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Liszt의 piano sonata in b minor에 대한 分析.硏究

        이은아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rough the review and the analysis of Liszt's Piano Sonata in b Minor, the following conclusion have been reached. ; Piano Sonata in b Minor is a single chapter piece which consits of 4 section ; the prelude, the exposition with the 1st and the 2nd theme, the development with the structure of an A-B-A, and the recapitulation with Scherzo, Fugatto Form and Coda. Also, the technique of Transformaion of Theme was employed to give unity to the entire sonata. The six themes, which were based upon the partially motivated theme, had the common factors of reduction and expansion of rhythm, melodic simmilarity, avant-garde, characteristic transformation, repetition of sound, upward and downward progress of melody and progress of sequence. Additionally, the common factors were systematically correlated in cyclical method. Liszt displayed his harmonic experiment and the innovative technique in this sonata Indeed, Liszt intended this piece for the ambiguous feeling of tonality, as he displayed the natural progress of modulation with the circulated tonality due to complicated harmony, the enharmonic modulation, and the auxiliary keys of chromatic modulation. The chord of diminished 7th , the minor 2nd, the chord of augmented 3rd and the chord of augmented 6th were used for the dissonance and the extension of the chord to express the diversity of harmony .In the technical aspect, the difficult techniques, such as the wide range of voice, the chromatic progress and skip of Octave, the progress of the 3rd and the 6th, the lengthy extension of trill and the harmonic tremolo, with quick tempo were blended. These combined with plenty of the pedal usage expressed the splendor and the colorfulness of the piece. Liszt revealed his own talent ,which was well described with the advanced technique and the magnificence, through piano. And the capacity of the piano's expression led to the possibility that piano was the best musical instrument in the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Clearly, Piano Sonata in b minor is the piece in which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the theme was well harmonized. F. Liszt has presented the new form of the sonata of the Romanticism and took the very important rol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of the sonata in the 19th century. As I reviewed it, I concluded that Liszt's Piano Sonata in b Minor is the piece which best combines Liszt's harmonic and technical experiment. I exp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is musical piece will be an excellent reference to the actual performance.

      • 수술실 간호사의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 불안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은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술실 간호사의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 불안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은아 지도교수 : 박성주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에서 전립선비대증으로 진 단을 받고 수술이 예정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을 편의 표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3년 9월 5일부터 2023년 9월 29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대상자에게 불안중재 프로그램을 적용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측정 도구로 불안은 Spielberger(1972)가 개발하고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 안한 상태-기질불안(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도구 중 상태불안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증 도구는 10점 척도로 된 시각적 상사척도 VAS(Visual Analog Scale)를 사용하였다. 자가간호이행은 김혜숙(2008)이 전립선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 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검정과 t-test를 사용하였다.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24시 간 후 48시간 후 불안, 통증, 자가간호이행에 대한 변화는 t-test와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ɑ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의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 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24시간 후, 48시간 후 불안이 낮을 것 이다’는 중재 전과 중재 종료 24시간 후, 중재 종료 48시간 후에 불안 점수를 반복 측정한 결과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F=40.47, p<.001) 제 1가설은 지지 되었 다. 제 2가설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의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 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24시간 후, 48시간 후 통증이 낮을 것 이다’는 중재 전과 중재 종료 24시간 후, 중재 종료 48시간 후에 통증 점수를 반복 측정한 결과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1.56, p=.214)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제 3가설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의 불안중재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24시간 후, 48시간 후 자가간호이행 이 높을 것이다’는 중재 전과 중재 종료 24시간 후, 중재 종료 48시간 후에 자가간 호이행 점수를 반복 측정한 결과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F=72.31, p<.001) 제 3가설은 지지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전립선비대증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불안중재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가간호이행을 증진 시키는데 유의한 차 이가 검증되어 전립선비대증 수술을 받는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수술 교육 자료 개 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Long term depression에 대한 JBPOS0101의 효과와 타깃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이은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울증은 임상적으로 우울한 기분, 흥미와 행복의 상실, 피로의 증가를 전형적인 증상으로 여겨지며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발생되며 심할 경우 자살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약 후보물질인 JBPOS0101가 우울증의 모델로 이용되는 long term depression (LTD)의 유도 억제 작용과 그것의 타깃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먼저, 배양된 해마 조직을 multi-electrode system으로 옮겨온 후 5, 10, 30 μM의 JBPOS0101을 처리하면서 낮은 빈도의 자극을 15분 간 가하면서 LTD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5, 30 μM의 JBPOS0101은 LTD의 유도를 억제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심화시켰지만 10 μM의 JBPOS010은 LTD의 유도를 억제시켰다. 다음으로 JBPS0101의 타깃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동일하게 해마 조직을 옮긴 후 인공뇌척수액에 다양한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 및 작용제를 JBPOS0101과 함께 처리하였다. 그 결과 JBPOS0101은 NMDA 및 AMPA 수용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mGluR1의 작용을 방해함으로써, LTD의 유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약 후보물질인 JBPOS0101이 우울증과 관련된 전기생리학적 접근방법인 LTD의 유도를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항우울제로써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투여용량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JBPOS0101의 타깃 메커니즘을 제시함으로써 약물 개발의 후기 단계에서 실패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아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수행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특성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전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30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총 200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설문지를 우편조사와 직접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 30개 사회복지관으로부터 171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147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수퍼비전의 형태는 개별수퍼비전이 가장 많았으며, 개별 수퍼비전은 학력과 자격증의 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수행 정도는 행정적 수퍼비전이 평균 3.4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교육적 수퍼비전, 지지적 수퍼비전 순이었다. 수퍼비전 기능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은 행정적 수퍼비전의 경우 학력과 자격증, 교육적 수퍼비전은 학력, 지지적 수퍼비전은 성별과 주된업무 그리고 급여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47점으로 보통이상 수준이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는 급여만족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수퍼비전의 형태와 기능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별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으나, 동료 수퍼비전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수퍼비전 기능 가운데 행정적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정적 수퍼비전 기능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수행과 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기능인식 수준이 높은 내용을 우선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행정적 수퍼비전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의 체계적인 수행을 위한 조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장을 비롯한 최고중간관리자의 수퍼비전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체계적으로 변화지향적인 수퍼비전 수행을 위한 명문화된 규정과 절차의 구비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effective super-vision strategies to improve of social welfare employee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influence of their job satisfaction with characteristic of Super-vision in Social Affair organization knowing local Social Affair organization supervision perform its function and job-satisfaction of social affair employee. To do this, the survey has done by mailing and a spot interview to 200 social affair employees with 30 social affair organizations in KyoungGi. The answer sheet was returned 171 out of 200 after the survey and 147 answer sheet out of 171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summarize of the main study result is to follow : First of all, most of supervision in local Social Affair organization is individual supervision and there is some gap with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level of qualification capability. A level of supervision function performance of local Social Affair organization is the highest at the average of 3.40 in administrative super vision. The next level is to follow educational super 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There is some gap awareness of social affair employee about supervision function in administrative supervision with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level of qualification capability, in educational supervision with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supportive super vision with sex, main R&R and salary satisfaction. Third,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is about above average at 3.47 and there is some gap with job satisfaction with its salary satisfaction. A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social affair employees with a form of supervision and function is not 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in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A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social affair employees with a form of supervision and function is not 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in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Co-workers supervis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are closely related and an administrative supervision in its supervision functions influences their job satisfaction. In short, the more they have awareness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function, the higher they have job satisfaction. As the result, it is advisable to execute Social Affair employee’s higher level of super vision func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per vision in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of social affair employees to make effective super vision in local social affair organization. Especially, administrative super vision influence directly to their job satisfaction so that it needs to be approached strategically to perform systematical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a regulation and processes to perform systematically changing- directed type Supervis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is required to the head officer and higher officers as well.

      • 漁樵問答圖 硏究 : 간송 미술관 소장 <漁樵問答圖>를 중심으로

        이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중기 인물화를 대표하는 간송미술관소장 <어초문답도>를 畵題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인물화의 양식적 맥락에서 고찰한 것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문학작품 속에서 어부와 함께 초부를 등장시켜 자연에서의 은일 염원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부와 초부는 물외한객으로서 세속을 멀리하고 산수자연에 유유자적하며 한거하는 은일자의 표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宋代에 이르면 철학자와 문인들은 고상한 대화의 주체를 이전부터 隱者의 상징으로 알려진 漁夫와 樵夫라는 인물에 대입시킨다. 邵康節의 「漁樵對問」와 蘇軾의「漁樵閒話」 에서 어부와 초부는 철학적 이론을 토론하거나 세상을 다스리는 일과 같은 고담을 나누는 賢者로 등장 한다. 어초문답류의 저술이 저작되면서 같은 송대로부터 어초문답도가 제작되었다. 중국의 경우 초기에는 텍스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작가의 주관이 개입되어 여러 유형의 어초문답도가 등장하였다. 시대적 특징으로 말하자면 어초문답의 畵因이 되는 「漁樵對問」이 저술되었던 시기에 가까운 南宋, 元, 明初의 경우는 텍스트를 충실하게 반영하려고 노력한 船上坐磐石式이 많이 그려졌다. 明代에 들어서면서 吳偉派 화가들에 의해서 兩人同行式 유형의 작품이 등장하였다. 그 대표적인 작품은 汪肇의 <어초문답도> 였다. 兩人同行式은 배경은 거의 생략되고 화면 가득하게 인물을 클로즈업하고 두 인물이 걸어가면서 서로 돌아보고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 兩人同行式이 조선시대 초·중기 회화에 유입되어서 조선중기 여러 어초문답도 작품에 전형이 되었다. 淸代에는 이 두 가지 유형에서 보다 확대되어 江畔對坐式, 耕讀式이 새롭게 등장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부터 詩 속에 漁樵가 등장하는데 어부와 초부는 탈세속의 인간으로 평화를 찾아 은둔한 평범한 인간을 지칭하였다. 조선초기에 이르러 송대 철학서 소강절의 저서가 유입되었고, 자연스럽게 그 장면을 그린 어초문답도가 조선 선비들 사이에 알려지게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유사한 형식의 어초문답류의 글들이 조선시대 저작되어, 어초문답 전통의 형성과 유행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조선초기에 수용된 어초문답을 繪畵化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화가들은 중국 明代 吳偉派 화가들의 어초문답도인 兩人同行式 유형을 채택하였다. 대표작으로 간송미술관소장 李明郁 〈어초문답도>, 傳 洪得龜 <어초문답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작가미상의 <어초문답도>등이 있다. 조선중기 어초문답도의 양식적 특징은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간송미술관소장 <어초문답도>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인 인물화 분석을 시도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첫째, 구도에 있어서는, 이 작품은 화면의 핵심지점에 인물의 얼굴을 포치한 빈틈없이 짜여진 구도를 보이고 있었다. 서로 약간 비껴선 자세에서 몸의 방향을 달리하여 적당한 거리에서 마주보는 인물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인물화의 古式 구성법을 따른 것이다. 이렇게 배경은 간략하게 처리하고 인물의 얼굴을 화면의 정중앙에 두는 짜임새 있는 화면처리는 江夏派 화가들의 고사인물화와 도석인물화에서 보인다. 둘째, 인물의 형체묘사와 얼굴표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어부의 경우 明代 도적 인물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팔과 다리에서 보이는 세련된 화법의 일면을 보이고 있어서 이 작품의 작가가 인체의 해부학적 표현에 대한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明代 도석인물화의 형체묘사를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얼굴 표정의 표현에 있어서 어부와 초부의 하얀 이가 드러난 입에 드리워진 미소는 산수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는 은일자의 삶에 대한 자족이 담겨있다. 셋째, 服裝과 衣紋描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국 南宋과 元代의 어초문답도의 경우 어부와 초부 모두 문인의 복식이었으나 明代의 어초문답도에서는 보통의 고기잡이와 나무꾼의 복장을 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의 어초문답도 또한 이러한 복장을 채택하였다. 묘법에 있어서 이 작품은 다양한 묘법의 사용을 보이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조선중기 화가 이경윤과 김명국의 인물 묘법의 연장선상에서 元·明代 도석화인물화 묘법에의 영향을 감지할 수 있었지만 각 묘법이 약간의 변형과 재해석의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인물화의 채색법에 있어서는, 특히 정밀한 얼굴묘사를 통해 볼 때 어초문답도의 인물들이 초상화를 방불케 할 정도의 수준작임을 알 수 있었다. 초상화를 방불케 하는 실제인물 같이 개성이 강하고 생생한 얼굴묘사와 이지적인 얼굴은 그들이 직업적 '漁父와 樵父'가 아닌 隱逸者로서의 '漁夫와 樵夫'임을 말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朝鮮中期의 인물화로서는 상당히 이질적인 화풍을 보여주는 <어초문답도〉는 작가와 더불어 국적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던 작품이다. 그러나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던 圖印이 해석되어 작가에 대한 의문에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또한 『列聖御製』에 보이는 이명욱 작품에 대한 제화시를 통해 볼 때 그가 이 작품의 우수성에 걸맞을 정도의 기량을 가진 화가임을 알 수 있었다. 어초문답도는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인물화 화제이며 조선시대 사부대의 隱逸 염원과 동시에 철학적 담의를 내포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 중 간송미술관소장 이명욱의 〈어초문답도〉 는 문헌자료와의 연관성을 가지고 깊은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생동감 있는 옷주름, 인체묘사와 더불어 탁월한 안면묘사 등으로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인물화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 작품은 이후 여러 어초문답도류의 작품에 범본이 되었으며, 조선후기 인물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Painting on "Fisherman and Woodcutter in conversation "(漁樵問答圖) owned by Gansong Art Museum (which represents the portraits in the middle years of Joseon Dynasty) in terms of not only the subject of the painting but also the style. First of all, it has examined the background that the tradition of Conversation(問答) between a fisherman and a woodcutter had been made in China. The literary men of China tended to express their wish for a life in seclusion, making a fisherman and a woodcutter appear in their poetry. Fishermen and woodcutters were often treated a s an emblem of hermits living free from worldly cares. While examining the literatures of China, it analyzed "Conversation between Fisherman and Woodcutter"(漁樵問答) written by Shao Kang jie(邵康節), a philosopher of Sung Dynasty in China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the main origin of the Painting on "Fisherman and Woodcutter in Conversation". The Paintings on "Fisherman and Woodcutter in Conversation" of China was closely connected with texts in the beginning, but in the latter days, artists' ideas were intervened in so various types of the paintings appeared. In South Sung Dynasty, Yuan Dynasty and Ming Dynasty (in the beginning), there were many paintings of '船上坐劈石 style' (A type : on a ship and sitting on a rock) which sincerely tried to reflect texts. With Ming Dynasty in, the painters of Wu Wei(吳衛) School painted paintings of '兩人同行 style' (B type : two people go together). The representative work is Wang Zhao (汪肇)‘s painting. In the works of B type, background was almost omitted for a close-up. Two characters talked to each other while walking. In the period of Ching Dynasty, '江畔對坐style' (C type characters were taken : sitting face-to-face around a river) and '耕讀 style' (D type : reading while plowing) newly appeared. As literary men of Joseon Dynasty started to read the works like Shao Kang jie's "Conversation between Fisherman and Woodcutter'' and Su Shi(蘇軾)'s "Fisherman and Woodcutter's Leisurely Talk"(漁樵閑話), The painting on "Fisherman and Woodcutter in Conversation" that painted the scene got known to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of making into the paintings "Conversation between Fisherman and woodcutter" which was accepted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Painters employed B type of Wu Wei School in Ming Dynasty.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the painting painted by Yi Myeong-uk(李明郁) and by Hong Deuk-ku(洪得龜), which are owned by Gansong Art Museum; and unidentified paintings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he middle years of Jaseon Dynasty, the paintings on "Fisherman and Woodcutter in Conversation'' showed a very complicated trend. Focusing on the Painting owned by Gansong Art Museum,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figure painting in detail. First, in this painting, the faces of the characters ar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y stand slightly aslant, facing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distance, which is the ancient style of a portrait. This kind of screen-making the background simple and placing the faces of the characters in the center - is shown in the portraits of historical events and the portraits of high priests by the painters of Jiang Xia(江夏) School. Secondly, this paper has investigate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shape and face. The fisherman reflects an aspect of the refined style which is shown on the arms and the legs of the characters in the Buddhist and Taoist figure painting during Ming dynasty, which tells that the artist of this work was quite interested in anatomic description of a human body and that he accepted the shape description style used in the portraits of high priests in Ming dynasty. In expressing the faces, a fisherman and a woodcutter smile with their white teeth opened, and the smile includes a hermit's satisfaction with living free from worldly cares. Thirdly, regarding the clothes and patterns, the fishermen and woodcutters in the paintings of South Sung and Yuan dynasty wore the costumes of literary men, but in the paintings of Ming dynasty, they had the costumes of fishermen and woodcutters. Th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had these costumes too. The Painting owned by Gansong Art Museum had various description styles(描法). It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Buddhist and Taoist figure paintings in Yuan and Ming dynasty, and it seems an extension of character description of Lee Kyung-woon and Kim Myung-kook who were the painters in the middle years of Joseon dynasty. However, each description was a transformation or a reinterpretation of them. Fourth, the coloring of the portrait is very detailed. The characters in the painting look like the characters in a portrait. Like real characters, they look to have strong personality and live and intelligent faces, which means that the characters are hermits, not fishermen or woodcutters. The Painting owned by Gansong Art Museum is a work that raised the question of nationality.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seal which had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so far was confirmed and interpreted so it has provided a clue to the question of the artist. In consideration of the title poem of Yi Myeong-uk's work in "Yeol-seong-eo-je"(列聖御製), the artist of the Painting is found to have talent suitable for the excellence of the work.

      •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필라테스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이은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필라테스 참여 경험을 통해 그들의 삶에 나타난 변화들과 필라테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필라테스를 경험한 적 없는 학생들에게 필라테스를 소개함과 동시에 동기를 부여하여 필라테스 운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며 무용전공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눈덩이 표집법을 통해 총 12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개인의 경험 속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 의미 개념화의 과정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구 방법을 통해 참여 동기, 경험, 참여 요인, 이해라는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주변의 권유와 학교 내 필라테스 교육의 활성화로 인한 외부 자극과 무용 실기 향상에 대한 자신의 열망에 의한 내부 자극에 의해 필라테스를 참여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필라테스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학업 성취, 사회적 방면의 변화를 경험했다. 신체적 경험으로 무용 동작 수행력 향상, 통증 감소, 호흡 변화로 세분화되었고 심리적 경험은 편안함, 자존감 회복, 집중력 및 도전감 향상으로, 인지적 경험은 신체 지각, 필라테스 운동에 대한 인식으로 세분화 되었다. 다리 붓기 감소, 통증 감소, 집중력 향상을 통해 학업 성취를 경험한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학업 성취를 경험하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반응으로도 나뉘었으며 사회적 경험은 일치감, 유대감이라는 긍정적인 면과 비교로 인한 스트레스라는 부정적인 면으로 세분화 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필라테스 참여 지속과 방해에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다. 참여 지속 요인으로 선생님, 자신의 의지, 수업 시간대, 부담 없는 마음가짐, 성취감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참여 방해 요인으로는 선생님, 자신의 컨디션, 외부요인으로 세분화 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필라테스를 치료 프로그램이며 주체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운동이라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life of high school danc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on Pilat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Pil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Pilates exercises by introducing Pilates to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it and to motivate them, but also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various exercise education programs for dance students can be studi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 total of 12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o find the meaning in individu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ss of encoding by topic, categorizing meaning, and conceptualizing meaning. The result was classified into 4 high-level categories: participation motive, experience, participation factor, and understanding and 9 sub-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Pilates by external stimuli caused by the encouragement of others and the activation of Pilates education in the school, and internal stimuli by the desire to improve their dance skills. Seco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spects through Pilates. Physic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the improvement of dance performance, pain reduction, and breathing chang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comfort, self-esteem recovery, concentration and challenge improvement, cognitive experience into body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Pilates exercise.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experiencing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reduction in leg swelling, pain reduction, and improved concentration, but also negative responses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Soci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positive aspects such as sense of unity and bonding, and negative aspects such as stress caused by comparison. Third,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interruption of the participation in Pilates. Participation continuation factors were subdivided into the teacher, own will, class time, burden-free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Factors that interfere with participation were subdivided into the teacher, own condition, and external factors. Fourth, the participants showed an understanding of Pilates as a treatment program and an exercise that requires independent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