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의 존경에 대한 인식 : 토착심리 분석

        이은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의 존경에 대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사람,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이유,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마음을 표현하는 방법,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마음이 주는 영향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 총 372명(부 186명, 모 186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박영신과 김의철(2007)이 제작한 존경에 대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장 존경하는 사람은 부모로써, 50% 이상의 높은 반응율을 보였다. 이 외에 종교지도자, 사회봉사자, 가족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존경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서, 아버지집단은 모범이 됨, 희생적임, 성실함 및 타인배려를 지적하였으나 어머니집단은 희생적임, 성실함, 모범이 됨, 타인배려를 지적하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존경심의 표현방법으로서, 아버지집단은 표현안함, 본받으려 함, 순종함의 순서로 나타난 반면, 어머니집단은 표현안함, 대화함, 본받으려 함, 다정한 표현을 많이 하는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존경하는 마음이 주는 영향으로는 아버지집단의 경우 본받기 위한 노력, 교훈이 됨, 닮고 싶음, 편안함의 순서로 반응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집단은 닮고 싶음, 본받기 위한 노력, 편안함, 행복함, 의지됨의 순서를 보였다. 다섯째, 가장 존경하지 않는 사람은 정치인이 50% 이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없음, 가족, 공무원, 범죄자, 직장동료/상사의 순서를 보였다. 여섯째, 존경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로는 이기적임이 30% 가까이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불성실함, 언행불일치, 믿을 수 없음의 순서를 보였다. 일곱째, 존경하지 않는 마음의 표현방법으로서, 표현안함, 무관심이 각각 20%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 외에 욕을 함, 비판함이 포함되었다. 여덟째, 존경하지 않는 마음이 주는 영향으로서, 아버지집단은 영향력 없음, 화가 남, 불신감 생김, 자기반성의 순서를 보인 반면에, 어머니 집단은 영향력 없음, 불신감 생김, 화가 남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 초등학생의 영어 강세 및 비강세 모음 발음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이은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강세 모음과 비강세 모음의 발음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 상반되는 지도 방법을 적용하여,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화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떤 방법이 발화 변화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실행을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B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학급 A, 실험학급 B로 선정하고, A학급은 기계적 훈련 방법으로, B학급은 의사소통 활동 방법으로 강세와 비강세 모음의 발음을 지도하였다. 실험수업에서 사용된 단어는 강세와 비강세 발음을 분명하게 대조할 수 있는 단어 쌍으로 선별하였으며 실험을 위한 수업은 주 3회, 총 16차시(A학급은 17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발음 수업은 정규 영어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연구자가 10분 동안 지도하였다. 본 실험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1차), 발음 수업 직후(2차), 발음 수업 일주일 후(3차), 발음 수업이 종료된 약 4주 후(4차)에 각 실험학급 학생들의 발음을 녹음하여 강세 모음과 비강세 모음의 발화 변화를 음향적, 청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급 모두 발음 교육 전후 비강세 모음의 포먼트 분포에는 변화가 별로 없었지만 강세 모음의 포먼트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면서 강세 모음과 비강세 모음을 비교적 구분하여 발음하였다. 또 전체적인 포먼트 분포 양상에 따라 기계적 훈련이 더 큰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조에 대하여 두 실험학급 모두, 그 구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강세 모음 음조 구현 능력은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이 연속적으로 누적될수록 향상되었다. 비강세 모음의 음조에 있어서는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누적에 따른 향상은 아니며 전-후의 향상만 있었고, 발음 교육 직후의 향상된 수준이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다. 음조 차의 경우,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이 연속적으로 누적될수록 더욱 잘 구현하였다. 강세 모음 음조, 비강세 모음 음조, 음조 차 구현 능력의 향상에 기계적 훈련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셋째, 음장에 대하여 두 실험학급 모두, 그 구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강세 모음의 음장 구현에서는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양과 관계없이 발음 교육 전-후의 향상만 있었고 2차시기의 향상된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비강세 모음의 음장은 4차시기까지 꾸준히 짧게 구현되었으나 그 향상 정도가 녹음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한 한 가지 방법의 영향이 더 뚜렷하였다고 볼 수 없었다. 음장 차 실현에 있어서,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누적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발음 교육 전-후의 향상만 있었으며 4차시기까지 발음 교육 직후에 향상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강세 모음 음장, 음장 차 구현 능력의 향상 및 즉각적인 발음 교육의 효과에 있어서 기계적 훈련이 더 효과적이었다. 넷째, 두 실험학급 모두,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누적에 따라 강세 모음 발화 정확성이 점차 향상되었다. 두 실험학급에서 강세 및 비강세 모음 모두 발음 지도 직후에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비강세 모음 발화의 정확성은 발음 교육을 받은 시간의 누적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며 발음 교육 전-후의 차이만 유의미하였다. 이후 더 이상의 향상은 없었지만 발음 교육 직후의 향상된 수준을 4차시기까지 유지하였다. 기계적 훈련이 강세 및 비강세 모음 정확성 향상에 좀 더 효과적이었다.

      • 경풍년의 선율과 숨자리 비교 -김성진,김기수,조성래,신용문 의 가락을중심으로-

        이은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이 은 진 경풍년은 관악합주는 물론 대표적인 대금 독주곡으로 연주되고 있다. 그러나 악보와 연주자에 따라 각기 다른 표기와 연주를 하고 있어 선율과 호흡의 변화가 연주자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악 보유자 녹성 김성진의 선율을 기본으로 하여 김기수, 조성래, 신용문 등 대금정악의 대표성을 지닌 3인을 선정하여 각각의 선율을 오선보로 역보 하였으며, 3명의 경풍년 악보의 선율을 비교하여 확대·축소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대금에서 숨자리는 그 위치에 따라 강세가 달라지며 음악적 어법과 악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각의 숨자리를 찾아 비교하였다. 경풍년의 비교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선율의 진행이지만 한 정간 안에서 출현음의 시가가 분할되거나 꾸밈음의 유무로 각각의 선율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숨자리는 4명의 연주자가 선율진행에 따라 각기 숨자리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세째, 김성진의 선율 진행과 신용문의 선율 진행은 거의 동일하고, 김기수와 조성래의 선율 진행이 서로 유사진행 하고 있다. 합주곡의 한 파트를 독주곡으로 연주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일이다. 대금독주곡 경풍년의 악보와 연주는 연주자에 따라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독주자의 몫으로 볼 수 있지만 중요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악의 김성진 악보는 그대로 존치하여야 한다. Comparative Study of Melody and Breathing point on the Gyungpoongnyeon - Concentrating on Kim Sungjin, Kim kisoo, Jo Sungrae and Shin Yongmun’s tune - Lee EunJin Department of Korean Classic Music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Professor : Shin Youngmun Gyungpoongnyeon has been played for not only an ensemble, but also a prominent solo. However, these had been written and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xisting sheet musics and specific musicians, so I would like to compare how changing of breathe and turn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player. For this study, Based on Noksung Kim Sungjin, the 20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ose melody, I choose three people who can be represented in Daegum classical music, and tried to write for each melody and change musical note. Besides, I separated reducing and expanding by comparing the four player’s melody. Since breathing point on the Daegum is able to be changed to accent by the position and this has an affect on musical grammar and motif, we need to understand positions of breathing point.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in spite of identical melody, each melodies are shown by division of starting note in the one of Junggan and checking whether or not ornaments exist. Secondly, each four performers play with their own unique breath points. Third, there are similar progress of between Kim Sungjin and Shin Youngmun. By the same way, Kim Kisoo and Jo Sungrae’s progress, they are analogous. It is careful to play an one part of ensemble as a solo. Gyungpoongnyeon, a Daegum solo, has shown a bit change relying on a musical note and performance. This is outcome of a solo artist, but Kim Sungjin who is the 20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musical note should be preserved.

      • 해방 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李銀眞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방 이후의 한복용(韓服用) 소재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여기에서 '소재'라는 용어는 섬유나 사(絲)가 아닌 한복을 이루는 포(布) 즉 옷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대별 한복 소재 산업의 변화와 소재의 경향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연대별 소재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각 소재들의 특성은 명칭, 섬유 재료, 직조상의 특징, 가공법 및 후처리, 사용된 연대, 계절, 용도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그 실증 사진을 제시하였다. 연대별 소재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45년에서 50년까지는 해방의 혼란 속에서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틀을 세우고자 노력하였다. 사회 전반적인 혼란으로 이 시기의 의료(衣料) 사정은 궁핍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무명, 광목(廣木) 등을 사용하였고, 미국 및 우방으로부터의 구호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의료(衣料)들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 일제 시대부터 민족 자본으로 존재하였던 조선견직(朝鮮絹織) 등 몇몇 기업에 의해 숙고사(熟庫紗), 조견단(朝絹緞), 뉴똥 등의 견직물(絹織物)이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50년대에는 해방 이후 독립국가로서 기틀을 세우고자 노력하던 중에 한국전쟁이 발발함으로서 다시 한번 혼란을 겪었다. 그러나 휴전과 더불어 전쟁의 복구가 생활필수품 산업 위주로 이루어짐에 따라 53년경에는 의료(衣料) 사정도 호전되었다. 이 시기에는 무명, 광목(廣木), 옥양목(玉洋木) 등의 면직물(綿織物)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선견직(朝鮮絹織) 등에서 조견단(朝絹緞), 호박단(琥珀緞), 뉴똥, 모본단(模本緞), 법단(法緞) 등의 견직물을 생산하여 의료(衣料)가 다양해졌다. 또한 해방과 한국전쟁 과정을 통해 유입된 나일론이 유행하여 다후다(Taffeta, タフタ), 곰보 나일론, 나야가라 등의 새로운 소재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외국산을 선호하여 홍콩, 일본 등지에서 양단(洋嚴), 벨뱃(Velvet, ビロ-ド), 오빠루(Opal fabric, オパ-ル) 등이 밀수입되어 사용되었다. 60년대에는 50년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합성섬유가 크게 유행을 하여 양장과 한복의 겸용으로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한복용으로 사용된 소재는 레이스(Lace), 반짝이소재, 우라기리(うらきり), 후로킹(Flocked pile fabric, フロッキ-), 오빠루(Opalfabric, オパ-ル), 춘추 벨뱃, 지지미(ちぢみ) 등이다. 이들 소재는 표면의 입체감을 통해 장식성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70년대에는 전통 소재인 양단(洋緞), 뉴똥 등이 종래의 천연섬유뿐만 아니라 합성섬유로 만들어져서 그 관리와 가격 면의 실용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는 소재 자체의 표면 입체감을 통하여 장식성을 추구하였던 60년대의 경향에서 벗어나 소재의 표면에 금박, 수, 날염, 그림 등을 더함으로써 장식성을 추구하였다. 80년대에는 경제발전, 사회안정, 생활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졌고 86아시안 게임, 88올림픽을 개최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한복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었다. 섬유 재료 변에서는 천연섬유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바뀌었다. 또한 현대적 주거 환경의 변화에 따라 냉·난방이 일반화되면서 새로운 것을 통해 이윤을 추구하려는 업계의 판매 전략과 맞물려 한복용 소재의 계절 구분이 불분명해졌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노방주(老紡紬), 모시 효과를 낸 실크 직물 등이 일명 '사철깨끼'라고 부르는 4계절용 소재로 사용되었다. 90년대에는 4계절용 한복의 유행이 한풀 꺾이고 자연주의, 복고주의 경향에 영향을 받아 계절감이 다시 살아나기 시작하였다. 모시, 항라(亢羅), 숙고사(熟庫紗), 갑사(甲紗), 자미사(紫薇紗), 모본단(模本緞) 등의 전통 소재들이 다시 등장하는 한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생활 한복으로 관심이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90년대 후반에는 한복 입는 날의 선포, 한복 착용자의 고궁, 박물관 무료 입장 실시 등의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IMF 등의 경기 침체에 따라 한복 산업도 위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대별 소재들을 다시 조직을 기초로 평직(平織), 능직(綾織), 주자직(朱子織), 사직(紗織)으로 분류하고 조직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것들은 기타 소재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총 90점의 소재는 평직 30점, 능직 2점, 주자직 27점, 사직 10점, 기타 21점으로 평직과 주자직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비해 능직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또 편성물, 레이스(Lace), 첨모 소재 등의 기타소재도 21점으로 적지 않은 수를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소재들은 주로 60년대에 양장용 소재가 한복용으로도 사용된 경우로 매우 특징적인 경향이다. 한편, 본 연구 과정에서는 현재 우리 나라의 한복용 소재의 명칭에 대한 분류와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각 연대별로 다양한 소재가 등장하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는 기술 발전과 함께 소재 자체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지만, 동일한 소재도 각 회사의 상품명, 원산지, 조직이나 가공의 미미한 변화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명칭으로 부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계와 업계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분류와 명명, 소재집의 제작 등 전통 소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작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an the textiles having been used for Hanbok (韓服) since the 1945 Liberation. Now, at the threshold of the 21th century, it's a good time to arrange one side of the trends in Hanbok by looking into its textile development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passing century. This paper states those backgrounds and the situation of textile industry related to Hanbok. On the basis of this, the popularized textiles of each term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rranged according to times, names, seasons and uses for women or men. Photographs of real textiles and their structures are also presented. The trends of each term are as follows. From 1945 to 1950, in the middle of disorder of this Liberation term, people made efforts to found the basis of polic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ecause of the general disorder of society, the clothing situation was very bad, so the majority of people wore clothing of cotton (Moomyung 무명 or Kwangmok 廣木). Various textiles including relief goods from America and other friendly nations began to come in at this term. Silk fabrics like Chosun silk fabrics, having established with the capital of our nation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and existed then, and other factories. In the 50s, while people making efforts to set up much more independent country,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they suffered from another great confusion. but with the armistice, rehabilitation began along with the industrial concentration of daily necessaries. As a result, the clothing situation changed better. During this term, cotton(Moomyung and Kwangmok), muslin(Okyangmok 玉洋木), and Poplin were popularized. Chosun silk fabrics manufactured silk fabrics such as Chokyundan(朝絹緞), Hobakdan(琥珀緞), Newttong(뉴똥), Mobondan(模本緞), Po˘pdan(法緞). People could use more different kinds of textile then. In addition, Nylon, which began to come in during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seized most of people. Such nylon fabrics as Taffeta, Kombo-Nylon, and Niagara(나야가라) were the favorites. Besides, they preferred foreign-made, so that fabrics like Yangdan(洋緞), Velvet, and Opal fabric were smuggled from Hongkong or Japan. In the 60s, Chemical fibers, beginning to come in from the 50s, were their favorites, with which they made Hanbok and Western style dresses as well. During this term, Lace, golden or silvery, fiber fabric, Woorakiri(ぅらきり), Flocked pile fabric, Opal fabric, Spring-and-Autumn Velvet, and Chichinu(ちちみ) were the materials for Hanbok. They were chemical fiber fabr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to have an cubic and ornamental effect on the surface. In the 70s, Yangdan, Newttong, and other typical fabrics for Hanbok were manufactured with chemical fibers. Such chemical fiber fabrics widely spread because of their lower prices and practicality. During this term, the trend of the cubic and ornamental effect on the surface in the 60s disappeared. Instead, they intended to give the ornamental effect by putting gold foil, embroidery, printing, and pictures on the surface of the fabrics. In the 80s, with the economic growth, social stability, high standard of living, and '86 Asian Games and '88 Summer Olympic Games held in our country, people got much more interested in our country, people got much more interested in our culture, together with our traditional costume, Hanbok. According to this, people had a tendency to prefer natural fiber fabrics. And there were no seasonable fabrics for Hanbok during this term, as all-year-round fabric like Nobangzu(老紡紬) was in common use. In the 90s, above all-year-round fabric became unpopular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sm and reactionism, and seasonable fabrics reappeared. In spite of such governmental efforts as proclamation of "The Day of Wearing Hanbok." in December, 1996 and "Free Admission to Ancient Palaces and Museum for wearing Hanbok." in 1997, the Hanbok Industry became depressed under the IMF system we came across. But owing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our typical fabrics like Mosi(紵), Mobondan(模本緞, 募本緞), and Hangra(亢羅) began to be in use again. Interviews and market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too many problems in classifying and naming textiles, that is there are no consistent ways to do it. For example, one manufacturing process, another names the same kind after his own way. and other call it their own way according to its brand or company, etc. Moreover, a lot of technology having come in by way of Japan, inconsistency gets higher. Consequently, it is highly desirable that academic authorities concerned textiles should classify and name them consistently and make "a collection of Materials for Hanbok Clothing" through which our textiles could be called commonly right.

      •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은진 동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the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4~5 years of age affect their self-esteem. This study will establish the importance of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as the individual intrinsic /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while also providing the base materials for efforts to devise measures for enhancing their self-esteem. As such, the research questions pursu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f playfulness,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Third, how do the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affect their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98 children aged 4~5, who were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Y’ city in Gyeongsang-buk Province. The scale developed by Barnett (1990) for children and young children based on Lieberman (1965)’s definition of playfulness was used to measure playfulness. The scale developed by LeBuffe & Naglieri (1999) was used to measure the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The scale developed by Hwang H.I. & Jae H.S. (2016) was used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questionnaire that was finalized via preliminary studie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from Jan. 2nd to Jan. 18th, 2019. PASW18.0 software for Windows was employed to conduct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regarding each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the playfulness,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be as follows.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exhibited higher-than-average levels, with the highest playfulness observed for the expression of joy, followed by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sense of humor, and cognitive spontaneity. The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also exhibited higher-than-average levels, with the highest levels observed for attachment, followed by initiative and self-control. Likewis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lso exhibited higher-than-average levels, with the highest levels observed for self-worth, followed by self-responsibility,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s. Second, regard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playfulness,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playfulness and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Third, regarding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on their self-esteem, results of the 1st stage model that analyzed how playfulness affected self-esteem indicated that playfulness explained 54% of self-esteem. The 2nd st age model, which analyzed how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affected self-esteem, indicated that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explained about 79% of self-esteem, suggesting that the inclusion of ego-resiliency improved explanatory power by 25%. Looking at how the subcomponents of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affected their self-esteem, 69% of self-esteem in the 1st model was explained by the subcomponents of playfulness such as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In the 2nd st age model, which examined how the subcomponents of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affected self-esteem, 81% of self-esteem was explained by factors such as initiative, cognitive spontaneity, attachment, and social spontaneity, in descending order. These results point to the future need to consider methods for strengthening self-esteem among young children,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curricula that emphasize playfulness and measures for enhancing ego-resiliency. Furthermore, when devising activities for strengthening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efforts will be needed for enhancing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 朝鮮後期 宮房 手本 硏究

        이은진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ungba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erved as a living space fo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 foundation for royal finances, and a place to perform ancestral rites. This paper examines the Subon, one of the various documents that was issued and received by the Kungbang. The Subon was a document issued by the Kungbang when reporting and petitioning the Naesusa (a government office that managed the royal family’s financ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analyzed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Subon used by the Kungbang, as well as its types, administrative processes and related documents, and the contents of actual documents that are still in existence and those copied in the registry of each Kungbang. Although it was not listed in the code of laws, the Subon of the Joseon Dynasty was a versatile document that was used to both present reports as well as petitions to several government offices. The Kungbang, which was not part of a formal government office, had to avoid the restrictions of the royal court while issuing and using the document. Subons that had been issued by a eunuch, a high-ranking officer in the Kungbang system, were selected for use. When multiple Kungbang reached a consensus, the document was issued under the name of Dosubon. The documents and administrative processes of the Kungbang Subon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contained an agenda to be presented to the king for consideration or a report to relevant government offices without petitioning the king. First, when a document was presented to the king for consideration, the Naesusa would attach a Subon to a Danja to make a direct appeal to the king. Depending on the period, the participation of the Yijo (a high-level Naesusa official)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declined. Second, when a document did not contain an agenda for the king’s consideration, then a Cheopjeong was issued by the Naesusa and sent to the corresponding government office immediately. Last, an agenda on which the Kungbang requested resolution by issuing and reporting a Subon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ccumulating and managing wealth, procuring goods for the royal family, performing ancestral rites,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the royal family’s Wondang, and issuing appointments and punishments for palace servants. 조선 후기 궁방은 왕실 일원의 생활공간, 왕실 재정의 기반, 제사 봉행의 공간으로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궁방이 발급하고 수취한 다양한 문서들 중에서 수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본은 조선 후기 궁방에서 내수사에 보고‧청원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본 논문에 서는 실물로 남아있는 문서와 각 궁방의 등록에 謄書된 문서를 통해 궁방의 수본 사용 배경, 궁방 수본의 형태와 서식, 행이 과정과 관련 문서, 수본의 내용을 분석 하였다. 조선시대의 수본은 법전에 명문화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아문에서 보고의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청원문서의 한 종류로도 사용되는 등 유동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문서였다. 정식 아문이 아니었던 궁방은 문서 발급과 사용에 대한 조정의 제재를 피해 야만 하였다. 궁방 내무 계통의 상위에 위치한 내관이 발급한 경험이 있었던 수본을 선택해서 사용하였다. 다수의 궁방에서 공통의 의견을 낼 때에는 都手本이라는 이름 으로 문서를 발급하였다. 궁방 수본의 관련 문서와 행이 과정은 국왕에게 入啓하는 사안인지 또는 입계하지 않고 해당 아문에 보고하는 사안인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첫째, 국왕에게 입계하는 경우에는 내수사가 단자에 수본을 점련하여 국왕에게 직접 입계하였다. 이때 시기에 따라 내수사의 상급 아문인 이조가 행이 과정에 참여하는 비중이 낮아졌 다. 둘째, 국왕에게 입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수사에서 첩정을 발급하여 곧바로 해당 아문에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궁방이 수본을 발급하여 보고하고 해결을 요청한 사안은 재산의 형성과 운영, 왕실의 물자 조달, 제사의 봉행, 왕실 願堂과의 관계 유지, 宮屬의 임명과 처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 순조의 즉위년인 1800년부터 순종이 서거한 해인 1926년경까지 사용되었던 견직물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이 시기는 세도정치의 병폐와 외세의 개입으로 인하여 조선왕조의 체제가 서서히 붕괴되어 가는 가운데, 1910년 한일합병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정치적인 막이 내려지고, 1926년 마지막 왕인 순종이 서거함으로써 왕실마저도 사라지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현대사회에 남아 있는 전통문화의 근본이 되는 시기이며 마지막 왕실문화가 존재하였던 시기이므로, 당시의 견직물을 연구하는 것은 전통직물의 명칭과 특성에 혼란이 생겨나기 시작한 일제강점기 이전 전통직물의 명맥을 파악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20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견직물의 종류 및 명칭, 길이와 폭, 가치, 용도, 문양, 명칭에 따른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견직물의 종류로는 원사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平織物인 紬·초·絹, 綾織物인 綾, 냑직물인 紗·羅, 수자직물 또는 重織物인 緞이 있었다. 당시의 대표적인 직물이 총망라되어 있는 『□긔』에 기록된 각 직물의 수량은 紬>紗>羅>緞>초>絹>綾의 순이었으며, 특히 紬와 紗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고 그에 비하여 絹과 綾은 극히 미미하였다. 한편 19∼20세기 초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도 수많은 직물이 생성·변화·소멸하였다. 특히 1900년을 전후하여 전통직물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전 시기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던 방사주·수주·정주 등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라졌으며, 삼팔주·노방주 등은 새로이 생겨났다. 또 면주·토주 등은 그 명칭이 세분화되거나 변형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사용되기 시작한 여러 직물 중에서 노방주·생고사·숙고사·진주사·국사·양단 등은 전통직물의 주종을 이루게 되면서 현대까지도 계승되고 있다. 견직물 1疋의 길이와 폭은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다. 직물의 종류에 따라 폭이 다른 것은 일반적인 일이지만 1疋의 길이가 직물에 따라 달랐던 것은 매우 특이한 점이다. 1疋의 길이가 가장 다양하였던 것은 紬로서 752∼2350cm였으며, 초는 1410cm, 紗는 1371.60∼1410cm, 羅는 1410∼1828.80cm, 緞은 1371.60∼2286.00cm였다. 紬 종류는 폭도 매우 다양하였는데, 대부분 32.9∼47cm 정도였고 가장 넓은 것은 84.6cm나 되었다. 초는 대부분의 紬보다 조금 넓은 51.7cm였으며, 紗와 緞의 폭도 비교적 다양한 편이었다. 일반적인 紗의 폭은 61.1cm로 당시 넓은 폭으로 생산되었던 직물 중 하나였으며, 종류에 따라 38.10∼68.58cm로 제직되었다. 緞의 폭은 47∼75.60cm이었다. 가장 좁은 폭으로 직조된 직물은 冒羅로서 그 폭이 28.2cm였는데, 이는 冒羅가 관모를 싸는데 사용된 직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밖에 絹 종류는 通絹이 47cm, 하부타에[羽二重, はぶたえ]가 38.10∼68.58cm, 綾 종류는 小綾이 32.9cm, 大綾은 51.7cm였다. 견직물의 가치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특히 紬는 종류가 다양했던 만큼 그 가치도 최저가부터 최고가까지 매우 다양하였으며, 초와 絹은 직물의 종류는 많지 않았지만 모두 고급 紬 수준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또 紗·羅와 緞은 가치를 '艮' 즉 '銀'으로 표기한 고급 직물이었다. 각 직물의 10,000㎠당 가치를 비교하여 보면 大緞>紗>大綾≒走紗>초>紬의 순으로 나타나 최고가의 견직물은 緞종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緞이 최고가였던 이유는 기본적으로 제직 시 필요한 원사의 양이 많고, 수자직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보편화된 까다로운 제직법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緞 다음으로 가치가 높았던 것은 紗였는데, 紗가 비교적 얇은 직물임에도 불구하고 고가였던 것은 경사가 교차되는 織으로 직조해야하는 까다로운 공정 때문이었을 것이다. 견직물은 종류에 따라 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紬는 속옷과 상의의 비중이 매우 높았고, 예복 및 관복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포에 사용된 경우도 매우 적었다. 초는 각각의 직물에 따라 사용된 용도가 달라서 곡생초는 주로 속옷에 사용되었으며, 궁초는 왕이나 동궁의 최고의 예복에만 사용되었다. 또 絹과 綾은 매우 적게 사용되었는데, 하부타에는 兩殿의 핫바지와 치마에, 倭繒은 침구류에, 別紋綾은 황후의 누비소고의에 사용되었다. 紗는 가장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갑사는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직물이었다. 반면 현재 가장 보편적인 전통직물로 생각되고 있는 숙고사·생고사는 속옷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상의·하의·포 등의 겉옷으로만 사용되었다. 또 궁사는 용포·폐슬 등에만 사용되어 최고급 紗였음을 알 수 있다. 羅는 항라와 숙항라가 일부 예복 및 관복으로만 사용되었을 뿐 대부분 속옷으로 사용되었다. 緞은 비교적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었던 편이지만, 羅가 주로 속옷용으로 사용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단 1건도 속옷에는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새롭게 규명된 문양은 별문·백복문·백접문·수복문·오호로문·접문의 여섯 가지이다. 별문은 우리 왕실을 상징하였던 문양에서부터 시작되어, 주로 왕실에서만 사용하였던 용문·봉문과 화문·문자 등이 커다란 원형으로 이루어진 문양을 지칭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별문의 의미가 확대되어, 원형이 아닌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도 별문이라 호칭하게 되었다. 백복문은 '百蝶紋' 즉 '박쥐'가 가득 찬 무늬'이며, 백접문은 '百蝶紋' 즉 '나비가 가득 찬 무늬'이다. 수복문은 '壽輻紋', 즉 '壽字와 박쥐가 혼합된 문양'이다. 오호로문은 호로병박 다섯 개가 좁은 입구부분이 중심으로 향하게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호로병박 사이에는 넝쿨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문양이다. 접문은 나비문[蝶紋]과 창살문[蝶紋]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명칭에 따른 특성을 규명한 직물은 改只紬·潞州紬·三八紬·潞方紬·方絲紬·十兩紬·合絲紬·綿紬·水紬·吐紬·斑紬, 숙초·련초·궁초·영초, 厚紙絹·羽二重·倭繒, 甲紗·純仁·庫紗·官紗·走紗·銀條紗·廣紗·熟素·倭紗·도리사·貢洋紗·羅紗, 閏州羅·銀羅·苧杭羅·唐杭羅·洋杭羅·秋羅·乙羅·銀羅, 庫緞·模本緞·漢緞·大緞·洋緞·倭緞·錦緞 등이다. 이상 19∼20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견직물을 살펴본 결과, 현재 전통직물로 여겨지고 있는 여러 직물들이 이 시기를 전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잊혀졌으나 당시에는 이들 외에도 수많은 직물들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직물의 길이와 폭, 용도, 문양, 명칭에 따른 특성 등에 관한 분석 결과는 조선 말기 복식유물에 사용된 직물의 타당한 명칭을 밝히는데 일부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박물관 소장유물의 실견이 어려워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 결과의 일부만을 유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물과의 연계연구가 더욱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thesis emphasizes on silk fabrics use in the period of 1800 and 1926, when the king of Joseon dynasty Sun-jo(純祖) ascended to the throne, and when King Sun-jong(純宗) passed away.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hile Joseon Dynasty's society was falling apart due to the political power's evil practices and foreign power's intervention, the dynasty came to an end by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한일합병). A treaty was signed, and it was also the time when the last dynasty ended as the last King Sun-jong(純宗) had passed away in 1926. As this time it was the last traditional society to be the primary of the present age, and the existence of last era of royalty. Thus, studying the silk fabrics of that time has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fabrics prior to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different categories which include silk fabrics' type and name, length and width, value, us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name. First, silk fabrics can be divided into 4 type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its primary thread and structure. It is divided into plain weaved fabrics like Ju(紬), Cho(초), and Gyeon(絹), twill weaved fabrics like Reung(綾), gauze weaved fabrics like Sa(紗) and Ra(羅), and satin weaved fabrics or compound weaved fabrics like Dan(緞). According to Bal-gui(발긔), a book having almost all the fabrics at that time, each fabrics' quantity was in Ju(紬)>Sa(紗)>Ra(羅)>Dan(緞)>Cho(초)>Gyeon(絹)>Reung(綾) order. Especially, the specific gravity of Ju(紬) and Sa(紗) were extremely high while Gyeon(絹) and Reung(綾) were extremely small. Meanwhile, during the short time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various parts of the fabric creation, development, and extinguishment. Especially, there was a remarkable change with the traditional fabrics around the year 1900. Bangsagju(방사주), Suju(수주), and Jeongju(정주), which were commonly used before this era,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Sampalju(삼팔주) and Nobangju(노방주) were newly created. For Myeonju(면주) and Toju(토주), their names were segmented and changed. Especially, various fabrics like Nobangju(노방주), Saenggosa(생고사), Sukgosa(숙고사), Jinjusa(진주사), Guksa(국사), Yangdan(양단), and so on, which were used during this period had been the main of the traditional fabrics, were inherited to the present. Second, the length and the width of 1 Pil(疋) silk fabrics are various depending on its fabrics type. It is normal for the width being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abrics, but for 1 Pil(疋)'s length being different is very unusual. The lengths of 1 Pil(疋) for various fabrics are as follows: Ju(紬)(752∼2350cm), Cho(초)(1410cm), Sa(紗)(1371.60∼1410cm), Ra(羅)(1410∼1828.80cm), and Dan(緞)(1371.60∼2286.00cm). The width of Ju(紬) also varies between 32.9∼47cm, and the widest was 84.6cm. Cho(초) was a bit wider than most of the Ju(紬) with 51.7cm, and the width of Sa(紗) and Dan(緞) were also comparatively various. A regular width of Sa(紗), which was a fabric made in wide width, was 61.1cm, and some were made up to 37.6∼68.5cm. Dan(緞)'s width was 47∼75.60cm. The fabric woven into the smallest width was Mora(冒羅) with the width of 28.2cm. This shows that Mora(冒羅) must have been the fabric to wrap the official hat. And for Gyeon(絹); Tong-gyeon(通絹) was 47cm, and Habuta-e(羽二重) was 38.10∼68.58cm, and for Reung(綾); Soreung(小綾) was 32.9cm and Daereung(大綾) was 51.7cm. Third, the value of silk fabrics are different by its type. Especially, the Ju(紬) type fabrics were highly various than the other fabrics, and their value was even more diverse. Cho(초) and Gyeon(絹), which didn't have that many kinds but had the value of a high quality Ju(紬). Sa(紗), Ra(羅), and Dan(緞), are high class fabrics, and their values are marked in Gan(艮) also called Silver(銀). Comparing each fabrics value per 10,000㎠, the order came out in the following order: Daedan(大緞)>Sa(紗)>Daereung(大綾)≒Jusa(走紗)>Cho(초)>Ju(紬). Dan(緞) type was the most valuable silk fabric. The reason why Dan(緞) was the most expensive fabric was that, when weaving the fabric, it required a large amount of yarn, and it had begun to become a common fabric use during the Joseon era. Sa(紗) was the next high valued fabric. Although Sa(紗) was a rather thin fabric, it was expensive because it had to go through a complicated work process. Fourth, silk fabrics had different use according to its type. Ju(紬) was mostly used in making underwears and upper garments, and was not used in making full dresses and official uniforms. Each fabric of Cho(초) had different usage. Goksaengcho(곡생초 was usually used in making underwears, and Gungcho(궁초) was only used in making full dress for the King or Queen. Gyeon(絹) and Reung(綾) were rarely used. Habuta-e(羽二重) was for cotton-padded trousers and dresses, Waejeung(倭繒) for bedclothes, and Byeol-mun-reung(別紋綾) for the Queen's quilted jacket. Sa(紗) was used in various purposes, and especially, Gab-sa(甲紗) was used the most commonly. On the other hand, the Sukgosa(熟庫紗) and Saenggosa(生庫紗), the most common known traditional fabric, weren't used in making underwears but were used mostly for outer garments like upper garments, lower garments, and Po(袍). And Gungsa(宮紗) was the most valuable Sa(紗), used only for Yongpo(龍袍) and Pyeseul(蔽膝). Ra(羅) was mostly used for underwears. Only Hangra(杭羅) and Sukhangra(熟杭羅) were used for particular full dresses and official uniforms. Dan(緞) was used in various purposes, but it was not used in any underwears. Fifth, there are six newly examined patterns: Byeol-mun(別紋), Baek-bok-mun(백복문), Baek-jeop-mun(百蝶紋), Jeop-mun(접문), Su-bok-mun(壽福紋), and O-ho-ro-mun(五葫蘆紋). Byeol-mun(別紋) was assumed to symbolize the royal family. The shape of Byeol-mun(別紋)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 of the royal family. Later, all circular patterns such as dragon patterns, phoenix patterns, flower patters and characters, which were used only for the royal family, were considered as Byeol-mun(別紋). Baek-bok-mun(백복문) had a pattern full of 'bats(복)', and Baek-jeop-mun(百蝶紋) had a pattern full of 'butterflies(蝶)'. Jeop-mun(접문) was classified into 'butterfly patterns(蝶紋)' and 'traditional window flame patterns(접문)'. Su-bok-mun(壽福紋) had a pattern combined with 'the 壽 character(壽字)' and 'bats(복)'. O-ho-ro-mun(五葫蘆紋) had five-gourd-shaped patterns that form a circle, turning their narrow mouth to the center, and vines between each two gourds. Sixth, textiles whose features have been examined are Gaejiju(改只紬), Nojuju(潞州紬), Sampalju(三八紬), Nobangju(潞方紬), Bangsagju(方絲紬) Simnyangju(十兩紬) Hapsaju(合絲紬), Myeonju(綿紬), Suju(水紬), Toju(吐紬), Banju(斑紬), Sukcho(숙초), Ryeoncho(련초), Gungcho(궁초), Yeongcho(영초), Hujigyeon(厚紙絹), Habuta-e(羽二重), Waejeung(倭繒), Gosa(甲紗), Sun-in(純仁), Gosa(庫紗), Gwansa(官紗), Jusa(走紗), Eunjosa(銀條紗), (廣紗), Suksu(熟素), Waesa(倭紗), Dorisa(도리사), Gong-yangsa(貢洋紗), Rasa(羅紗), Yunjura(閏州羅), Eunra(銀羅), Jeohangra(苧杭羅), Danghangra(唐杭羅), Yanghangra(洋杭羅), Chura(秋羅), Eulla(乙羅), Eunra(銀羅), Godan(庫緞), Mobondan(模本緞), Handan(漢緞), Daedan(大緞), Yangdan(洋緞), Waedan(倭緞), and Geumdan(錦緞). After researching the silk fabric us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discovered that most of traditional fabrics were started to be used from this time, and it was figured that there existed more additional fabrics, which are not being used today, in that time period. The result of analyzing fabrics' lengths and widths, us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ame in this thesis is expected to help a bit in clarifying the proper name for the fabrics used in the late Joseon era dress relics. However, only a few relics were used in writing this thesis, but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dditional research to preserve the relics.

      • 온라인 커뮤니티에 탑재된 미술과 교육 자료가 초등교사의 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디스쿨을 중심으로

        이은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형성된 인터넷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공간으로 교사들은 이곳에서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정보나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에게 영향력이 큰 온라인 커뮤니티에 탑재된 미술과 교육 자료는 초등 교육 현장에서 미술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 탑재된 미술과 교육 자료가 초등교사의 교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초등교사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인디스쿨(이하 인디)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7명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인디의 회원이며, 인디에 탑재된 미술과 교육 자료를 활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미술에 대한 경험이나 능력과는 상관없이 미술 수업을 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으며, 미술 수업에 대한 부담감 역시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참여자들은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었으며, 인디의 자료를 활용했을 때 아동의 흥미도와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고 말함으로써,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가 교수 활동에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가 교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양한 예시 작품과 제작 과정을 보여줄 수 있으며, 실제 수업에 꼭 필요한 아이디어와 팁이 들어 있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또 다른 참여자는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의 특성보다는 인디에서 미술과 교육 자료를 찾아보는 과정을 통해 미술 수업에 대해 더 관심을 갖고 고민하고 연구를 하게 된다는 점에서 미술 수업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닌 가라는 생각을 피력하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를 다음과 같이 수업에 활용하고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자료를 중심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학교에서의 미술 수업이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실제 인디에 비슷한 내용의 자료들이 비슷한 시기에 무리지어 탑재되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둘째, 인디의 미술과 자료 중 표현 영역의 자료를 체험이나 감상 영역의 자료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초등학교에서의 미술 교육이 표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인디에 탑재된 표현 영역의 자료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셋째, 자료를 선정할 때는 아동의 수준에 맞는지,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들어있는지, 교육과정에 맞는 내용인지, 수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자료인지, 정해진 시간 안에 활동을 마칠 수 있는지, 수업의 결과물이 잘 나올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넷째, 다운로드 받은 교육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학급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 일부 연구참여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재구성한 자료를 다시 인디에 탑재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인디의 교육 자료를 통해서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폭이 확장되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또한 인디의 교육 자료를 탐색하고 활용하면서 전문성을 키우고, 자료의 교류를 통해 초등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연대감을 느끼며, 교사로서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고 교육에 대한 열정을 키워 나가기도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인디의 미술과 교육 자료가 교사들의 교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인디의 교육 자료가 초등 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그에 따른 문제점도 있음을 지적한다. 이 중 가장 의미 있는 지적은 온라인상에서의 교육자료 공유가 수업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연구를 차단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수업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나 노력 없이 단지 쉽게 구할 수 있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온라인상에서 공유되는 교육 자료를 마구잡이로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면 지양해야 마땅하다. 또한 교사 스스로 미술 교육에 대한 철학을 확립하고, 좋은 미술과 교육 자료를 선별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인디스쿨)의 미술과 교육 자료가 일부 부정적인 면도 있지만, 초등 미술 교육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교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 초등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미술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미술 교육과 관련된 교사 연수의 다양화와 활성화, 미술 교육 동아리의 활성화, 수준 높은 미술과 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보다 초등 미술 교육 과정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탑재되는 미술과 교육 자료에 대한 미술 교육 전문가들의 보다 폭넓은 관심을 촉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