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정선의 설치작품에 관한 연구

        이정선 부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artistic function was defined various by a lot of philosophers and theorists. An art of the origin is a magic, but it must be by an actual experience and mustbe composed and must acquire the format through an objectivity. An artist is a consumer of mass culture and a producer of mass culture at the same time. So a society have inseparable relation from an art. A researcher is going to analyze the relation through a way of ironuy, pastiche, cynicism, nihilism. Chose theme that is food among present state that appear variously as social structure that become complex. A researcher wished to communicate danger through negative image which appear through fastfood that express best modern person as is funny without being heavy. Therefore, A researcher selected McDonald which degree of recognition was the highest butblamed most. <Ronald, Really Happy?> expanded size with 30 times in order to show a close character with the object of a fear. It is not a friendly character of McDonald looking in an advertisement and lost humanity. As for the expansion of size is formally same as expanded things by Class- oldenbeg which is a popartist. <Happymeal> wished to show consumption culture that hamburger eats a person that a person did not eat hamburger. <Supersize BigMc> expresses modern person who take medicine to except a fat person and a fat person by fastfood. A researcher analyzes various stories that happen in society which change rapidly as there is insight. So, A researcher wish to turn round modern person's life by being solved with elements seen in out surface.

      •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 방법 연구

        이정선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교육의 전 부분에서 이러닝(e-learning)이 도입되고 있고, 또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중학교에서도 이러닝의 학습 효과를 전통적 학습환경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 이전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는 통합학습의 교육의 질 확보를 위한 최우선적인 전제 조건이다. 본 논문은 이러닝 평가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평가 기준들을 선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과 평가 문항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한 후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를 위한 평가 문항으로 정리하고 이러닝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여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에 적용해 본다. 본 연구는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평가 기준과 평가 방향에 대한 논의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통합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양질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관련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E-lear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in all educational domains and it has expanded rapidly in educational field. Even from the middle school the effort that middle the e-learning's learning effectiveness from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is active and it is advanced. But before like this discussing, the evaluation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does to become first of all. And this is first priority precondition for the quality security of the blended-learning. This study classifies the e-learning contents evaluation criteria that ver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works about e-learning evaluation. Based on this, this paper derive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on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in middle school. And it arranges with the evaluation question item that can evaluate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survey of validity on the questionnaire with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m it uses this evaluation of e-learning contents. This paper will give future directions and assessment criteria of e-learning. Moreover, this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materials for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to improve quality of blended learning.

      •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이정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도시형 생활주택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1~2인 가구를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 양식이다. 정부는 2009년 5월 주택법 개정을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을 도입했다. 독신자를 비롯해 자녀를 낳지 않는 맞벌이 부부, 이혼 증가 등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1~2인 가구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과 같은 소형주택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5월 이후 2013년 12월까지 서울시의 인허가를 받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주로 어떤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개발 방향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물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연구 대상으로 삼은 2009년 5월 이후 2013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도시형 생활주택은 총 4726건이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3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 상품이 93%를, 세대면적이 30㎡ 미만인 소형주택이 54.6%를 차지했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주로 공급된 지역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주변이었다. 이중 지하철역 반경 150~200m 이내 역세권의 밀집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철 가운데는 6호선, 7호선, 8호선 주변 역세권에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이 더 몰리는 경향이 뚜렷했다.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많이 거주하는 대학가 주변에도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이 많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임대료 탓에 지하철 역세권보다는 밀집도가 낮았다. Urban-type Housing is a new form of residence styles to target increasing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The government introduced Urban-type Housing through housing law revision on May 2009.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 is expected to increase substantially because of the social influence such as a single person, an increase in the divorce rate, double income no kids. Therefore the demand of small house like Urban-type Housing seems to increa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which received local government approval from on May 2009 to on Dec 2013 in Seou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rban-type Housings was supplied total 4726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is period. Second, 93% of total projects were less than 30 units and 54.4% were less than 30㎡ of living space. Third, the most densely developed area of Urban-type Housings were around the subway-oriented area that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bove all, the density within a radius of 150~200m was the highest. In this case, Urban-type Housings have been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tro Line 6~8. Forth, Urban-type Housings also have been supplied around a university campus. But the density of campus area lower than subway-oriented area’s due to high rents.

      • 구아바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이정선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구아바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의 실험 결과 구아바 잎 추출물은 10 mg/mL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126.4 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3.17 mg/g의 높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0.1, 0.25, 0.5, 1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BTS radical 소거능은 64.2%, 76.3%, 92.1%, 94.8%로 나타났으며, trolox를 positive control로 이용하여 구아바 잎 추출과 항산화 활성은 1 mg/mL 농도에서 trolox가 97.7%, 구아바 잎 추출물은 94.8%의 ABTS racical 소거 활성이 나타나 trolox와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통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증식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세포 내 ROS를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RAW 264.7 세포주에서 ROS 생성량은 10,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20.5%, 110.8%, 100.4%, 89.7%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50 μg/mL 농도에서부터 ROS의 생성량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 (p<.01). 염증성 질환을 나타내는 NO 생성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에서 50.4%의 유의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균력에서 Staphylococcus aureu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 직경이 9 mm, 10 mm, 11 mm, 13 mm로 나타났으며, Escherichia coli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 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이 9 mm, 9 mm, 10 mm, 12 mm로 나타났다. 그리고, Candida albican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5 g/mL의 농도에서부터 clear zon이 10 mm로 나타났다. Propionibacterium acne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 이 10 mm, 11 mm, 13 mm, 14mm로 나타났다. 여드름 관련 균주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MIC)는 각 균주에 대한 MIC는 대체로 0.25 – 1 mg/mL로 나타났으며 P. acnes ≃ S. aureus < E. coli < C. albican 의 순으로 구아바 잎 추출물의 MIC가 낮은 농도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S. aureus와 P. acnes에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고, gram negative bacteria인 E. coli에도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낮은 농도에서 강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생육을 저해하였다. 이는 구아바 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의 천연 방부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구아바 잎 추출물에 항산화 활성에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NO 생성억제 효과로 인한 항염증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천연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현대사회는 연구와 교육을 통한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사회이다. 다양성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전문화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지식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학 교육은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질과 방향을 결정하는 교육과정은 대학 교육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핵심요소로 다양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전공이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야한다. 교육학적인 측면에서의 미용은 예술과 철학, 과학으로 구성된 실용 예술 학문 분야로 이론적 지식 축적과 기능 습득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따라 현장중심의 교육체제 도입과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재의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교육기회의 급속한 팽창과 대학 교육의 대중화 등으로 2년제 미용관련 대학 역시 양적인 증가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개설, 운영되는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과목의 편성이 잘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체계적인 발전과 효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에 적합한 교육목표 제시 및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서 학과현황과 교육목표, 교과목 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교육부에서 인가 받은 미용관련학과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를 설치한 2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기간은 2013년 1월 15일~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와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빈도(N)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미용대학교 미용관련학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과 명칭은 뷰티 디자인(아트)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미용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대학에서는 전공을 헤어와 피부로 세분화하여 분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계열과 학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그 안에서 전공을 분리하여 학과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교의 수가 최근 들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그 수는 아직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분포현황은 4년제 대학교는 지방에 많이 개설되어 있지만 2년제 대학교는 수도권지역에 많이 편중되어 개설되어 있다. 계열별 학과현황은 보건계열과 자연ㆍ과학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교육목표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목적과 맞게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계열에 따른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계열의 특징에 맞는 교육목표를 제시하기 보다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교육목적에 중점을 둔 교육목표를 가장 많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피부교과는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 36%, 메이크업교과 15%, 네일교과 6%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피부와 헤어교과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일부학과 의 경우 전공교과목에만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특히 메이크업교과와 네일교과의 경우 낮은 편성을 대부분의 학과에서 낮은 편성을 보이고 있다. 네일교과의 경우 모든 학과에서 10%이하의 편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을 전공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는 전공 선택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과목의 경우 교육내용은 동일하지만 각 학과마다 교과목의 명칭의 표기가 학과별로 다르게 되어 있어 교과목의 이해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전문미용인력양성’을 위해서는 2년제 미용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는 각 전공을 분리하고 전공분리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전문 미용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전공세분화로 학과의 특성을 살리고 전공과목을 주된 내용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전문 미용인양성의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생쥐 근육에서 생쥐 Prolactin 유전자 발현에 의한 생식기능과 백혈구 수의 변화

        이정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lactin(PRL)은 척추동물에서 수유, 생장과 발생 등의 광범위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뇌하수체 전엽에서 합성되어 분비된다. PRL의 기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유전자 치료법을 이용한 gain-of-function 모델을 사용하였다. 먼저 cytomegalovirus (CMV) gene promoter와 생쥐의 PRL cDNA을 결합한 pCMV-mPRL을 제작하고 생쥐의 근육내로 직접 주입하였다. 발현된 PRL mRNA는 RT-PCR과 Southern blot으로 확인하였고, 합성된 PRL 단백질은 근육과 혈장에서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여 실험방법을 확립하였다. pCMV-mPRL을 암컷 생쥐의 대퇴부 근육내로 직접 주입했을 때, 암컷 생쥐에서 비정상적인 생식주기가 관찰되었는데, 생식간기가 8일 이상 지속되었다. 또한 자궁은 대조군에 비해 협소한 자궁강, 생식주기에 따른 자궁의 비후는 볼 수 없었다. pCMV-mPRL이 주입된 수컷 생쥐에서 신혈관형성이 정소에서 관찰되었다. 새로운 혈관의 형성이 plasmid주입 후 5주째에 처음 생겼으며, 8주째 때 정소의 표면에 새로 발생된 혈관들로 가득 찬 것이 관찰되었다. 정소 내부에서는 Leydig 세포가 증식되어, 세정관 사이사이를 채우고 있었다. pCMV-mPRL을 주입한 수컷 생쥐에서, 백혈구와 림프구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pCMV-mPRL을 주입하고, 내생 glucocorticoid의 제거를 위해 부신을 제거한 생쥐에서는 백혈구 수가 증가했으며, 그 중 림프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 같은 상태는 plasmid 주입 후, 20일 정도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pCMV-mPRL 주입과 부신을 제거한 뒤 외부에서 dexamethasone을 농도별로 주입했을 때, 농도가 높을수록 백혈구의 수가 감소되었다. 특히 전체 백혈구에서 림프구의 수가 감소되었으나 중성구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뇌하수체 외에 추가로 발현된 PRL은 암컷의 생식주기와 생식기관에 비정상화를 유도하고 정소에서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유도하였으며 백혈구와 림프구 세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DNA분자의 근육 내 직접주입 방법은 내분비 신호 분자들을 포함한 분비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olactin(PRL) is a pituitary hormone involved in a broad spectrum of phys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lactation, growth, development and immune responsiveness. To further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PRL, we adopted a direct DNA injection method. Plasmid named as pCMV-mPRL which contains the mouse PRL cDNA fused to the cytomegalovirus promoter was introduced into the mice by direct intramuscular injection, resulting in ectopic expression of mouse PRL. The transcript of mouse PRL was detected by RT-PCR and subsequent South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 showed that mature PRL protein was formed in the muscle and secreted into serum of the injected mice. In pCMV-mPRL-injected female mice, abnormal estrous cycle was observed. The diestrus Ⅱ stage was extended up to 8 days and the uterus was not expanded during the proliferation stage. In pCMV-mPRL-injected male mice, marked angiogenesis was observed in the testis from 5 to 11 weeks after pCMV-mPRL injection. Within the testis proliferated Leydig cells were located in the seminiferous tuble. In pCMV-mPRL-injected male mice, WBC and lymphocytes were increased in number. Specially combined introduction of pCMV-mPRL plasmid and adrenalectomy, which might remove the endogenous glucocorticoid, resulted in a marked augment in numbers of WBCs. Elevated lymphocyte persisted at least 20 days after plasmid injection. Dexamethasone treatment decreased WBC in number with a paradoxical increase of the neutrophils in the adrenalectomized and pCMV-mPRL- injected mice. Taken together, our data revealed that intramuscular expression PRL induced abnormal estrous cycle in female, indeed new blood vessels in male testis, and augmented WBC and lymphocyte in number. They also indicated that direct intramuscular injection of naked DNA can be used effectively to study the function of secreted protein, including endocrine signaling molecules.

      • 협동학습이 사회과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Jigsaw II 모형을 중심으로

        이정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현행 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의 ‘Ⅴ. 인구변화와 인구문제’ 단원에 JigsawⅡ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사회과 수업을 하였을 때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JigsawⅡ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 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학습자의 학습태도가 향상될 것이다. 둘째, JigsawⅡ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한 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 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JigsawⅡ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하위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학습동기, 가치관이 JigsawⅡ 협동학습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수?학습과정을 전개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둘째, JigsawⅡ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둠 구성원 개개인이 개별적 책무성을 가지고 학습과제를 분업화하여 교수?학습과정을 전개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셋째, JigsawⅡ 협동학습의 단계 중에서 원모둠 학습단계와 전문가 모둠 학습단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는 JigsawⅡ 협동학습의 원모둠 학습단계와 전문가 모둠 학습단계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교실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Jigsaw Ⅱ 협동학습은 ‘Ⅴ. 인구변화와 인구문제’ 단원의 지식적인 면과 사회과에 대한 학습태도 면에서 전통적인 강의 중심 수업에 비해 긍정적이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교사 중심의 수업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학교 재학생 39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4차시의 JigsawⅡ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는데 짧은 기간 동안 적은 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를 파악한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 연구자가 더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실험처치를 통한 변화를 비교해야 보다 정확한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중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대학교에도 적용할 수 있는 JigsawⅡ 협동학습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꾸준히 개발되어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협동학습은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 정도에 따라 활용 유무나 적용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협동학습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수업방법을 모색하려는 교사들의 적극적 자세를 필요로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