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민자치센터 안의 프로그램 현황조사와 재정자립도에 관하여 : 서울시 자치구의 여가문화를 중심으로

        이인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민자치센터 안의 프로그램 현황조사와 재정자립도에 관하여 -서울시 자치구의 여가문화를 중심으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인영 지방자치제는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의 삶의 질적 향상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또한 사회 구성의 가장 초보적인 ‘너와 나’의 관계에서 ‘우리’라는 공동체 개념을 정립하고, 지역주민의 공동가치를 형성해 나가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지역 주민의 연계를 촉진시키고 상호작용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며 지역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도 효율적인 국민 여가문화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건전한 여가문화활동은 발전적이고 창조적인 시간을 갖게 해 줌은 물론, 구성원간의 연계를 통하여 공동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야식을 형성케 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건전한 사회적 기풍 조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근본이념과 맥락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역할의 비중이 크다고 하겠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건전한 국민 여가문화 활동을 위하여 재정의 확충, 정책의 합리화 및 지역실정에 맞는 여가문화 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정부에서 2004년 7월 1일부터 주 40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면서 우리나라 전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여가문화 활동에 관하여 관심이 매우 높아짐에 따라 지방자치 시행 후 주민자치센터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주민자치센터라는 말은 행정자치부의 조례준칙에 의하여 사용되었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들이 이에 따르고 있다. 조례준칙에서는 제2조 제1항에서 주민자치센터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주민편의 및 복리증진을 도모하고 주민자치기능을 강화하여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하여”(준칙 제1조) “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된 각종 문화․복지․편익시설과 프로그램을 총칭한다.”(준칙 제2조 제1항) 개념요소로는 첫째, 주민자치센터의 목적은 지역공동체형성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주민편의 및 복리증진의 도모, 주민자치기능강화이다. 둘째, 설치단위는 읍‧면‧동이다. 셋째, 기능적인 측면에서 주민의 이용에 제공된 각종 문화‧복지‧편익시설과 그 시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자치센터에서는 취미교양 및 여가문화, 평생교육, 생활체육, 방과 후 교실 등의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고 있으며 마을축제와 작품전시회, 영화상영 같은 문화행사를 열리고 한다. 이밖에도 벼룩시장, 이웃돕기 사업, 마을환경개선사업과 같은 지역사회진흥을 위한 활동을 함으로써 지역문제에 대한 의견을 접수하고 해결해 나가는 자치수행의 거점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특정 분야에 대한 투자가 편중되어 있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운영이 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사용되는 보조금이 현격한 규모 차이가 있는 상태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헌법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22조, 제31조, 제34조, 제35조, 제37조, 제117조 을 살펴보면 사회복지 개념 속에 여가(향유)권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가와 문화가 국가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사회적 기본권의 개별적, 수단적 사회권의 한 형태로 헌법상의 규정이 명문화가 심도 있게 논의 되어져 여가문화 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져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전 국민 모두 건전한 여가문화를 개인적 측면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사회적으로는 구성원간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민주 시민의 주체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지방자치 시대에 부응하여 국민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안의 프로그램 현황조사와 또한 우리나라의 여가문화 정책의 부재 및 여가권 등의 권리를 법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지방자치시대에 걸맞은 지역주민의 요구를 들어 참여도를 높이도록 하고 안정적이고 확보된 중앙정부의 재정적인 지원과 자주재정확보로 건강한 삶은 유지함으로 국가에서 보장된 여가문화 생활을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

      • 중학교 음악과 특기·적성 교육 활동 실태조사 및 개선방향 :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이인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지식위주의 입시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자신들의 소질과 특기를 찾고 계발하며 발휘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으로 도입된 것이 특기·적성 교육활동이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소질·적성 및 취미·특기를 계발할 수 있고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절감 시킬 수 있으며, 학교 시설 및 지역사회 인적자원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의 개념과 추진배경, 목적과 방침을 알아보고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은 부천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29개교의 음악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문항은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이해와 인식도, 실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태와 운영효과,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대부분 음악 교사들은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에 공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음악 교과목 특성상 특기·적성 교육효과가 큼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특기·적성 교육반이 개설되지 않은 학교도 상당수 있었다. 또한, 특기·적성과 관련한 학교 운영위원회 개최 결과 공개에는 소극적이었으나 홍보에는 적극적이었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담당교사는 자격을 갖춘 외부강사를 채용하는 학교가 많았는데 교사들이 지도교사로 참여하지 않은 사유는 수업과 업무 부담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문제점으로 장소확보와 자료부족을 크게 지적하였으며, 특기·적성 교육에 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업 업무 경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앞으로 특기·적성 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고 교육시설도 개선되고 보완해야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기·적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특기·적성 교사 및 강사 운영의 효율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와 외부강사 등을 대상으로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계획 등의 내용으로 연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특기·적성 교육 담당 부장에게 담임을 면제시켜주는 방안 등도 고려할 수 있으며 강사의 자질을 높이기 위해 강사채용시 서류검사를 철저히 하고 정기적인 학부모 공개수업 등 강사 관리를 강화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추진될 수 있다. 둘째, 특기·적성 활동의 교육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져야 한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필요한 각종 시설 및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부족할 경우 지역 사회 시설과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지역 사회의 문화관, 행정관청의 문화교실, 전문기관 등 다양한 시설물을 협의를 통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셋째, 다양한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학생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과정, 전개과정, 심화과정 등 수준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인접학교와 협력을 통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위해 발표회를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넷째, 학부모 및 학생을 대상으로 홍보활동도 열심히 해야 한다. 가정통신문, 학부모회의, 학교방송, 교내게시판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거나 음악과 특기·적성 연주회를 개최하여서 적극적으로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고 참여를 권유할 필요가 있다.

      • 중학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정도와 사회성과의 관계연구

        이인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중학생의 SNS 이용실태를 알아보고 이용자들의 SNS 활용정도가 그들의 사회성 중 정서지능과 대인관계,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올바른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을 위한 건전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과 그로인한 그들의 문제행동예방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2년 10월 서울시 강동구, 강서구, 강북구에 소재하는 3개 중학교 2학년 학생 총 350명을 편의표본추출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326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WIN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스마트폰의 SNS는 전체의 88.7%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사용정도를 보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장남(장녀)과 외동보다 중간과 막내에서 사용정도가 높았다. 또한 폭력성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았고, 부모와의 대화가 많을수록 정서지능과 대인관계가 높고, 폭력성이 낮았다. 변인들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았고, 폭력성이 높을수록 정서지능과 대인관계가 낮았다. SNS 사용정도에 따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선형회귀분석한 결과 설명력 12.6%에서 SNS 사용정도가 낮을수록 정서지능이 높게 나타났고, 설명력 14.9%에서 SNS 사용정도가 낮을수록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청소년은 성숙한 대인관계 및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지지적 역할이 필요하며, 무분별한 스마트폰 및 SNS의 사용이 학업 및 현실에서의 부적응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정 및 학교에서 스마트폰 및 SNS의 사용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제제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materials to suggest a social network service use for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growth and to support a prevention in problem behavior by finding the actual status of using SNS by the students and identifying the effects of using SNS on sociality such as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viole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350 students on the 2nd grade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Gangdong-Gu, Gangseo-Gu and Gangbuk-Gu on october, 2012. After convenience sampling, the survey with 320 questionnaires was implemented. For a method of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idy are as follow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88.7% of the students have been using a smart phone SNS and a significant different was shown in gender and brotherhood. A degree of using in man students was higher than in woman students and in brotherhood the degree of using it in the second and the youngest was higher than in the oldest and singl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violence, the man students' violence was higher than the woman students' viol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viol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degree of conversation with the parents, thus, if the parents have more conversati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likely to be higher and the violence is likely to be lower. In a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thus, if the emotional intelligence is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be likely to be high. In contrast, the viol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us, if the violence is high,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be likely to be low. A result in conduct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against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by the degree of using SNS revealed that in explanatory power 12.6% if the degree of using SNS is l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appear high and in explanatory power 14.9% the degree of using it is low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appear high. In conclusion, the teenagers who are influenced by a living environment needs a supportable role to raise a mat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uncontrollable use of Smart Phone and SNS are likely to lead to a negative adaptation in studying and reality, an education and control for the students to use Smart Phone and SNS in a right way at home and school are necessary.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인영 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충청 및 전라 지역의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소아장애 평가도구를 이용하였고, 부담감은 가족 부담감측정도구, 삶의 질은 삶의 질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위요인 중 대소변 조절과 위생관리가 부모의 부담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위생관리와 화장실이용 그리고 대소변 조절은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부모의 교육과 경제수준은 부담감과 삶의 질에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부모의 부담감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부모의 경제수준, 부모의 삶의 질은 부모의 경제수준과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부모의 교육과 혼인상태 순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부담감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치료적 중재, 면담, 교육 그리고 치료교육프로그램이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etency on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burdens and quality of life of parents. Method : For analyzing competency of daily performance ability, we used assessment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and used Family Burden Questionnaire(FBQ) of family for analyzing burdens of parents, and Beach Center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FQOL)for analyzing quality of life based on questionnaire from 120 peopl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 We hav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competency on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analyzed causal relationship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competency on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burdens and quality of life par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owel & bladder control and hygiene influenced the burdens of parents, and hygiene, toileting and bowel & bladder control effected quality of life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condition of parents had partially effected burdens and quality of life. Burdens of parents was effected by in order of competency of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conomic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was effected by in order of economic condition, competency of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 of parents. Conclusion :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on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burdens of parents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sooth burde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erapeutic mediation, interview and education of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programs of therapeutic education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actively pursued.

      • 수학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및 평가 유효성에 대한 고찰

        이인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1946, Korea has many revisions on teaching and evaluation of mathematics. Through the years, educators have made a commitment of how effectively learners get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nd teachers assess their performance accurately. The whole processes should be followed by a primary educational philosophy that reflects needs and requirement of a society. Also, researchers have studied and focused on how to classify learners into some groups based on a diagnostic test. With regard to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of learners, there are 4 sub-categories, visual, verbal, analytical, and synthetic learners, depending on how to perceive academic information and interpret it. For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t consists of 4 sub categories, authority-seeking versus practical and amusement-seeking, outer-directed versus and inner-directed. Learners from each characteristic have different academic performance. So, I may conclude that affective characteristic has a strong correlation to an academic achievement. These days, there show some alternative assessments from performance test that covers the weak point of traditional and summative assessment. I took a look at the traditional ways of assessment and its validity, compar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Still, there is relatively high relation between traditional test result and performance test result. I conclude that this is because the intrinsic of performance test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est. There remain 3 points we have to keep in mind. Firstly, taking the diagnosis for classification is very crucial in the longrun to fi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for a better understanding how the characteristic changes as they get old. Secondly, the way of performance test should be diversified in terms of replacing the existing traditional way of assessment to understand students’academic process rather than only outcome itself. Lastly, learning style should be studied with learners’academic motives and sentiment.

      • 외국인 유학생 실태 분석과 효과적 지원 방안 연구 : 서울대학교 실태를 중심으로

        이인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리를 질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지속적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뿐만 아니라 우수 외국 인력을 고급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업무 담당자와의 면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관심 분야인 입학, 교육, 시설 및 환경, 장학금, 상담 등의 분야별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체제와 유학생들의 요청 사항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부문에서 보면, 서울대학교에서는 입학 시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로 안내하고 제출서류 간소화 등을 통해 입학 시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합격 후에도 친절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조기에 한국생활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으며, 영문판 학사행정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외국인 교수 및 학생들에게 학사행정 서비스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부문에서 보면, 입학 전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외국어 진행강좌의 확대를 통하여 수요자 중심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및 환경 부문에서 보면 통합지원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통합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지금보다 훨씬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추진 중에 있었다. 그리고 도서관과 기숙사 등 각종 편의시설은 확충되고 개선되고 있었다. 넷째, 장학금 부문에서 보면, 현행 신입생 외국인의 일반장학금은 없으나, 향후 신입생 우수 장학금의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다섯째, 상담 부문에서 보면,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하여 24시간 상담전화인 SNU Call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요구사항 중에는 유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장학금 제도 개선 및 확충이며,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차별 제도 및 차별 의식 철폐 또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 외국인 등록생 현황의 경우 2010년도는 전년 대비 70개국에서 86개국으로 22.9%의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였고, 인원 또한 22.6%나 대폭 증가하였다. 양년도 주요 국가의 유학생 현황을 보면, 전년 대비 중국은 3.9%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일본 0.9%, 몽골 0,1%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미국은 3.4%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캐나다가 0.5%, 기타 국가가 1.0%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유학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여 유학 국가의 다변화를 보이고 있고, 미국, 캐나다의 유학생이 대폭 증가하는 추세는 긍정적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유학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입국하여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활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나라의 문화 등을 이해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개연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초래된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부터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 생활에서 불편하지 않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각종 제도를 개선하여 질적 관리가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한국에서 공부하면서 느끼는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도서관 시설이고, 그 다음으로 연구실 시설 수준, 관리 직원의 친절도, 강의실 시설 수준, 교육의 질(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상담(카운셀링)이고, 그 다음으로 장학금 지원, 교내 식사, 신입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한국어 프로그램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를 정책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장학금 제도를 개선하고 확충하여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한다. 자비 유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지원을 위해 국내 주요 기업과 우수한 자비 유학생과의 연결을 추진한다. 둘째, 외국인에 대한 규제를 풀고 차별을 철폐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통합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셋째, 각 부처에 산재하여 있는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업무를 일원화하여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국립국제교육원)을 설치한다. 넷째, 대학별로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하여 ‘언어권별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지속적인 질적 관리를 위해 가칭 ‘외국인 유학생 평가 및 지원 위원회‘를 설치하여 학업성취도, 취업 등을 지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