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작품 「나만의 향」에 관한 연구 :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향수』를 바탕으로

        이유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은 2018년 12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1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나만의 향」을 안무하는 전반적인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 논문이다. 이에 따라 논문의 서론을 통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방법 및 제한점을 먼저 밝히고 본론을 통해 작품의 핵심 개념 서술과 작품「나만의 향」의 구체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진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향수』를 바탕으로 창작된「나만의 향」의 연구는 안무자 소개와 안무 의도, 작품 분석으로 나뉘며, 그중에서도 특히 작품「나만의 향」의 분석은 작품을 구성하는 예술적 요소 분석과 움직임의 심층분석으로 구분하여 주제의식이 형상화되는 과정을 더욱 집중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무용작품의 안무 의도는 다음과 같다. 타인의 시선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나의 자아정체성을 상실하는 문제는 반복되어 일어나며 이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들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안무자는 주체적인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데서 비롯되는 현대인의 괴로움과 무기력함이 소설 속 주인공 그루누이가 자신의 본질적인 결핍을 마주했을 때 오는 충격, 혼란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고 단순히 소설의 줄거리와 흐름, 소설 속 주인공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작품의 목적이 아니라, 진정한 자아의 발견과 성숙은 어디에서부터 오는 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스스로 답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유하고 연구하여 안무자의 소설에 대한 재해석과 그 과정에서 느꼈던 여러 가지 감정을 예술작품으로 형상화했다. 1장 <동굴>에서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을 위한 절대 왕국이면서도 사회로부터의 도피처로 쓰이는‘동굴’이라는 소재의 이중적 이미지를 차용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틀에 갇혀 나의 자아를 들여다보지 못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오브제를 활용한 동작으로 담아내었다. 2장인 <결핍>에서는 자신이 무취 상태의 인간이라는 충격과 괴로움이 천사의 향기를 향한 집착으로 이어지며 24번의 살인을 저지르는 주인공의 광적인 모습과 연결하여 본질적 자아를 마주한 내가 나의 결핍을 인지하게 되어 겪게 되는 내적 갈등을 표현했다. 마지막 장인 3장에서는 주인공이 천사의 향기를 입은 채 세상의 모든 사랑이 대상이 되는 순간 다시 마주한 본질적 결핍에서 나오는 괴로움과 덧없음, 그리고 끝내 자살을 선택하고 마는 극단적인 결말에서 벗어나 나의 본질적인 결핍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극복하여 성숙 된 자아로 다시 태어났음을 표현한다. 특히 3장에서는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무용수의 감정이 최대치로 발현된 장으로 1장과 2장을 통해 쌓아왔던 감정을 춤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움직임의 절정에 이르는 순간이다. 결과적으로 안무자는 작품「나만의 향」을 통해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타인의 시선에 맞추어 살아가기보다는 나의 본질적 결핍을 인정하고 내 진정한 자아가 원하는 바를 먼저 추구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되었고 현대인들이 사회적 틀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여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안무자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하여 자기성찰의 기회로 삼아 안무자의 예술적 가치관을 확립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My Own Scent」 which was conducted in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December 6th, 2018. Introduction of the novel expre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 and limitations, and the body part of the research leads to the explanation of choreography’s main no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My Own Scent」. The research, based on Patrick Süskind’s Novel, 『Perfume』, is consisted of introduction of the choreographer, intention of the choreography, and the analysis. Especially, the analysis of 『My Own Scent』 is specified into the analysis of aesthetic factors and movements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towards the visualization of the main theme.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y is stated as follows: Under the mod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attention of others, loss of self-identity is frequent leading to another societal problems. Choreographer acknowledged modern people’s suffering and lethargy due to the loss of autonomous self-identity was analogous to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Perfume』. The choreography focuses more deeply into the fundamental contemplation and realization of the identi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neself rather than simply visualizing the flow and summary of the novel. Therefore, the choreography is the visualization of the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feelings felt during the process. The first act <cave> reflects the modern people’s indifference towards self-identity being captive by the restrictions from social community through the movements with the objects. The first act borrows the double imagery from the ‘cave’, which is an absolute empire and refuge from the social community for the protagonist and initiates the self-evaluation of oneself. The second act <deficiency> is connected to the protagonist’s twenty-four murders due to the realization of colorlessness and obsession towards angel’s scent. With the connection of the madness of the protagonist, the act further expresses the inner conflict derived from the confrontation of inner self-realization and self-deficiency. The third act, unlike the protagonist’s suicide due to the realization of the agony and vain even after wearing angel’s scent and acquiring everyone’s love, the act expresses the acknowledgment of inner deficiency and self-reborn as a mature ego. Especially in the third act, the choreographer’s emotion of catharsis is fully revealed with the climactic movements in order to resolve and release the accumulated emotions from the first and second act. Consequently, through 「My Own Scent」, the choreographer delivers the message and courage towards the modern people to admit one’s fundamental deficiency and pursue what ego wants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others.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s of modern society and achieving autonomous self-confidence will lead oneself to a better life. Lastly, the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choreographer’s establishment of artistic values through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and introspection.

      • 근대성과 금강산의 장소적 의미 변화 : 1920년부터 1979년까지 금강산 관련 언론보도 분석

        이유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adical and forced modernization landed via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railways by japan i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as a colonial strategy, several main places were changed into attraction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was Mt.Geumgang.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patial meaning of Mt.Geumgang based on articles from Dong-A Ilbo and Chosun Ilbo among 1920 to 1979. The analysis period is divided into 1st stage(Mancheol;(Bureau of Manchurian railroad) consignment business), 2nd stage(Direct supervision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and 3rd stage(After division) at the point of start constructing railroad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1st and the 2nd stage, the concept of spatial practice appeared significantly through the Japan-led project of development rail and roadway and the plan designating national parks. In the second stage, which is the peak of modernization, the spatiality of Mt.Geumgang was manifested remarkably as a sightseeing spot. The spatiality was turned into a place of saudade from a tourist attraction due to division and political confrontation in the third stage. Through all o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symbolic meaning of Mt.Geumgang and the practice of place were clearly separated. This research demonstrates Mt.Geumgang has become a modern place as an attraction by Japan's thorough planning.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한반도 철도 건설 및 확충을 통한 급진적, 강제적 근대화가 도래했다. 또한, 식민지 통치 전략으로 주요 명소들을 관광지화 하였는데 금강산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1920년부터 1979년 중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등장한 기사를 토대로 ‘금강산’의 장소적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분석 시기는 철도 건설을 기점으로 1기(만철위탁 경영), 2기(조선총독부 직할 경영), 3기(분단 이후)로 구분한다. 근대화의 과정인 1기, 2기에서는 일본 주도의 철도·도로 개발 계획, 국립공원화 계획으로 인한 재현의 공간 실천 개념이 현저하게 등장한다. 근대화의 정점인 2기에서는 관광지로서의 금강산이라는 장소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3기에서는 분단과 정치적 대립 상황으로 관광지가 아닌 그리움의 공간으로 장소성이 변하였다.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며 금강산의 상징적 의미와 공간 실천이 뚜렷하게 구분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금강산은 일본의 철저한 기획에 의해 관광지라는 근대적 공간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 사회적 지지가 성소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젠더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유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성소수자(LGBTIAQ)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성소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젠더정체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사회적 지지의 경우 출처를 가족, 친구, 성소수자로 나누어서 지지의 출처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소수자 스트레스는 외현적 요인과 내현적 요인을 각각 측정해 그 차이를 파악하였다. 외현적 요인에는 사회적 낙인 인식과 실제 차별 경험이 해당한다. 내현적 요인은 내재화된 성소수자 혐오, 차별 경험에 대한 정서적 통증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젠더정체성별로 바이너리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시스젠더로 구분해 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재화된 성소수자 혐오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친구의 지지, 가족의 지지 순으로 성소수자가 지각하는 소수자 스트레스가 소폭 감소하는 반면 성소수자 친구의 지지는 소수자 스트레스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와 내재화된 성소수자 혐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이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완화되기 어렵다. 다음으로, 젠더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가시성이 높은 바이너리 트랜스젠더부터 논바이너리, 시스젠더 순으로 소수자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소수자 스트레스는 성소수자의 가시성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나며,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일부 완화될 수 있으나 그 크기는 작은 편이다. 사회적 지지가 소수자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공공의 지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법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확장되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sexual minority (LGBTIAQ) on their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dentity. For this, the source of social support was classified into family, friends and sexual minority, and the difference of support was compared. And then, the difference of sexual minority’s stress was identified by measur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respectively. External factors include the awareness of social stigma and the experience of actual discrimination. Internal factors are classified into the internalized hatred against sexual minority and the emotional pain for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according to gender identity these internal/ex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binary transgender, non-binary and cisgender, and then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In all the factors except internalized hatred against sexual minority, the minority stress perceived by sexual minority decreased slightly in the order of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whereas support from sexual minority friends increased minority stres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internalized hatred against sexual minority, which seemingly meant that social support could not easily alleviate internalized hatred against sexual minority. And as to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dentity on sexual minority stress, binary transgender of which visibility is higher had the biggest positive effect on minority stress, and it was followed by non-binary gender and cisgender in order. In conclusion, minority stress appears to be greater as the visibility of sexual minority increases, and it can be alleviated in part through social support, but the degree of alleviation is small. In order for social support to decrease minority stress, public support must preced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nd establish a legal system. The author hopes studies on th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exual minority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에 관한 연구 : 사설비교와 선율 · 장단리듬을 중심으로

        이유빈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에 관한 연구 - 사설비교와 선율 · 장단리듬을 중심으로 - 이 유 빈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심인택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는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으로 많이 불려지고 있는 대목이다. 흥보가 <제비노정기>는 김창환의 더늠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야금병창의 <제비노정기>는 강태홍이 처음으로 소리를 하였다고 하지만 박귀희제라고 한다. 가야금병창과 판소리 <제비노정기>의 사설비교와 선율리듬과 장단리듬을 다음과 같이 비교하고자 한다. 첫째,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의 사설과 장단이 박귀희 이후 어떠한 과정으로 전승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판소리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의 사설과 장단은 김창환의 더늠이지만 각 바디(제)와 창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둘째, 가야금병창과 각 바디의 대표적인 명창의 판소리 <제비노정기> 사설을 비교하면, 박귀희의 가야금병창<제비노정기> 중 자진모리(흑운 박차고--)의 사설은 성우향의 판소리 <제비노정기>의 사설과 비교하고, 중중모리(흥보문전을 당도--)의 사설은 김창환의 판소리 <제비노정기>의 사설과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와 판소리 <제비노정기>에서 사설 (흑운 박차고--)의 장단이 판소리에서는 창자에 따라 중중모리, 빠른중중모리, 자진모리 장단을 가야금병창에서는 자진모리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넷째, 가야금병창 <제비노정기> 자진모리(흑운 박차고---)와 중중모리(흥보문전을 당도---)의 선율의 리듬과 가야금반주의 리듬 그리고 장고장단 리듬에서 한 장단을 2분박(6/4)으로, 한 장단을 3분박과 2분박(6/8+3/4)으로, 한 장단을 3분박(12/8)으로 연주하고 있다. Thesis Research on Gayageum Byungchang Version of 'Jae-bi-no-jung-gi' - Focusing on Comparing Lyrics, Melody, and Rhythm - Lee Yubin Woosuk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M.A in Music Education Directoring Professor : Sim In taek "Jaebinojunggi", a song in "Heungbo-ga", is a part sung frequently with Pansori and Gayageum Byungchang. "Jaebinojunggi" became famous for a unique singing style of Changhwan Kim, and though Taeheung Kang was known for its first performer using Gayageum Byungchang, it is actually considered as one of collective singing styles originated from Gwiheui Park. It is submitted that the narratives as well as the rhythms and melody of the two versions: Gayageum Byungchang and Pansori have been compared through this thesis as following steps. Firstly, there will be accounts of how the Gayageum Byungchang version of <Jaebinojunggi>'s inheritance came about after Gwiheui Park's passing and comparisons betwee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song and the version made famous by Changhwan Kim. Second of all, this thesis hopes to compare the doctrines between the Gayageum Byungchang and pansori version of <Jaebinojunggi>, compare the vocal qualities of the song's Jajinmori parts sung by Gwiheui Park (Gayageum Byungchang) and Changhwan Kim's pansori qualities in the Jungjungmori parts. Third of all, by comparing the Gayageuem Byungchang and Pansori versions of the <Jaebinojunggi>'s Jajinmori parts, one can see that the Gayageum Byungchang version uses the core rhythms in the Jajinmori from Jungjungmori, fast Jungjungmori, and Jajinmori parts from the Pansori version. Lastly, the rhythmic meters of the Jajinmori and Jungjungmori of the Gayageum Byungchang version of the song uses 6/4, 6/8 + 3/4, and 12/8 melody schemes, percussion and the Gayageum's rhythm.

      • 중등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 대한 문화기술연구

        이유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employed by mathematics teachers during classes through the methodology suitable for cultural study from the viewpoint to consider representational practices as a culture phenomena. For this purpose,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three teachers were being observ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to describe and to analyze the observation. First, what kind of representations are there in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ole of representation in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Third, what kind of representational activities are there in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Fourth, is there any kind of semantic relationship amongst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hree mathematics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Daegu, Kyeongbuk. From April 2014 to July 2014,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classes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executed for four month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o be concrete, the participants were two mal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one male high school teacher. All 788 pages of transcripts from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nalytic induction (Erison, 1986)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Strauss & Corbin, 1994),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by Spradley (2006).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representation by teachers, there were five mathematical representational types, namely, abbreviation, paraphrastic, partial, typical, and hint representation. The abbreviation representation, a representation which reflects the economic principles of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refers to syllables or figures representing mathematical procedures or terms. Paraphrastic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that is changed by teachers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text or information of the problem into the representation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better. Typical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which reveals mathematical concepts best to explain or introduce mathematical concepts. Partial representations is what happens when teacher expands a part of a mathematical object to recover the loss of information that takes place essentially when the level of mathematical objects changed in dimension and representation as in geometry class. Hint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that contains a light instruction or indirect allusion of teachers presented to the students. These instructions include strategies, principles, or contents to help students solve problems. Second, the representation due to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enhanced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played a role of correcting the students' errors. In a mathematics classroom, if a teacher did not record any representation on the board or in the textbooks, teachers’ instruction was made of relying only on linguistic representation. This dependence on linguistic representation resulted in inefficiency of teaching by cutting the flow of the lesson, adding confusion to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cognitive mean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could see the errors that appeared to students through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student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for these errors, teachers used verbal, graphic, algebraic, or physical representations corresponding to the errors so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could recognize his or her errors and make corrections. Third, the representation activities that appeared in math classes were representation generating activities, representation prior activities, representation evaluation activities, representation correspondence activities, and representation persuasion activities. Representation generating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y except for linguistic representation teachers produce for particular purposes. Representation prior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y that first presents the representation on the board or on the textbook to make students recall the existing prior knowledge or to link the knowledge to learn with the prior knowledge to activate the schema. Representation evaluation refers to an activity that compares which representation is better than the other representations and can explain mathematical concepts or problematic situations better. Representation correspondence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ies to correct students’ misconceptions whenever they appear by presenting diverse representations to them. Representation persuasion activity is the use of a variety of persuasive strategies to convince students with the use of a particular representation. Finally, there were semantic relationships such as reason relations, inclusion relations and order relations among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s of representations. The absence of recording practice which was common to teachers caused the regeneration of linguistic representations, so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generating practices became the cause for the absence of recording practice of linguistic 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semantic relation in these two practices in that both of them were fundamental reasons to each other (Spradley, 2006). Math teachers were generating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in the end five kinds of representations formed by teachers’ purposes, namely, abbreviation, paraphrastic, partial, typical, and hint rep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보고 문화 연구에 적합한 문화기술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학교사들이 수학 시간에 사용하는 표상과 관련된 관행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교실 현장에서 세 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관찰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서 나타나는 표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둘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서 표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통해 나타나는 표상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넷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 사이에는 어떤 의미론적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중등학교 수학 교사 세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교사들의 수학 수업을 4개월 동안 참여관찰을 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구체적으로 중학교 남자 수학교사 2명과 고등학교 남자 수학교사 1명이다. 참여관찰과 인터뷰에서 수집된 총 788장의 녹취록을 분석적 귀납법(analytic induction, Erison, 1986)과 상시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 Strauss & Corbin, 1994)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교사들이 표상 관행들 사이의 관계는 Spradley(2006)의 의미론적 관계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표상 사용 목적에 따라 표상은 약어 표상, 환언적 표상, 전형적 표상, 부분표상, 힌트 표상이라는 다섯 가지 수학적 표상 유형이 있다. 약어 표상은 언어의 경제 원리가 수학 교실에서 반영되어 나타나는 표상으로 교사가 수학적 절차나 용어를 음절이나 형태가 단축된 형태로 나타내는 표상을 말한다. 환언적 표상은 교과서의 내용 표상이나 문제의 정보 표상을 교사가 학생들의 선행 지식과 관련된 표상이나 학생들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표상으로 바꾼 표상을 말한다. 전형적 표상은 교사가 수학적 개념을 설명하거나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학적 개념이 가장 잘 드러나는 표상을 말한다. 부분표상은 기하 수업에서 수학적 대상의 차원과 표상의 차원이 달라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정보의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교사가 수학적 대상의 특정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표상을 말한다. 힌트 표상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벼운 지시나 간접적인 암시를 담은 표상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시에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전략이나 원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의 표상 관행에 의한 표상은 교사들의 수업 효율성을 높여주며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학 교실에서 칠판이나 교과서에 기록 표상을 하지 않은 경우 교사는 언어적 표상에만 의존하는 교수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존성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내용 전달과 의미 형성에서 인지적 혼란을 가중시켜 수업의 흐름이 단절되어 교수 활동의 비효율성을 야기시켰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오류를 수학적 개념에 대한 학생의 질문이나 대답 그리고 학생들의 정답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오류에 대해 교사는 언어적 표상, 그래프 표상, 대수적 표상, 물리적 표상으로 각각의 오류에 대해 대응하는 표상을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인식하여 수정하였다. 셋째, 수학 수업에 나타나는 표상 활동에는 표상 생성 활동, 표상 선행 활동, 표상 평가 활동, 표상 대응 활동 그리고 표상 설득 활동이 있다. 표상 생성 활동은 언어적 표상을 제외한 표상을 교사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생성해 내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선행 활동은 학생들이 스키마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가 교수에 앞서 학생들의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을 회상하게 하거나 앞으로 배우는 지식과 기존의 지식을 연결하기 위해 칠판이나 교과서에 표상을 우선 제시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평가 활동은 하나의 표상이 다른 표상보다 수학적 개념이나 문제 상황을 더 잘 설명하는지를 교사가 기준을 가지고 표상을 비교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대응 활동은 수업에서 학생의 오개념이 나타날 때마다 교사가 다양한 표상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오개념을 수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설득 활동은 학생들에게 특정한 표상의 사용을 설득하기 위해 교사가 다양한 설득 전략을 사용하는 활동을 말한다. 넷째, 중등학교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들 사이에는 이유 관계, 포함 관계 그리고 순서 관계와 같은 의미론적 관계(semantic relationship)가 있다. 교사들의 공통적인 관행인 언어적 표상의 기록 부재 관행은 언어적 표상의 재생성을 가져오므로 언어적 표상 생성 관행은 언어적 표상의 기록 부재 관행의 이유가 된다. 다시 말해, 두 관행 사이에는 근본 이유라는 의미론적 관계가 있다(Spradley, 2006). 수학 교사들은 교수-학습 활동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표상을 생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가 목적에 따라 생성한 표상의 종류에는 약어 표상, 환언적 표상, 전형적 표상, 부분표상, 힌트 표상 등이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 김유정 소설의 여성상과 교육적 의의

        이유빈 釜山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Kim Yu-jeong described the painful lives of people in genera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a realistic and quite manner. His characters were stupid and innocent, who didn't even know that the contradictory social structure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made their poverty wo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female characters in Kim Yu-jeong's novels by categorizing them and discussing each type's characteristics. And it's also attempted to examine his novels included in textbooks to find out what types of female characters were presented to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haracters in Kim Yu-jeong's nove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bedient, selfish and positive types. As for the obedient image of woman, typical Korean mothers belonged to this category, who led a painful and patient life. The female characters of this type were strong and responsible for livelihood on behalf of male characters who were incompetent and indecent in the poverty-stricken colonial period. The egocentric type of woman referred to those who made others sacrifice for the sake of their own interest or who did harm to others without any specific reason. Those female characters were shrewd and thought of themselves only. The positive type of woman was more active and energetic than the other types. Jeomsun could be viewed as a typical example. She was naive and ignorant and candidly unveiled her affection for a man who didn't care about her. She was outgoing, extrovert and had independent men in control. She was the heroin of Camellia, one of Kim Yu-jeong's novels that was introduced in most textbooks. The author represented conflicts about affection and social status through that character who appeared in two novels, Bombom and Camellia. She was positive, healthy and responded actively to reality. After looking into the several types of female characters in Kim Yu-jeong's novel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female characters: First, contrary to conventional customs, gender roles were reversed. The male characters failed to cope with reality and just wanted to escape, dreaming a vain dream. But the female characters devoted themselves to their families, though they were abused by their husbands, and they lived an active life. Second, the patriarchal system made the female characters severely and extraordinarily depreciated. They were more competent than the male characters, and took the lead in household economy. Nonetheless, their personality was disregarded. They were driven and behaved in an active way, but they didn't think in an independent manner. In other words, they were able to respond well to reality because of their husbands. Even though their husbands were dependent upon them economically, they didn't treat them properly on the ground of patriarchy. That could be called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im Yu-jeong's novels. Third, the female characters were not that decent, because they had to earn their livelihood. They were more affected by reality, in which they had to practice prostitution, than by morality that prohibited it. Fourth, the author graphically visualized the tragic reality of the low class including farmers in the 1930s by portraying women who suffered due to the exploitation of Japan and feudal system called patriarchy. His description of the low class represented the contradiction of the Japanese rule in the 1930s. The female characters were actually householders who had to be responsible for family economy without having any particular job.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were oppressed and neglected by the male characters, and they couldn't defy though their sex was commercialized. The female characters in Kim Yu-jeong's novels strived to gain their livelihood and protect their families even though they had to practice prostitution. The author portrayed them in an disinterested manner. The characters who weren't aware of historical situations were described sometimes realistically and sometimes humorously. The effort by this study to look into the female characters of Kim Yu-jeong's novels introduced in textbooks suggested that novel education should be more than merely taking a look at interpersonal conflicts among different characters or how to get rid of the conflicts. It's needed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characters, including their dialog, personality and behavior.

      • 자외선 조사에 의한 저온 용액 공정 기반 ZrO2 RRAM 저항 변화 특성 향상 연구

        이유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용액 공정 금속 산화막 기반 저항 변화 메모리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소자를 제작하고, 자외선이 금속 산화막 및 RRAM 소자의 저항 변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용액 공정은 진공 공정에서 필요한 고가의 장비 없이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기판에 금속 산화막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박막의 화학 성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150 ℃ 이상에서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유연한 기판의 사용을 제한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용액 공정의 단점이자 한계라고 알려진 고온 공정을 줄이기 위해 자외선 조사를 통해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였다. 제작한 소자는 상부 전극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텅스텐 프로브 팁을 RRAM 소자의 상부 전극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상부 전극이 있는 소자의 실질적 저항 변화 영역은 상부 전극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상부 전극의 크기가 작으면 저항 변화층에서 전기장이 집중되어 전도성 필라멘트가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4]. 따라서 상부 전극의 크기를 1 um2 이하로 만드는 것이 좋으나 연구실의 사진공정 장비로는 제작하기 어렵다. 이를 프로브 팁으로 대체함으로써, 연구실 수준에서 제조하기 쉽지 않은 나노 크기의 상부전극을 사용한 RRAM 소자에서의 저항성 스위칭 특성을 측정하였다. 소자의 저항 변화 층은 높은 유전 상수 (~25), 큰 밴드갭 (5.8 eV) 및 실리콘 기판과 접촉 시 좋은 열역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의 MOSFET 게이트 절연 층 적용 가능성으로 인해 널리 연구되고 있는 ZrO2을 선정하였다. ZrO2 박막은 150 ℃의 낮은 온도에서 용액 공정을 통해 제작하였으며, 후처리 공정으로 184.9 nm (10%)와 253.7 nm (90%) 파장을 갖고, 17 mW/cm2의 세기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이 ZrO2 박막의 두께 및 화학적 결합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과 자외선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조사한 서로 다른 박막을 갖는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때 박막에 전달된 자외선 에너지는 각각 61.2 J/cm2, 122.4 J/cm2, 244.8 J/cm2, 489.6 J/cm2 이다. 직류 전압법을 사용하여 각 소자에서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해본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 소자에서는 고 저항에서 저 저항으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지 않았고, 자외선을 1시간, 2시간 조사한 소자에서는 스위칭 동작은 발생하였지만 저항 상태와 동작 전압이 균일하지 않은 불안정 스위칭 동작을 보였다. 이와 반대로 자외선을 4시간 이상 조사한 소자에서는 최대 1.5 V 이하의 낮은 동작 전압에서 200회 이상 저항 변화 반복 동작시에도 안정적인 저항성 스위칭 특성을 보였다. 또한 소자의 저항상태 유지 능력을 확인해본 결과, 104초 이상 고 저항 상태, 저 저항 상태에서의 저항 값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메모리 소자임을 확인했다. 제작된 소자들 에서의 전류-전압 특성을 로그-로그형 그래프로 표현하고 고 저항 상태와 저 저항 상태로 나누어 각각의 전도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모든 소자의 고 저항 상태에서는 space charged limited conduction (SCLC)가 우세하였고, 저 저항 상태에서는 ohmic conduction이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전도성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해당 소자의 저항 변화 메커니즘이 전도성 산소 공극 필라멘트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1]. 자외선 조사가 금속 산화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계 방출 주사 현미경 (FE-SEM)을 통해 박막 두께 변화를 확인하였고, X 선 광전자 분광법 (XPS)을 통해 박막의 화학적 결합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시간을 증가시킬수록 박막이 치밀화 되어 두께가 감소하였고, 금속 산화 결합 양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자외선 4시간 이상 조사한 4시간, 8시간 조사한 박막에서의 두께 차이와 금속 산화 결합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를 통해 자외선을 최소 4시간 조사하여 박막 내부의 전구체 잔여물들이 줄어들어 치밀화된 고품질의 지르코늄 옥사이드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저항 변화 메모리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사용자의 유형 특성에 따른 권역응급의료센터 공간 환경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환경심리행태이론을 중심으로

        이유빈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19세기 말 외래 시스템의 도입과 20세기 초 현대 병원의 모태가 출현하면서 병원 계획을 위한 기능주의적 측면 뿐 아니라 인간 심리적 측면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환자 중심적 병원’이 제안이 되고, 환자뿐 아니라 의료진 포함 모든 병원의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균등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환자 중심적 병원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환경심리행태이다. 또 하나의 변화는 현대사회에 들어서 도시화, 산업화, 고령화가 가속화 되고 빈번하게 발생되는 범죄사고,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와 산업재해, 질병 등으로 응급의료시설을 찾는 응급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병원들이 기능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전문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행위를 하는 의사, 간호사, 관리자 뿐 아니라 환자, 보호자, 방문객 등 다양한 사용자들의 공간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 따른 가치가 충분히 반영된 계획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응급의료시설의 실제 이용자행태특성 파악을 통해 문제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응급의료시설의 영역별 환경심리행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응급의료시설 중 특별시 광역시 시 도 별로 1개소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의료자원의 분포, 주민의 생활권, 주민의 수 등을 감안하여 적정개소를 지정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선택하고 그중에서도 수도권역에 위치하여 환자가 많고 1999년도 이 후에 권역응급의료시설로 지정된 5곳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환경심리행태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문헌조사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 공간구성과 사용자 유형 및 특성을 이론적 조사를 진행하여 정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세워 선정된 분석 대상지 5곳의 현장조사, 관찰조사, 도면조사,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다.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한다. 우선 대상지로 선정 된 5곳의 권역응급의료센터의 도면분석, 현장분석을 통해 공간 구성과 동선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유형(응급환자, 보호자, 의료관계자)특성에 따른 환경심리행태요소로 평가하였다. 각 유형별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응급환자 입장에서 가장 높게 평가 된 요소는 길 찾기의 용이성으로 일반병원과 다르게 응급상황인 만큼 신속한 진료를 위해 외부와 내부 의 사인 물이 식별하기 쉽게 재료나 색체의 차별화가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B시설의 경우 응급환자, 중증환자의 진료 순서에 따라서 사인물의 색체를 다르게 하여 응급환자들이 신속한 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였고, D시설의 경우 출입구구역에 진료순서에 따라 필요한 실의 위치를 번호로 나타내어 식별성이 용이했다. 반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프라이버시/과밀의 경우 응급상황에 따라 신속한 진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시설에서 응급환자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지지 않았고 경증응급환자를 위한 공간은 과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보호자는 안전/보안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방지를 위한 격리실의 설치와 응급환자, 의료관계자 이외의 사람은 출입통제함으로 안전/보안성을 높였다.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프라이버시/과밀은 C시설과 D시설을 제외하고는 지켜지지 않았다 C시설의 경우 보호자통로와 응급환자의 통로를 분리할 뿐 아니라 보호자대기실의 위치를 따로 분리하여 프라이버시를 높였다. D시설은 한 번에 많은 응급환자가 내원 할 경우를 대비하여 출입구구역의 대기홀과 대기실의 면적을 과밀하지 않게 계획하였다. 세 번째로, 의료관계자 입장에서 최종 평점 3.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안전/보안성은 모든 사용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일반병원가 달리 응급의료시설의 경우 감염 방지를 위해 격리실의 위치는 출입구구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B시설, C시설, D시설이 그러하다.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요소는 프라이버시/과밀이지만 의료관계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요소인 기능의 효율성에 대해 살펴보면, A시설이 그중 병상의 분류와 중증응급환자를 위한 진료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의 종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용자 유형 특성(행태)에 따른 권역응급의료센터 공간 환경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응급환자의 경우, 환경심리행태요소 분석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점은 보행과 차량의 출입구 분리가 되지 않아 혼잡하다는 것이다. 응급상황에서는 신속한 진료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행태특성으로 보았을 때 빠른 진료를 위해 출입구의 분리가 필요하며, 한 번에 많은 응급환자를 수용할 경우를 위해 내부 홀의 적절한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앞의 행태특성을 고려하여 환자분류소의 위치는 출입구구역과 가까워야 할 뿐만 아니라 사인 물의 명확함으로 식별이 용이해야 한다. 전염성이 있는 질병의 차단을 위한 격리실의 위치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환자분류소에 가깝게 위치하여 안전/보안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병상에 화장실을 따로 설치하여 환자들의 동선 분리를 더 명확하게 하고 전염에 대한 안전성을 높인다. 병상 내에 기둥, 벽, 커튼 등으로 시각적인 차단과 개인소장품의 수납공간을 따로 두어서 응급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어야 한다. 응급실의 경우 공포감,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소아환자의 경우 불안감으로 진료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아병상에는 친근한 내부 분위기를 조성하여 심리적 불안감을 줄여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공간 환경디자인을 제안한다. 보호자의 경우, 길 찾기의 용이성을 위해 환자분류에 따른 진료순서에 맞추어서 사인물의 색채를 통일하여 보다 분류가 쉽게 한다. 보호자들을 위한 보호자대기실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기 위해 통로공간과 분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른 보호자 출입구를 따로 설치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동선을 분리하여야 한다. 재난상황을 고려하여 보호자대기실의 면적은 과밀하지 않도록 넓어야 하며, 보호자들이 보호자대기실에 오랜 시간 머무르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좌석배치와 눈부심 방지 조명이 설치되어 아늑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하여야한다. 전염성이 있는 질병의 차단을 위해서 출입구구역에 응급환자와 의료관계자를 제외한 외부인의 통제가 되어야하며, 보호자를 위한 공용 화장실을 따로 설치해야 한다. 소아응급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수유실을 설치 할 위치는 보호자대기실과도 가까워야 하는 동시에 소아병상에서도 접근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해야하는 공간 환경디자인을 제안한다. 의료관계자의 경우, 진료 효율성을 높이고 신속한 처치를 위해 환자분류에 따른 진료순서대로 경증, 응급, 중증, 소아병상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병상과 진단·검사구역의 이동 시 접근성이 용이하게 계획되어야 한다. 감염방지를 위한 격리실의 경우 출입구구역, 환자분류소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전염에 대한 방비가 철저하게 계획되어 안전/보안성을 높여야한다. 진료의 효율성을 위해 소아, 경증, 응급, 중증 병상에 N·S를 각각 따로 두어 접근성을 높이고 신속한 진료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의료장비와 의료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은 설계 단계에 계획되어야 하며 준비실, 오물처리실, 린넨실 등은 N·S과 접근성이 좋게 위치해야 간호사들이 불필요한 동선이 길어지지 않는다. 진단·검사구역은 모든 환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병상에서 접근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직원구역과 환자구역의 분리는 이루어져야 하지만 환자구역에서의 접근성도 좋은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체계상 심야시간대의 내원 의료서비스는 응급의료시설에서만 제공된다는 점에서 의료진의 효율적인 진료를 위해 적절한 휴식공간이 꼭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공간 환경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 유형 특성(행태)에 따른 권역응급의료센터 공간 환경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짐으로 사용자 유형 특성(행태)에 따른 환경심리행태요소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심층 분석하여 영역별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비록 여러 가지 제한 사항의 이유로 사용자 유형을 제안하여 조사한 결과는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여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 유형으로 많은 시설 내 환경심리행태요소를 반영한 공간환경디자인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를 통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혈관 내피화를 위한 생분해성 재료의 생체 모방형 표면개질

        이유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We developed dual factor immobilization system using bio-inspired surface coating methods and applied them to prepare functionalized vascular graft materials based on poly(lactic acid-co-ɛ-caprolactone) (PLCL), the elastic and biodegradable polymer. The immobilized bioactive molecules included a RGD-containing peptide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to enhance endothelialization. Through ELISA and fluorescamine assay, we found that polydopamine-layer was successfully formed on the surface PLCL substrate, which was used for immobilization of dual factors; the amount of bioactive molecules on the polydopamine-deposited PLCL film was increased in a time dependent manner.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XPS) confirmed that intensity of C-N peak was increased demonstrating successful immobilization of bioactive molecules on the developed surface. In cell test, the dual factor immobilized group showed the largest cell spreading area and recorded the highest cell numbers in proliferation test during 14 day culture. Endothelialization marker expression test, analyzed by Western blot and RT-PCR, presented that co-immobilized factors highly stimulated CD31 and vWF-1 expression. These data indicate the functionality of each molecule is maintained effectively due to polydopamine coating and immobilized factors can lead synergistic effects on HUVEC behaviors. Furthermore, we observed the enhanced expression level of CD31 on developed nanofiber substrate through immunostaining. This confirmation work suggests that the co-immobilization platform can be available with different bioactive molecules and our system will open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in tissue engineering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