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정은의 창작 작품 “멈춘 듯 흐른다.”을 통한 식물이미지의 상징성에 대한 고찰 = Creative Work "Steady Growth" Representing the Study of Symbolism of Plant Images by Jeong Eun Lee

        이정은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People in modern society do not feel the needs to seek for reason or purpose for their lives, dreams and underlying value and the standards for happiness. In reality, people nowadays are living abide by other people’s standards, losing the balance of their own lives and confused. Being part of meaningless competitions in life, people no longer try with their heart but only make perfunctory efforts. Then at some point, people lose directions and lose ways and heading towards unstable lives. When one loses the importance of waiting for their dreams to happen and hopes in life, they no longer realize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their own lives and start living to live up for others. Waiting for one’s dreams to come true itself has a special power. People might start at same starting but where they end up in lives depends greatly on whether we have dreams or not.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inner darkness of the lonely minds of the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busy lives, to the brighter side. I tried to show this strong will through the motif, ‘seed’, that has inner meaning of ‘life’. Art works as the bridge that connects human to nature. Seeds are small and weak but they have limitless will to live on. However, this can’t be seen easily on the outside. Even though it seems they have come to a halt, their constant minute movements show their growth. Through this image, I tried to send out a message of hope on inner value, infinite potentials and waiting. This creative work called “passing by slowly” shows that even this weak and hard seed has inner value and beauty. To express this symbolic image, I tried to show my emotional imagination through movements of the choreography. I put the images of the seed, repetition and hope in creative choreography in three steps in my work. Also, in the process of choreograph, I put individual memories of the dancers and researcher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inner and external experience, I expressed sincerity and naturalness. I expressed the natural flow that connects to the two very contrasting fast and slow situation through body movements. Also, to express the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nd also the space of the stage, props and lightings were used well. Calm movements and lights together naturally make dynamic movements and props are expressed along with stage space. This contrasting image brings out the poetic side of the image much better. Eventually, this emphasizes these constant symbolic images. Such values bring out the inner emotions and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how that in body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how that even though it seems everything has stopped, we are still growing just like the seeds. Through the purification of minds and motivation, we try to find changed ourselves running towards our dreams. Life moves us and by studying many symbols inside it and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emotions and essentials, it influenced to put a hopeful message to make people realize unlimited potentials and hope and also to make them look back on their lives.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이유와 목적, 자신의 꿈과 내제된 가치, 행복의 기준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정작 현실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기준으로 만들어진 길에서 자신의 중심을 찾지 못하고 헤매 이고 있다. 무의미한 경쟁 속에서 달리며, 열정과 진심이 담긴 노력이 아닌 형식적인 노력하는 현실 속에서 어느 순간 방향을 잃어 길을 헤매고 가고자 하는 길이 허물어지고 앞만 바라보는 불안한 삶으로 가고 있다. 이러한 자신의 꿈과 희망의 기다림의 중요성을 잃어가다 보면 자신의 삶에 의미와 가치가 있음을 모른 채 ‘나’ 자신을 위한 삶이 아닌 다른 사람의 만족을 위한 삶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기다림의 꿈은 그 자체만으로 놀라운 힘을 가지고 있다. 꿈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처음시작은 같을 순 있으나, 그 끝은 서로 다른 의미의 엄청난 차이가 날 것이다. 본 연구는 마음속에 여유조차 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현대인들의 외로운 내제된 감정을 어두운 곳에서 빛이 있는 세상 밖으로 보여지기 까지 생명에 강한 의지가 내제되어 있는 자연의 식물이미지인 씨앗의 모티브를 통해 상징성을 접목시켜 표현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를 가지고 있다. 작고 보잘 것 없는 미약한 존재이지만 그 안에선 무한한 생명력을 껍질 속에 감춘 채로 정지 된 듯 끊임없는 움직임에 의해 인내심 또한 각고의 노력에 성장과정의 이미지로 내면의 가치, 무한한가능성 그리고 기다림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자 의도하였다. 연구물인 창작 작품 “멈춘 듯 흐른다.”의 자연스런 흐름의 변화에 식물이미지의 씨앗은 미약하고 딱딱한 존재이지만 그 안에 내면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품고 있는 것임을 상징적 이미지의 표현을 부각시키기 위해 작품과정 분석하여 본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감성의 상상력을 이끌어 내어 안무과정의 움직임표현으로 ‘씨앗이미지’, ‘순환반복의 움직임’, ‘희망이미지’의 3단계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안무과정에 있어 무용수들과 연구자, 개개인의 내부세계와 외부세계의 경험을 조합하여 스스로의 경험에 의해 진정성의 자연스런 흐름을 신체 움직임으로 이완과 속도 조절에 의해 역동성과 대립적인 효과를 표현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무대공간의 구성으로 무대 조명의 효과와 소품활용의 대조된 느낌으로 시각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잔잔한 움직임들로 흐름의 연속성과 상징적 이미지의 깊이 감을 더해 줄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자의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 자연과 씨앗의 지닌 상징성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신비스럽고 아름다운 자연의 순환, 흐름 속에 내포되어있는 내적인 감성과 예술적 경험으로 본 연구자는 누군가의 꿈이 되는 게 아니라 내안의 울림으로 꾸준히 성장하듯 여전히 꿈꿀 수 있는 충분한 가치와 새로운 내면의 감정을 이끌어내어 움직임에 의미를 부여를 시키고자 함이다. 생명력은 감동을 주며 그 안에 여러 상징성을 고찰하고 근본적인 정서와 본질의 중요성을 일깨워 현대인들이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을 조금이나마 자신의 가치와 삶의 의미로 다시 되돌아 볼 수 있게 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아내는데 적합한 영향을 주었다.

      • 시적 이미지의 형상화 연구-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정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누구나 표현의 욕구가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정신생활이나 자연, 사회의 여러 현상에서 느낀 감동 및 생각을 표현한다. 예술가는 누구보다도 표현의 욕구가 강하고 그 표현 욕구의 강렬성 때문에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술작품이 창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욕구의 표현방식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형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미술이라면, 그것을 정제되고 감성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문학이라 하겠다. 문학 중에서도 절제된 언어로 표현되는 시는 모든 문학 양식의 모체이며, 가장 순수한 정신의 경지를 표현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시는 서정시를 지칭한다고 볼 때, 서정시에는 개인적인 기억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순수한 감성이나 시인의 눈을 통하여 관찰되는 사물에 대한 느낌, 생각 등이 함축적인 언어로 표현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감성의 세계를 언어로 표현하는 특성을 지닌 서정시와 이를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인 미술을 연관 지어 생각해 보는 것에서 그 출발점을 잡았다. 시는 인간이 일을 즐겁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켜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부르는 노동가요나 언어의 초자연적인 힘을 믿는 고대 신앙과 결부되어 욕망이나 기대의 실현을 바라는 주문으로서의 기도의 단계를 지나 그 자체로서 양식을 완성하려는 자각이 생김으로써 문학으로서의 시가 탄생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또한 고대 사람들이 원하는 동물을 잡기를 기원하며 동굴에 그린 벽화에서 오늘날의 미술이 탄생한 과정과도 비슷하다. 본인은 ‘마음속에 언어로 그려진 그림’을 조각을 통하여 형상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형상화란 느낌과 감성에 의해 연상되고 각인되는 대상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표현함을 뜻하는데, 이는 시적 이미지를 실제 경험이나 상상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가시적 사물, 다시 말해 조각의 형태로 조형화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시가 지닌 특징인 언어적 전달기능을 시각적으로 구현된 조각을 통해 표현함으로서 시적인 이미지의 다양한 해석과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시도였으며 여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본인은 시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시적 이미지 중에서 나무와 집을 위주로 표현하였으며, 각각의 소재들은 동심이나 희망, 고향, 엄마의 품 등 여러 가지를 상징한다. 이들을 표현함에 있어 단순한 재현이 아닌 시를 통하여 느껴지는 본인의 주관적인 상상과 감정 이입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시도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업은 인간의 삶의 터전은 본래 자연이라는 생각을 토대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모습을 담아내고자 하였으며, 어릴 적에 읽었던 동화나 동시, 동요 또는 영화로 보았던 자연에 대한 상상력과 기억을 바탕으로 시에서 느껴지는 시적 이미지를 해석하고 조각으로 표현하였다. 조각의 재료로는 대리석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인간이 이용한 조각의 재료 중 자연에서 채취된 석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따뜻함을 담아 표현하고자 함에 그 의미를 두었다. 본인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체 조형의 시각적 형태와 시적 이미지의 조화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를 본인의 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하며, 이를 통해 시적 이미지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인 시각적 형상화의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Every human has a desire of expression from birth, so they express impressions and ideas from their own mental life, various environmental and social phenomena, through many methods. Particularly, artists have a stronger desire of expression than any other, and due to such intensity of desire for expression they represent their inner world. The work of art is created by this process. Such desire is expressed through many methods. Among them, art expresses someone's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visually, while literature expresses them by refined and sentimental language. In literature, poetry that is expressed by tempered language, is a source of all literature styles and a field that expresses the most pure stage of spirit. Generally, the poet that we called is lyric poetry. With implicative language, it expresses pure sensitivity based on personal memories and imagination, or feelings and ideas about things examined by the eyes of a poet. This article started from associating lyric poetry that expresses world of sensitivity through language, with fine art which is a visual art expresses such world formatively. I tried to visualize 'the picture drawn in mind through language' by sculptures. Visualization means a concrete expression of form of subject that is associated and imprinted by feeling and sensitivity; it is a formation of poetic image as a visible object, that is, a sculpture based on the actual or imaginative experiences. In other word, I try to prove poetic image can be interpreted and expressed variously by representing its function of linguistic communication, one of its significant feature, through visually embodied sculpture. Such process i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various poetic images in poetry, I expressed mainly tree and house, and each matter symbolizes the innocence of a child, hope, homeland, bosom of mother, etc. To express these elements, I sublated simple representation and tried to make various forms through process of my own subjective imaginations and empathy from poetry. Also, my works tried to contain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based on the idea that nature is a natural grounds of human life. In addition, I interpreted poetic images of poetry and expressed them as sculptures, based on the imaginations and memories about nature that I saw in fairy tales, children´s verses and songs, or movies. I mainly use marbles as a sculpture material, to express with warmth of nature by using stones among various sculpture materials, which were extracted from nature. Through there process, I tried to harmonize visual form of three-dimensional molding with poetic image, and to show its result through my works. With it, I would like to provide a possibility of visualization that is a new artistic expression of poetic image.

      • 대장암에 대한 Silibinin과 방사선 병합치료의 효과 : Combined Effect of Silibinin with Radiation on Human Colorectal Cancer : 이정은

        이정은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Silibinin, a naturally occurring polyphenolic flavonoid, has recently been shown to have potent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colorectal cancer (CRC) on in vitro and in vivo; however, the efficacy of treatment with radiation is not elucidated. Here we assessed the anticancer efficacy of combination treatment colorectal cancer both in vitro and in vivo. Our results showed that combination treatment of silibinin with radiation inhibits the growth and induces apoptotic death in HT-29 cells, however, did not show combination effect in HCT-116 cells. Silibinin with radiation caused a strong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Molecular analysis for cell cycle regulators showed that combination of silibinin with radiation decreases the level of cyclin A, cyclin B, cdc25c, cdc2, and phospho-cdc2. Moreover, caspases-dependent regulators showed that combination of silibinin and radiation increases the level of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decreases the level of caspase-9. In animal studies, tumor growth of HT-29 xenograft was reduced further in the group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ilibinin and radiation compared with single treatment. TUNEL and immunohistochemistry of Ki-67 in tumor tissues indicated that the combination of silibinin with radia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enhanced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apoptosis compared with single treatments. Moreover, combination treatment did not show cytotoxicity through body weight and blood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a novel mechanism for silibinin-mediated radiosensitization involving increased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and decreased angiogenesis in colorectal cancer. Silibinin application might be an effective radiation modifying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지난 10여 년간 아시아에서는 생활 및 식습관의 서구화로 인해 대장암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대장암의 치료는 크게 수술적 방법,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으로 구분 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들의 병합요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ilibinin은 우유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약 2000년 전부터 약용 식물로서 사용되었고, 유럽에서는 전통적으로 간 기능 보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간염, 간경화 환자의 치료, 항암 치료 환자에서의 간 독성 감소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립선암, 유방암, 및 피부암 등 고형성 종양에서 silibinin의 발암방지 및 치료효과 등에 대한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장암의 치료방법 중에서 방사선 치료에 천연 추출물을 병합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부작용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세포주 실험에서의 silibinin과 방사선의 병합치료 결과, 방사선에 저항성을 지닌 HT-29 세포주에서 silibinin 또는 방사선의 단독 치료군보다 병합 치료군이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사멸시키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방사선에 민감한 HCT-116 세포주는 단독 치료군과 병합 치료군의 세포사멸 효과가 비슷한 면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서, 본 연구에서는 병합치료의 효과가 있는 HT-29 세포에서의 분자적 구조를 알아보았다. 세포주의 성장 억제와 사멸에 관련된 세포주기와 세포자멸사의 분자 변화를 확인 한 결과, silibinin과 방사선 병합 치료군은 G2/M phase에서 세포 주기의 억제를 일으키며, caspases-dependent한 apoptosis 경로를 통한 세포사멸을 증가시켰다. 동물실험에서는 세포주 실험 중 병합치료에 효과가 있는 HT-29 세포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세포주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대장암에서의 silibinin과 방사선의 병합치료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silibinin과 방사선 병합치료의 작용기작을 알 수 있었으며, silibinin은 대장암 치료에서 방사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사선감작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위생등급 인증식당의 소비가치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 위생지식과 위생등급 인지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정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위생등급 인증식당의 소비가치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 위생지식과 위생등급 인지도의 차이 중심으로 본 연구는 식중독 사고 예방과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 도입된 “음식점 위생등급 인증제도”가 외식 시장에 정착하도록 하는 노력 의 하나로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통하여 위생등급 인증식당 방문 고객들의 소비가치가 방문 의도에 미치는 행동 요인을 분석하고, 위생등급 인증식당 인지도와 위생 지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를 위해 연구1과 연구 2로 나누어 총 10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위생등급 인증식당을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 로 제한하였고, 5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에 소비가치를 도입하여 확장된 목 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위생등급 인증식당 방문소비자들에게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소비가치는 가격적 가치, 품질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4가지로 구성하였으며, 소비가치와 목표지향적 행동이론 모형을 더한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 모형의 모형도는 적합하게 나타났 다. 소비가치 중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위생등급 인증식당의 태 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적 가치는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망과의 관계에서 태도와 열망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 예기정서도 열망과의 관계에서 모두 열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행동통제와 열망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 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각된 행동통제는 위생등급 인증식당 행동(방 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열망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의 위생등급 인증식당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와 위생지식 이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이용한 위생등급 인증식당 방문 의 도에 대한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 집단 간 경로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지식과 위생등급제 인지도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생지식은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위생등급제 인지도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격적 가치와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행동통제와 열망 사이의 관계에서는 확장된 목 표지향적 행동이론 모형에서 경로 간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활성화 역 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위생지식 측정 시 진위형, 선다형 등 측정 도구를 다각화하여 정확한 위생지식을 판별할 수 있는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위생등급제도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해 위생등급 인증제 도에서 인증업소의 업주를 대상으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ygiene Grade Certificate” in the restaurant market, which was introduced to prevent food poisoning accidents and protect consumers' right to know. In this study, using the expanded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the behavio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value of customers visiting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on their intention to visit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wareness of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and hygiene knowledge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visiting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and the subjects were 507 peop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esting a total of 10 hypotheses divided into Study 1 and Study 2 are as follows. In Study 1, the expanded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was utilized by introducing consumption values into the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 consumers visiting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a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value was composed of four types: price value, quality value,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The expanded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model, which adds consumption value and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model,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mong consumption values,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while quality valu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influence. Seco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aspirations, and subjective norms and anticipated emotion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aspirations. Third, although no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spiration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La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pir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In Study 2,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awareness of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s and hygiene knowledge on intention to visit a hygiene grade certified restaurant was tested using expanded goal-oriented behavior theo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n hygien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Hygiene Grade Certificate, the moderating effect of hygiene knowledge was found to be not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awareness of the Hygiene Grade Certificat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rice value and attitud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spirations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aths in the extended goal-directed behavior theory model.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that can determine accurate hygiene knowledge by diversifying measurement tools such as true-false and multiple-choice methods when measuring hygiene knowledge. In addi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business owners of certified businesses in the Hygiene Grade Certificate to derive ways to revitalize the hygiene grade system

      • Improved lignin contents of phragmites communis with molecular approach

        이정은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최근 바이오에너지의 원료로 각광받고 있는 갈대의 조직배양 기술 및 대량생산 기술과, 리그닌 생합성에 관련하는 갈대 특이적 COMT 와 AOMT유전자를 분리, 그리고 갈대의 형질전환법 확립과 더불어 리그닌의 함량을 낮추어 보다 바이오에너지 원료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킨 갈대 형질전환체의 획득에 관한 것이다. 갈대의 callus 유기는 아직 갈대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없는 4-FA 함유배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갈대의 재분화에서는 NAA와 BAP의 차이가 클 때 (NAA 0.5mg/L, BA 2mg/L) 좋은 재분화율을 보였다. 습지식물인 갈대는 고체배지보다 액체배지에서의 성장이 월등히 좋았으며, 대량생산 적용 시 최적 sucrose의 농도는 60g/L로 확인되었다. 리그닌 생합성에 관련하는 Phenylpropanoid pathway 상의 중요 효소인 COMT와 AOMT의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조직별 COMT유전자와 AOMT 유전자의 발현을 mRNA레벨에서 조사한 결과, 뿌리와 잎에서 높은 발현량을 보였으며, 줄기와 뿌리줄기에서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또한 시기별 분석에서 AOMT는 노화여부와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발현을 보였지만, COMT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크게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COMT와 AOMT는 호르몬 등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에서 2,4-D 처리와 자스몬산, 살리실산에 크게 반응하였다. 한 식물의 이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형질전환법의 확립이 우선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갈대에 대한 형질전환법은 보고된 바가 없다. Part4에서는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이용한 갈대의 형질전환에 성공하여, GUS gene의 발현을 RNA 레벨과 단백질 레벨에서 확인하였고, callus 단계에서의 염색에도 성공하였다. 또한 part4의 주요목적인 COMT 와 AOMT의 RNA interferencing을 통한 lignin 저하 역시 RNA 레벨에서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갈대 작물에서 처음으로 lignin 생합성 관련유전자인 COMT 와 AOMT를 분리하였고, 이는 바이오에너지 작물로 각광받는 갈대의 연구에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아직 보고된 바 없는 갈대의 형질전환법 역시 앞으로의 갈대 작물의 이용성 증대에 작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Reed grass (Pragmites communis Trin.) is one of the widely distributed perennial grass species in the world living in a wide variant environment, especially in wet land. Recently it has been expected to be the raw material of bio-energy which can be supplied stably with lingo-cellulose without effects on food resources. However, there is seldom methodical research on reed. An in vitro culture system for the large-scale propag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 (common reed) was established in part I by optimizing culturing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differentiation along with plant propagation using regenerated plantlets. Callus formation was induced from stem segments with callus induction medium containing auxin 4-fluorophenoxyacetic acid (4-FA) or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 high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served when applied for the first time on 4-FA 1.0 mg L-1 medium (up to 93%). Regeneration system for reed was studied. The highest regeneration capacity was associated with the medium containing 0.05 mg L-1 NAA and 2 mg L-1 BA, and the combination of 0.2 mg L-1 NAA and 2 mg L-1 BA. These regeneration and propagation systems could be used for mass propagation or an in vitro culture system. The Caffeic acid O-methyltransferase (COMT) and Caffeoyl CoA O-methyltransferase (CCoAOMT) of Phragmites communis Trin. (common reed) were studied in part Ⅱ. COMT and CCoAOMT are important genes for lignin biosynthesis. COMT and CCoAOMT were found and showed high affinity with amino acid sequences of other gramineous plant’s COMT and CCoAOMT. The deduced protein sequence from cDNA shares homology with the reported gramineous plants. Southern analysis indicates that multi gene codes for both two enzyme in reed. COMT and CCoAOMT exist in distinct organs, and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of two enzymes was observed in root and leaf. Temporal expression of these enzym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CCoAOMT was gradually increased expression level while COMT was ascended steeply as developmental stage proceeded in reed. Agrobacterium tumefiaciens mediated transformation is a widely used transformation method in various plants. Despite the recent attention on reed as a bio-energy resource, transformation of reed has been not reported yet. Transformation system for reed was reported in part Ⅳ. Callus originated from Phragmites communis Trin. was used for transformation. The CaMV 35S promoter inserted pCAMBIA 1381 vector was transformed in callus mediat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Generated green embryos in selection medium were stained for verifying expressed GUS gene. The GUS transgenic plants were ascertained on RNA expression level and protein expression level also. Caffeic acid O-methyltransferase (COMT) and Caffeoyl CoA O-methyltransferase (CCoAOMT) involved in phenylpropanoid pathway play a crucial role in lignin biosynthesis. After establishing transformation procedure of reed, COMT and CCoAOMT deficient transgenic plants were produced. The transgenic plants were showed severely decreased lignin level and some of transformants showed dwarfism caused by insufficient lignin.

      • 점진적 이중과제를 활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이중과제를 활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5명의 대상자들은 실험군(n=13)과 대조군(n=12)으로 무작위 프로그램을 통하여 배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트레드밀 훈련을 4주 동안 주3회, 1일 30분, 총 12회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트레드밀 훈련을 진행하며 동시에 주마다 단계별로 인지과제를 적용하여 이중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진행과정 중 실험 군에서 5명, 대조군에서 4명이 퇴원과 실험거부로 탈락하여 총 16명이 연구를 완료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m 걷기 검사(10-m walk test, 10MWT), 6분 걷기 검사(6-minute walk test, 6MWT)를 통하여 보행 능력을 측정,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 up-and-go test; TUGT),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통해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고,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Korean version of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를 사용하여 균형자신감을 측정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들은 사전검사 후 중재를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가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시기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군에 따른 주효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측정시기와 군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에서는 TUG와 BBS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사후검정 결과 군간 비교에서도 TUG와 BBS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군 내 비교에서는 실험 군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대조군에서는 10MWT, 6MWT, ABC-K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하여 점진적 이중과제를 활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능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추후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using progressive dual-task on the balance and gait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study assigned 25 participants to an experimental group (n=13) and a control group (n=12). All participants performed treadmill training 30 min daily, three days a week for 4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the by gradually applying the each week while running on the treadmill. Due to discharge and refusal, 5 people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4 from the control group dropped out, leaving a total of 16 people to complete the study. Walk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10-m walk test (10MWT) and 6-min walk test (6MWT), and balance ability using the time up-and-go test and Berg balance scale (BBS), and balance confid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fter the pretest, all participants received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was administered after all interventions were completed.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factor in all item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main effects by group (p>.05). In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me factors in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d BBS items (p<.05). According to the post hoc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TUG and BBS items (p<.05). In comparis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and in 10MWT, 6MWT, and ABC-K items in the control group (p<.05). This study found that treadmill training using the progressive dual task improved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in the future.

      • 미용성형부위 및 의복행동그룹에 따른 의복스타일선호에 관한 연구 : 미용성형을 경험한 2,3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정은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e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cosmetic surgery part and to research how the clothing style preference is expressed depending on each clothing behavior group. This study is focused on women of 20s and 30s living in Seoul·Gyeonggi area with cosmetic surgery experiences. Among those women, following groups are divided and surveyed with equal frequency and ratio: 'facial surgery', 'face contour surgery', 'breast surgery', and 'body figure revision'. The results for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selected group of this study is mostly singles in their early 20s, had education of at least 4-year college, and their jobs were 'student', 'sales representative', and 'art related people', respectively. It is analyzed that they received cosmetic surgery in purpose of improving their appearances from the cosmetic surger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ir friends or acquaintances. Also, they had priority on external appearances rather than internal, and the deciding factors for external appearance were 'face', 'body shape', and 'clothing', respectively. Next, comparing the changes i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efore and after cosmetic surgery, number of times for weekly shopping has been increased by 1~2 times, shopping portion for expensive imported clothes were also increased. Also, they preferred silhouettes showing body shape, diversified in color tone, and showed more overall exposing preferences. For this reason, it is predicted that clothing concerns and preferring tendencies seemed to be changed more aggressively and boldly. Also, self confidence on their changed appearances due to the surgery was reflected to their clothing styles. After looking into the preferred clothing styles based on the cosmetic surgery parts, women had higher satisfaction on body-managing cosmetic surety, breast surgery and face-contours surgery. It was analyzed that body exposure was more aggressively acted after having the surgery because the self satisfaction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changes in body shape after surgery. At last, after looking into the cosmetic surgery and the clothing preferences styles for each clothing behavior group, there seemed to be more breast surgery and body figure revision for the aggressive and extroverted; sex-appeal and mood switching type.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y tend to have facial surgery for passive group; information collection, trend alignment, and beauty preference. Such result was also reflected in clothing preferences styles; the biggest change was shown in aggressive and extroverted group, sex-appeal type. 본 연구는 2·30대 여성 중 미용성형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형부위별로 의복행동의 유형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의복행동그룹에 따라 어떤 형태로 의복스타일 선호가 표출되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권에 거주하는 2·30대 여성 중 미용성형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미용성형 경험자중 실제 미용성형을 한 부위에 따라 ‘얼굴성형’, ‘안면윤곽성형’, ‘가슴성형’, ‘체형보정’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 유사한 빈도·비율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인 미용성형을 경험한 표본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대부분이 ‘20대 초반’의 ‘미혼’으로 ‘4년제 대학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졌으며, 직업은 ‘학생’, ‘서비스판매직’, ‘예술계통종사자’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미용성형 및 미의식에 관련된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미용성형을 한 조사대상자들의 대부분은 미용성형에 대한 정보를 주로 ‘주위친구 또는 지인’을 통해서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성형수술을 경험한 조사대상자들은 미용성형 후에 ‘외모에 대한 자신감의 증가’와 ‘화장법의 변화’, ‘의복 구입 시 선택하는 디자인 폭의 증가’를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용성형 경험자들은 내면보다는 외모의 아름다움을 우선시하며, 외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얼굴’, ‘몸매’, ‘의상’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조사대상자의 성형 전․후 선호하는 의복스타일을 알아본 결과, 미용성형 후에 쇼핑을 하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고가의류판매처에서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몸매가 드러나는 실루엣에 호의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성형 전보다 현대적이고 섹시한 스타일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색상톤에 반영되어 과감한 색상 톤을 선호하였다. 노출정도에 있어서도 과감하고 대담해져 성형 전과 비교했을 때, 네크라인과 팔, 다리에 있어서 노출부위가 넓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미용성형부위별 선호하는 의복스타일을 살펴보았다. 먼저 미용성형을 경험한 연구대상자들은 대체로 수술 결과에 대해 ‘만족’하였고 성형부위별 만족도의 정도는 가슴성형, 안면윤곽성형, 체형보정, 얼굴성형 순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미용성형부위별로 선호하는 실루엣을 살펴본 결과, 얼굴 성형을 제외한 모든 성형부위에서 성형 후에 몸매가 드러나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모던스타일’을 선호하나 가슴성형의 경우에는 ‘모던스타일’과 ‘섹시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루즈하고 활동적인 스타일인 ‘액티브 스타일’의 경우에는 모든 성형부위에서 가장 선호빈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성형부위에 따른 색상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얼굴부위성형시술자는 ‘모노톤’, ‘파스텔톤’을 선호하고 체형관련성형시술자는 ‘파스텔톤’, ‘비비드톤’, ‘모노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미용성형부위별 자신감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보통’이상으로 기록되었으며 특히, 가슴성형과 체형보정의 경우에는 안면윤곽성형이나 얼굴성형에 비해 자신감의 정도가 더욱 높은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성형부위별 노출범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네크라인과 팔, 다리의 허용 가능한 노출범위를 미용성형부위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얼굴부위성형과 체형관련성형 모두에서 네크라인의 선호노출정도가 더 적극적인 형태로 변화하였다. 팔의 노출범위를 살펴본 결과 체형관련성형에서 성형 전에는 ‘쇼트 슬리브’를 선호했으나, 성형 후에는 보다 큰 노출범위의 ‘아메리칸 암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용 가능한 다리 노출 범위를 분석한 결과 모든성형부위에서 성형 후 허용 가능한 다리 노출범위가 과감해졌음이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의복행동그룹에 따른 의복스타일 선호를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의복행동그룹은 ‘정보수집형’, ‘섹스어필형’, ‘유행동조형’, ‘기분전환형’, ‘심미우선형’의 5가지로 구분되었다. 의복행동그룹별 성형부위의 분포빈도를 살펴본 결과, ‘정보수집형’과 ‘유행동조형’, ‘심미우선형’의 경우에는 얼굴성형의 빈도가 높았다. 한편, ‘섹스어필형’과 ‘기분전환형’의 경우에는 가슴성형과 체형보정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쇼핑횟수에 있어 ‘정보수집형’과 ‘섹스어필형’, ‘기분전환형’, ‘심미우선형’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1~2회 정도 쇼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유행동조형’의 경우에는 한 달에 1~2회 쇼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쇼핑장소에 있어서는 ‘정보수집형’과 ‘기분전환형’, 그리고 ‘심미우선형’은 주로 내셔널브랜드 대리점, 백화점, 디자이너 부띠끄등을 이용하며, ‘섹스어필형’과 ‘유행동조형’은 백화점, 복합매장, 상성할인매장, 대학가, 인터넷 쇼핑몰 등 쇼핑장소의 폭이 비교적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의복스타일에 있어서 ‘섹스어필형’은 섹시스타일을 선호하였으며, 그 외 모든 의복행동그룹에서 모던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색상톤선호도에 있어서 ‘기분전환형’과 ‘심미우선형’을 제외한 다른 그룹은 모노톤을 선호하는 반면 ‘기분전환형’과 ‘심미우선형’은 비비드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네크라인 노출정도에 있어서는 ‘정보수집형’, ‘유행동조형’, ‘기분전환형’, ‘심미우선형’의 네가지 의복행동그룹에서 스쿠프 네크라인과 V 네크라인을 선호하였고 ‘섹스어필형’의 경우에는 이와 더불어 노출의 정도가 가장 심한 클레비지 네크라인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다리 노출에 있어서는 소극적 그룹인 ‘유행동조형’에서만 미니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그 밖의 네 가지 그룹에서는 가장 노출이 심한 마이크로 미니스커트를 선호한다고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우선 미용성형을 한 후에 쇼핑횟수가 증가함은 물론 의복에 대한 관심과 선호하는 성향이 모던하고 감각적이며 대담한 스타일로 변화하였다. 한편 가슴성형과 안면윤곽성형등 보다 적극적인 수술의 경우 의복선호도에 있어 변화의 폭이 크게 조사되었다. 이는 미용성형수술로 인해 변화된 외형으로 자신감이 상승된 결과라고 사료되었다. 또한 의복행동그룹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에서는 외향적이고 적극적인 행동그룹인 섹스어필형에서 의복에 대한 선호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