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QL 튜닝을 이용한 게시판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이재호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요약> SQL 튜닝을 이용한 게시판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전산정보시스템학과 이재호 지 도 교 수 박대희 199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의 10년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보급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부터 10년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고 구축된 데이터로부터 어떻게 하면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에 더 큰 관심을 두게 되었다. 대부분의 개발자와 설계자들은 자신들이 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알지 못한 체 일을 해오고 있고 다만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년간 프로그래머로서 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개발자들은 자신이 실행하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문이 어떤 과정을 통해 실행되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지 못하고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결과를 구현하기 위해 단순한 문법 위주의 코딩만을 고집하고 있지는 않는지 돌이켜 보아야 한다. 이제는 구현과 구축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구현하고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원리에 대한 이해는 향후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다 좋은 성능을 보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튜닝 절차 및 방법 그리고 분석을 통해서 시스템 구축 후 발생하는 성능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현재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게시판의 SQL문과 튜닝 기법이 적용된 SQL문의 실행계획과 Elapsed Time의 성능 비교를 함으로써 게시판 성능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Bulletin Board Using SQL Tuning Lee, Jae-Ho Department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Dae-Hui) In the past 10 years since the 1990s, construction and popularization of databases were of primary importance. However, in 10 years from the present, the primary concern will shift to the questions of how the rapidly increasing mass amount of data be managed, and how rapid retrieval of data be carried out. Majority of developers and designers do not know for certain the reason they must utilize a DBMS, and has been using the system simply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data. In addition, developers and programmers needs to examine whether they have merely been persistent in coding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users without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execution procedures and steps of their own SQL statements. Design and establishment of databases are indeed important. However, even more important are how they are designed and how they are established. The reason is that understanding these principl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databa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to performance problems occurr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ystem through tuning procedures, methods and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 more superior database. Furthermore, it suggests a bulletin board improvement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SQL statements used i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and their execution plan with that of elapsed time through the case study.

      • 프랜차이즈 슈퍼바이저의 역량이 가맹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재호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슈퍼바이저의 역량과 실제 가맹점 경영성과와의 관계성, 현 슈퍼바이저에 대한 가맹점주들의 만족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고, 국내 경력 5년 이상의 가맹점주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의 연구 편향성을 줄이기 위해 성별, 연령, 가맹점 경력 등을 상이하게 하여 대상자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심층 인터뷰 결과 슈퍼바이저와의 관계성, 슈퍼바이저의 전문성, 매장운영 관리 역량과 경영성과, 재무관리 역량과 경영성과, 인적관리 역량과 재무성과, 마케팅 관리 역량과 재무성과, 협업을 통한 변화, 슈퍼바이징 시스템 문제점, 슈퍼바이저 역량 만족도로 범주를 나누었으며,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현 슈퍼바이저와의 관계성에서는 매출이 오를 시 신뢰도가 상승되고, 본사의 정책과 상권분석 등에 도움을 받는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둘째, 슈퍼바이저의 전문성에서는 대체로 경력과 노하우를 가진 슈퍼바이저가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고 특히 기본적인 매장운영과 컨설팅에 대한 지식이 뛰어나고, 가맹점주와의 소통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슈퍼바이저의 역량과 경영성과에서는 매장운영 관리역량에서 손쉬운 고객확보와 고객만족도 및 지속적 매출 증대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관리역량과 경영성과에 대한 답변에서는 관련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관리 역량과 경영성과에서는 일부분 관련성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슈퍼바이저의 마케팅 관리역량과 경영성과에서는 모든 점주들이 손쉬운 고객확보 및 고객만족도 증가에 도움을 받는다고 말했으며, 이외에도 지속적 매출증대, 가맹본사와의 거래 관계 유지 의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넷째, 협업을 통한 구체적인 변화에서는 리뉴얼을 통한 비용의 절감과 매출향상, 해당브랜드의 지속성, 건물주와의 분쟁 해결 등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 슈퍼바이징 시스템의 문제점에서는 무엇보다 슈퍼바이저의 여건 보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슈퍼바이저 역량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마케팅 능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프랜차이즈 슈퍼바이저의 역량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슈퍼바이저의 역량과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영성과 및 이에 따른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동차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웨빙 인출 센서

        이재호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odern car is situation that awareness about safety is rising along with convenience and devices of high technology are displaying. Lately, device that tighten Webbing's slack due to control of braking system and seatbelt by perception sensor before collision of vehicle is applied. Such seatbelt progressed in various kinds form. Present research for sensing part of retractor that become root of seatbelt is status that verify on empirical constitu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derived to a concrete and generalized formula of webbing sensing perception ability of retractor of seatbelt. And this research reduce error of a practical experiment and mathematical theory and constructed basis that can reflect in design of retractor. On this account Operation way to detail and properties of material about each element did simulation and observed conclusion through alteration of each element.

      • 농업부산물(고춧대)의 탄화처리를 통한 농경지 토양 내 탄소축적량 증대효과

        이재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cess the wasted residual products with type of charcoal of low decomposition rate in order to increase and verify the possibility of storing quantity increase in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ultivated land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located in Suwon Gyeonggi-do. Korea’s representative crops and Capsicum annuum L. was selec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experiment result, wasted pepper stalks were charred more than 10 minutes over 400℃ for the most effective carbonization. After putting about 1kg of red peppers into a metal container and sealing it except an outlet for smoke, the container was heat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reached over 400℃, the red peppers were carbonized. In cultivated land, control plot, organic matter plot and carbonized matter plot were made with 2m×2m and 3 replica, respectively. Based on the quantity of annually-wasted pepper stalks per unit area for the last 10 years, the organic matter was processed by 573.83 g m^(-2) in the soil and 246.74 g m^(-2) for carbonized matter. After processing, the soil respira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Chamber system (AOCC) which based on an open-flow dynamic method. Also, in order to measure the decomposition rate of organic and carbonized matter, a nylon bag (18cm×25cm, 1mm mesh size) was installed in each plot and the decomposed volume was measured from June 2006 to June 2007. The soil CO_(2) flux was tend to increase up to 398.2 mg CO_(2) m^(-2) h^(-1) during summer season in organic matter plot, and they decreased to 89.1 mg CO_(2) m^(-2) h^(-1) during winter season in organic matter plot. Soil respiration rate in 2006 was 184.1 mg CO_(2) m^(-2) h^(-1) in the control plot, 276.9 mg CO_(2) m^(-2) h^(-1) in the organic matter plot, and 226.7 mg CO_(2) m^(-2) h^(-1) in the carbonized matter plot, respectively. In 2007, the soil respiration rate of control plot, organic matter plot and carbonized matter plot were 198.6, 330.1 and 204.0 mg CO2 m-2 h-1, respectively. Q_(10) value of each group (5cm soil temperature) was 1.9 in the control plot, 2.5 in the organic matter plot, and 2.6 in the carbonized matter plot,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rate of wasted stalk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the average 41.4% and 9.7% for carbonized matter. From this study, it could be assumed that wasted pepper stalks were stored in the soil with about 30% of the volume which was emitted as the carbon dioxide into the atmosphere. From this study, it could be assumed that wasted pepper stalks can sequestrate about 30% of emitting carbon dioxide to the atmosphere into soil. Accordingly, the annual carbon sequestrations can be expected to about 100,194 t C yr^(-1) by following formula; the quantity of wasted pepper talks (4.12 t C ha^(-1)) × total cultivated area in south Korea (66,796ha) × carbonization rate (0.57) × loss rate (0.5%).

      • 사회기반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모델의 Level of Detail 분석에 관한 연구

        이재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사회기반 시설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시설물의 경우 노후화됨에 따라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하여 시설물의 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관리 및 점검,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엔지니어어의 지식업무이외 이루어지는 점검 및 유지관리에 관한 이중 업무는 시간과 비용낭비뿐만 아니라 정보의 누락 및 오기와 같이 중요한 데이터의 품질저하 및 이에 따른 의사결정의 신뢰도 저하와 같은 안전진단 결과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사회기반 시설물의 경제적·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공용중인 시설물의 가치의 하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해체 및 폐기, 재개발과 같은 비효율적인 생애주기 관리에서 탈피하기 위한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한 유지관리를 도입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본다.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재들이 어느 정도의 LoD를 가져야 할 것인 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2차원 도면을 기반으로 3차원 모델로 컨버팅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또한 LoD별 유지관리자가 어느 수준까지 도면 정보에 유지관리 이력과 관련 상세 정보를 통합하여 나타낼 수 있는지 커버리지 수준을 분석하여 보았다. BIM 모델링을 위하여 Autodesk사의 Civil 3D와 Revit Structure, 그리고 특별히 Bridge Modeler를 이용하여 교량의 3차원 BIM 모델을 생성하였다. 경남에 소재한 OO교 BIM Modeling effort 분석을 통해 LoD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 요소당 38%에서 172%의 편차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모델링 시간에서 차이가 크지 않아 AIA의 BIM protocol에서 제시한“LoD 200”에서 정의된 수준의 LoD라면 BIM기반 사회기반 시설 유지관리에 충분할 것이라고 판단되며, 향후 손상정보 및 이력을 외피모델에 매칭시킨다면 BIM 유지관리의 장점인 불필요한 데이터 Re-entry와 재작업 문제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레이저용접기법을 이용한 탁상용품 디자인 연구

        이재호 서울産業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탁상용품은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품 중의 하나로 사무나 학습의 편리와 일의 능률을 위해 제품이 갖는 실용성이나 단순한 기능만을 중요시되던 시기를 벗어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공간적 질서와 편리함을 도모해 주는 사무나 학습의 필수품으로 형태나 조형적인 면에 대한 관심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의 탁상용품은 최근 몇몇-전문 디자이너와 공예가에 의해 연구되고 개발된 용품이 있으나 아직은 본격적으로 생산, 보급되지 않고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탁상용품들도 단순한 기능의 필통, 꽂이, 받침 등의 제품들이 대부분이며 각 기업체의 판촉물로서 플라스틱 및 아크릴 제품과 철제품이 다수를 차지하며 통합된 종합 세트 제품 등 단순한 기능만을 생각한 아름답지 못한 제품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탁상용품의 디자인적 발전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서 절족 동물의 이미지를 레이저 용접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고, 단순하고 획일화된 탁상용품의 디자인을 새로운 조형적 형태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조형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탁상용품의 형태에서 탈피하여 원형, 삼각형, 곤충의 형태를 단순화시킨 선의 이미지를 기하학적 형태로 디자인하여 미적 감각과 예술성의 표현의 가치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둘째, 복잡한 형상의 부품용접과 고속용접을 레이저 가공으로 비교적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이 기법의 장점만을 금속가공기법에 도입하여, 새로운 금속재 탁상용품을 제작하고 아울러 기능적 특징과 시각적, 미적 기능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본인의 작품에서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시대적 경향에 맞춰 탁상용품의 기능적 요소와 시각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를 금속 공예적 표현으로 장식화 함으로서 예술적, 실용적 기능성을 효율적으로 통합, 조화하여 새롭고 참신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Nowadays desktop item becomes one of the our everyday life necessities and requested to have more than the simple function and conventional utility for convenient office work and study. Therefore, interest and concern have risen for its formative aspect and shape as one of the everyday life necessities for office workers and students. This means users expect new spatial order and ask for convenience from the desktop item. Desktop items have been developed and designed by a few professional designers and industrial artists in these days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However, they are not produced or distributed in full-scale. The desktop items presently produced and available in the market mostly include pencil case, rack and support that have simple function. Most of them are made of plastic, acrylic or iron material in the form of integrated general set and distributed by companies as a sales promotion material. They are simple, and no consideration is given for their esthetic aspect. Therefore, a desktop item is produced in this study by expressing the image of arthropod via new manufacturing technique "laser welding" in order to seek for the new directions to develop the design of the desktop item. An attempt is done to design the desktop item in a diversified formative fashion. This formative study has the following conclusion: 1. An attempt is made to go beyond the cope of square or rectangular shape of most conventional desktop items and to design circle, triangle and insect using a simplified linear image in a geographic form in order to vivify the esthetic sense and artistic expressional value. 2. It is possible to weld complicated part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using laser. Moreover, only the benefits of this technique are applied to the metallic processing process to manufacture new style of metallic desktop item as well as to maximize its functional feature and visual/esthetic function. The work in this study not only seeks for the functional factors and visual beauty of the desktop item in line with the trend of this age that values creative design but also decorates the desktop item through the industrial and artistic expression of metallic material to efficiently combine its artistic and practical functionality, thus proposing new and striking design

      • 서울아산병원의 병원내 재난대책 수립

        이재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병원은 지역사회의 재난과 대량인명 피해상황(Mass Casualty Incident, MCI)에 대처하여 지역사회의 존속기반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혹은 내부에서 발생한 병원의 재난상황에 대하여 조직화된 대웅을 수행해 귀중한 인명과 자원을 보존해야 할 책임이 있다. 외부에서 발생한 재난에 대해 병원이 자신의 기능을 최대한 발춰해 인명피해를 극소화하려는 대책이 병원의 재난대책(Out of Hospital Disaster Plan)이라면, 병원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와 인명피해를, 병원이 가지고 있는 장비와 인력을 통해 극소화하려는 대책이 병원내 재난대책(In-Hospital Disaster Plan)이다 병원의 재난대책과 병원내 재난대책을 모두 합쳐 병원의 재난대책(Hospital Disaster Plan)이라 한다. 병원의 재난대책에 대한 인구는 현재 재난대책 지침서 발간에서부터 정규적인 훈련(Disaster Drill)의 중요성 부각으로, 병원간 연계체계의 문제로 발전하였으나, 국내는 아직 병원내 재난대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고, 병원의 재난대책 역시 비현실적인 실정이다. 이에 국내의 한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병원내 재난대책을 지침서 형식으로 작성함으로써, 국내의 병원내 재난대책 연구의 활성화와 병원의 재난대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병원내 재난과 병원의 재난을 경험한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병원내 재난상황을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재난등급에 따른 병원의 대처수준과 역할을 제시하였다. 재난에 대비한 중증도 분류표, 재난처치 기록지, 재난대책요원의 신분증 등을 고안하고, 병원을 지도화(Mapping)하여 통제선을 주축하고 현장진료소, 대책본부, 중증도 분류구역, 교통 통제로 등을 설정하여 병원의 재난대책을 위한 필수 사항을 먼저 확보하였다. 이후, 각 재난등급에 대응하는 병원내 대책기구들을 구성하였고, 그 구성원의 임무를 부여하였다. 결과 및 결론 재난등급을 세 가지로 나누어 병원의 대응수준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재난규모에 따른 적정한 규모의 대책본부를 구성해 불필요한 혼란과 과잉 대응을 방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지만, 재난의 유형에 따른 대책본부의 역할과 대응 방안을 세분화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또한 병원내 재난대책은 계획을 현실화하는 단계-재난대비 훈련-를 통해 미비점을 보완해야 완성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한계가 있다. 이 후 재난 유형에 대응하는 병원의 재난 대책 방안과 가상 훈련 등을 통한 보완 대책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Background Disasters are occurring more often and with greater impact on the community than the past because of the world's increasing population density. Hospitals are expected to be prepared for disasters. But the hospital can be the casualty of internal or external disaster. Internal disasters refer to conditions affecting the hospital directly and may be an extension to an external disaster. In the internal disaster, hospitals become both the therapist and the patients. Hospital disaster plans are composed of external and internal plans. The importance of internal disaster planning has been highlighted by many recent hospital reports of disasters occurring within the hospitals. Many worldwide hospitals have their own internal disaster plans. In Korea, there were several disasters occurred in hospitals resulted in mass casualty. But medically oriented internal hospital disaster plans are rare in Korea. To encourage hospital disaster preparedness, we tried to make an internal disaster plan of Asan Medical Center(AMC), the biggest hospital in Korea. Method To make the internal disaster plan of AMC, we investigated AMC's status, the numbers of hospitalized patients, emergency department visitors, major operations, out-patient department visitors. Building structures and map were also investigated. The internal disaster planning principle including evacuation principle was applied to AMC. Hospital mapping, Triage tag, Disaster recording note, ID card were designed. Result & Conclusion The AMC internal disaster plan manual was formulated. This manual was categorized three disaster levels. In addition, evacuation, transmission of the disaster situation, command system transmission, field medical center response, transport principles were established.

      • 企業內 管理者의 리더쉽에 관한 硏究 : 리더쉽, 士氣 및 生産性의 相關性을 中心으로

        이재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is business, and the core of business is management and also the propellent force of management is their leadership. Thus viewed, study of leadership can be the main theme of modern management as a science. In the Korean economy which is now faced with an epochal point in its history with its debut in the world economy, the study of leadership in business management is considered one of the biggest tasks to tackle.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n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the modern business, has been greatly stressed. Management is one of the two main props of business, with the other being organization, and the present century, especially its latter half, is called by many scholars, including H. Koontz, an era of management. P. Drucker said in his recent work, "Management", that the biggest reason that underdeveloped countries remain underdeveloped is not lack of capital, resources or technology but lack of management. He predicted that future society would be divided into two societies, managed society and unmanaged society, and that business would also be divided in the same manner. This means stress on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especially managers. With Howthorn Research serving as a turning point, in the management, industrial-psychological hypothesis stressing material and physical conditions in the past has shifted to social-psychological hypothesis stressing spiritual and mental conditions, the rationalism-first principle to human satisfaction-first principle and economic man to self-realization man through social man in the view of human being. Therefore, in the view of business, production-centered thinking has shifted to human-centered thinking. In other words, the stress in management has shifted from direct management to indirect management. In the history of management, scientific management has become the thesis, human relations the antithesis and behavioral science the synthesis. As a result, the study of group 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and individual, group leadership and other approaches of behavioral science have now become old ones. The managerial grid theory and P. M. theory dealing with the types of management, X Y theory concerning view of man and empirical studies of human needs and motivations have developed the leadership study in behavioral science to the status of a new science. The aim of modern business is not only the achievement of business goals directly but also the rise of productivity by seeking a management method which enables employees to meet their maximum need satisfaction. As a result, there exists a requirement to unite business goals and employess needs and the field of this unity must be sought in human behavior. What business expects from employees is the result of employees' behavior, not the behavior itself. Likewise, what employees expect from business is the satisfaction of their needs which motivate their behavior, not the behavior itself. Man does not work in the business for wages only and this trend will increase in the future. He works increasingly to meet his higher needs satisfaction and his behavior is caused by motivations which meet his needs. As needs are varied, so are the patterns of behavior. Therefore, the study of motivation must be preceded and stressed. C. Barnard's objective factor and subjective factor, F. Herzberg's motivation factor and hygiene factor, A. Maslow's deficiency motive and growth motive and D. McClelland's achievement motive must be further studie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s to productivity. Many scholars divided leadership into extreme two. R. Kahan and R. Katz divided it into production-oriented leadership and employee-oriented leadership, and R. Likert job-centered leadership and human-centered leadership. However, R. Blake advanced these theories in his "Managerial Grid" to several patterns of leadership on the basis of these two axes of leadership, sloughing off polarized leadership, in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science. Business management is fundamentally behavioral science, and it must therefore be approached with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science. Human employee study is the first step. Practical leadership must be developed in the study of employees of modern business organizations who wants to meet his needs as a organization man under a new system of values in organization. As there is no born leader, so there is no leadership which can be sure of success in any organization.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is the pressing task for any and all business management. We cannot say, therefore, that this type of leadership is good and that type of leadership is bad. Nor can we say that a certain type of leadership is always effective anywhere. A specific type of leadership is effective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 effectiveness of leader ship is determined by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 followers and its situation. As the core of the problem of maintaining and developing a business organization is how to achiev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the promotion of productivity, the present study put stress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productivity, and in order to identify this relationship, the morale of employees was used as the intermediary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which is a causal variable, and morale, and between morale and productivity, which is a result variable. This means that business must seek excellent leadership in order to rise productivity to the utmost. Conversion of management system is now demanded. As the higher employess' educational levels, the more they are democratically educated and the higher their living standards, the higher their needs in business organizations, so the business management must develop a new management system suitable to such em 女性의 옷차림에서와 같은 流行과 뿜 ( Boom )이 學問에도 있다. 世界 第2次 大戰 以後만 하드라도 「哲學의 뿜」, 「막스(marx) 經濟學 뿜」, 「社會學 뿜」, 「歷史學 뿜」을 걸쳐서 「經營學 뿜」에 이르고 있다. 經營學史的인 側面에서 보면 1960年代末까지의 約 4 半世紀에 不過한 歷史를 지니고 登場한 20世紀의 學問인 經營學은 우리나라에서 이제 그 絶頂에 이르고 있는 상 싶다. 그러나 아직 定着되지는 못하였다. 定着은 커녕 導入段階에 不過하다. 말하자면 「뿜」은 定着에는 이르지 못한 「導入의 뿜」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같은 導入段階에 첫번째 問題가 있다. "經營學( management) 은 文字 그대로 移植될 수 없다'"는 곤찰츠( Gonzalz)의 말대로 與件을 달리한 外國의 그것을 그대로 無分別하게 移植함은 危險千方한 일임에도 이같은 作業은 계속되어 왔다. 그리고 結實없는 「뿜」으로 끝나고 있다는데 그 둘째되는 問題가 있다. 開花万發 뒤에는 열매가 맺어야 한다. 내 나라, 내 企業에 알맞는 樹種을 擇해 移植하고 管理를 잘하여 좋은 열매를 收穫하는 智慧가 必要하다. 여기에 管理者의 使命이 있다. 멀고도 험한 이 길을 땀 흘리며 차분히 걸으려 하지 않을 때 企業은 倒産하고 말게 된다. 많은 우리나라 企業이 그렇게 되었거나 그렇게 될 運命의 一步 直前에 있다는 赤信號를 보게 됨은 管理者들이 이같은 使命을 다하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어데로 가야 하는지의 方向感覺과 어떻게 가야 하는지의 智慧는 바로 使命感의 中心內容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바로 管理者의 「리더쉽」이다. 集團은 「리더」를 構成要件으로 하며 效果的인 集團活動은 훌륭한 「리더쉽」을 前提條件으로 한다. 훌륭한 「리더쉽」의 探究 및 開發이 管理時代의 絶對的 要請이다. 고 - 돈 ( T.Gordon)이 主張하듯이 過去 數十年의 科學은 機械時代를 위한 것이었고 現在 및 末來의 科學은 人間時代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면 리더쉽 現象이야 말로 人間時代의 科學에 알맞는 硏究課題가 아닐 수 없다. 權威主義의 沒落, 傳統社會의 崩壞 및 價値觀의 變化등에 의해 리더쉽의 基盤이 흔들리고 있는 이 時点에서 이같은 課題의 解決은 時急하며 重要한 意義를 지닌다. 現實을 直視하면서 참 理論을 探究하는 努力은 繼續되어야 한다.

      • 조선시대 針線具를 응용한 여성 장신구 연구

        이재호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는 끊임없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것은 인류의 역사가 창조적으 로 유지되고 발달되어 왔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하 기 위하여 문명적 발전과 더불어 미적 욕구의 충족을 위한 조형적 추구등 문화 적 개발에도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특히 여성들이 차지하는 안방 살림에서도 전통적이고 여성적인 문화를 발견 할 수 있다. 조선시대 규방용품은 지극히 여성적이고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며 고유한 문화, 예술의 한 장르로서도 평가 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여인들은 규방(閨房)이라는 제한된 공간속에서 생활하면서 복식, 자 수, 생활용품들을 손수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름하여 규방공예는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자적 이고 독특한 조형미를 형성되어 있으며, 여인들의 벗이라고 할 수 있는 침선구 (針線具)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희・노・애・락 속에서 삶의 모습과 정신세계가 문화적 깊이를 갖는 예술적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은 조선시대 여인의 체취와 정신적 염원이 담긴 규방용품 중 침 선구(針線具)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단아한 조형성과 섬세한 섬유적 기법성을 현대 여성 장신구의 모티브(motive)로 하였다. 그러므 로써 과거와 현대의 미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시도 하였다. 조선시대 침선구(針線具)의 재창조 작업은 우리 전통 문화 예술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재인식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더 나아가 우리문화 유산을 널리 알리는데 기 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Mankind has constantly invented and used tools. This indicates that history of mankind has been creatively maintained and advanced. For better living, man has unceasingly tried to satisfy his desire for beauty with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and pursued making objects that eventually led to cultural development. Especially, a traditional feminine culture can be discovered in the inner room of the mistress of the house while she is performing household duties. The articles that were placed in women’s quarters during the jewelry Dynasty represented very faminine, Korean emotions and feelings and they are appreciat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genre. Women of the jewelry on Dynasty, while living within the confinements of their quarters, made clothing, embroidery, and household goods themselves. Arts and crafts are based on social, cultural, religious backdrop of that period were made with distinct and unique beauty. The sewing kit that women always kept with themselves can be said to express the features of the woman’s living with the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nd the artistic emotions and feelings that one can experience in culture depth in the spiritual wor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read and needle kit among the articles women of the jewelry Dynasty kept in their quarters, which contained their scents and wishes, focusing on its characteristics and the backdrop of the time. Then, the graceful craftsmanship and delicate techniques with fabric were applied in modern women’s ornaments. As such, attempts were made to create equal aesthetic effects in the modern objects as in the past. Recreation of the thread and needle kit of the jewelry Dynast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valuate the superiority of Korean tradition culture arts and aesthetic value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making Korean culture and legacies widely 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