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LIL을 적용한 중국어 지도 방안 연구 : 『중국어 독해와 작문』을 중심으로

        이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7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의 지식 기반 사회는 창의적 사고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시대가 추구하는 인재상이 변화함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핵심 교육목표로 삼고 있으며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융합하는 ‘융(통)합교육’을 제시하였다. 이는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고수해 오던 제2언어교육에서도 ‘CLIL’이라는 새로운 방식의 제2언어 교수법을 활용하여 언어 교과와 비언어 교과 간의 융합을 시도하도록 하였다. CLIL(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내용-언어 통합 학습)은 수업 매개 ‘언어’의 학습과 비언어 교과의 ‘내용’ 학습이 결합된 교수∙학습 방식으로, CLIL 교실에서 제2언어는 타 교과 내용 학습의 도구이며 학습자는 교과 내용을 습득함과 동시에 언어적 지식 또한 함께 학습하게 된다. CLIL 교수방법의 효과성은 이미 수많은 성공 사례들로 입증된 바 있으나, CLIL에 대한 개념적 합의 부족, 프로그램 및 자료 부족, 교육환경의 부적합 등 여러 이유로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CLIL은 여러 학문이나 교과에 포함된 다양한 학습 요소를 언어교육에 접목해 새로운 것을 창출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사고에서 수업을 통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제2언어 교수자, 특히 CLIL 교실을 경험해 보지 못한 교수자는 CLIL 수업 실행 및 운영에 대한 부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본고는 CLIL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중국어 교실에 CLIL 수업을 시행하여 외국어 전문 교육 현장에의 CLIL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CLIL 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고의 구성 체계는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CLIL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관련 선행연구, 연구의 내용 및 구성을 우선으로 검토하고 Ⅱ장에서 CLIL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로부터 제시된 기저 원리, 주요 설계이론 등을 살펴보았다. Ⅲ장은 CLIL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중국어 독해와 작문 Ⅰ, Ⅱ』와 타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CLIL 수업에 활용할 학습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Ⅳ장은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어 독해와 작문 Ⅰ, Ⅱ』에 CLIL을 적용한 실제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 Ⅴ장 결론에서는 Ⅰ장부터 Ⅳ장까지의 내용에 대한 요약 및 정리 후,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제언을 통해 후속 연구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第四次工业革命时代的当今知识型社会,使人们认识到创新思维的重要性和必要性。随着时代需求的人力资源的变化,2015修订版教育课程以培养“创意·融合型人才”设为核心目标,提倡集科学、技术、工程、艺术、数学多领域融合的“综合教育”。在综合教育的号召下,目前第二语言教学界也摆脱以教师教授为主的传统教学法,而在尝试一种新颖的教学法进行语言学科和非语言学科之间的融和——“CLIL”。简单而言,CLIL(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内容-语言融合教学)是语言和内容相结合的一种教学模式,外语在课堂中是教授其他学科内容的工具,学生在学习学科内容的同时,潜移默化地获得语言知识。 许多成功事例已经证明CLIL教学法的有效性,但由于CLIL概念上的共识不足,相关节目和学习材料缺乏以及教育环境不合适等各种原因,采用CLIL教学法进行外语教学确实很难。而且,CLIL课堂需要收取并结合多领域、多学科上的知识和信息,而教师应该用系统的、科学的思维方式来设计CLIL课程。这会给外语教师造成不少压力,尤其是从未体验过CLIL课堂的教师对使用CLIL新模式教学会有更大的负担。因此,本文作为一本CLIL入门指南,尝试使用CLIL教学法进行作为第二语言的汉语教学,从中探讨在本国外语专业教育领域中采用CLIL模式的可能性和必要性。 本文共分为五章。第一章主要描述研究缘起、研究意义和目标、相关研究综述、研究方法以及论文结构。第二章简述CLIL的定义、基础原理、设计模式及主要特征等内容。第三章主要分析《汉语阅读与写作Ⅰ、Ⅱ》和其他非语言学科的教育课程,为第四章制定授课指导方案打下基础。第四章着重基于本文第二章所述的基础原理和设计模式,制定实际授课指导方案和课堂学习材料。第五章为结语部分,对本文所研究的问题做出总结,最后提出了后续研究的展望。

      •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과 관객 경험수준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

        이유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erformance industry and popular music concerts and festivals have made constant growth since the 2000s. Of them, popular music festivals allow the audience to enjoy a lineup of famous artists by the genre home and abroad with only one ticket unlike popular music concerts and are accordingly making rapid development. In 2016, approximately 100 annual popular music festivals were held in the nation, and 50 of them or so were new festivals. Each year sees the creation of popular music festivals in a new genre and form, but most of such festivals fail to hold out more than a couple of years and die out in the market except for two to four majors ones that have been held in a stable manner in each genre for the last five years. The audience cannot recognize differentiating features among these festivals since they are held at the same time or same place. In the market situation in which new similar festivals take place in large numbers, it is needed to establish and differentiate individual festivals' identity so that the festivals will have their unique features recognized and be held successfully and consistentl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brand equity in popular music festivals with a successful example, which is the Grand Mint Festival that succeeded in building its brand equ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popular music festivals in the nation. It also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component on audience a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articipatory experience level and propose a couple of new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brand equity components of popular music festival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first identified the brand equity components of popular music festivals through literature study, then teste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mponents based on interviews with experts, and finally analyzed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final brand equity components and audience a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udience's participatory experience level between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ll the brand equity components of popular music festiva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udience acts with brand value having the biggest effects on them. Second, of the brand equity components, brand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audience acts with interactions between brand quality and audience experience having negative(-) effects on them. When the old audience had a higher experience level of participating in such festivals, they expected higher quality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than the new audience. Third, the experience level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brand awareness and audience acts, which is because the audience's experience level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a similar concept to awareness. Fourth, the experience level ha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brand image and audience acts. Finally, the experience level ha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brand value and audience acts, which means that when the audience had a high participatory experience level, they tended to decrease relatively in the value or satisfaction they would obtain by participating in such a festival due to their repeating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given that festival brand researches are concentrated on local festivals or rock and jazz,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Grand Mint Festival mainly featuring the pop genre and expanded the research scope, thus holding academic significance. Since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in the influence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audience acts according to the high or low audience experience level, the study proposed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the new and old audience. The study has its share of limitations including the restriction of its sampling to one festival that was the Grand Mint Festival and the resulting difficulty with the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Follow-up study need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by categorizing popular music festivals by the type and the audience's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such a festival and conduct various extensive in-depth empirical marketing researches. Keywords : Popular Music Festivals, Grand Mint Festival,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 Brand Quality, Brand Value, Experience Level 2000년대 이후 공연산업과 대중음악 콘서트,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꾸준한 성장을 해왔다. 특히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대중음악 콘서트와 달리 하나의 티켓으로 국내외 장르별 유명 아티스트의 라인업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는 이유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2016년의 경우 국내에서 개최되는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연간 100여개 정도이며, 이중 신생 페스티벌이 50여개로서 전체 페스티벌의 절반을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해마다 새로운 장르와 형태의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생겨나고 있지만, 최근 5년간 각 장르별로 안정적으로 개최되는 메이저 2~4개 정도의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제외한 나머지 페스티벌은 2~3년을 지속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도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많은 페스티벌들이 시기적으로 중복되어 개최되거나 동일 장소에서 개최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관객들에게 차별성을 인지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사 신규 페스티벌이 많이 존재하는 시장 상황에서 각 페스티벌의 고유성 인식과 성공적, 지속적 개최를 위해서는 개별 페스티벌의 아이덴티티 구축 및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중 대표적 브랜드 구축 성공 사례인 ‘그랜드민트페스티벌’을 대상으로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을 구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이 관객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참여 경험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제시되지 않았던 대중음악축제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인에 따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을 1차 추출한다. 두 번째로는 추출된 요인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고, 수정 및 보완한다. 세 번째로는 최종 추출된 브랜드 자산 요인과 관객행위의 영향관계를 검토하고, 브랜드 자산 요인과 관객행위 간의 영향관계에서 관객의 참여 경험수준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 모두 관객의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가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중 브랜드 품질은 관객의 행위에 정(+)의 영향을, 브랜드 품질과 관객 경험의 상호작용 항목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페스티벌의 참여 경험수준이 높은 관객일수록 기존의 경험을 통해 인지된 기대 품질이 신규 관객에 비해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브랜드 인지도와 관객행위 간의 관계에서 경험수준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조절변수인 관객 경험수준이 인지도와 유사한 개념이기 때문이라 예상된다. 네 번째, 브랜드 이미지와 관객행위 간의 관계에서 경험수준은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가치와 관객행위 간의 관계에서 경험수준은 부(-)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참여 경험수준이 높은 관객의 경우, 반복적 참가에 의해 페스티벌을 통해 본인들이 획득하는 가치 혹은 충족감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우선, 페스티벌 브래드 관련 연구가 지역축제 혹은 록과 재즈 장르에 편중되어 있는 가운데, 팝을 주요 장르로 하는 그랜드민트페스티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 범위를 확장한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관객 경험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이 관객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신규 관객과 기존 관객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달리하여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한계점은 표본 수집이 그랜드민트페스티벌 하나로 제한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관람동기를 분류하여, 다양한 마케팅 실증 연구와 심도 있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어 : 대중음악 페스티벌, 그랜드민트페스티벌, 브랜드 자산,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품질, 브랜드 가치, 경험수준

      • 초등학교 6학년의 전통적인 음악수업과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에서의 학습자 비교 : 흥미, 몰입, 만족도 중심으로

        이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6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s teaching and learning a music class. The purpose is to teach resources for primary music education to encourage more creativity. ‘Teaching and learning’ was categorized into two methods: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ICT-used teaching method’. Each method was applied to classe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among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Group A and B consisted of 22 students who were proved to have similar age homogeneity. A class lesson plan was made based on the advice from an expert teacher.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dministered twice to group A, and ‘music lesson using ICT’ also twice to group B. For the experiment, I chose songs from the 6th grade level music textbook used in the school. The first lesson was about folk song through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while the second one was about drama music based on physical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beginning of each lesson to figure out the subjects’ backgrounds, music tastes and previous educational history. After the class, the survey questions were given to 22 participants to investigate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in each group.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items Lickertis scale and three open questions that would measure the learners’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I also used SPSS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the data processing and performed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test, t-test, and paired t-test, depending on the subject for inquiry. And the result was Cronbach’s α .970. The analysi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attitude,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regards to ‘folk song’ class. However, in the second class where ‘drama music’ class was hold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 showed a greater level of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p<.01). Group A’s greater response was explained by their answers to the open questions. Many answered that they liked taking part in the drama and cooperating with friends. It is clear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may have affected students’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learning. For group B with ICT-used class, the majority answered that the most unsatisfactory part of the class was not having enough chances to give presentation. Also, group B with ICT-applied clas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folk song and the drama music lesson compared to group A. However,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 of ‘folk song’ and ‘the play music’s world’(p<.05). Group A showed better immersion an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According to the students’ answers to the open questions, the greater satisfaction in the drama music class was found, which is assumed to have resulted from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sical play.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methods for music education that could help improve teaching quality and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Since there is a rising demand for music education nowdays, a higher demand for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is expected as well, which would require more objective analysis than that of the current teaching model. I hope that my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curriculu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invole in more enthusiastically, as well as to progress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음악수업의 교수·학습에 관한 학습자 태도를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창의성을 기르는 초등 음악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한 교수·학습방법은 ‘전통적인 교수법’과 ‘ICT 활용 교수법’이다. 두 가지의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교수법의 변화에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이며, 전통적인 음악수업을 적용한 22명의 집단과 ICT 활용 음악수업을 적용한 22명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현직 교사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6학년 음악과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여 A집단에서는 ‘전통적인 음악수업’을 2회 적용하였고, B집단에서는 ‘ICT 활용 음악수업’을 2회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제재곡으로는 현재 연구대상 학교에서 수업교재로 사용하는 6학년 교과서 수록곡을 선택하였다. 1회차는 기악, 가창 영역을 중심으로 한 ‘풍년가’, 2회차는 감상, 신체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한 ‘극음악의 세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인 설문지는 매회 수업 시작 전에 학습자의 배경질문 및 음악의 선호도, 레슨 유무 등과 같은 일반적 사항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업 후에는 집단별 학습자의 수업 태도를 조사하는 설문지 22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를 알아볼 수 있는 리커트 5점 척도와 개방문항 3문항으로 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자료 처리 방법으로는 SPSS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내적 일관성 검사, t-test,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Cronbach’s α 계수는 .97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에 따른 수업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1회차 ‘풍년가’ 수업은 A, B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회차 ‘극음악의 세계’ 수업은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A집단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1). A집단의 하위영역 응답이 높게 나온 이유는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뮤지컬을 직접 해보고 친구들과 활동해서 좋았다’와 같이 학습자의 참여도가 높은 모둠활동은 수업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ICT 활용 수업을 적용한 B집단의 경우, 개방형 문항 중 아쉬웠던 점이 ‘발표를 많이 하지 못해서 아쉽다’가 가장 많았다. 각 집단별로 제재곡에 따른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ICT 활용 수업을 적용한 B집단은 1회차 ‘풍년가’와 2회차 ‘극음악의 세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A집단은 1회차 ‘풍년가’와 2회차 ‘극음악의 세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1회차 ‘풍년가’에 비해서 2회차 ‘극음악의 세계’의 몰입도와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설문지의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창작 뮤지컬 공연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적극적,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대상을 전국적인 초등학생으로 확대하여, 많은 차시의 수업으로 초등 음악교과의 교수·학습에 관한 보다 객관적이고 다양한 타당도를 바탕으로 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음악교과 교수·학습의 발전과 더불어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1930년대 가야금산조 악조별 시김새의 음향학적 분석연구 : 진양조를 중심으로

        이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71

        본 논문에서는 1930년대 가야금산조에 나타나는 시김새의 특징과 지역적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SP음반을 채보하여 음조직을 분석하고, Sonic Visualizer를 이용하여 음향학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현폭과 농현속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심상건은 우조→평조→계면조의 순서로 점점 농현폭이 커지고 있는데 전체적인 농현폭은 반음 정도로 다른 산조에 비해 좁게 나타났으며 농현 속도는 평균 5.4회/초로 30년대 산조 중 가장 느리다. 김종기는 평조→우조→계면조 순으로 농현폭이 컸으며, 특히 계면조의 농현은 단3도를 넘는 정도의 큰 폭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현 속도는 조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고 고르게 나타났으며 평균 6.6회/초로 다른 산조에 비해 가장 빨랐다. 한성기는 계면조의 농현폭이 장 3도에 가까워 모든 산조의 농현폭 중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농현속도는 6.1회/초이다. 정남희는 평조→계면조→우조의 순서로 농현폭이 컸으며 농현 속도는 모두 6회/초 정도로 고르게 나타났다. 강태홍은 계면조의 농현폭이 장2도 정도로 같은 전남제 산조들과는 큰 차이가 있고 오히려 심상건과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현속도는 6회/초였다. 둘째, 지역별 퇴성폭과 꺾는 폭의 차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심상건은 전체적으로 퇴성 폭이 꺾는 폭보다 크며 우조→평조→계면조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진다. 특히 평조 퇴성폭이 장2도에 가까워 다른 산조 보다 넓게 나타나는데, 이는 심상건 산조가 평조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김종기는 퇴성폭이 평조→계면조→우조로 갈수록 크며 꺾는 폭은 계면조에서 가장 넓게 나타났다. 우조 퇴성폭은 장2도가 넘어 모든 산조 중에서 가장 넓으며 이는 김종기 산조가 우조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남제 산조인 한성기와 정남희는 우조에서는 퇴성폭이 넓고 계면조에서는 꺾는 폭이 넓게 나타나는 점이 위의 전북제 김종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퇴성폭과 꺾는 폭은 전북제와 전남제가 서로 관계가 밀접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전남제 산조인 강태홍은 계면조에 있어서 퇴성폭이 꺾는 폭보다 넓어서 이는 오히려 충청제 산조와 같았다. 셋째, 본고에서는 음향분석 그래프에 나타난 농현의 시김새를 형태에 따라 상행농현, 증폭농현, 감폭농현, 철(凸)농현, 평농현, 불규칙농현 등으로 분류하였다. 심상건은 모든 악조에서 불규칙농현 형태가 많았는데, 이것은 심상건산조의 농현폭과 퇴성폭이 좁은것과 관계가있다. 김종기산조의 특징은 우조에서 주로 상행농현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계면조에서는 증폭농현을 하는 것이다. 한성기, 정남희의 전남제산조 에서도 공통적으로 계면조에 증폭농현이 출현하는데, 평균 음고는 일정한 가운데 농현의 폭만 점차적으로 커지는 이러한 형태를 계면조 농현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강태홍의 농현은 떠는 음 가운데 부분의 폭이 가장 넓게 나타나는 철(凸) 농현 으로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농현의 폭이 빨리 커졌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농현 속도가 늘어지지 않고 짧게 느껴져, 강태홍 산조가 다른 전남제 산조와 달리 슬프거나 애절하지 않고 경쾌하게 들리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꺾는 음 시김새에서 김종기는 땅(a)음을 두 번 꺾는 ‘겹꺾는 음’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꺾는 음 형태는 한성기, 정남희의 전남제 산조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김종기는 앞, 뒤의 꺾는 폭이 비슷하지만, 한성기, 정남희는 앞의 음을 작게 꺾고 뒤의 음을 크게 꺾는 점이 다르다. 강태홍은 음을 꺾지 않고 땅(a)을 눌러 지(b♭)에서 퇴성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와같이 악곡의 구성면에서는 각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시김새 활용 면 에서는 전북제인 김종기가 전남제인 한성기, 정남희 산조와 닮아있고, 전남제 산조로 분류되던 강태홍은 오히려 충청제 심상건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심상건의 음악이 즉흥적이고 자유롭게 들리는 이유는 곡의 형식보다 시김새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강태홍 산조 또한 곡의 구조보다 주법에 의한 시김새 변화가 곡의 특징을 완전히 다르게 바꿔 놓을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우조, 평조, 계면조의 여러 시김새 표현이 심리적 요인에 의해 구별되고 점차 그 차이가 불분명해져 가는 것을 음향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악조별 시김새의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 Cognitive buffers against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 reasons for living

        이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ree subtypes of suicidal behavior that may lie on a continuum: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A total of 27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hopelessness, reasons for living, and suicidal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a mean comparison through ANOVA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ix clusters of reasons for living, Survival and Cop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suicidal desire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hopelessness. Moral Objections and Fear of Suicide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suicide preparation beyond the effect of suicidal desire. Finally, among participants with greater-than-zero preparation levels, those with history of suicide attempt reported significantly less Survival and Coping Beliefs and Moral Objections than those without such history.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reasons for living may differentially predict various types of suicidal behavior. The implications on suicid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의 세가지 하위유형 - 자살 욕구, 자살 준비, 및 자살 시도 - 에 대한 여러 가지 삶의 이유의 보호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총 277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여,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그리고 자살행동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ANOVA를 통한 평균차 비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통계분석 결과, 여섯 가지 종류의 삶의 이유 중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이 우울과 절망감의 주효과를 넘어서서 자살 욕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과 자살에 대한 두려움은 자살 욕구를 넘어서서 자살 준비 수준에 유의미한 주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0 이상의 자살 준비 수준을 보고한 사람들 중 과거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과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을 보고하였다.위 결과들은 자살 행동의 여러 하위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삶의 이유가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자살 위험 측정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패러디 그림책 기반 초등영어 장르 글쓰기 지도

        이유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guiding method of teaching primary English genre writing. In other words, to find out about children’s’ stepwise writing and the pattern of children’s writing development while doing genre writing based on parody picture books, and to find a way to connect reading and genre writing. Moreover, to find out diverse text communication that children tried to do and extending the story writing through intertex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1) What are the aspects of stepwise writing through genre writing? 2)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re writing based on parody picture books?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 fifth graders throughout 15 weeks. These children were all in one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The parody picture books that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orybook selection criteria, children’s English levels, and their interests. The parody picture books were presented in word, phrase, and sentence level, in order to begin with a more easier book at first. Each session was processed in three steps. On the first step, called ‘reading’, traditional stories that were included in parody picture books were introduced to children. This step was included in order to 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and read parody picture books. In the second step, ‘writing’ mini lessons were held in order for students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the genres they are going to write. Genre writing is held in this step. The final step is ‘sharing’, in which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writing and give feedback to one another. A variety of data such as questionnaires, class recordings, and recording transcripts, students’ genre writing paper outputs, students‘ responses, class diaries, and student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 qualitative analysis. The data analysis mad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stepwise writing through genre writing, students’ writing were reflected in various aspects. Students earned motivation for writing through writing handbills, wanted posters, and postcards. Students read the first textbook The Jolly Postman or other people’s letters and wrote handbills for advertising. Handbills only needed some simple words and pictures, so children found it easy and got motivation for writing, feeling that writing is not always so boring and hard. Students learned how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the second stage of genre writing which is followed after reading the second textbook Into the Forest. Students wrote an invitation card, a letter and a journal after reading the book. These writings are about everyday life. Students had a lot of chance to practice writing about everyday life by be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textbook. Finally, the possibility of logical writing was found by the writings of students after reading the last textbook which is Previously. Students wrote reordering the contents of the book, newspaper articles and sentiments after reading this book. Students were able to do logical writing by doing some organizing before authentic genre writing. Organizing was done with a table. Students organized the essential contents that is needed in each genre writing in a table. After this step, students did genre writing based on the organization. By this process students were able to write in a logical manner, including the essential contents and forms. Second, genre writing based on parody picture books made educational effects. Students tried diverse kinds of text communication. By writing a journal, students tried to do ‘conversation with oneself’. By writing a letter to friends, students tried to do ‘one-on-one communication’. By writing a newspaper article, students tried to ‘convey information’. Also, students expanded their thoughts through intertextuality. The writing that students wrote included som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folk tales that students had known already. By using these background information, students made new parody stories by themselves and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had a chance to expand their thoughts. Moreover, through writing a new kind of parody picture book by the process called ‘storyboard’, it was known that students studied the way of organizing a storyb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made students to write a lot of genre writing in a stepwise way. Students got motivation to general writing by doing handbill writing, poster writing, postcard writing.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and write about their thoughts by doing invitation writing, letter writing and journal writing. Students were able to write in a logical manner by doing reordering story writing, newspaper article writing and book report writing. Second, this study made students to do diverse text communication such as conversation with oneself, one-on-one communication and conveying information. Furthermore, helped students to expand thoughts through intertextuality. Students even tried to write a new parody story by themselves. Despite the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o overcome. First, there are limits to the variety of genre writing. The vast number of genre writing indicates that using a greater variety of genre writing could potentially lead to more practicing of genre writing and writing skills. However, due to some constraints, it was difficult to cover every kind of genre writing. Second, there are limits to considering high level students. Same tasks were given to all of the students, not considering the diverse level of students. Therefore, there was some time gap between the writing time taken. For these students, giving additional tasks or more challenging tasks could have been a more proper way.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러디 그림책 기반 장르 글쓰기 활동을 통해 초등영어에서 효율적인 쓰기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즉, 패러디 그림책 기반 장르중심 쓰기활동을 실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습자들의 단계적인 장르 글쓰기 및 글쓰기 발전 양상, 그리고 읽기와 장르 글쓰기의 연계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패러디 그림책 기반 장르중심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시도한 다양한 문자의사소통의 양상과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생각이 확장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르중심 글쓰기 활동을 통한 단계적인 쓰기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둘째, 패러디 기반 장르중심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S시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1개 학급 학생 26명(남 14명, 여 12명)을 대상으로 15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에 사용한 혼합 패러디 그림책은 여러 편의 전래 동화가 혼합된 한 편의 새로운 이야기로, 각 그림책별로 제시된 어휘 수준, 구문, 길이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수준의 텍스트를 먼저 활용하였다. 그림책 한 권당 세 가지의 장르 글쓰기를 하여 읽기와 쓰기 단계가 연계되도록 하였으며, 장르별 글쓰기는 각각 ‘읽기-쓰기-공유’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즉, 학습자들은 그림책 한 권을 세 번 반복해서 읽으며 한 번씩 읽은 후에 장르 글쓰기를 한 것이다. 실험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은 세 권의 그림책을 읽고 아홉 가지의 장르 글쓰기를 하였다. 먼저, 읽기 단계에서는 그림책에 포함된 전통 이야기를 소개하여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였으며, 쓰기 단계에서는 미니 레슨을 통해 장르별로 글쓰는 방법을 익히고 글쓰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유 단계에서는 다른 학생들이 쓴 글을 읽어보고 동료반응점검표를 작성하며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여 글의 완성도를 높였다. 실험 수업 동안 수업 활동 녹음, 장르 글쓰기 결과물, 사전·사후 설문조사, 소감문, 교사 일지, 면담 등의 다양한 자료를 범주화하고 그 결과를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장르 글쓰기를 통한 단계적인 쓰기활동을 통해 체계적인 글쓰기 지도가 가능하였다. 첫 번째 패러디 그림책, The Jolly Postman or Other People’s Letters 읽기와 연계한 광고지, 포스터 및 엽서 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편안하게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즉, 광고지는 상품의 특징을 묘사하는 어휘로만 쉽게 쓸 수 있었고, 포스터는 어구 또는 짧은 문장으로 쓰기를 할 수 있었으며, 엽서는 포맷을 활용하여 짧게 글을 쓸 수 있었기에 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가지지 않았다. 두 번째 패러디 그림책, Into the Forest 읽기와 연계한 쓰기에서는 이야기의 문학적 요소 중 등장인물을 활용하여 생활이나 삶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었다. 즉, 초대장에서는 자신의 집에서 열릴 파티에 등장인물을 초대할 수 있었으며, 편지에서는 자신의 여행지를 등장인물에게 소개하였고, 일기에서는 겪은 일을 떠올리고 자신의 생각을 바탕으로 글을 쓰며 하루를 되돌아보았다. 세 번째 패러디 그림책, Previously 읽기와 연계한 쓰기에서는 학습자들의 논리적인 글쓰기에 대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즉, 이야기 바꿔 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논리적인 순서에 맞추어 이야기를 새로 구성할 수 있었고, 신문기사를 통해 육하원칙에 따라 사건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기사를 쓸 수 있었으며, 감상문을 통해 학습자들은 그림책에 대한 자신의 선호와 그 이유를 논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쓸 수 있었다. 둘째, 패러디를 기반으로 한 장르 글쓰기를 통해 일반적인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글쓰기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교육적인 가치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문자의사소통을 시도하였으며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생각을 확장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일기 쓰기를 통해 ‘자기와의 대화’를 시도하였으며, 편지 쓰기를 통해 ‘일대일 의사소통’을 시도하였고 신문기사 쓰기를 통해 ‘정보 전달’과 같은 다양한 문자 의사소통을 시도하였다. 장르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텍스트에 대한 생각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자의사소통을 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상호텍스트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학습자들의 장르 글쓰기에는 기존에 배경지식으로 알고 있었던 전래동화 내용이 반영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새로운 패러디를 구성하며 생각이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패러디의 원전 텍스트의 내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글쓰기를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러디 텍스트를 읽으면서 학습한 이야기 구성 방법이 스토리보드 활동에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초등영어 교육에서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장르중심 글쓰기 활동은 글쓰기를 어려워하고 글쓰기에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이 글쓰기에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였다. 단계적인 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편안한 마음으로 글쓰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본 연구는 패러디 텍스트를 활용한 장르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자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스스로 생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패러디 텍스트를 바탕으로 하는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다양한 인물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글을 쓰며 다양한 문자의사소통을 시도하였고 스스로 새로운 패러디 이야기를 구성해보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지만, 다음 몇 가지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장르 글쓰기의 유형에 제한이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홉 가지의 장르 유형을 연습하였다. 장르 글쓰기의 유형과 횟수를 보다 늘려서 실험 수업을 한다면 학습자들에게 글쓰기 연습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제한 조건으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장르 글쓰기를 연습하는 것이 어려웠다. 둘째, 실험 수업에서 상위 수준의 학습자를 고려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모든 학습자들에게는 동일한 장르 글쓰기 과제가 제시되어 학습자 수준에 따라 글쓰기를 완성하기까지 걸린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빠른 시간 안에 글쓰기를 완성할 수 있는 상위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추가적인 과제나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의 페미니즘 운동에 관한 연구 : 일본 #MeToo운동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이유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本稿の目的は、日本の#MeToo運動が定着していない要因を分析することにある。そのため、まず、#MeToo運動を社会運動と位置づけ、社会運動としての#MeToo運動が拡散される過程を分析した。社会運動としての#MeToo運動が誕生し、展開される過程は、法律·社会の制度への隙間を発見、個人の訴え、メディアを通じた公論化、社会的支持と連帯、現実の変化に分けられる。既存の研究は日本の#MeToo運動が展開される過程で分かる日本の制度の問題点、すなわち日本の#MeToo運動の発端となった法律·社会制度の隙間を整理している。さらに、日本の#MeToo運動が他の国々に比べて相対的に拡散せず、目立つところに、女性の参加も少なかった理由を究明している。しかし、本稿では、上記の理由も日本社会のジェンダー差別の根本的な原因から生じるもう一つの結果として判断した。つまり、日本で#MeToo運動が広がらなかった根本的な原因は、日本だけの独特な社会文化的な特徴から起因すると見て、日本の#MeToo運動が展開される過程でその原因を考察した。 #MeToo運動は性暴力に対抗する女性人権運動として始まり、結果的にはすべてのジェンダーを合わせてジェンダー暴力に対抗するグローバル社会運動の一つとして位置づけられた。#MeToo運動は2008年の金融危機と技術の発達を背景として、全世界で現れているオンライン社会運動として始まった反政府運動や社会運動の脈絡で生じたと理解できる。制度から保護されなかった人々がメディアを通じて制度の問題点を訴え、社会的な共感と支持を得て現実変化を作り出したことから、#MeToo運動はオンライン社会運動に生まれ変わるようになった。実際、世界の各地で#MeToo運動を通してジェンダー問題の深刻性を伝え、現実変化を追求し、また制度の改善を遂げたりもしているので、#MeToo運動をより良い社会を作るための人権運動の一つとみることが望ましいのである。 本稿では、社会運動としての#MeToo運動の展開過程に応じて日本の#MeToo運動を分析した。#MeToo運動は個人の訴えが公論化された以降、大衆たちはジェンダー問題の深刻性を認知するようになり、次に、問題の改善の期待感と反発・2次的加害の懸念の度合いによって拡散されるか、されないかが決定される。日本の#MeToo運動も社会的な認識と法的制度の不備によって誕生することになり、メディアを通じて個人の訴えが公論化され、参加者と支持者が登場した。しかし、日本に#WeToo運動が存在することから分かるように、日本の#MeToo運動は他の国に比べて社会的な支持が十分ではなかった。本稿では、伊藤詩織氏の問題が最初にメディアを通じて公論化された時から、社会の支持を得るための過程までを分析した。 分析の結果、日本の法律制度に隙間があり、#MeToo運動に参加して性暴力被害の事実を訴えても、現実的に問題を解消することは難しかった。日本の準強姦罪に関する法律には「同意」に関して言及されておらず、被害者が同意しなかったという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現実的な困難が伴うという結果を得た。日本の法律は、伊藤詩織氏の努力のおかげで110年ぶりに改正されたが、依然として「同意」に関する言及はされておらず、根本的な法律の問題は解決されていない状態であった。次に、伊藤詩織氏の問題が公論化されたとき、この問題についての重点がジェンダー問題ではなく、権力癒着にあった点を一つの要因と指摘する。確かに伊藤詩織氏の問題は、権力型性暴行事件で、権力癒着の問題も指摘せざるをえないが、権力癒着疑惑が起こるまでは性暴力の被害問題が公論化されなかったことと、その後もただジェンダー問題だけでは報道しなかったことを一つの要因と分析している。最後に日本の#MeToo運動において社会の支持が少なかった点を調べるため、朝日新アンケートを参考にした。アンケート調査の結果、「和」を守るために、セクハラなど、性的被害を指摘し、訴えることは難しいという回答を得た。日本のみの独特な社会文化的な特徴である「和」を守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空気のため、#MeToo運動に対する社会の支持が少なくなったと言える。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MeToo운동이 정착되지 못한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MeToo운동을 사회운동으로 규정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MeToo운동이 확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사회운동으로서의 #MeToo운동이 탄생하고 전개되는 과정은 법적·사회적 제도의 빈틈 발견, 개인의 호소, 미디어를 통한 공론화, 사회적 지지와 연대, 현실 변화로 나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일본의 #MeToo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알 수 있는 일본의 제도적 문제점, 즉 일본 #MeToo운동의 발단이 된 법적·사회적 제도의 빈틈을 정리하고 있다. 이에 더해, 일본의 #MeToo운동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확산되지 못하고, 특이하게도 여성들의 참여조차 적었던 이유를 구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위의 이유들 또한 일본 사회의 젠더 차별의 근본적인 원인에서부터 나오는 또 하나의 결과로 판단하였다. 즉, 일본에서 #MeToo운동이 확산되지 못한 근본적인 원인은 일본만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특징에서부터 기인한다고 보고, 일본의 #MeToo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MeToo운동은 성폭력에 대항하는 여성인권운동으로 시작하여 결과적으로는 모든 젠더를 아울러 젠더 폭력에 대항하는 글로벌 사회운동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MeToo운동은 2008년 금융위기와 기술의 발달을 배경으로 하여 전 세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온라인 사회운동으로 시작하는 반정부 운동 및 사회운동의 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도로부터 보호받지 못한 이들이 미디어를 통해 그 문제점을 호소하고 사회적 공감과 지지를 얻어 현실변화를 만들어낸 점에서부터 #MeToo운동은 온라인 사회운동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MeToo운동을 통해 젠더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현실변화를 추구하며, 또 제도의 개선을 이루어내기도 하였기 때문에, #MeToo운동을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인권운동의 하나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회운동으로서의 #MeToo운동의 전개과정에 따라 일본의 #MeToo운동을 분석하였다. #MeToo운동은 개인의 호소가 공론화 된 이후, 대중들은 젠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게 되고, 다음으로, 문제 개선의 기대감와 반발·2차 가해의 우려 정도에 따라 확산되느냐, 정체되느냐가 결정된다. 일본의 #MeToo운동 역시 사회적 인식과 법적 제도의 미비함으로 인해 탄생하게 되었고, 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호소가 공론화되었으며, 참여자와 지지자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일본의 #WeToo운동(위투운동)의 존재가 보여주듯이 일본의 #MeToo운동은 다른 국가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부족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토 시오리의 문제가 맨 처음 미디어를 통해 공론화 되었을 때부터, 사회적 지지를 얻기 위한 과정까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법적 제도에 빈틈이 있어, #MeToo운동에 참여하여 성폭력 피해 사실을 호소해도, 현실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일본의 준강간죄에 관한 법률에는 ‘동의’에 대한 언급이 없어, 피해자가 동의가 없었다는 점을 밝혀내는 것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뒤따른다는 것을 결과를 얻었다. 일본의 법률은 이토 시오리의 노력 덕분에 110년 만에 개정되었으나 여전히 ‘동의’에 대한 언급은 되어있지 않아 근본적인 법적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태였다. 다음으로, 이토 시오리의 문제가 공론화될 때, 사안에 대한 맹점이 젠더 문제가 아닌 권력유착에 있었다는 점을 하나의 요인으로 지적한다. 분명 이토 시오리의 문제는 권력형 성폭행 사건으로 권력유착의 문제 또한 지적하지 않을 수 없으나, 권력유착의 의혹이 생기기 전까지는 성폭력 피해 문제가 공론화되지 못했던 점을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MeToo운동에서 사회적 지지가 적었던 점을 알아보기 위해 朝日新聞 설문조사를 참고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和를 지키기 위하여 성폭력 문제를 지적하고 호소할 수 없다는 대답을 얻었다. 일본만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특징인 和를 지켜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MeToo운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적을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겠다.

      •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 개발

        이유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71

        In today's society, public architecture is a value that we can us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ublic developing various angles. Especially, due to the changing of the paradigm about the nature of public, Public Buildings are sh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Public Buildings has not been long due to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even recently, the architecture and space of Public Buildings have been regarded as a means of expression symbolizing the authority of the city. According to the above r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Buildings and citizens has formed an coercively hierarchy, rather than forming a close and friendly one. But Korea also tried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with the beginning of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In this way, the Modern Public Building has been trying to form an "Intimacy" relationship with citizens in terms of aspects of architecture and space. Researchers started to place importance on this tre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timacy" as a familiar state as “the intimacy bond" with citizens is necessary based on the nature of public. Public Intimacy is a value that extends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nd space, starting from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makes people feel close in social life. By doing so, It’s worthwhile to maintain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Public Spaces or Public Buildings.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s on reflecting the trend of today’s need on the Modern Public Buildings to revitalize citizen-centered spaces in various ways. Furthermore, It has been developed that the space Evaluation items to propose the organized spatial foundation of Public Building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ublic intimacy. This study covers Public Buildings which represent each city's culture and can create and vitalize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d it consists of the space Evaluation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Public Buildings. There are five space Evaluation items (openness, place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that are extracted by analysis of Public Intimacy space. In order to organize the foundation in the practical aspect of space, it was visualized divided into the top level items and subitems. The top level items are extracted by means of surveys conducted with experts and reserve experts so as to bridge from spac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timacy to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for Public Intimacy affording a basis for previous studies that systematized space evaluations. The subitems are made up of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p level items which are researched on the Guideline and Checklist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Eventually, the final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were drawn by Regression analysis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effect. Because this study is for a new area to introduce to organize the foundation of Public Intimac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20 members of citizen who visited Public Buil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plac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among the top five items, and the subtimes ten of were excluded. With the above result, the 1st Importance survey to analyze reliability, correlation, and importance was conducted with 50 members of expert and 100 members of citizen who used public buildings. In both groups, the first place is accessibility, the second is recognition, and the third is different. Experts put more importance on openness, on the other hand, citizens pick experientiality. After investigating the subitems about the importance, the following must be carried out to promote effective formation of Public Intimacy in Public Buildings. At first, the local self-government should check the improvement of Public Buildings by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citizens, and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to create spaces for various people to use. The 2nd Expert Verificatio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y means of FGI(Focus Group Interview). Overall, the top level items received an average of more than 4 points. Some subitems were reduced and supplemented by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 and some of the terms were modified to improve readability and understanding. Therefore, 4 top level items (open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and 26 subitems were organized. Next, one Public Building in Busan was selected as an example. This is to diagnose and utilize the space Evaluation item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5 government employees of Busan, that Public Building received a high rating of more than 4 points on average and got high scores in order of experientiality,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was f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which translates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part should be promoted, and the negative one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Public Intimacy into Modern Public Buildings and developed Evaluation item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space in order to make to develop it with citizens. The effect and value of the Evaluation items were prov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cesses. However, Public Intimacy still lacks data and needs to be kept researched. I hope it i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theory of Public Intimacy and space. And this study is limited Public Building models in Ko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ublic Building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each local district. And then, Public Intimacy will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value for diverse urban spaces. 현대 사회에 있어서 공공건축은 다각도에서 발전하고 있는 공공성(public)을 이해할 수 있는 자산이다. 특히 공공성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공공청사 또한 시대적 흐름을 표현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공공청사의 역사 또한 오래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최근까지도 공공청사의 건축과 공간은 그 도시의 권위를 상징하는 표현 수단으로만 여겼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시민과 공공청사는 친근하고 긍정적인 관계보다는 다소 위압적인 상하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점차 국내에서도 지방자치 시대의 시작과 함께 도시민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 공공청사는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도시민과 ‘친밀한(intimacy)’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공공성을 기반으로 도시민과 ‘친구(the intimacy bond)’와 같은 가까운 상태 의미로서 ‘퍼블릭 인티머시(public intimacy)’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연구자는 주목하였다. 퍼블릭 인티머시란 사회·심리학을 시작으로 건축·공간 측면으로 확장된 개념이자 사회적 가까움을 느끼고 이로써 도시민과 공공공간 혹은 공공건축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공공청사가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민 중심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더 나아가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한 체계화된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제안하는 공간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지방자치단체 청사 중 행정구역의 대표적인 특성을 보이며 다양한 시민문화공간 조성이 가능한 국내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시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삼아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평가 항목을 구성했다. 공간평가 항목은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개방성, 장소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더욱 실용적인 측면에서 공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체화했다. 상위 항목은 본 연구의 목적과 같이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 예비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 평가를 체계화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특성과 연결하기 위해 전문가 및 예비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도출했다. 하위 항목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 공공청사 관련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두고 상위 항목에 따라 재분류하여 평가 예비항목을 구성했다. 더 나아가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마련하는 새로운 영역의 연구임에 따라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실증적 효과를 입증하여 최종 평가 예비항목을 추출했다. 실증분석은 공공청사 방문 및 사용 경험을 지닌 일반인 120명 대상으로 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5개의 상위 항목 중 유일하게 장소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와 같이 하위 항목 10개를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차 중요도 조사는 전문가 50명과 공공청사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상관관계, 중요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1위 접근성, 2위 인지성을 나타냈으며, 3위에 대해 전문가는 개방성을, 일반인은 체험성을 더욱 중요시 여겼다. 더불어 하위 항목까지 중요도 분석을 살펴본 결과, 일반인의 의견을 참고하여 해당 공공청사의 개선 사항을 먼저 검증하고, 더욱 다양화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형성을 도모해야 한다. 2차 전문가 검증은 FGI 방식을 채택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위 항목은 평균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며, 면접과 인터뷰에서 제안된 의견에 따라 해당 항목을 축소 및 보완하고, 일부 항목의 경우 이해도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용어를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4개 상위 항목(개방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과 26개의 하위 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평가항목의 진단과 활용을 위해 선정한 사례를 바탕으로 관리관계자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해당 사례는 체험성, 접근성, 인지성, 개방성 순으로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사례의 특징에 따른 점수 차를 보이는 세부 항목 분석을 통해 사례의 긍정적인 평가 부분은 더욱 활성화하고 부정적인 평가 부분은 개선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해 도시민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기초적 기틀을 평가항목 개발로써 제안하였으며, 일련의 분석과 검증 과정을 통해 그 효과와 가치가 있음을 나타냈다. 한편, 본 연구는 퍼블릭 인티머시의 단어 혼용과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용어 정리와 개념, 공간적 접근 등 개념 구체화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또한 국내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한정하고 있는 한계점을 지님에 따라,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그에 따른 적용 필요 조건에 접근해 행정구역마다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을 구축하는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 한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The demand for air travel is increasing, due to global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airline industry. Air service is well known for it's high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which makes them one of the most typical service firms. In addition, airline ground staff ha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 best quality of service to their customers. according to aviation service industry,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is responsible for 87 percent of airport ground staff at a low cost and depends on business partner, outsourcing contract and contracting contracts. The turn over rate of these forms of employment is highly increasing these days due to low wage of employee and welfare levels, over-Assignment customers, interagency conflicts, and intense schedule work. The study result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shows that job competence and job commitment can have an influence i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competitiveness of airline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influence of ground staff's job competency 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Here are the categories divided into four parts showing the influence of airline ground staff's job competency, in order to figure out how it makes an impact 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are the following categories: personal trait, interpersonal skill, expertise of personal competency and ability to handle the situation. Using these categories, the research determines that the influence of airline ground staff's job competency has an influence 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play the essential elements that can be contributed to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of each airline company. This study was done on airline ground staff, distributing 210 copies to survey from Arp. to Jun 2017. The total 202 copies with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of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model analysis, Mediated effect analysis, Variance analysis were all conduct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s. First, out of the four categories, personal trait and interpersonal sk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However, expertise of personal competency and ability to handle the situation do not. Second, job commi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leading employees to have an turnover intention. Third, out of the four categories, interpersonal skill and ability to handle the situation display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ersonal trait and expertise of personal competency do not. This stud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irlines should focus more on other factors than the basic functional role of the airline ground personnel that they used to highlight when hiring. In the event of firms hiring people, they need to place more priority on electing a person with diverse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n the long-term, the training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order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and job commitment of the airline worker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and basic data for effici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to reduce airport ground staff's turnover intention in the end. 세계 경제 성장과 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항공 여행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항공 서비스업은 대표적인 서비스기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항공사 지상직 직원은 고객에게 서비스품질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그러나 항공 서비스업의 변화에 따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항공사 지상직 직원을 저렴한 비용으로 공항 인력의 87%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상 조업사, 아웃소싱, 계약직 등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고용형태는 직원의 낮은 급여와 복지수준, 담당 고객의 과부화, 조직 간의 갈등, 강도 높은 스케줄 근무 등의 이유로 이직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역량과 직무몰입이 영향력을 준다는 사실은 기존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으며, 본 연구는 항공사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이를 위해 먼저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 요인을 4가지로 나누었다. 이러한 4가지 요인들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각 항공사에서의 효율적인 인재관리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분석을 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에서 근무하고 있는 항공사 지상직 직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기간은 2017년 4월 2일부터 6월 30일 동안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장소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총 210부를 배포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총 202부를 배부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방법으로는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함께 이용하여 자동화 분석이 가능하도록 연구에 사용하였다.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신뢰도 검사, 확인적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 요인들 중 개인적특성역량, 대인관계역량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성역량과 상황대처능력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 요인들 중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대인관계역량과 상황대처능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특성역량, 전문성역량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항공사에서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기본적인 직무 역할만 강조할 문제가 아니다. 기업과 조직의 차원에서 인재 선발 시 보다 여러 가지 역량을 표준화시켜야 하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항공사 지상직 직원의 직무역량과 직무몰입을 높이는 지속적인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전략수립에 기반이 될 자료와 정보를 토대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치매 노인의 기억력과 기억 효능감 향상을 위한 오차배제훈련의 효과

        이유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얼굴-이름 연상학습을 통해 오차배제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과 기억 효능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연구 대상은 3명의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이었고, 연구 설계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sing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과정(A₁)이 3회 진행되었고, 오차배제훈련(B) 6회, 재기초선 과정 (A₂) 3회, 추적과정 1회로 총 13회기로 이루어졌다. 독립변수는 얼굴-이름 연상 학습에 시간차회상훈련(spaced retrieval; SR)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errorless learning; EL)이었다. 종속변수는 얼굴-이름 회상성공률과 실생활에서 얼굴-이름 기억 수준, 한국판 기억평가검사(Korean version of Memory Assessment Scale; K-MAS)의 얼굴즉각 기억과 얼굴지연 기억, 기억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얼굴-이름 회상의 성공수행은 매 회기 얼굴-이름 회상성공률로 측정하였고, 실생활에서 얼굴-이름 기억 수준, 얼굴즉각 기억과 얼굴지연 기억, 기억 효능감은 중재 전과 후, 추적 시에 각 1회씩 측정하여 결과는 시각적 그래프 또는 막대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연구 결과 오차배제훈련 후 모든 대상자의 얼굴-이름 회상성공률과 실생활에서 얼굴-이름 기억 수준, 얼굴지연 기억, 기억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재기초선 종료 4주 후 치료유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대상자의 향상된 얼굴-이름 회상성공률과 실생활에서 얼굴-이름 기억 수준, 기억 효능감은 유지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오차배제훈련이 경도 치매 노인의 기억력과 기억 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