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기관 이용 가족부양자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연구 :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로

        이윤임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에 미치는 가를 파악해 보고, 부양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상담학적 프로그램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요양기관에 가족 부양자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지를 15곳에서 직접 회수하였으며, 이중 불성실 응답설문지 16부를 제외하고 최종 411부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의 유의 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타당도, 신뢰도,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매개효과는 회귀분석(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감은 소득이 많을수록, 부양기간이 짧을수록, 장기요양등급이 2등급인 경우 부양부담감이 낮았으며, 부양노인의 질환이 치매인 경우는 타 질병에 비해 부양부담감이 높았다. 둘째, 정서적 소진은 여성, 중간소득자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스트레스는 소득이 낮을수록, 부양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그리고 우울은 중간소득자가 가장 높았다. 셋째, 부양부담감,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양부담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의존적 모두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은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정서적 소진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부양부담감의 하위요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의존적 모두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에 서 정서적 소진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이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더 이상 관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사회나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며, 특히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 등의 정신적인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상담치료학적 지원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상담심리치료학의 시야에서 조명한 결과로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amily caregiver burden while using elderly care facilities had an impact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urnout on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also aimed to find effective ways to reduce the family caregiver burden and to prepare practical plans for counseling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given to 430 family car egivers at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and Jeolla-do. A total of 427 questionnaires w ere collected directly from 15 sites. 411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16 questionnaires deemed to be insuffici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2.0, and the significan ce level of all analysis was set based on p < 0.05. The analysis was verified using validit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was verifi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analyzed data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family caregiver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 teristics, the higher the income and the shorter the support period, the lower the family caregiver burden. Family caregiver burden was low whe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grade was at Grade 2. In the case of diseases, family caregiver burden was higher for those caring for the eldery with dementia than those caring for the elderly with other dis eases. Second, emotional burnout was analyzed to be low among women and those with a mid-level income. Stress was higher with a lower income and longer caregiving period. De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ith a mid-level income.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caregiver burden,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in all of 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and dependent sub-factors of family caregiver burden. Fourth, family caregiver burden while using elderly care facilities was a factor that influenced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Emotional burnout was a factor that influenced stress and depression. In addition, it was determined that emotional burnou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and dependent factors in regards to family caregiver burden. The burden of support felt by family caregivers who care for the elderly and the resulting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can no longer be overlooked. This is a problem that can only be solved through active intervention and various forms of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or state. In particula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counseling therapy support plays an essential part in alleviating the mental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s a result of illuminating this viewpoint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게임 운영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윤임 상명대학교 디지털미디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게임이 많이 개발되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요즘 게임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게임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게임 개발에 참여하고 싶어 한다. 또한 게임에서 버그가 발생하거나 개선해야 할 내용들을 개발 부서에 전달하고 자신이 플레이하는 게임의 질을 향상시키고 싶어 한다. 이와 함께 고객 센터를 통한 상담 보다는 게임에서 운영자라는 전문 상담원을 통해 게임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받고 싶어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게임 참여 유도와 운영자의 서비스 마인드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 된다. MMORPG의 특징은 게임이 계속 패치와 업그레이드를 통해 변화한다는 것이다. 개발 부서에서는 상용 서버에 서비스하기 전에 충분한 테스트 기간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이 플레이하면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간혹 테스트 서버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테스트 환경의 차이로 상용 서버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운영자 혹은 개발자들은 테스트 서버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테스트 리스트의 관리를 통해 발견된 버그를 수정, 확인하는 작업이 꼭 필요하다. 버그를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통해 게임의 퀄리티를 향상시키고, 버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사용자의 요구, 운영 부서와 개발 부서의 원활한 업무, 운영자의 평가 등을 관리하는 것이 게임 운영 지원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MMORPG에서 게임 운영 지원 시스템이 잘 관리되고 이것이 게임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 그 시스템이 가지고 있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를 제시 하였다. Nowadays, providing better services for users are the hottest issue since too many games are produced and competed. Users are interested in contents which are provided by playing games, thus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ing process. Also users want to make improvement by reporting errors or suggesting opinions to the developers. Along with participating developing process, users prefer getting services from the professional counselors who are called the game master than by customer service center. Therefore we have to develop the Game Master Supporting System that can help improving game master's attitude to serve and also that could lead more users who could participate to play game. MMORPG's best features are having potentials to change by patching and upgrading. Developers test fully before the game has been released. However, there are always unexpected problems are coming out as lots of users play the game at once. Sometimes there were no problems found when the game were played in the test server, but the cause of different environment, unexpected problems are popped out in the released server. Game master or developer must fully test the game in the test server in order to correct any problems. In this process, managing test reports and finding errors and correcting them are necessary. By managing errors in a system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s and specialty. The Game Master Supporting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is the managing system to reflect the demand of users, interactive work between department of managing games and developing games, and evaluating game master’s work. In this thesis, it is suggested that why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Game Master Supporting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MMORPG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rvices to the users.

      •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한 감상 워크북 활용에 관한 연구

        이윤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oday, modern people live daily life exposed to many visual media with various social phenomena. Everything we face in our everyday lives has a unique meaning, but even if we look at the same visual medium, we interpret the mean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er. Because of the numerous visual mediums and works of art that we can not internalize, we often make mistakes when receiving visual media. Various visual mediums are growing exponentially, but it is difficult for modern people to accept visual media as a subjective view. Because today, modern people live a life unfamiliar with expressing their opinion because of social structure and knowledge - based education. Art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who see how individuals make and feel objects. Especial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an education in which the learner 's point of view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o view visual media correctly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However,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trained to explain the concept of biased knowledge works. But today there is something more important than modern knowledge that modern people need.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reinterpre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meanings through visual media and works of art. In other words, the learner must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through the visual medium. Modern people need the right thinking to not be confused with the rapidly changing modern civilization and culture. When viewers have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read their works in a subjective way, they can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s and core of the visual medium. Furthermore, such abi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enables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 are receptive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s a way to receive artworks as subjective thought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The starting poin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different. However, when accepting transmission mediums such as artworks, visual media, and text, the structure of the audience,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arner is the center, is common to both theorie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emphasizes communication among individuals. Attempts to communicate between objects through an interactive way of communicating the meaning of works by attempting to communicate among artworks, viewers, and teachers. Thus, it becomes possible to motivate the appreciation activities by finding various meanings in the works of ar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roduced an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presented a questio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Three people who majored in aesthetics and art at th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as participants in the art appreciation workboo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Chapter Ⅲ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ised and produced an art appreciation workbook composed of experimental questio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we analyze participants' workbook execution results. A study on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 through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can lead to the active impression effect by becoming the subject of the impression activity itself, not by the observer approaching the work vaguely. Second, it is important for the audience to be able to motivate the audience to complete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the teacher should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both the work of art and the learner in order to construct a questioning that allows viewers to have an empirical approach with open thinking. Third, through the use of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viewers were able to deepen their capacity for visual media by deeply interpreting their works from their own viewpoints. Through these activities, there was a chance for the audience to self - reflection on their own lives. Therefore,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s appreciation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audience can accept the appreciation of art was able to accept the results. And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that viewers can complete their own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the work. Finally, it is important that these activities allow observers to find their way of life in artworks through personal subjective thinking. 오늘날 현대인들은 다양한 사회현상과 더불어 많은 시각매체에 노출된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모든 것들은 고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동일한 시각매체를 보더라도 감상자로 하여금 다르게 해석되어 진다. 체내화 시킬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이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지만 우리는 시각 매체를 받아드리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를 초래한다. 그 이유는 다양한 시각매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현대인들이 주관적인 시선으로 시각매체를 받아드리기에는 획일화된 사회구조와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미술교육은 인간 개인이 대상을 제작하고 느끼고 보는 학습자 중심의 대표적인 교육이다. 특히 미술 감상교육은 학습자의 관점이 가장 중요시 되는 교육이며, 감상교육을 통해 시각매체를 올바르게 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 감상교육은 지식위주의 편향된 작품의 개념을 설명하는 수업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지식에서 습득한 결과물들을 자신의 주관으로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을 재해석하고 시각매체를 통해 작품 안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주인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급변하는 현대문명과 문화 속에서 혼동되지 않는 올바른 사고가 현대인들에게 필요하며, 예술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받아 드릴 수 있을 때 시각매체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타자와의 소통까지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을 주체적으로 받아드릴 수 있는 방법으로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이 있다.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의 시작점은 다르지만 예술작품, 시각매체, 텍스트와 같은 전달매체를 받아드릴 때 수용자 즉,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구조는 두 개의 이론의 공통점이다. 또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교육은 개체들 간의 소통을 중시하며 예술작품, 감상자, 교사간의 대화를 시도하여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상호소통방식으로 대상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며 예술작품 안에서 주체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찾으며 감상활동에 대해 동기유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한 미술 감상 워크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실험적 발문을 제시하였다. 미술 감상 워크북의 감상자로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미학과 미술 전공자 3명이 참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사전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험적 발문을 구성하여 미술 감상 워크북을 고안하고 제작하였다. 그 다음으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감상자의 워크북 실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하여 제작한 미술 감상 워크북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을 통한 미술 감상 교육 방법은 감상자들이 작품에 막연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닌, 감상자 자신이 감상활동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인 감상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감상자들이 작품의 의미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감상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며, 교사는 열린 사고를 가지고 감상자들이 경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발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예술작품과 학습자 모두에 관한 깊은 이해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을 근거한 미술 감상 워크북 활용을 통해 감상자들이 작품을 자신의 관점에서 심화하여 해석하여 시각매체에 대한 수용력을 신장 시킬 수 있었으며, 감상자 스스로 자신의 삶에 대해 발견하는 자기성찰을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 이론에 근거하여 미술 감상 교육을 시도하였을 때, 감상자가 예술작품에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감상자 자신의 관점으로 작품의 의미를 완성 시킬 수 있고, 감상자 개인의 주체적인 사고를 통해 미술 작품 속에서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環境親和的인 低層 集合住居團地 計劃에 關한 硏究

        이윤임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고도의 성장을 추구하던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인간은 자연환경을 개발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대단위 규모의 도시화, 공업화, 산업화 등을 지향해왔으며, 이처럼 인간이 환경을 변화시켜 나가는 능력은 실로 무한할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역사적으로 인류는 개발을 위한 기술과 도 구를 성공적으로 발전시켜왔으며, 자연환경을 개발하고자 하는 강한 신념과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이러한 확신의 당위성에 대하여 의문을 품게 되였다. 지난 20세 기에 숨 가쁘게 이루어온 산업화 및 대규모의 도시화 현상은 이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 시키고 있다. 인류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 오존충의 파괴, 지구의 온난화 현상, 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 인류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대해서 위협을 가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국의 오염물질 배출에 대해 규제에 풀어가게 되었다, 건축계에서도 그동안 환경에 역행하는 건축 활동에 대해 자성하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의 전통건축 등의 토속건축에서 보여 지는 자연에너지와 자연환경요소의 적극적인 활용과 현대의 고도 기술을 접목시킨 기술 및 계획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간생활의 가장 근간을 이루는 주거 특히 집합주택의 계획에 있어서 최소한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건강한 자연환경을 공유할 수 있고, 에너지 소모의 최소화를 위한 저층의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계획방법의 도출 및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대해 개괄적으로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환경친화 건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로서 환경친화건축의 정의와 목적, 기본원리, 그리고 우리의 전통마을에서의 환경 친화요소를 도출하고, 환경친화 제3장에서는 기존의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선진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주거단지에서의 한경천화요소와 계획기법을 통한 환경 천화적인 주거단지의 방향을 알아 보았다. 제4장에서는 앞장에서 도출한 내용들을 토대로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 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대상지를 선정하여 저층의 집합주거단지를 계획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서 분석된 환경 친화적인 집합주거단지의 계획지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주거단지의 배치는 기본적인 자연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고려하여 일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연환기를 유도 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주변환경의 생태적인 면과 물리적인 면과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단지를 배치하고, 자연환경요소를 적극 수용하여 광역적인 녹지 망이 단절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하며, 단지 내의 소규모의 위요된 공원 등을 적극적으로 조성하여 유기적으로 구성하여 이용자 입장에서 쾌적한 단지가 조성되도록 계획한다. 셋째, 자연토양의 최대한 보전, 우수의 유출억제, 생태시스템을 고려한 물, 수목과 같은 자연환경요소를 최대한 이용하여 주민의 커뮤니티의 향상과 미기후의 조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사람들의 거주지가 자연의 일부분이면서 주변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그린네트워크의 분기점으로 어울림이 있는 단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넷째, 자연환경의 기본법칙인 재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주거단지에서 사용되는 용수나 쓰레기를 단지 내에서 재생, 재활용 가능하도록 뒷받침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거주민에 대한 안전의 보장과 쾌적한 단지 내의 환경을 위한 보행자 우선의 교통시스템과 보·차로 분리를 통하여 쾌적한 보행 환경을 고려한다. 여섯째, 주동의 형태는 자연채광과 바람의 원활한 출입을 통해 쾌적한 환경의 밑바탕이 되어야하고, 환경친화적인 설비시스템을 채택하여, 배출되는 오염원의 감소와 에너지절약을 피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일곱째, 각 주호에 개별온실을 두거나 발코니녹화 등을 통해서 실내의 열완충공간 과 자연환경공간으로 제공하며, 1충 세대의 접지성을 고려해 별도의 출입구와 개별정원의 조성으로 거주민들의 환경 친화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여덟째, 주동의 공유공간과 연계하여 자연요소의 도입과, 아트리움의 자연채광, 자연환기 등으로 거주민에게 쾌적한 커뮤니티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아흡째,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조성과 유지관리에 거주자들의 직·간접적인 참 여룔 유도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천화도를 높이고, 주민의식의 함양과 커뮤니틱의 향상을 고려한다. 특히 환경 천화개념의 건축계획은 단순히 단일 건물이나 단일 단지에 적용하는 것 보다는 도시 맥락적인 면에서 계획되었을 때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할경친화 개념과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집합주거단지는 인간이 늘 상주하는 거주공간이라는 측면과 그 규모에서 도시를 이루는 대표적인 구성요소로서 거주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인센티브 적용과 갈은 법적 제도적인 뒷받침과 관련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Through industrial society to pursue high growth, human being headed for large scale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etc. under the name of developing natural environment, an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pability of human being to change environment like this will be endless. Historically, human being has successfully developed technology and tools for development and had strong belief and intention to develop natural environment. However, now we became to be doubt about the justness of such conviction. Industrialization and large scale urbanization phenomena which have been realized breathlessly in the past 20th century are now exposing various problems. Human being faces with problems such as various contamination, ozone layer destruction, earth warming phenomenon, resource shortage, etc. which is caused dur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 and such phenomenon threats all lives on the earth as well as human being. Accordingly, international society arouses sympathy and become to control discharge of contaminant in each country. Architectural world is reflecting on architectural activity against environment for the time being, and is introducing technology and plan which actively use natural energy and natural environmental element and modern high technology being shown in local architecture such as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o on as a substitute pl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design housing complex plan of environment-friendly type of low story in order to minimize destruction of ecosystem, hold healthy natural environment in common, and minimize consumption of energy especially in joint housing plan which forms the basis of human lif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ethods under such purpose. Chapter 1 describes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generally. Chapter 2 introduces definition, purpose, and basic principle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environment-friendly element in our traditional village as a general consider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describes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Chapter 3 examines dire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through environment-friendly element and planning technique in residential housing complex by analyzing advanced situation and example of existing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Chapter 4 establishes planning dir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on the basis of the content introduced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5 planed low-rise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by selecting object land having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on the basis of the above content. And, finally it describes evaluation of planning and result of research. Planning guide of environment-friendly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analyzed through the above purchase is as follows. First,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should be arranged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sunshine by considering direction in order to actively use basic natural energy, and should consider introduction of natural ventilation. Second, complex should be arranged by sufficiently considering connection between ecological aspect and physical aspect of surrounding environment, be planned so as not disconnect wide green network by actively accommodating natural environment element, and be planned to compose pleasant complex for user by composing surrounding park of small size in the complex actively and organically. Third, complex should be planned to have turning point of green network as living place of surrounding animal and plant as well as part of nature by improving residential community and composing beautiful weather by maximumly using natural environment element such as maximum conservation of natural soil, suppression of outflow of rain water, water considering ecosystem, and natural environmental element including water and wood. Forth, it is required to consider possibility of regeneration being basic law of natural environment, and to make plan supported to enable regeneration and reuse of water or waste used within residential complex. Fifth, walk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raffic system for pedestrian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car for guarantee of safety of residents and pleasant environment in the complex. Sixth, type of main building should secure a plan to reduce discharged contaminant and save energy by selecting environment-friendly equipment system by supporting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natural lighting and smooth entrance of wind. Seventh, it is required to provide indoor natural environmental space through separate greenhouse at each main building or balcony tree-planting, and to enhan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resident by composing separate entrance and garden through considering ground property of first floor resident. Eighth, it is required to secure pleasant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through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 natural lighting of artrium, natural ventilation, etc. in connection with common space of main building. Ninth, it is required to enhance friendliness for natural environment, grow resident mind, and improve community by introducing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r composing and maintaining of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omplex. Especially, architectural planning of environment-friendliness concept can be said to comply with environment-friendliness concept in terms of quality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when being planned in terms of urban aspect rather than being applied to simple single building or single complex. Therefore,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should develop legal system support and related technology such as using of incentive as well as introduce posi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representative component of large size city as well as a residential space where human beings are always residing.

      • MMORPG 캐릭터 밸런스 연구

        이윤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의 밸런싱은 매우 어렵고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MMORPG 밸런스에는 스테이지라고도 불리는 지역, 던전 등의 맵 밸런스, 시나리오 전달과 인터렉션에 관련된 밸런스, 애니메이션 밸런스 등 여러 형태가 있다. 이 중 캐릭터 밸런스는 플레이어를 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MMORPG에서의 캐릭터는 힘, 민첩과 같은 능력치를 통해 직업이라는 특성을 나타낸다. 능력치가 다르고 특징이 다르지만 게임 플레이에서 공평함을 느끼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개발자와 플레이어의 입장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우선 개발자와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게임의 밸런스에 대한 설문을 진행했고, 다음으로는 관련 연구를 통해 개발자의 데이터를, 플레이어의 데이터를 위해 웹크롤링을 통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단어들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플레이어는 상대적으로 정성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단어들을 통해 MMORPG 캐릭터의 직업과 스킬에 대해 플레이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어를 활용해 밸런스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자와 플레이어가 밸런스에 대해 각자 다른 시점에서 생각하여 나타나는 입장의 차이를 좁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MMORPG의 다른 밸런스에 대한 연구를 확대해서 진행해야 할 것이다. The balancing of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must be executed difficultly and considerately and must be executed continuously even after the launch. MMORPG has a lot of forms including regions which are also called stages, map balance such as dungeons, scenario delivery and balance related to interaction, and animation balance. The character balance is significant as it plays the role of acting for the player among them. The character reveals its characteristic entitled job through statistics such as power and agility in MMORPG. The game must be developed in a way that the gameplay is fair despite having different statistics an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nder the presumption that the positions of the developer and the player are different. First, a survey about the balance of the game was conducted by the developer and the player. Then, large-scale data wa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of the developer’s data for the player’s data through related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r uses a lot of quantitatively measurable terms, while the player uses more relatively qualitative terms. An evaluation plan was suggested by utilizing words that the player considers important regarding the MMORPG character’s job and skill from the drawn terms. It is expected that the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er and player that is deriv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s narrowed down through this study. In future studies, research about other balances in MMORPG has got to be enlarged and processed.

      • 플랜트의 BIM설계데이터와 시공측량데이터의 정합성분석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이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39

        플랜트 건설에서는 건축, 구조, 설비, 배관 등의 주요 공종(工種)을 3차원 BIM으로 사전에 통합설계를 하고 있다. 시공 단계에서는 시공이 완료된 공종의 시공물을 대상으로 시공측량을 한 다음, BIM설계와 시공현장의 정합성분석과 시공물간의 간섭을 검토하여 오시공과 재시공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밀시공을 하고 있다. 특히, 플랜트 건설공사는 일반 건설공사에 비해서 대상공간 안에 주요 설비와 배관이 밀도가 높게 시공되고 있다. 메인 배관과 설비의 연결, 부대설비와 생산설비를 연결하는 수많은 배관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어 시공해야 한다. 플랜트에서는 설비와 설비, 설비와 배관을 연결한 접속점을 설계와 동일하게 정확도가 높게 시공되어야만 타 배관과 설비를 시공할 때 시공물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간섭으로 인한 설계변경과 재시공과 오시공을 방지하여 시공의 효율성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유로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는 시공 완료된 시공물에 대해서 BIM설계와 현장 시공물의 위치와 규격의 정합성을 분석하고 시공오차를 파악하여, 시공의 한계오차가 넘는 시공물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재시공을 수행하고 이를 다시 설계에 반영한다. 이렇게 설계→시공→정합성분석→설계반영→현장시공 등을 반복하면서 시공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시공을 한다. 플랜트 건설 현장에서는 여러 공사지역과 공종을 동시에 시공함에 따라 현장 3차원 스캔데이터를 활용한 정합성분석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스캔을 활용한 정합성분석 방법은 인력이 직접 육안(肉眼)으로 시공오차를 파악하는 수동작업 분석 방법으로, 많은 단계의 복잡한 작업절차와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수작업으로 인한 휴먼에러의 발생과 분석결과물의 품질저하로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작업 방식의 정합성분석 절차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정합성분석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복수개의 실험대상지의 정합성분석에 적용하여 정합성분석 자동화 알고리즘의 정확도, 신뢰도, 분석시간을 실험 및 평가하여 현장 실무적용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의 실효성 검증을 위해 위치정확도, 신뢰도, 경제성 등 3가지 관점에서의 실험과 평가를 통해 정합성분석결과의 3.4mm 이하의 높은 위치정확도로 요구 조건을 만족하였으며, 분석데이터의 신뢰도 평가에서도 현장스캔 커버리율 79%, 평균 형상정합율 68%의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자동분석방식이 수동분석방식에 비해서 분석소요시간이 평균 19배가 적게 소요되는 등의 유의미한 평가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 육안으로 분석하는 수동 분석방식의 휴먼에러와 부정확한 분석결과의 파악이 불가능하지만, 자동화 알고리즘을 통해서 정밀한 시공오차 산출과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분석 값을 활용하여 BIM설계 모델과 현장에 시공된 시공물에 대한 일치성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BIM 설계와 현장시공에 적시에 반영하여서 시공오차를 최소화하고 시공자재를 오시공하는 시공오류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In plant construction, major types of construction such as architecture, structure, equipment, and piping are integrated into 3D BIM in advance. In the construction stage, the construction survey is conducted on construction types, followed by BIM design, consistency analysis of construction sites, and interference between construction sites to minimize the mis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In particular, plant construction have a higher density of major facilities and pipes in the target space than general construc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facility, and the numerous pipes connecting the auxiliary facility and the production facility must be connected and constructed in a complex and diverse forms. In plants, the point connecting facilities to facilities, and pipes must be constructed with high accuracy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other pipes and facilities, and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ensured by preventing design changes, re-construction, and misconstruction. For this reason, in the plant construction stage, BIM design and the consistency of the location and specification of the on-site construction are analyzed, and construction errors are identified. In this way, precis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minimizing construction errors while repeating design → construction → consistent analysis → design reflection → on-site construction. At the plant construction site, as several construction areas and construction works ar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he consistency analysis method using 3D scan data on the site is most often used. However, the consistency analysis method using on-site scanning is a manual work analysis method in which workers directly identifies construction errors with the naked eye, and is pointed out as a serious problems due to complicated work procedures, large manpower, and poor quality of analysi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a consistency analysis autom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anual consistency analysis procedure, and it was applied to the consistency analysis of multiple experimental sites to experiment and evaluate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analysis tim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lgorithm, experiments and evaluations from three perspectives, including location accuracy, reliability, and economy, satisfied the requirements with high location accuracy of 3.4mm or less,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analysis data secured 79% and 68% average shape matching.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human error and inaccurate analysis results of the existing manual analysis method. However,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the BIM design model and the construction on site by using precise construction error calcul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values of analysis data. By reflecting these results in BIM design and on-site construction on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struction errors and respond quickly to construction errors that provide construction materials.

      • 인질범죄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이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인질범죄는 ‘제3자에 대해 인질석방을 위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조건으로서 어떠한 작위 또는 부작위를 강요할 목적으로 사람을 억류 또는 감금하여 살해, 상해 또는 계속 감금하겠다고 위협하는 행위’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인질범죄라고 하면 외국의 항공기납치 인질사건 등 인질테러행위를 연상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만, 국내의 경우 어린이나 부녀자를 납치하여 금품을 요구하는 전형적인 유괴사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문적으로 어린이나 부녀자를 납치, 인질로 삼아 돈을 강취하기 위해 여러 명이 역할을 분담하여 범행을 하는 등 조직화되고 집단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인질범죄는 그 특징 및 위험성으로 인하여 발생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특히 방어력이 약한 어린이와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불안심리를 확산시키며 모방범죄의 발생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인질이 사망하는 최악의 상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 요구된다. 인질범죄에 대한 대응책은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법적 대응으로서 인질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처벌법규의 마련이고, 두 번째는 인질사건 발생시 평화적 해결을 위한 협상적 대응방법이다. 우선, 법적 대응으로서 인질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처벌규정을 살펴보면, 형법상 인질강요죄는 그 본질상 재산죄에 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외국의 입법례에서 보듯이 개인의 자유에 관한 죄의 장에서 규율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인질강요죄는 개인의 의사결정 및 활동의 자유를 침해라는 자유에 관한 죄이지 재산적 법익을 침해하는 재산죄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인질강도죄의 경우에도 그 법적 성격이 공갈죄의 가중된 구성요건에 해당하므로, 강도의 죄의 장보다는 공갈의 죄의 장에서 규정하는 것이 그 본질에 부합한 입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형사특별법인 특가법상의 미성년자인질범죄 조항은 미성년자 유괴범죄가 빈발하자, 이러한 범죄현상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해결책을 마련하기보다는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여론에 떠밀려 극단적인 형벌가중을 통한 해결책으로 마련된 것이고, 이 조항들은 형법상의 구성요건요소에 약간의 자구수정만 하고 단지 형벌만을 가중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형법에 포섭될 수 있으므로 특가법의 미성년자인질범죄 조항은 이를 삭제하고 형법에 편입하여야 한다. 또한 흉기휴대 또는 2인 이상 합동으로 범한 인질범죄는 그 강폭성과 집단성으로 인하여 보통의 인질범죄에 비하여 불법이 가중된 범죄이므로, 이에 대한 가중처벌 조항의 신설이 요구된다. 아울러 우리 형사법체계에서는 항공기 또는 선박 내에서 승무원 또는 승객을 인질로 삼아 행하는 인질범죄에 대한 처벌조항이 없으므로, 이를 신설하여 국제인질테러행위에 대한 적극적 예방과 처벌을 위한 사법권확보를 하여야 한다. 다음에, 우리나라의 경우 인질협상모델은 물론 인질사건 대처를 위한 전문화된 협상조직 조차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협상모델의 개발과 전문적인 인질협상조직을 양성해야 한다. 인질사건에 대한 대응은 주로 경찰특공대가 투입되어 해결하고 있는데, 향후 업무 범위의 유사성과 위기상황의 대응 및 처리의 효과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인질협상팀을 경찰의 다른 기능에 편제시키는 것보다는 경찰특공대 내에 설치하되 전술팀과 병렬적으로 조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인질협상팀을 상설조직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비상설조직으로 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테러활동지침’을 근거로 하여 경찰에서 운영 중인 대테러협상팀은 테러발생을 대비한 비상설조직인데, 그 이유는 아마도 국내에서 테러리즘에 의한 인질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은 상태에서 상설조직으로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재정적인 부담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재정적 부담과 기능의 중복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비상설기구인 대테러인질 협상팀을 폐지하는 대신 경찰특공대 인질협상팀을 설치하여 운영하되 그 업무를 확대시켜야 한다. 중요한 것은, 인질협상팀이 구축되면 인질협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하는데, 최근 인질협상분야에서 전통적인 협상모델보다 발전된 새로운 협상모델인 하머(Hammer)의 S.A.F.E. 모델에 대한 도입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 모델은 위기상황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4개의 因子(triggers)를 평가하고 탐지하는데, 이는 범인과 협상가 사이의 행동과 대화 속에서 표현된다고 한다. 이 4개의 因子는, 당사자들인 범인과 협상가에 의해 형성된 요구사항을 의미하는 실질적 요구사항(Substantive Demands), 당사자들 사이에 확립된 신뢰관계인 동조(Attunement), 위협받거나 또는 존경받는 당사자의 각각의 자아상(self image)을 의미하는 체면(Face), 당사자들이 겪는 정신적 고통의 정도를 말하는 감정(Emotion)이다. 이 네 가지 구성요소들은 협상가와 범인 사이의 대화나 행동을 통해 표현되는데, 협상가는 네 가지의 각각의 차원들을 찾아냄으로써 보다 안전한 상황 하에서 위기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모델은 사건의 유형에 따라 접근방식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접근방식으로 테러리스트의 활동, 교도소 폭동, 광신도 집단, 가정폭력, 자살기도, 정신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위기상황들을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대북 관련 사건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인질 사건에 있어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국민들이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등지에서 납치되는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인질 사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2000년대 중반 이후 인질 납치 사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다른 사람의 자유를 억압하고 신체를 강압적으로 통제하며 상당한 정신적·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반인륜적이고 흉악한 인질범죄에 대한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법적, 제도적인 대비책의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학계에서는 우리 사회에 상당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납치 및 인질범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위에서 제기한 이론적·법적인 문제를 포함한 실제사건에 내재된 범죄동기와 실태 및 효율적인 대응책의 마련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국가는 특히 해외에서 발생하는 인질테러행위와 같은 범죄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신체 등의 기본권침해를 방지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적극적인 입법화의 노력을 할 의무가 있음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A hostage is a person or entity which is held by a captor. In modern days, it means someone who is seized by a criminal abductor in order to compel another party such as a relative, employer or government to act, or refrain from acting, in a particular way, often under threat of serious physical harm to the hostage(s) after expiration of an ultimatum. A party which seizes hostages is known as hostage-taker. Taking hostages is today considered a crime or a terrorist act. Hostage taking is still often politically motivated or intended to raise a ransom or to enforce an exchange against other hostages or even condemned convicts. It will not pay ransom, release prisoners, change its policies, or agree to other acts that might encourage additional terrorism. Under Korea Criminal Law, any person who arrests, confines, captures or entices another person as hostage, and interferes with exercise of right by a third person, or makes one do any unobliged work,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definite term of three or more years. But if a person who has committed the hostage crime or who has attempt the crime, releases the hostage to a safe place, the punishment may be mitigated. And any person who arrests, confines, captures or entices another person as hostage, and acquires any property or benefits to property, or has a third person acquire them,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definite term of three or more years. The Republic of Korea must seeks effective judicial prosecution and punishment for terrorists and criminals victimizing the Korea Government or its citizens and use all legal methods to these ends, including extradition. However, Korean Law is not adequate to crack down on hostage-taking effectively. In order to contribute a help to prevent of hostage crime, Korean Criminal Law has to be somewhat revised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riminal justice has to be more closely fixed. In Korea there exists a lack of awareness among the people on issues regarding countering hostage crime. Also prevalent is a negative perception, rather than a positive one, surrounding counter-hostage taking efforts, perhaps due to the fact that the general public is not aware of its utility meri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come conscious of bring up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the Korean public of countering hostage situation and establishing an intense counter-hostage taking crime program along with a broad intelligence network. Summing up the points observed above, one can conclude that hostage situations are multi-dimensionally complex phenomena.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the reason or motive behind a hostage situation due to all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ethical elements interwind together. Therefore it has become essential to swiftly analysis and assess the complication to get a hold of the situation. The notion of creating and rearing a collective network of scholars and experts solely devoted to hostage situation has become inevitable.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urgent establishment of a structure that can take of hostage incidents in an expert manner. A system of conjoint negotiations by the government agencies is desperately needed to correspond to matters in a national dimension, especially when the current state of matter display only certain agencies soley taking responsibility. Thirdly, there needs to be an establishment of a clear chain of command in the scene of a hostage situation. In a hostage situation, there are many agencies concerned, such as the police, the military etc, but there needed to be some sort of unification of the chain of command depending on the incident in hand. Last but not least, it has become apparent that there is a need for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to partake in so that the public can actively correspond to hostage situation and protect themselves from it. When a crisis incident is resolved tactically, however, there is increased public scrutiny as to whether a tactical assault was necessary to resolve the potentially violent event. With this scrutiny has come increased demands for law enforcement to employ the latest and most effective negotiation approaches for peacefully resolving potentially violent encounters that include prison riots, criminal actions, terrorist acts, suicide attempts, and hostage taking situations. Specific approaches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in de-escalating crisis situations and evaluating the progress of negotiations, however, have not been as fully developed. The S.A.F.E. model represents one important framework for developing hostage negotiation strategy, defined as a communication plan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the subject (e.g., hostage taker, suicidal individual) to peacefully surrender or assist in a tactical resolution. The S.A.F.E. model is a prac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effective negotiation strategies to de-escalate and resolve crisis incidents. It is useful for detecting and measuring indicators of a worsening situation and for reporting progress to command. As such, the S.A.F.E. framework can be incorporated in the three core areas of a "critical incident position paper": (1) Status (where are we now?), (2) Assessment (what brought us to this point?), and (3) Recommendations (what should we continue to do-and what should we do differently?). In addition, S.A.F.E. strategies can be incorporated in incident command decision-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