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자 디자인의 유기적 형태 형성화를 위한 선행적 방법 프로세스 연구

        이윤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As one of the most recent international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 strength of companies, the role of design gets bigger and bigger. The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designs as well as the needs for new models is increasingly recognized. Under all these circumstances. It is the very time for the domestic design industries to promote the advanced designs more actively than ever. The study on advanced designs suggests formative trend direction of precedent designs such as development of advanced design product that are expected in overall industrial design field by studying the expression propensity of formativenss, and it also suggests advanced and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to the needs for planning and producing quality product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ompanies. Since 21st century, the expression context of design mode have changed from linear to non-linear context escaping from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rapid expansion of philosophy and digital media. Further, it has started to be reinterpreted in intrinsic-comprehensive meaning of nature, and be diversified from simple idea that means relationship between nature-universe and human beings, and be modified to formative structure by multiple sensory phenomena. The similar trend occurs in the aspect of formative context. The complete transformation of each object in the complicated and flexible universe leads to the disintegration of individualities, enables possibility of formative mutation and non-linear expression, and forms a new formative order. Unlike the modern mechanical thinking which materialized and objectified the universe, new organic paradigm overcomes the problems incurred from mechanical thinking of moder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relationship among human, nature and surroundings is required. It is mainly because this type of organic paradigm understands the nature and concept of ceramics expression, and suggests design expression trend of products and practical direction for development. No doubt that a new field of ceramics design shall be set forth if the organic paradigm is applied to the formative shape and improved. In addition, overall design business shall step up to a mutually complementary system. Prior to discussing the organic form of ceramics design, the reality of Korean ceramics industry must be addressed first. Korean ceramics industry lost its former glory and barely maintains its slender existence, and the researches on technologies and techniques of design field are confined to provincial value following in the steps of western ceramics culture. Even the research on ceramics industry was not more than a formalistic methodology overlooking outside the frame of problem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 inside the frame. After all, these trials and error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ceramics industry. In order to eradicate this problem,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he database of designers and craft artists and set aside original classification system of design products immediately. Further,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retarded environments and conditions through precedent study on design, and develop innovative design technique upon the basis of aforementioned items. This thesis shall derive organic formative contexts and new techniques and its method of formative design by suggesting new organic paradigm to ceramics industry and conducting basic formative research. It is also a research to lay a cornerstone of formative process and product development applying all these to the ceramics design. This study purports to suggest practical direction and method of design, and precedent contexts by establishing new design concept, or organic paradigm, and analyze formative language through the theoretic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it. Also it is to offer design process for the new model of organic form, and prove that the process has direct influence on product, the final result. Formative process of organic form shall be applied to th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is predicated upon the objectives to analyze formative shape and form in methodological aspect by applying organic features to theoretical basis of design, and to practicalize it. The research method shall be based upon formative research of specific and practical design on qualitative factors such as contexts and shape by applying the process for forming specific form of conceptual contexts and the process for hierarchical design model. In case of the specific method for the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ve formation shall be applied as a medium changing various concepts to material form.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the priori method process of design model, methodology of forms for study of shape shall be experimented. In addition, arrangement and application shall be conducted by modifying the uncertain concept to practical form posterior to applying it to the process in industrial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ncept and expression of organic contexts in 21st century, I hereunto examine the cause and background of new forms and trend, and figure out that the rational form of formation is realized by certain rules and principles. Further, I shall prove the needs for the advanced study on design. The necessity of advanced study lies upon the fact that the ceramic cultur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can be implicated by apply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techniques to existing design forms.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의 하나로 디자인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새로운 모델의 필요성은 물론이고 선행 디자인 개발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 디자인산업도 보다 적극적인 선행 디자인개발을 추진해야할 시점이다. 선행 디자인 연구는, 조형성의 표현 경향을 연구하여 선행적 디자인 제품의 개발 등 전반적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 예측되는 선행 디자인의 조형성 트렌드 방향의 제안을 할 수 있으며, 기업의 시대적 당위성인 선진 제품을 기획 생산 하여야 할 필요성에 선험적, 학제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며,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가진다. 21세기 들어와 디자인 형태의 표현 맥락은, 자연과학의 발전과 기술 그리고 디지털미디어의 급격한 확산과 더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선형에서 비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자연과학의 발전은, 자연을 근본적-종합적 의미로 재해석하기 시작했으며 자연-우주와 인간과의 관계의 해석이 점점 다원화돼 가고 있으며 다감각적인 현상들에 의한 조형적 체제화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다. 조형적 맥락 측면에서도 이와 같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복잡하고 유동적인 세계 속에서 각각의 개체들이 전혀 다른 물체로 변해서 결국 그 개별성은 와해되고 형태변이의 가능성과 비선형적 표현 등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조형 질서가 생성되고 있다. 세계를 물질적으로 파악하고 객관화, 대상화시켰던 근대의 기계론적 사고와는 달리, 새로운 유기론적 패러다임으로 모더니즘의 기계론적 사고에 의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과 환경간의 새로운 관계성 구축이 시도되고 있다. 도자 디자인 산업에서 이러한 유기론적 패러다임의 연구와 적용은, 도자 형태 표현의 본질과 개념을 확장, 이해하여 제품의 디자인 표현 경향과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론적 패러다임을 형상형태에 반영하고 발전시킨다면 도자 디자인의 새로운 조형적 표현의 장이 열릴 것이라 기대한다. 그리고 디자인 조형 표현 경향 전반에 걸쳐 좀 더 상호보완적인 체계로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도자 산업은 전통의 가치 아래 그 명맥만 유지해 오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로서의 기술과 기법 연구는 서양 도자 문화를 답습하려는 가치관에 사로잡혀 있다. 도자 산업 연구 역시 문제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방법이 형식적 방법론에 머무르고 있다. 결국 이러한 특성과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디자인의 선행 연구를 통해 혁신적이며 새로운 기법과 방법의 전략연구를 개발해야 한다. 따라서 앞서가는 제품 개발을 위한 방법론 연구는 시대적인 당위성으로 요구되며, 새로운 형태형성화를 통한 선행적 방법 프로세스에 관한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도자 산업에 새로운 유기론적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기초 조형 연구를 실험함으로써 유기론적 조형성 맥락과 디자인 조형의 새로운 표현과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를 도자 디자인에 적용해 형상 프로세스와, 제품 개발의 응용프로세스를 연구한다. 연구 목적은, 유기론적 패러다임이라는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정립해 디자인의 실질적인 방향과 방법, 선행적 맥락을 제시하고 그 이론적 개념과 방법론을 통해 조형적 언어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유기적 형태 모델을 위해, 디자인 과정을 제시하며 그 과정은 최종 결과물인 제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은, 유기적 형태 형성 프로세스를 적용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이론적 근거에 유기론적 특성을 적용시켜 방법론적 측면으로 조형의 형상과 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며 그것을 실용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개념적 맥락의 구체적 형태 형성을 위한 프로세스와 단계별 디자인모델을 위한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맥락과 형상 등의 정성적 요소를 구체적, 실질적 디자인의 형태 연구로 진행해 나갈 것이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형태 형성을 위한 프로세스화로 유기성의 근원적인 다양한 컨셉을 유형 형태로 전환하는 매개체로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디자인 조형의 선행적 연구와 선험적 방법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상성의 유형화 방법론으로, 단계별 발전 과정을 실험한다. 또한 도자 디자인의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도입, 관념적 개념을 실체적 형태로 적용, 변화시켜는 나가는 방법적 과정을 연한다. 이러한 21세기 유기적 맥락의 개념과 표현 방법을 도자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선행적으로 발생되는 새로운 조형과 트랜드의 원인과 배경을 연구하여 맥락적 연관성에 의해 합리적인 조형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연구하여 기존의 디자인 형태에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첨부하고 개발시킴으로써 도자 문화와 산업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감자의 괴경 cDNA로 부터 ESTs의 생성

        이윤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1839

        Current approaches for isolating plant gene such as chromosome walking or gene tagging, etc. are, in most cases, fairly expensive, time consuming and may not provide enough amount of plant gene resources. Recent movement of plant genome research may well provide the necessary gene resources. One of the approaches of obtaining a vast amount of gene resource at a substantially lower cost compared to genome sequencing is sequencing of cDNA clons. Thus, to isolate the useful and interesting plant genes in large quantities from Solanum tuberosum, single-run partial sequencing was performed on randomly selected cDNA clones from tuber cDNA of S.tuberosum. Almost all of cDNA clones selected containing cDNA insert longer than 500bp. Appoximately 88% of cDNA clones have the poly (A) tail sequenc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one hundred seventy nine indivisiual cDNA clones have been compared with sequences in nucleic acid databases, the same number of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generated. The cDNA clones indentified are related to various of functional gene such as metabolism, photosynthesis, translation, ribosome synthesis, structural gene, metal-associated proteins, nodulins, protein modification, storage proteins and stress-induction related gene. The 1F/o of randomly sequenced cDNA clones showed have no similarity to previously indentified other organisms. These 1(Y/o of the unknown sequences may encode currently unknown plant specific proteins and can serve as a potentially useful gene resource for plant molecular biology. The results show that generation of ESTs by partial sequencing of random cDNA clones is an efficient approach to isolate genes that are functional in plant organ or single cell in a large scale. Nudotide sequencing to generate more ESTs are in progress as well.

      • 곤충세포에서 발현된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 Envelope 당단백질의 특성연구

        이윤 翰林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envelope glycoprotein은 세포막 단백질로 세포 감염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처음의 HIV-1 envelope 당단백질은 singly spliced mRNA로부터 membrane bound ribosome에서 88kDa의 전구체 형태로 합성된다. 이 전구체의 N-terminal에는 28-30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hydrophobic한 signal sequence가 있어 세포 내에서 secretory pathway를 통하여 합성되는 단백질을 형성한다. 이 sequence는 전구체 형태의 단백질이 rough endoplasmic reticulum으로 이동되면서 잘려지게 되며 , 또한 rER내에서 전구체 형태의 단백질은 glycosylation과 folding과정을 거쳐 160kDa의 전구체로 크기가 커지게 된다. 160kDa의 전구체는 Golgi에서 cellular protease에 의해 120kDa의 표면 단백질(gp120)과 41kDa의 지질막 단백질(gp41)로 잘려지게 되어 plasma membrane으로 이동하여 virion형성시 이용된다. gp120과 gp41은 비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gp41의 hydrophobic N-terminus부위는 cellular receptor인 CD4 molecule과 virus와의 결합시 중요하게 작용한다. HIV-1의 기능적·구조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문제점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자연상태에서 HIV-1 envelope 당단백질을 얻기에는 매우 제한적이고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IV-1 envelope 당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recombinant baculovirus를 제조했으며, 이를 곤충세포에 감염시켜 곤충세포 내에서의 HIV-1 envelope 당단백질의 합성과 processing 및 secretion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wildtype의 envelope뿐 아니라, 여러 변이종의 envelope 당단백질도 발현시켰으며, 이들의 세포 표면에서의 발현과 syncytia 형성 능력의 유·무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Recombinant baculovirus를 이용한 HIV-1 envelope 당단백질의 생산은 AIDS vaccine을 위한 immunogen 생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envelope glycoprotein is a integral membrane protein that play a number of important roles in virus infection. Envelope glycoprotein are synthesized initially as an 88kDa precursor on membrane bound ribosomes from a singly spliced mRNA. The precursor contains the hydrophobic N-terminal signal sequence (28-30 amino acids) that directs the protein to the secretory pathway of the cell. This sequence is cleaved during translocation into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here glycosylation as well as folding into an appropriate tertiary structure takes place. The gp 160 precursor is cleaved in the Golgi by a cellular protease to produce a 120kDa surface envelope protein(gp 120) and a 41kDa transmembrane envelope protein(gp41) which are transported to the plasma membrane for incorporation into virion particles. The external gp120 subunit is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gp41 and is responsible for binding virus to CD4 molecules which serve as the cellular receptor, Considerable effort has directed a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IV-l envelope glycoproteins. One of the reasons this information has been difficult to obtain is the limited availability of HIV-1 envelope glycoproteins from natural sources. To facilitat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HIV-1 envelope glycoprotein, recombinant baculoviruses were generated to express wild type or mutant HIV-1 envelope glycoproteins. HIV-1 envelope glycoprotein synthesis, processing and secretion were determined, In addition, cell surface expression, and ability of the glycoprotein to induce syncytium formation were examined. The recombinant HIV-1 envelope glycoproteins produced in this system would be useful as immunogens in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against A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