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 관점에서 기업간 동반성장 활동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Recently, as the polariz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s deepening in terms of enterprise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merger and network between enterprises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the win-win growth that encompasses adapting to changes in the new industrial ecosystem, harmonizing export and domestic demand, and fostering SMEs to create job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240 cooperating companies to verify whether win-win growth activities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cooperativ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win-win cooper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capacity building and trust building but also cooperation performance. Second, transactional fairness directly affects innovation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but it does not affect trust constru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rd, the partn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the capacity building and performance of partner firms, but there is no direct effect on trust building.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variables, the effect of perfect mediating was showed in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win cooper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trust building variables, as same conclusion was showed not only in relation to social performance, bu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Most other parameter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based on the 5-year win-win cooperation perio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adjustment effect mainly on the effect of capacity building and trust building on cooper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sales size is used, it shows that there is no adjustment effect of technical capacity and financial capacity on cooperation performance.

      •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이정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 이정화 본 연구는 프리터(フリーター)와 니트(ニート)로 잘 알려진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 일본문학의 청년문제 수용에 관해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문화영역에 프리터, 니트의 캐릭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사실과 함께, 프리터 표상의 변화에 관해 살펴보았고 이토야마 아키코(絲山秋子)의 소설 『NEET(ニート)』를 통해 다양한 니트의 유형이 묘사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편 「니트」와 「2+1」에 등장하는 주인공 두 사람을 통해 사회가 니트를 바라보는 비판적 관점이 아닌 동일한 니트간의 자기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일본 사회의 경제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청년들의 비정규노동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기성세대와 젊은이세대 간에 발생하는 갈등이 소설의 주제로 등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작가가 청년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자기책임론’과 ‘사회구조문제론’의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는 사실을 『하류의 연회(下流の宴)』와 『8월의 길 위에 버리다(8月の路上に捨てる)』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지 80여년 후인 2008년에 다시 큰 인기를 얻은 『게공선(蟹工船)』 붐을 분석하였다. 게공선 붐의 원인과 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일본의 젊은세대가 내몰리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의 현실이 근대소설 『게공선』의 노동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게공선』을 통해 일본의 청년들은 서로 연대함으로써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레카리아트 운동을 문화의 영역에까지 확장하고 있는 아마미야 가린(雨宮処凛)이, 프레카리아트 문학에는 프레카리아트 문제에 관한 이념과 문제해결 의식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프레카리아트 문학이 현대 문학의 새로운 시도로 발전될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日文抄録> 日本プレカリアート文学研究 -2000年代日本の若者問題の談論を中心に- 李貞和 本研究はフリーター、ニートでよく知られた2000年代日本の青年問題の談論を中心に、現代日本文学の青年問題受容について分析した。 まず、日本文化領域にフリーター、ニートのキャラクターが登場し始めたことと、作品に描写されるフリーター、ニートの表象の変化を確認した。そして絲山秋子の小説『ニート』に多様なニートの類型が描写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短編「ニート」と「2+1」に登場する「私」と「キミ」2人の関係を通じて、ニートに対する社会の批判的な観点を排除し、ニート同士の関係性と自己認識について考察した。 次に、日本社会の経気低迷が続いたことにより、若者の非正規労働が社会問題に台頭し、既成世代と若者世代間に発生する葛藤が小説のテーマとして登場し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作家が若者問題を見る観点によって「自己責任論」と「社会構造問題論」の立場に分かれていることを『下流の宴』と『8月の路上に捨てる』を通じて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最後に、発表されてから80余年後の2008年に再び大きな人気を得た『蟹工船』ブームを分析した。蟹工船ブームの原因と過程を考察した結果、日本の若い世代が追い込まれている非正規職労働の現実が近代小説『蟹工船』の現実と変わらない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蟹工船』を通じて日本の若者たちは互いに連帯することで、ともに社会問題を解決していく方向に目を向け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また、プレカリアート運動を文化の領域にまで拡張している雨宮処凛が、プレカリアート文学にはプレカリアート問題に関する理念と問題解決意識が伴な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ことから、プレカリアート文学が現代文学の新たな試みと発展する可能性を持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

      • 한국 여성의 노후소득보장과 노동에 관한 연구

        이정화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복지국가와 여성 간의 관계는, 복지국가가 여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물음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복지국가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선진화된 수준에 속하는 복지국가에서도 여전히 여성에 대한 제약과 불평등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Mandel, 2009; Mandel and Semyonov, 2006). 그렇다면 오늘날 공적연금제도과 여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공적연금제도의 효과는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무엇으로부터 이 같은 역할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노동시장의 프리즘’(Meenaghan and Washington, 1980)을 통하여 정책대상을 규정하는 공적연금제도의 구조에서, 동 제도와 노동과의 교차점은 여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특성을 형성하고, 또 어떠한 차이를 발생시키는가?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가입 및 수급의 두 차원에서 동 제도와 여성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적연금제도는 복지국가를 대리하는 변인으로서, 우리나라 복지국가에 대한 젠더 과제와도 관련을 맺는다. 또한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이자, 사회보험의 운영방식을 적용하는 복지제도에 관한 연구로서도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을 사용하였으며, 50대의 중년여성과 60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공적연금제도’의 범위는 ‘국민연금제도’로 규정하였다. 이 논문은 총 3가지의 분석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가입의 상태는 개인의 생애 노동경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행된 노동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드러낸다. 이에 <연구 1>(제4장)에서는 중년여성(50세-59세)과 공적연금의 적용(가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되, 노동 경력의 특징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생애적 관점의 노동변인을 생성하여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둘째, 공적연금제도는 여성의 노년기에 소득보장의 기능을 수행하는가? 또한 이 같은 역할은 어떠한 조건에서 차이를 드러내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연구 2>(제5장)에서는 여성노인(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공적연금소득제도의 소득보장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는 ‘빈곤발생확률’과 ‘가구소득(가구균등화지수)’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성향점수매칭(PSM)을 결합한 이중차분(DD) 및 삼중차분(DDD) 방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여성노인의 노동은 근본적으로 세대에 걸친 공통적인 경험과 그로 인한 인적·가구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변화와 복지제도의 도입·성숙기라는 총체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우리나라 현 세대 노인, 특히 여성노인의 빈곤화는 과거보다 오히려 심화되는 양상인 바, 이들의 불가피한 노동공급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공적연금제도는 이들의 노동공급(감소)에 대하여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 <연구 3>(제6장)에서는 여성노인(60세 이상)의 노동공급 행태에 대한 공적연금제도의 기여도(노동공급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는 ‘경제활동 발생확률’과 ‘노동공급량(시간)’으로 측정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PSM)을 결합한 이중차분(DD) 및 삼중차분(DDD)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성 인지적 관점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국민연금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현 중년세대 및 노인세대의 여성은 여전히 남성생계부양자 모델(male breadwinner model)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노인인구를 구성하는 바, 사회보험 방식의 공적연금제도가 해당 세대가 지니는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중년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발생하더라도 사회보험 적용으로 연결되는 양질의 일자리인 경우에만 공적연금 가입 및 납부행위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이들의 공적연금 가입은, 노후소득대비 상태에 매우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 여성이 갖는 노동자로서의 지위와 노동의 조건에 의하여, 여성 간 공적연금제도와의 관계와 독립적인 경제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여성노인이 수급하는 공적연금 급여는, 복합적으로 구성된 ‘빈곤발생률’보다는 ‘가구소득’에 보다 기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공적연금제도의 소득보장 기능은 현금소득을 보완하는 다소 소극적인 수준으로 해석되며, 여성노인이라는 집단에 점철된 열위한 특성들을 보완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공적연금은 여성노인의 ‘경제활동 참여확률’ 감소에 기여하지만, 실제로 이루어지는 ‘노동공급량’에 대해서는 배출효과를 발생시키는 정도가 낮은 편이다. 표본에서 경제적 유인으로 인한 노동공급의 개연성이 유추되지만, 임금소득을 대체함으로써 노동공급을 감소시키는 역할은 소극적인 편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공적연금제도의 사회보험 속성이 비교적 완화된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는 곧 국민연금제도의 임의가입유형(voluntary contribu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공적연금제도의 지형을 확장시킴으로써 동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도 의미를 갖는다. 임의가입유형 활성화를 통하여 유급노동 중심의 제도적 구조를 극복하게 되면, 국민연금제도 내부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정적 위험의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납부기간’과 관련한 문제와, 남성배우자의 가입상태에 의하여 가입 지위가 변동되는 규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제공되는 현금급여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이 재정비되어야 한다. 현금급여만으로 노인의 경제적 안정성에 대한 보장 기능을 확보하기는 어려우므로, 국가?시장?자원 및 비공식분야의 복지혼합(welfare mix)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현 세대 여성노인이 내재하는 노동자로서의 취약성에 대한 제도적 보호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국가가 양호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노인에 대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법과 노동시장정책 측면에서 노인의 안정적인 고용을 추구하는 방향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여성노인의 노동시장 참여가 이들의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제한적이므로, 앞서 지적한 복지혼합의 활성화를 통하여 공적연금제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 조직의 역량과 성과의 관계에 리더의 네트워킹 능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공동훈련센터(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를 중심으로

        이정화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nd its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ing ability of the institution's leader on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systemic performance management for the joint training centers, and t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correcting 'mismatch' problems experienced in most joint training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ing ability of institutions' leaders on 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s' competencies and their performanc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logical relationships among the training program planning, trainee management, training quality management capacity, student employment rate, and the networking competency of the leader are proposed as a series of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94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institutions located in 16 metropolitan cities, of which a new joint training center participated in 2016, six responses with unclear performance parameters, and unfair 9 responses removed so as 79 copi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addition to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face-to-face and phone interviews a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s networking activities are confirmed partially. Both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leader's networking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of the joint training center and its performance. The interviews also support this test result. In addition, the managers of joint training centers suggest that the cent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rainee management, and the leader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training program with business organizations. Training center leaders contacted in the interview also suggest that a new set of criteria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be presented, and the weights of the criteria be renewed accordingly to the economic situations.

      •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 연구

        이정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 matters of intertext and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and to look for an education plan of intertextuality. As the medium evolves, various texts are being created, so the actual classroom uses these various media texts. Also,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various intertexts have been suggested to be used in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the 6th curriculum, and the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this more. Thu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s increasing. However, in the existing studies on intertextuality education, there was no study to examine the intertext of the works in the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achronically focusing on textbooks how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is conducted. Before examining the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 of intertextualit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erm of intertextuality has begun and been established from the concept of polyphony. This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novel with remarkable dialogue.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that originates from the various voices of a person in a work ranges from quoting between simple texts in the narrow sense to broad knowledge, symbols, and relevance of cultures. In addition, the type of intertextuality is typified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receding text and the intertext, it is also a diverse relation, such as homogeneous, heterogeneous, and imitative. Based on this concept and type of intertextuality, this paper classified and analyzed the kind and relation of intertext related to modern novel in 2011 and 2015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s,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goal of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Because the use of various discourses, writings, works, and media in the curriculum was emphasized, this paper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tained aspects of the literary texts and non-literary texts used as intertext in the chapter of modern novel i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of 2011 and 2015.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by dividing the intertextuality type into the complementary text type, in which the intertext supplements the preceding text, contrary the split text type, which is the opposing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rms of text understanding activity side and in-depth thinking activity side by sub-category. Bas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revealed by the analysis, this study searched for an education plan of intertextuality in modern novel education. Based on the fiv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researcher proposed the goal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Specifically, the researcher proposed educational goals focusing on‘critical thinking form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creative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ed three directions for the selection of intertext subjects in future textbooks. This study constituted a plan for intertextuality education that focuses on learning activities by linking these educational goals and direction of subjects selection. This study focuses on modern novels and examines diachronically in detail the type of intertext and the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activities, and it has significance to present systematically the method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are getting bigger. Since intertextuality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novel, educ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modern novel and intertext will play a great role in cultivating various competencies of learners.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s that further discussion will be conducted using textbooks in future textbook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of modern novel.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의 제재와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매체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텍스트가 만들어지고 있는 만큼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여러 매체 텍스트를 활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다양한 상호텍스트를 교과서와 교수·학습방법에서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상호텍스트성 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는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상호텍스트를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소설에서 상호텍스트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통시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을 살펴보기에 앞서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호텍스트성의 용어는 다성성의 개념에서 시작되어 정립되었다. 이는 대화성이 두드러지는 현대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 작품 속 인물의 다양한 목소리에서부터 출발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은 현재 좁은 의미의 단순한 텍스트 간 인용에서부터 넓은 의미의 지식, 기호, 문화의 연관성까지 해당한다. 또한, 상호텍스트성의 유형은 선행텍스트와 상호텍스트의 관계를 유형화한 것으로 동질적, 이질적, 모방적 등 그 관계 역시 다양하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유형을 바탕으로 2011, 2015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현대소설에 대한 상호텍스트의 종류와 관계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위해 먼저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담화, 글, 작품, 매체 등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어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2011 ‘국어’ 교과서와 2015 ‘국어’ 교과서 속 현대소설 단원에서 상호텍스트로 사용된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유형을 상호텍스트가 선행텍스트를 보충하는 관계인 보완 텍스트 유형과 반대로 대립적인 관계인 분열 텍스트 유형으로 나누어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텍스트 이해 활동 측면과 심층적 사고 활동 측면으로 하위분류하여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밝힌 의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역량을 바탕으로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목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비판적 사고 형성’, ‘타자에 대한 이해’, ‘창의적 문학 수용 및 생산’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목표를 제안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교과서에서 상호텍스트 제재를 선정할 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 목표와 제재 선정의 방향성을 연관 지어 학습활동에 중점을 둔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초점을 두고 이에 따른 상호텍스트의 종류와 상호텍스트성 교육 활동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상세하게 고찰하였으며,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상호텍스트성은 현대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현대소설과 상호텍스트의 결합을 통한 교육은 학습자가 다양한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앞으로의 교과서 및 실제 현대소설 교수·학습 현장에서 상호텍스트성 교육을 활용한 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노인건강상태별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연구 : 서울시 거주 일부 수검노인을 중심으로

        이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속도가 세계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이 빠른 우리나라는 곧 초고령 사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른 노인보건문제를 예측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노인보건사업의 하나인 건강검진으로 노인의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적합한 자기관리·자기보호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건강상태에 따라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건강상태별 보건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특성별 집단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시지부 건강증진센터에서 무료건강검진을 받은 일부 65세 이상 노인의 수검자료 335부를 1차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223명의 노인을 선별하여 2003년 10월 10일부터 31일까지 방문 및 전화면접으로 설문조사를 직접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모두 전산부호화하여 SPSS Win 11.0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χ^(2)-test, t-test, ANOVA의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여성노인이 84.3%이었고 평균연령이 72.5세로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이며, 61.9%가 사별상태이었다. 월수입은 29만원 이하가 37.2%이고, 65.9%가 지역사회복지관에 참석하며 건강관리행위는 금연·금주의 실천이 36.1%이었다. 검진결과를 통보 받은 노인의 47%만 재검 또는 치료를 받았으며 검진 후 상담 또는 보건교육을 받은 노인은 33.6%이었다. 2. 대상자의 79.8%가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었고 관절염 및 신경통 26.8%, 고혈압 21.7%, 당뇨병 10.7%,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8.8% 등의 순이었으며, 질병수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식도 나빠져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3. 일반적 특성별 보건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여성노인과 모임에 참석하는 노인의 경우 교육의 필요성을 더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성노인의 경우(p<0.05), 모임에 참석하는 경우(p<0.001),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노인에게서(p<0.01) 참여의지가 더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교육내용은 '질병예방 및 관리' 영역의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세부내용으로는 치매, 중풍 및 뇌졸중, 관절염 및 신경통, 고혈압 등의 순이었다. 또한 교육수준(p<0.05)과 운동여부(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방법은 개인상담을, 교육장소는 지역사회복지관을 가장 선호하였으나 남성노인의 경우와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병의원을 선호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5. 건강상태별 보건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는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경우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질병수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나 3개 이상인 경우 오히려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6. 교육내용의 요구는 어떠한 건강상태에서도 '질병예방 및 관리'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운동 및 체중관리'를 선호하였으며, 3개 이상의 복합소견을 가진 노인의 경우 정상이거나 단일소견인 노인보다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와 '의료기관 이용법'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요구도가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7. 교육방법에서는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고 2개의 복합질병을 가진 노인이 개인상담 다음으로 전문가의 강의를 선호하였으며 질병수와 교육방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교육장소로 지역사회복지관을 가장 선호하는 노인은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고 2개의 복합질병을 가졌으며, 단일질병을 가진 경우 상대적으로 병의원을 선호하였다. 또한 질병수와 교육장소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at a high speed unprecedented in world history, Korea will face the super-aged society and many resultant elderly health problems. Thu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problems with elders' health through health examination as a part of health service for elders and execute health education to elders according to their health condition so that elders have appropriate abilities to manage and protect themselves. Thus this study analyzed health examination records of 223 elders aged over 65, who had free health examination at the Seoul Branch of Korea Health Associ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personal and telephone interviews from the 10^(th) to 31^(st) of October 2003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health education by group characteristic by identifying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elderly. Collected data were digitized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1.0.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statistic techniques includ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χ^(2)-test, t-test and ANOVA and obtained results as follows. 1. As for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4.3% of them were fe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72.5. Most of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and 61.9% were bereaved of their spouses. As for monthly income, 37.2% earned no more than 290,000 won, 65.9% were attending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36.1% did not drink nor smoke for heath. Among elders who had received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 47% got re-examination or treatment and 33.6% had counseling or health education after health examination. 2. Among the subjects, 79.8% had one or more diseases and 26.8% of them had arthritis and neuralgia, 21.7% hypertension, 10.7% diabetes, and 8.8% hyperlipemia and arteriosclerosis. As the number of diseases increased, elders' subjective perception on health got wors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elders'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elders and those who attended meetings perceived mor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the will to participate in health education was stronger in female elders (p<0.05), those who attended meetings (p<0.001) and those who practiced health-promoting behaviors (p<0.01),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s for education contents, elders preferred most the area of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Detailed education contents preferred by elders were in order of dementia, paralysis and apoplexy, arthritis and neuralgia, hypertension, etc. In addition, elders'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ademic qualification (p<0.05) and exercise (p<0.05). Elders preferred personal counseling for education method and local community centers for education place, but male elders and those who did not attend meetings preferred hospital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elders'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health condition, their will to participate was weaker when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health was low, and stronger when the number of diseases increased but if the number of diseases was 3 or more elders' will to participate in health education rather went down, and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6. The most preferred content of education wa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all elders regardless of their health condition, and the next was 'exercise and weight control.' Elders with three or more symptoms demanded relatively high for 'mental health and stress control' and 'how to use medical institutions' than healthy elders and those with only one symptom,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7. As for education methods, elders who were not healthy subjectively and had two composite diseases preferred personal counseling most, and next specialists' lectur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eases (p<0.05). Elders who were not healthy subjectively and had two composite diseases preferred local community centers as education place, and those with a single disease relatively preferred hospitals. In addition, there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education pla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eases (p<0.05).

      •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이정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직무 수행 시 유아의 지도 및 보호,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 처리활동, 전문성 신장, 관계조성 및 유지영역에서 느끼는 어려움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 직무 하위 영역별 수행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지도 및 보호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 처리활동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전문성 신장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2-4. 관계 조성 및 유지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공·사립유치원교사 313명이며, 사용된 연구도구 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고찰 및 면접, 예비 조사, 내용타당도 검증 등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질문지는 4개영역의 총 5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료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신장’영역에서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 직무 하위 영역별 수행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에서 유아의 지도 및 보호영역에 대한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은 교수학습 실제에서 ’현장학습 지도‘가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지도에서는 ’인성 및 사회성 지도’에 대해 다소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건강 및 안전지도의 직무수행에서는 ‘안전지도’에서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학습 평가의 직무수행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는 ’유아평가‘, ’교사평가‘, ’프로그램평가‘에서 대체적으로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처리 활동영역에 대한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은 교육행사에서 ‘행사진행 및 평가하기’가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아모집 및 관리에서는 ‘학부모 교육’, 교육자료 기자재 관리에서는 ’사육재배 식물 및 동물관리‘를 다소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사무·공문서작성 및 관리에서는 ’공문서 작성 및 관리‘, 유치원 운영비 계획 및 지출에서는 ‘유치원 운영비 예산계획’의 직무수행에 대해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시설·설비점검 및 관리 직무수행의 어려움은 대체로 적게 반응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영역에 대한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은 참관활동에서 ‘공개수업 참관’이 다소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학활동에서는 ’교육청 장학‘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 있으며, ’동료장학‘, ’자기장학‘, ’실습생 지도‘에서도 다소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활동에서는 ‘연구대회 참여’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교육과정 연구회 참여’도 다소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활동의 직무수행에 대해서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관계조성 및 유지영역에 대한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은 의사소통 및 관계조성에서 ‘장학사와의 관계’를 다소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목행사 참여의 직무수행에 대해서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ir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managing classes and doing office jobs, developing expertise, and creating and maintaining relations.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job performance?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sub-areas of teachers' jobs? 2-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2-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managing classes and doing office jobs? 2-3.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developing expertise? 2-4.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difficulties in creating and maintaining relation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13 teachers working for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Gyunggi.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through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interview, pilot test, and content validity. And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areas and 56 items. In order to test research question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y each item were calculat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overall job performan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developing expertise' to be somewhat difficult. Second, with regard to teaching and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leading field trips,' 'guiding personality and sociability,' and 'directing safety' were perceived to be somewhat difficult among the jobs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and health and safety direction, respectively. As for the evaluation job,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evaluating children,' 'evaluating teachers,' and 'evaluating programs' to be difficult. With regard to managing classes and doing office jobs, 'promoting and evaluating educational events,' 'educating parents,' 'raising plants and pets,' 'making and keeping official documents,' and 'making annual budget' were perceived to be somewhat difficult among the jobs of educational events, recruiting and administering, managing teaching materials and aids, office work, and budget and expenditure, respectively. However, monitoring and maintaining facilities were not perceived to be difficult for kindergarten teachers. As for developing expertise, 'open class' among the jobs of inspection activities was perceived to be somewhat difficult. Among the jobs of supervision activiti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supervision from office of education' to be the most difficult. 'Peer supervision,‘ ’self supervision,‘ and ’coaching student teachers‘ were perceived to be somewhat difficult. Regarding research activiti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articipating research contests' to be the most difficult and 'participating curriculum societies' to be somewhat difficult. While, in-service training was perceived not to be difficult. With regard to creating and maintaining relations,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relations with school inspectors' to be somewhat difficult, but 'participating social events' was perceived not to be diffic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