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이은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의 흐름 아래 사회경제 전반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이 일어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은 개인의 금융 행태에도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과 기술이 융합되면서 발달한 핀테크(FinTech)는 국가에는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이자, 기업에는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 그리고 개개인에는 편의성을 제고시키는 금융서비스로 다가오고 있다. 핀테크 기술 중 가장 각광받는 서비스는 모바일 결제서비스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사람들의 결제 과정을 단순화해주며 비현금화, 지갑 없는 시대를 현실화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모바일 결제서비스는 성장이 더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모바일 결제서비스 시장의 성공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판별하고, 그 영향력을 검증한다. MIS 분야에서 정보시스템의 성공과 개인의 수용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96명의 모바일 결제서비스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인지된 유용성은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태도에 대해 만족이, 지속사용의도에 대해 태도와 만족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기술수용모형이 모바일 결제서비스에 대해서도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모바일 결제서비스 제공업체에 향후 모바일 결제서비스 지속사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successfully introduced under the recent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general scope of social economy. ICT is also considered to be a key factor to change customers’ financial behavior. Especially, FinTech is approaching as a new economic growth engine for the government, a new opportunity to create value for companies, and a financial service that enhances convenience for individuals. The most notable service among fintech technologies is mobile payment service. It is considered a means of simplifying people's payment process through various methods and realizing the age of non-cash and wallet-free. However, Korean mobile payment services are growing slower than those of advanced countries. For the successful growth of the mobile payment service market, continuance usage of users is important.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mobile payment services and verifies their impact.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is developed based on information system(IS) success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hich are assessed to well describe the succ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the acceptance of individuals in MIS field.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296 users of mobile payment services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affect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perceived ease of us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In particula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and satisfaction and attitude has an effect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ur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IS success model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an be applied universally and reasonably to mobile payment servi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 practiced to provide implications to mobile payment service providers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continued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s in the future.

      • 이산가족 찾기 기록 검색을 위한 패싯 기반 온톨로지 모델 설계 및 평가

        이은욱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산가족 찾기 기록은 2015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세계기록유산으로서 이산가족 찾기 기록은 제한 없는 접근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주 관리기관인 KBS 아카이브는 디지털 기록을 제공하고 있으나 인물명, 기록명, 날짜 정보로 검색이 제한되어 있어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기록의 배경이 되는 업무나 사건의 맥락정보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관련 기록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록 기술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이용자가 기록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산가족 찾기 기록 검색을 위한 패싯 기반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패싯은 대상의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범주화 하는 것으로 정보의 다각적인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싯 분석을 통해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다양한 접근점을 제시하고, 온톨로지를 통해 기록의 맥락정보를 체계화하여 이용자의 기록 검색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소장 기록 간의 기술요소를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기록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온톨로지 모델링을 위한 패싯 분석은 상향식과 하향식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향식 방법으로 833건의 KBS 아카이브 이산가족 찾기 기록과 215건의 국가기록원 기록의 원문 내용과 기술요소를 분석하고, 하향식 방법을 통해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특성인 방송 기록과 사건 중심 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여 패싯을 도출하였다. 패싯은 KBS이산가족기록, 출처, 인물, 원본기록, 사건의 5개 상위클래스와 18개의 하위클래스로 구성되었다. 오브젝트 프로퍼티는 최상위 프로퍼티 7개와 하위 프로퍼티 12개로 구성되었다. 데이터 오브젝트는 반복되는 요소를 제외하고 27개를 입력하였다. 입력된 인스턴스는 KBS 아카이브에서 제공하는 기록들로 한정하여 기록은 디지털 영상 기록을 중심으로 554건을 입력하였다. 설계된 이산가족 찾기 기록 온톨로지 모델의 클래스, 오브젝트 프로퍼티, 데이터 프로퍼티가 이용자 관점에서 이산가족 찾기 기록 검색에 있어 정확하고 충분한지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대상자는 총 9명으로 역사학 전공 연구자 4명과 기록관리학 전공 연구자 5명으로 구성되었다. 평가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면대면 면담으로 온톨로지의 클래스, 데이터 프로퍼티, 오브젝트 프로퍼티의 의미적 부분과 실제적 부분에 대한 완전성과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대체로 이산가족 찾기 기록 온톨로지는 이산가족 찾기 기록 검색과 이용에 있어 접근점, 기록의 맥락 정보 제공, 기술요소 제공에 있어서 충분하고 적절하다고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주요 소장기관인 KBS 아카이브를 대상으로 하여, 기록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평가자들이 제시한 온톨로지에 대한 추가적인 요구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산가족 찾기 기록이라는 역사적, 상징적 가치를 지닌 기록을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실제 이산가족 찾기 기록의 분석을 통해 온톨로지 기반 검색방안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싯 분석을 통한 온톨로지 모델링은 추후 다른 도메인의 온톨로지 모델 설계 시, 기초 연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레일탐상 결함검출기법 및 향상방안 연구

        이은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결함 발견불가 등 도시철도 레일탐상차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결함탐상 향상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과정으로 도시철도 레일탐상차 시스템이 갖는 이론적 구성을 분석하고 탐촉자 구성에 의해 계산되는 입사각과 빔 분산각, 빔의 분산에 따른 레일탐상 범위의 계산으로 반영되는 탐상가능 영역 등 시스템 구성품 설계치 분석을 통한 결함발견 분석기법에 대한 연구와 초음파 탐상 일반 이론과 결함된 탐상장비 활용상의 운용기술에 대한 적정한 적용방법 연구 및 수직절손 결함 등 사전 탐지해내지 못하는 결함에 대한 시스템 구성상의 특성을 원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탐촉자 주파수 선정, 주파수와 관련된 입사각과 빔 분산각의 변화에 따라 레일 탐상변위가 변화되었으며 장비 제작사는 보다 더 결함을 잘 발견하고자 주파수 변경과 탐촉자 진동자의 크기 변경을 통한 레일두부 탐상영역 확대를 도모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탐촉자 감도설정과 관련된 운영조작상의 정확한 활용 기술도 결함발견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보유 시스템을 분석을 통해 수직결함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유한 장비를 최적 활용하여 결함을 잘 발견하기 위해서는, 탐상 시스템의 구성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도설정, 파라미터 설정치 변경을 통한 발견 제고, 35°TR 감시기능 개선 등 조작상의 적정한 활용이 요구되며, 결함발견 사전탐지 불가능 영역에 대한 외국 사례 등을 참고하어 탠덤(Tandom) 방식 적용 및 55°탐촉자 적용 등을 통해 보다 더 결함을 잘 발견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and the urban railway operating agency operate the Rail Ultrasonic Inspection Car(SPENO) to detect damaged rail in early stage and take appropriate modification such as rail replacement in advance.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defects and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detection of def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ultrasonic inspection theory and calculated the range of the rail inspection area according to the wavelength, beam divergence angle and calculated by the probe configuration, an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rail inspection detection. As a method to improve defect detection, numerical calculation of ultrasonic theor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rail inspection area and its proved applicability. ⅰ) Defects caused by vertical crack are expressed as frequency loss,   Vertical Defect detection was not possible actually, suggesting adoption of tandem inspection method as fundamental improvement.   ⅱ) Under current system utilization conditions, It is suggested that changing the unused probe to 55 ° instead of 20 °, Use of the sound test method of the signal bond welding area, additional application of the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method to the inspection of the welded part. It is judged that the best utilization of the parameter i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ield requirement. ⅲ) For vertical defect s of 35 ° TR and 0 ° in the case of a vertical fault Frequency loss information varies depending on its vertical crack in distance from the head position and it is suggested to utilize it for monitor surveillance technology.

      • 朝鮮後期 食器 및 飮食의 特色과 變化

        이은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 문화적인 환경을 바탕으로 식기와 음식이 어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는지 고찰하면서 식기와 음식의 상호연관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의 사회전반적인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사용된 식기의 종류와 쓰임을 보기위해서 이 시기 조선의 식기를 가장 정확하게 조사 정리한 아사카와 다쿠미의 ‘조선 도자명고’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식기의 형태와 문양의 변화는 오늘날 유물로 전해지는 여러 작품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비교하면서 전개시켜 나갔다. 또한 문헌에 나타난 음식과 식기의 종류를 보기위해 조선후기에 기록된 의궤와 조리서를 참고로 고찰하였다. 의궤는 시기별로 1719년, 1829년, 1902년의 의궤로 하였으며 기록 중에서 기용부분과 도식부분의 해석을 통해 식기의 종류와 내용, 수의 시기별 특색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음식은 의궤의 찬품부분을 해석하여 진상된 그릇의 수와 음식의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로 나타나는 음식내용과 조리법의 차이를 보고 시기별 특색과 변화를 식기부분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고조리서는 먼저 중기의 음식디미방과 주방문을 보고 후기의 산림경제와 규합총서, 임원경제지의 내용을 보면서 조리시 이용된 조리용구와 기용에 대해 기술된 내용을 조리서에 나타나는 음식의 종류, 조리법과 함께 시기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위의 살펴 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후기의 식기와 음식문화는 당시의 사회, 문화적인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서로 유기적으로 변화,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그 근거가 되는 여러 요인 중에 먼저 조선시대의 유교주의 형식과 의례를 중시하는 국가이념을 들 수 있다. 이는 형식을 중시하는 궁중의 의례음식과 반상음식이 정립되는데 영향을 주면서 식기의 제작에 변화를 가지고 와 높이 궤는 궁중의 의례음식을 담는 접시가 그 어느 시기보다 다양하고 화려하게 제작되게 하였다. 또한 농업과 상업의 발달로 엄격한 신분제의 붕괴가 일어나면서 양반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신분이 상승된 많은 피지배층들이 그동안 상류층만이 누려왔던 풍요로운 음식문화를 접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되었고 이어서 다양한 음식을 담기 위해 기존의 상류층들이 이용하였던 자기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된 도자문화를 이룩하게 되었다. 수요층의 증가는 도자기 문양에도 영향을 주어 계층간을 아우르는 폭 넓은 주제의 표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계층간의 식문화 교류현상은 조선사회의 전반적인 도자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농업의 발달과 외래 작물의 유입으로 수확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추장이나 된장같은 장류문화와 김치문화가 발달되면서 이를 장기간 많이 보관할 수 있는 큰 독과 항아리의 제작을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잉여농산물과 새로운 작물의 생산은 풍부한 재료를 이용한 음식의 다원화를 이루어지게 하였다. 조리법의 다양화로 인한 음식의 분화는 이 시기 의궤와 조리서에 나타난 음식의 종류를 보면 알 수 있다. 상차림에서도 이런 경향이 나타나게 되는데 그 예로 서양식 상차림문화의 유입을 들 수 있다. 큰 식탁위에 개인만의 공간을 나누어 각자 개인의 식기를 이용하며 부폐식의 연회를 하는 모습과 식탁위에 초와 화병을 놓아 장식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 상차림 위에 서구의 영향을 받은 몸체가 긴 白瓷注子가 이용된 것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변화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궁중의 연회에서도 중국에서 수입된 오채준이 많이 보이며 기록에 왜사기로 된 찬합이 나타난 점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조선후기 도자기는 실학의 영향을 받아, 반상차림으로 많은 수의 그릇을 필요로 하는 일상생활에 실용적으로 이용되기 위한 변화가 나타났다. 기존의 불필요한 기면의 곡선은 직선화되면서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기면을 두껍게 제작하게 되었고 반상차림으로 식기가 하나의 셋트를 이루며 문양의 통일성을 가지고 종류별로 함께 제작되게 된 것이다. 이상의 전개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기와 음식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산물로서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유기적으로 발달,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음식의 발달은 식기의 변화와 발전을 가지고 오면서 그 시대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차림으로 정립되어 나타나게 한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how the relation between food and tableware pottery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First, general sociological background of Chosun Dynasty has been reviewed. To examine the kinds of tableware potteries and their use during this period, this thesis is based on Asakawa Dakumis "A ceramic ware of Chosun Dynasty", one of the most thorough references available in the field. Various antiques and remains of different periods were compared to study the changes in tableware pottery design and shape. The "Ui-Gae" and other old cooking books were referenced to revise the kinds of food and tableware potter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Chapters in "Ui-Gae" written in 1719, 1829, and 1902 were referenced with regard to the use of tableware potteries and the analysis of figures on potteries. Also, a specific characters and changed of potteries from each period were examined. Further, other parts of "Ui-Gae" were analyzed to study the kinds of tableware potteries and the contents foods that were offered up to Kings the Royal Family. Specific periodic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ways of cooking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tableware potteries. For other old cooking books, Umsikdimibang, and Jubangmoon written in mid-period Chosun Dynasty were used for comparative analyses, together with the book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uch as Sanlimkyoungjae, Kyuhapchongsu, and Imwonkyoungjaeji. These books were also employed for the study of culinary art and cooking utensils use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 The tableware pottery and food culture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ere develop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ne of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is the Confucianism, which was dominating idea of the Chosun Dynasty. The Confucianism put a major emphasis on procedural formalities, and thus provided the foundation of ceremonial servings for the Royal Family.It consequently brought the changes in tableware pottery designs. The tableware pottery of this period is the most luxurious and diverse of all time. The development in agriculture and commerce in this period caused the collapse of class-system, by producing many rich farmers and merchants who were eventually promoted to the nobility clas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nobility class people changed the trends in ceramics production. More people were able to appreciate the food culture that had been exclusively available to only a few in the high class. The consumption of porcelain increased, and this influenced the design as well as the variety of tableware potteries produced. Development in agriculture and inflow of foreign crops also increased availability of food, and caused the production of large-sized jars and pots to accomodate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fermented foods, such as Gochoojang, Dwenjang, and Kimchi. The surplus of farm products and crops also prompted the diversification of food. This phenomenon is reflected by the variety of cooking methods described in the "Ui-Gae" and other old cooking books. Moreover,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during this period caused diversification of table setting: a buffet-style feast on a big table with individualized space and tableware pottery as well as decoration with candles, flower vases, and white porcelain kettles. In addition, painted porcelain and nested food boxes imported from China and Japan could be easily found in feasts of the Royal Court. The porcelains of the latter period Chosun were influenced by "Shil-Hak"(pragmatism). As opposed to the previous trends, tableware potteries of this time are typified by the reduction of curving lines and the increase of thickness. The tableware potteries also formed a unity as a complete set.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in food culture brought the changes in tableware potteries. Food and tableware pottery has developed together complementarily throughout the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 대학생의 배근력 차이에 따른 척추변형 정도

        이은욱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학생의 배근력의 차이가 어느 정도 척추변형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I대학교의 재학생 142명을 임의 표집 하여 이들을 배근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척추구조분석 및 배근력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척추변형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변인은 체간의 길이, 정중면상 체간의 길이와 각도, 전후면상 체간의 길이와 각도, 골반 각도, 척추 만곡 각도이다. 변인의 측정을 위하여 Formetric 4D(척추구조분석기)와 배근력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Window용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배근력의 크기에 따른 척추변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체간길이는 배근력이 높은 남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고 골반의 각도는 배근력이 높은 남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척추측만각도는 배근력이 높은 여자 집단에서 측만각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전만각도는 배근력이 낮은 여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근력의 차이에 따라 척추의 변형정도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k muscle strength on spinal deformity in college students. We recruited 142 university students,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back muscle strength: (a) male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b) 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c) female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and (d) fe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Using Formetric 4D, we measured trunk length, sagittal imbalance, coronal imbalance, pelvic angle, and curvature of the spine angle.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3.0. The findings revealed that trunk length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male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than with the 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Pelvic angl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male students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than the 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Scoliosis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female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than the fe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However, lordotic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female with lower back muscle strength than the female with higher back muscle strength.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back muscle strength may influence the deformation of the spine, however these patterns were inconsistent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