, 시거 • 모형 D : 곡선반경, 곡선길이, 교차각, 시거, 차로폭, 차선 모형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예측값의 오차에 근거한 모형선정통계량으로 MARE, MAE, RMSE, %RMSE 등이 사용되었고, 모형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서가 이용되었다. 신경망의 학습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정된 30개 조사지점에서 20개 지점을 학습자료로 나머지 10개 지점을 예측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네 가지 유형의 신경망 모형 중에서 모형 D의 결과값이 가장 실제값에 근사하였으며,가 85%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존 회귀모형과의 비교평가는 국가별 도로설계기준의 차이로 인해 예측값에 있어서 차이가 상당히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행속도 예측모형으로 신경망 모형은 효율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충분히 가능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Through one of technologies used for a judgement of a highway safety, we investigated a design consistency which corresponds to a highway geometry, for an expectance of a driver. This research indicates a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s(ANN) as one of more effective and highly reliable predict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85th percentile operating speed in a horizontal curve of the two-way rural highway, in the evaluation aspect of the road design consistency. Supposing that a spe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way geometry, we examined a curve radius, curve length, intersection angle, sight distance, lane width and lane for the selected 30 investigation points. Also we used them as the data on the input layer of the ANN. We presented 4 ANN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input layer, and compared with the regression model of Lamm, Glennon and Krammes which is the current prediction model, for the prediction. Model A & B is the model presented for comparing with a current regression model. • Model A : Degree of curve • Model B : Degree of curve, Curve length, Deflection angle • Model C : Curve radius, Curve length, Intersection angle, Sight distance • Model D : Curve radius, Curve length, Intersection angle, Sight distance, Lane width, Lane MARE, MAE, RMSE and %RMSE was used with the model-selecting statistic based on an error of the prediction valu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Also, was used for judging the reliability on the model. To verify learning performance of neural network, 30 survey sites were selected while 20 sites of them were used as learning data and remaining 10 sites were used as predictive data. As a result, out of 4 typed-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possible value of the model D is approximate to the actual value and was 85%.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ative evaluation with the existing regression model, it was analyzed that the predicting values had significantly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of highway designing standard by countries. Accordingly, as the prediction model of the operating speed, the ANN is the most possible model in the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 닭뼈 혼합비에 따른 brown sauce의 pH, 점도, 탁도, 색도 및 관능적 성질

        이종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닭뼈 첨가에 따른 brown sauce의 pH, 점도, 탁도, 색도와, 관능검사 및 닭뼈나 소뼈로만 만든 brown sauce의 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닭뼈가 증가함에 따라 pH는 5,11에서 5.72로 증가하여(p<0.05) 부패세균의 최적 발육범위인 6.8∼7.0보다 낮았다. 닭뼈의 양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여 (p<0.05) 닭뼈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닭뼈의 비율이 클수록 탁도가 탁하게 나타나 닭뼈가 소뼈보다 불투명한 용출성분이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 닭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Hunter's color "L" 값은 감소하였고 "a" 와 "b" 값은 증가하였다(p<0.05). 점도(viscosity)를 제외하고 색상(color), 향(flavor), 맛(taste)과 전체적인 평가(overall)는 소뼈의 양이 증가할수록 좋게 나타났지만(p<0.05) 닭뼈:소뼈 비율이 0.0:10.0과 2.5:7.5인 시료에서는 유의 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닭뼈와 소뼈를 2.5:7.5 비율로 관능적 성질 저하 없이 brown sauce 제조가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닭뼈 100%로 만든 sauce의 아미노산은 glutamate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lysine, prolamlne 순으로 총13종이었다. 소뼈 100% sauce에서는 glycine, prolamine, glutamate, alanine 순으로 총14종 아미노산이 나타났다. 닭뼈 100%와 소뼈 100%로 만든 brown sauce의 무기질은 K, Na, P순으로 나타났다. 닭뼈로 만든 sauce의 Ca, Mg, Fe, Zn은 소뼈보다 높게 나타났다. pH, viscosity, turbid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different ratio of chicken bone were investigated. With chicken bone increase pH of brown sauce changed from 5.11 to 5.72 (p<0.05) that were lower than optimal bacterial growth condition between 6.8 and 7.0. Viscosity increased with higher chicken bone ratio (p<0.05) and desired viscosity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chicken bone content. Also, turbidity increased with chicken bone (p<0.05),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thick chicken bone extract. Lower Hunter "L" value and higher "a" and "b" value were shown with increase of chicken bone (p<0.05). While better score of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evaluation except viscosity was observed with increase of cattle bone (p<0.0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cken:cattle bone 0.0:l0.0 and 2.5:7.5 (p>0.05). Brown sauce with 2.5:7.5 can be prepared without reducing sensory quality. Amino acid content of chicken bone only were glutamate, lysine and proalamine and that of cattle bone only were glycine, proalamine, glutamate and proalamine in decreasing order. Mineral content of both samples were K, Na and P in decreasing order. And Ca, Mg, Fe and Zn content of chicken bone only was higher than that of cattle bone only.

      •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열원 폐재 파쇄물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이종필 동명정보대학교 건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 기반시설에 요구되는 콘크리트의 수요는 감소되지 않고 있으나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인 골재의 부족은 갈수록 심각해져 콘크리트의 원활한 수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무분별한 골재자원의 개발은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천연 골재의 대체물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콘크리트용 골재로 재이용하기 위한 연구는 폐기물의 재자원화를 통한 환경문제의 감소와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방안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병합 발전소용 열원 폐재 파쇄물(이하 폐기물 골재)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함과 동시에 환경보호 및 자원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폐기물 골재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열원 폐기물을 수거하여 분쇄한 후 입도 조정한 폐기물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이용하였다. 또한, 폐기물 골재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폐기물 공정시험법에 의거하여 유해물질 함량시험을 하였다. 실험은 폐기물 골재를 사용한 경화 전 콘크리트의 유동성 평가를 위한 슬럼프 시험과 공기량 시험 그리고 경화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 및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폐기물 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하여 내부에 다량의 공극을 내포한 다공질 물질이었으며, 다양한 입자크기로 분쇄가 용이하여 천연골재의 입도와 동일하게 가공이 가능하였다. (2) 폐기물 잔골재는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잔골재만을 치환하여 사용할 경우의 적정 최대 치환율은 60%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3) 폐기물 굵은 골재만을 사용하여 제작한 콘크리트는 치환율 60%이내의 범위에서는 유동성 및 압축강도의 감소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환율 40%에서 압축강도의 발현특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폐기물 굵은 골재의 치환율은 40%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기물 잔골재의 치환율을 60%로 고정하여 폐기물 굵은 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제작한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 치환율 40%이내의 범위에서 소요의 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굵은 골재 치환율 80%이상의 범위에서는 단위용적중량 2.0t/㎥이하인 경량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하여 폐기물 골재는 콘크리트용 경량골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5) 폐기물 굵은 골재의 치환율을 40%로 고정하여 폐기물 잔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킨 경우는 슬럼프 및 압축강도가 폐기물 잔골재를 혼합첨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콘크리트 골재로서의 활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concrete,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pends on natural resources, it causes a serious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ack of natural resources is also very serious. In an attempt to b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ncrete. As a result of this mov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ntinuously to reuse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s for the concrete materials. Especially, the studies to reuse industrial wastes as a concrete material have been recognized as a good approach for the generation of a new value added and the decrease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examine a part of the recycling plans and to show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crushed heat-resource waste(waste aggregate) with aggregates for mortar and concrete We executed a test for slump, air content, unit weight, and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the waste aggregate in order to examine application ability of waste aggrega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waste aggregate was inquired a porous matter including plenty air inside in comparison to the natural aggregate.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it so as that it has as same grading as a natural aggregate thanks to the fact that it can be crushed into the grain of a diverse size. (2) The waste aggregate could be reused as the concrete aggregate and The maximum right replacement ratio was 60% in the case that only waste aggregate was replaced. (3) There was no decrease in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concrete replaced by coarse waste aggregate under the range of 60%. In particular, this suggests that the right maximum replacement ratio was 40%, which has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4) The concrete made by varying the replacement ratio of the coarse waste aggregate with the fixed replacement ratio as 60% of fine waste aggregate satisfied the required efficiency. Specially, it was found that waste aggregate could be used as a lightweight aggregates for concrete because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lightweight concrete under 2.0t/㎥ in the range of over 80% of replacement ratio of coarse aggregate. (5) In the case of varying the replacement ratio of fine waste aggregate with fixed replacement ratio as 40% of coarse waste aggregate, the slump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the fine waste aggregate. According to the given above results, the application ability for the concrete aggregates was lower. A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s possible to use the crushed heat-resource waste aggregate as a aggregates for concrete Additionally, when we used the existing lightweight aggregates, compressive strength was decreased but we expect that it's possible to use the waste aggregate as a lightweight aggregates for concrete with control of the replacement ratio of the waste fine aggregate and the coarse aggregate. In order to fully verify the practical use of the waste aggregate as a aggregate for concrete, it is still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tests on the drying shrinkage, fire resistance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waste aggregate in concrete

      • 정보경찰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종로경찰서를 중심으로

        이종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2018년도 전국에서 개최된 집회시위 건수는 68,315건이며, 이중에서 서울에서 개최된 집회시위 건수는 16,197건으로 전체 23.7%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에서 개최된 집회시위 중 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한 집회시위는 8,167건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렇게 많은 집회시위를 현장에서 관리하는 것이 정보경찰이다. 그러나 집회시위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지만 집회시위의 양적 증가로 인해 정보경찰의 직무 피로도와 직무 스트레스가 매우 높아 효율적인 집회시위 관리 활동에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한 정보경찰의 잘못된 집회시위 관리와 정보파악은 사회질서를 무너뜨리고 경찰의 이미지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에도 지금까지 집회시위를 관리하는 정보경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회시위가 많은 지역의 집회시위를 담당하는 정보경찰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 그 결과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집회시위를 관리하는 경찰서 중에 한곳인 종로경찰서 정보과에 현재 근무하는 정보경찰 6명과 종로경찰서 정보과를 거쳐 간 정보경찰 2명 등 총 8명의 참여자를 상대로 심층면접 조사를 실행하였다. 그동안 정보경찰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일반경찰과 관련된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8가지 탐구주제를 수립하였다. 탐구주제는 1. 정보경찰의 근무시간은 어느 정도 과도한가?, 2. 정보경찰의 업무량은 어느 정도 과도한가?, 3. 정보경찰의 직무모호성은 어느 정도인가?, 4. 정보경찰의 정보활동에 따른 보상은 공정한가?, 5. 정보경찰의 책임감과 책임은 어느 정도인가?, 6. 정보경찰의 상하·동료간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인가?, 7. 정보경찰에 대한 내·외부평판은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8. 정보경찰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의견은 무엇인가? 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집회시위가 많은 경찰서 정보경찰은 집회시위가 적은 다른 경찰서 정보경찰에 비해 근무시간이 최소 2∼3배 정도 많고, 현업을 포함한 시간외 근무시간이 한 달 평균 110시간에 달할 정도로 과도하다고 응답했다. 일부 참여자는 건강 악화 및 사회적 관계망의 단절을 우려했고, 다른 참여자는 과도한 근무시간은 근거 없이 직원들을 무조건 동원시키는 지휘부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있었다. 둘째, 업무량이 과도한 이유는 집회시위가 많은 종로경찰서의 경우 집회시위가 적은 타 경찰서에서는 관리하지 않는 1인시위, 기자회견, 문화행사, 정당연설회까지 상황을 관리하다 보니 업무량이 타서에 비해 많게는 10배가량, 적게는 최소 3∼4배가량 많다는 의견이었다. 특히, 광우병 촛불시위나 박근혜대통령 탄핵시위 같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발생하면 업무량은 폭발할 정도로 증가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정보경찰이 해야 할 일이 어느 선까지 인지 확실하지 않고, 사찰에 해당하는지 안하는지 그 경계도 애매한 측면이 많아 거의 모든 직무에 정보경찰 스스로 판단해서 처리한다고 응답해 정보경찰 직무가 모호한 측면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오래 근무한 직원이든 짧게 근무한 직원이든, 나이든 직원이든 젊은 직원이든 모두 보상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같은 정보과 직원이면서도 기획정보팀은 모든 보상에 있어서 늘 외근 정보경찰 보다 더 소외받고 있다고 응답 했다. 다섯째, 참여자 8명 모두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높고 자부심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으나, 업무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정보경찰 개인이 전적으로 짊어지고 있어 직무만족이 떨어진다고 답했다. 그렇다 보니 정보경찰이 현장에서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정도만 일하게 된다는 의견도 있어 결국 책임에 대한 부담이 업무 소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정보경찰의 의사소통에 대한 결과 중에 상하간 의사소통이나 동료간 의사소통 모두 정보경찰 개인차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상급자와 소통이 안 되는 이유로 인간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네트워크가 없다는 지적이다. 동료간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원인 중에 하나로 승진을 꼽았다. 직원들이 다들 승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보를 상급자에게만 전달하고 다른 동료들에게는 제공하지 않아 소통이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일곱째, 외부평가는 정보경찰을 바라보는 이미지가 긍정적인 것에 비해 내부적인 평가는 부정적이 측면이 강해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었다. 내부평가는 실속 없이 겉멋만 들고 겸손하지 않으며 잘난 채만 한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평정권과 인사권을 가진 상급자를 가까운 거리에서 늘 함께하기 때문에 평정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기 질투성 부정 평가로 나뉘어 졌다. 여덟째, 상급자는 승진 대상자가 아닌 승진하고 얼마 안 된 상급자가 집회시위가 많은 경찰서에 전입해 와서 검증 받고 다시 승진할 수 있는 자리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정보경찰이 오래 정보를 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동료간 상호 소통에 방해가 되고 있는 승진 문제 해결을 위해 특진, 심사 제도를 없애고 자동 진급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기타 의견으로 상황근무와 지역정보활동근무를 이원화시켜 업무의 부담을 줄이거나 정보에 쏠리는 타 기능의 업무를 선별해 업무부담과 과도한 시간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많은 집회시위를 관리하는 정보경찰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연장근무·휴일근무 제한 및 최소 휴식시간제 도입, 정원 확대, 근무지정 기준마련, 광역상황관리 방안, 조직진단 및 타 기능 업무 축소, 별도의 특진·승급 T/O 부여 및 포인트제 도입, 책임감수성 프로그램 개발 및 교양 강화, 승진항목 추가, 소모임 활성화와 개별 면담 실시, 승진 포인트제 도입, 내부 홍보활동 강화, 상급자 전입기준 제한, 정보경과제, 조직 이원화 등 도입을 정책제언 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집회시위 관리를 담당하는 정보경찰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직무만족 연구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현 정보경찰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생생한 의견을 듣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개인연구인 관계로 연구에 한계점이 있다. 향후 종로경찰서 정보경찰뿐만 아니라 전국 집회시위 담당 정보경찰을 상대로 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며, 집회시위 관리 시 함께 협조근무를 하고 있는 경비기능과 교통기능까지 포함한 집회시위 관리 전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칼빈의 중생론에 대한 연구

        이종필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칼빈은 중생이 성령의 전적인 역사를 강조한다. 둘째, 칼빈의 주석을 연구하면서 그가 중생을 언약론적 관점으로 보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중생의 목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을 말하며, 신자가 거룩한 삶을 추구하도록 강조하는데 칼빈 중생론의 특징이 있다. 즉, 칼빈의 중생론은 ‘성화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칼빈의 중생은 회개라 할 수 있다. 이 회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이후 일평생 걸쳐 실천해야 할 회개이다. 그러므로 성령께서 믿음을 주신 후에는 반드시 회개의 삶을 살게 된다. 칼빈의 회개는 크게 회심과 성화로 구분한다. 그러므로 칼빈의 중생은 현대 개혁주의자들이 말하는 좁은 의미의 중생과 성화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좁은 의미의 회개보다는 성화에 치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칼빈의 중생론에 있어서 믿음과 성령과 말씀과의 관계가 매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성령은 믿음을 일으키는 근원이시다. 믿음은 그리스도와 접붙이게 하는 매개체요, 우리가 하나님의 의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이다. 성령께서는 우리에게 믿음을 주시되, 말씀을 통하여 주신다. 그러므로 말씀은 믿음의 근거가 된다. 다섯째, 칼빈에게 있어서 중생은 칭의와 따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중생이 곧 성화이며, 성화와 칭의는 칼빈 당시에 가장 핵심이 되는 ‘이신칭의’ 교리의 중심에 있었고 칼빈은 그 시대에 칭의와 중생을 함께 다루었다. 칼빈은 중생과 칭의를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받는 이중적 은혜라고 명명하였다. 칼빈은 이 둘을 인과 관계로 이해하지 않고 병립관계로 보았다.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구분은 할 수 있으나, 분리할 수 없는 관계로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구원받았다고 해서 성화의 삶을 소홀히 해서도 안 되고, 구원 받기 위해 성화의 삶을 살아가는 것도 아니다. 우리는 중생된 자로서 성화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여섯째, 칼빈은 중생에 대한 신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중생한 자를 위한 실천적인 지침을 주고 있는데, 자기를 부인하는 삶, 십자가를 지는 삶, 내세를 묵상하는 삶, 선을 행하는 삶이 그것이다. 칼빈은 자기를 부인하는 삶을 중생한 자의 생활의 핵심으로 보았다. 자기 부인의 삶이 곧 회개의 삶이며, 죄를 죽이는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 부인의 삶을 살게 될 때 자연히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열매를 맺게 된다. 자기 부인의 삶은 성령의 능력으로 가능하며, 성령의 도우심으로 자기부인의 삶을 살아갈 때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가는 중생의 목표를 이루어 가게 된다. 십자가를 지는 삶은 자기 부인의 일부분으로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고난을 받으셨듯이 우리의 삶 가운데도 고난을 지고 가야 한다. 십자가를 지는 삶은 우리의 못된 죄의 본성을 다루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삶이다. 우리는 십자가를 통해 더 하나님을 바라보게 되고, 인내와 순종을 배우며, 하나님을 닮아가게 된다. 내세를 묵상하는 것은 중생한 자가 현세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된다. 칼빈은 현세를 살아가는 신자들에게 이 땅에서의 생활을 두 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즉, 철저히 무시하는 태도를 지님과 동시에 이 세상에서 주는 하나님이 주신 유익들을 감사함으로 사용하고 누리라는 것이다. 내세를 묵상하는 것은 십자가를 짊어지는 것과도 관련을 맺고 있는데, 내세를 묵상할 때 십자가를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칼빈은 내세를 묵상하는 삶을 강조함으로써, 중생한 자가 날마다 믿음으로 승천하신 그리스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선을 행하는 삶은 중생의 두 가지 측면 중 살림(vivification)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선을 행하는 삶은 자기 부인과 회개와 연관되어 있다. 왜냐하면 선을 행하는 삶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과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칼빈은 중생한 자의 선행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그 이유는 진정한 믿음을 가진 자는 선을 행하며 살기 때문이다. 중생한 자의 선행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 그러나 중생한 자의 행위가 의롭기 때문에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먼저 믿음을 주셔서 선을 행하게 하셨기 때문에, 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의 선행을 기쁨으로 받으셨기에 우리의 선행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

      •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 상관관계 : VECM분석

        이종필 영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의 상관관계를 벡타오차수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06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의 월간 시계열 데이타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지역은 전국, 서울, 부산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은 3가지이다. 첫째,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이 장기균형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 와 장기균형관계에 있다면 어떤 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탈할 경우에 균형으로 회귀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주택가격과 거래량에 대한 인과관계를 벡타오차수정모형과 벡타자기회귀모형으로 분석한 후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셋째,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가격(거래량)1% 포인트 증가가 거래량(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은 장기균형관계가 성립하고, 균형에서 이탈할 경우에는 전국은 주택가격 및 거래량, 서울은 가격, 부산은 거래량이 조정 역할을 하여 균형 상태로 회귀한다. 둘째, 벡타오차수정모형으로 인과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전국, 서울, 부산 전 지역에서 주택가격은 거래량에 영향을 미치나, 거래량은 주택가격에 유의 수준 범위 내에서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벡터자기회귀 모형 검정 결과는 전국은 벡타오차수정모형의 결과와 일치하나 서울은 주택가격과 거래량이 상호 영향을 미치고, 부산은 벡타오차수정모형과 반대로 주택가격은 주택거래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주택거래량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격반응분석 결과는, 주택가격이 1% 포인트 증가하면 당월에는 주택거래량이 전국 5.7%, 서울 10.0%, 부산은 9.7% 포인트 증가하나, 주택거래량이 1% 포인트 증가할 경우에는 전국, 서울, 부산에서 가격이 0.01% ∼ 0.03% 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두 가지이다. 첫째, 두 변수간의 시계열관계를 벡타오차수정모형(VECM)과 벡타자기회귀모형(VAR)으로 분석한 결과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석모형의 설정이 분석결과의 신뢰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두 변수가 시계열이 불안정하나 공적분관계가 있으면 벡타오차수정모형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둘째,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데, 주택가격이 주택거래량과 (+)의 관계이며,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고, 주택가격이 주택거래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주택가격 안정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주택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에는 주택거래량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전제하에 맞춤형 주택정책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한·중 소무역인 무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종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ew decades ago, small-scale trader have begin a small scal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 Incheon port, Pyeongtaek port and Gunsan port. To begin with the trade, small-scale trader were mainly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n China and Korea industrial products were exported to China. However, because their authorities had reinforced rigidly for the enforcement of regulations, so their dividends gradually has been reduced. Accordingly, They considered countermeasure which is to carry industrial products as well as agricultural ones for their business. So, they layered their organization system hierarchically and strongly. Nowadays, They not only do business as a forwarder but also commit illegal things and do expedient clearance with not registe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ustom services, the small-scale trader between Korean and China have not only positive aspects but also negative ones as particular ones who need The custom service`s special management. Thu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by considering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china small-scale trade. For this, first we analysis the problems with their actual trades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customs business, Internet data and the previous results. As a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focus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Customs Administration by small-scale traders which carried in Incheon, Pyeongtaek and Gunsan ports. And mainly their import goods, their trading roles and customs problems was investigat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