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이연경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교사가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 활동시에 안내자 및 촉진자의 역할을 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학습자의 수준이나 요구에 맞는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다. 외국어로써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부재, 대상 학습자의 다양성, 교육되는 국가나 장소의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교사의 수업설계가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수업 설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제적인 수업 설계를 통한 한국어 교육이나 그것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하는 한국어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체제적인 수업 설계의 활용을 제안하려 한다. 본고는 수업 설계를 교사가 실천하는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보는 견해를 취한다. 이 견해에 따라 교육과정의 개념과 수준별 구분에 대한 개괄적인 정리를 하고, 다음으로 수업 설계시에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교사가 성공적인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목표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체제적으로 수업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 체제를 계발하는 단계는 Leshin, Pollock & Reigeluth(1992)에 의하면 요구분석, 내용의 선정과 계열화, 수업 계발, 수업매체 선정과 평가의 순서를 따른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Reiser와 Dick(1998)은 수업 목적 확인, 수업 목표 확인, 수업활동 설계, 수업 매체 선정, 평가 도구 개발, 수업 실행과 수업 수정이라는 순환적인 순서를 따르면 교사는 보다 쉽고도 효과적인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권낙원(1989)은 4단계의 체제적 수업 설계과정을 설정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수업 프로그램의 설정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수업설계 모형의 선정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이고 마지막 단계는 수업의 평가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관계중심 수업 모형, 비례적 수업 모형, 균형적 수업모형이라는 3가지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것을 한국어 수업설계에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효율적인 한국어 수업을 위해서 교사는 상황과 학생의 능력 수준에 적합한 많은 모형들을 창안할 수 있고 기존의 모형들을 모방,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어떤 수업모형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논의했던 수업설계의 실제 예를 하나로 들어 한국어 수업 프로그램의 설정, 계획, 실행과 수정의 체제적인 과정을 보임으로써 이러한 체제적인 수업설계가 얼마나 효율적일 수 있는지 보였다. 이러한 체제적인 한국어 수업설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본고는 교사들이 체제적으로 한국어 수업을 설계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한국어 수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teacher’s main role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is an instructional designer in a language curriculum as well as a guide or a facilitator in a classroom activity. There are lots of obstacles to teach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uch as the lack of nationwide official curriculum of Korean, the variety of the target learners, and the cultural deviation in location or country where the lessons are given, and so on. In spite of its importance, teaching Korean in endless effort by systematic design of the Korean lessons and its relevant research are given not so much of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ng how efficient and successful it is to design Korean instructions systemically as a method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is considered as the part of Korean curriculum, which contains a broad description of general goals, including developing, implicating and evaluation Korean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cy in Korean programs, the followings were discussed. 1. What are curriculum and syllabus in Korean programs? 2. In what way is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related to the curriculum? 3. How can teachers of Korean design a program systematically? The three models of Korean presented this study are the negotiated syllabus, the proportional approach, and the fully developed proportional model to course design, based on Yalden (1983) and are applied to Korean programs. However it is teacher’ duty in whole to select and adjust an instruction model to their students’ needs. This study examples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of ETA training program. It shows how a Korean teacher develops the goals of the program, selects the contents, prepares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s the program. Although this systematic lesson design process is not verified yet, this example gives some tips to Korean teachers who struggle to manage the class with a variety a variety of students’ needs.

      • 바우하우스의 J.Itten, Moholy-Nagy, W.Kandinsky의 기초조형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이연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Bauhaus is a comprehensive geometric art school that was established by the president Walter Gropius. It is a specialist school whose main focus is geometric art that combines art and craft. These days Bauhaus is known as the mother of geometric. Although the Bauhaus has had many troubles in its brief fourteen year history, it met the requirements of the 20th century and created flexible courses that were ahead of its time. It provided Advanced geometric art education including removing the value system linked to fine art and applied art, by using machines as creative tools to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mass production and handcraft. Bauhaus began as National Bauhaus in Weimar in 1919. It then moved to Dessau in 1926 and Berlin in 1932. Finally, Bauhaus became known as New Bauhaus in 1937 but was disbanded in the US in the same year. To achieve its principle of comprehensive geometric art combining art and technology, Bauhaus created a course of study comprised of preparatory, major and integrated components. Among these, the preparatory course was obligatory for all new students. This course introduced the fundamental meaning of Bauhaus and the principles of all its teaching methods. Also, the course allowed students to start developing a sense of geometric art by purely experiencing its sensations to help them exhibit their own natural talents adequately. Bauhau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Johannes Itten, Moholy Nagy and Wassily Kandinsky, who taught fundamental courses at the school and were in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art education in different ways. Johannes Itten was an expressionist and a romanticist. He pursued sensitivity-based education that emphasized individuality and a sense of art. He focused on unlocking creativity by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 psychology. As part of this exploration he emphasized the texture, color, form and rhythm of materials in his classes. Even though Itten put great effort in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s of geometric art education within Bauhaus, he ended up resigning due to differences of principle with Gropius. As the successor to Johannes Itten, Moholy Nagy took over the teaching of fundamental geometric art. Moholy Nagy, who was a constructionist, emphasized the active use of machines in a methodical manner. He focused on fundamental geometric art accomplished in a scientific and logical way with the aim of educating specialists to emphasize social responsibility. This rational teaching method regarded experience as an important element and affected fundamental geometric art education in the later Bauhaus years and all over world. Wassily Kandinsky was another one responsible for fundamental geometric art education alongside Moholy Nagy in Dessau. He developed students’ geometric art ability ranging from practice to theory by teaching them to think analytically and in an integrated manner by analysing and formatting pictorial elements. Students aimed to develop integrated production work using these rules, rather than simply learning to become artists. Also Kandinsky described and suggeste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y and chromatology, both theoretically and scientifically. Later, morphology and chromatology became foundations for Kandinsky as he pioneered abstract art. As such, the fundamental geometric art teachings of Johannes Itten, Moholy Nagy and Wassily Kandinsky were significant in relation to Bouhaus education. They set the direction for geometric art education and played an essential role in improving it. Their characteristic ideas regarding geometric art and their educational philosophies became a pivotal foundation for the study of fundamental geometric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new appreciation of the significance of geometric art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sing Johannes Itten, Moholy Nagy and Wassily Kandinsky’s pursuits of education theory. Additional creative and progressive art education theory is expected to emerge in the art education field.

      • 한성부 일본인 거류지의 공간과 사회 : 1885년~1910년까지 도시환경변화의 성격과 의미

        이연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1882년 외국인의 거주가 한성부에서 처음 허용된 이후 일본인들은 남산 북록 진고 개 일대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인들은 한반도 내에서 일본의 영향력이 점차 강 화됨에 따라 그 거주영역을 점차 확장해 나갔으며, 한성부의 도시경관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일본인 거류지의 변화는 1894~95년의 청일전쟁과 1904년의 러일전쟁을 계기로 세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제 1기는 남산 위에 공사관을 건축하면서 본격적으로 거 류를 시작한 1885년부터 청일전쟁 이전까지의 1894년까지로서, 이 시기 거류지는 남 산 북록의 진고개 일대에 소규모의 일본인 집단 거주지를 마련한 것에 불과한 것이었 다. 제 2기는 1895년 청일전쟁 이후부터 1904년 러일전쟁 이전까지에 이르는 시기로, 거류지는 남대문로 방면으로 확장되었으며, 본격적으로 일본식 마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마지막 시기인 제 3기는 1904년 러일전쟁 이후부터 1910년까지로, 거류지의 영역은 남촌 일대 전역 뿐 아니라 용산을 비롯한 성외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거 류지는 식민화의 전초기지로서 정주지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거류지 도시환경의 변화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환경, 상업환경, 생활환경으로 나 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거류지 내 도로환경은 도로개수사업과 상하수도 구축사 업 등의 도로환경개선사업과 그리고 가로시설물들의 설치 등으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 었다. 거류지 도로환경 개선사업의 시행목적은 교통상의 편리와 위생 관리, 그리고 상 업의 활성화를 위한 것으로서, 1895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진 행되어 나름대로의 성과를 만들어 냈으나, 민간 차원에서 시행된 것이었기에 부분적 이고 임기응변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상업환경의 경우, 거류 초기에는 일본인 거류민들에게 생필품을 공급하기 위한 소 수의 상점들로 이루어진 것이 전부였으나, 점차 거류민 인구가 증가하고, 한일무역이 성장함에 따라 한국인과 서양인들도 주요 고객이 되면서 그 수가 대폭 증가하였고, 상점 자체가 대형화, 복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거류초기 진고개 일대, 즉 본정 4~5 정목 일대와 수정 일대에만 설치되었던 일본인 상점들은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남대문로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본격적으로 한성부 상계에 침투하기 시작하였으며, 본정 도로를 비롯한 거류지 주요 도로들의 양 옆에 일본식 상업건축인 마치야와 서양식 상 점들을 건축하고 광고와 장식 등을 더하여 독특한 일본식 상업가로환경을 구축하였 다. 도로환경과 상업환경이 도시의 선형요소인 가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거류지의 전체적인 성격과 분위기를 형성한 것은 생활환경의 구축에 의해서였다. 생 활환경은 자치, 행정, 의료, 교육 제도 등 도시 제도의 도입과 학교, 병원, 종교, 유흥 시설 등의 도시 시설들의 설립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생활환경 은 상당히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행정 및 교육과 위생 제도와 그 시설들에 서는 상당히 근대화가 진전된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으나, 거류민들의 일상적 의례들 과 생활, 특히 종교 문화나 유흥 문화 등에서는 에도 시대의 문화가 그대로 나타남으 로써 상당히 ‘일본적’인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로환경, 상업환경, 생활환경의 구축으로 만들어진 거류지 도시환경은 외부적으로 는 같은 시기 일본과 한성부와 밀접한 영향관계에 놓여 있었다. 거류지에는 메이지유 신 이후의 근대화 양상과 함께 에도식 생활문화가 혼재하는 과도기적 일본의 모습들 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거류지의 도시변화는 한성부의 도시변화와 상호영향을 주고 받는 것이었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서양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일본인 거류지의 혼종 적인 도시환경은 국가 주도의 위로부터의 변화가 아니라 민간 주도의 아래로부터의 변화라는 특징을 가진다. 즉, 이 곳에서의 도시환경의 변화는 정치적인 식민지화가 시 작되기 이전에 일본인 거류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생활을 위한 도시환경을 구축해 낸 것이었다. 그러나 통감부 설치 이후 이 지역의 도시변화의 성격이 식민지화와 결 합되게 되면서,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변화는 1910년 이후 한성부의 근대식민도시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을 맺게 되었다. 이처럼 거류지의 도시 변화가 1910년 이후의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 서 이 지역의 변화는 전통도시 한성부에서 식민도시 경성부로의 전이과정에서의 연결 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의미를 가진다. 비록 이 연구는 1910년 이전까지의 거류지 도시 변화 자체에만 치중하였지만, 앞으로는 1910년 이후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모바일 게임의 이용자 이탈 시점 예측에 관한 연구

        이연경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mobile games take a free-to-play revenue model, which allows users to play games for free and generate revenue from in-game purchases. In this revenue structure, user purchase is an important factor directly linked to sales. In the case of new services, it is important to acquire new users, but in the case of ongoing services, existing users account for a majority. Therefore, it is more efficient for service companies to focus more on existing user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joy the game much long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retention of user in advance. Based on this retention, a business strategy that enhances users' play engagement can be developed.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remaining lifetime of mobile game users into five groups and predict their retention groups through multi-class classification model. During the 10-day observation period, the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login, purchase, and activity logs in the game. This proposed a measure to predict how long the user would use the service. For the case study, this retention group predic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data of the mobile game currently being servic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MOTE+RandomForest combination performed the best. The variables related to login frequency have high predictive influence, along with the number of stage clear failed and game money acquisition-related variables. 다수의 모바일 게임은 Free-to-play(FTP) 방식의 수익 모델을 취하고 있다. 부분 유료화라고도 불리는 FTP방식에서 이용자는 무료로 게임에 가입하고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업적을 얻기 위해 결제를 통해서 게임 재화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이용자의 구매는 매출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므로, 게임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용자의 구매를 촉진시키고자 노력한다. 한편 신규 서비스의 경우 새로운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서비스 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지속되어온 서비스의 경우 기존 이용자의 비중이 신규 이용자에 비해 훨씬 높다. 신규 이용자 획득에 드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기존 이용자들이 더 오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매출 증대와 기존 이용자 유지의 측면에서, 이용자의 수명을 미리 파악하여 이용기간 내 구매를 촉진하는 이벤트를 마련하거나 이탈 예측 이용자의 활동성을 높이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전략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이용자 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잔존 수명을 다섯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다중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예측한다. 관찰 기간 동안의 접속, 구매, 게임 내 행동데이터를 입력 변수로 사용하여 모형을 구축한다.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의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SMOTE+RandomForest조합의 분류 성능이 가장 높았다. 접속 빈도와 관련된 변수들이 예측력이 가장 높았으며, 이 외에도 클리어 실패 횟수와 게임 내 재화 획득과 관련된 변수들이 잔존 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Development of Cetuximab-conjugated lipoplexes for pulmonary metastasized cancer-directed delivery of anti-cancer siRNA

        이연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Pulmonary metastasis is the common result of metastatic spread to the lungs from a variety of tumors. Metastatic diseases are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mortality. Gene therapy using anti-cancer siRNA (small interfering RNA)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 great potential for treatment of metastatic cancer. However, clinical application of siRNA has a very challenging task due to numerous barriers, including low stability in serum, non-specific accumulation in tissues, and poor cellular uptake. Especially, the lack of tumor specificity remains to be a major drawback for effective cancer therapy with siRNA. Hence, it is conceivable that a target-directed gene delivery system, which is more specific to tumor cells and less toxic to normal cells, would resolve this obstacle. For enhanced RNA interference in vitro and in vivo via selective accumulations in desired tissues, specific binding to target cells and facilitated intercellular trafficking are commonly attempted utilizing targeting ligands, cell- penetrating peptides, and lipidic delivery systems. Here, I have developed an immunoliposomal gene delivery system containing anti- tumoral siRNAs condensed by 9-arginine peptides (9Arg). The lipidic vesicles consist of cationic O,O'-dimyristyl-N-lysyl glutamate (DMKE) and cholesterol (Chol), grafted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Antibodies (Cetuximab) against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were conjugated to the PEG termini on the surface of the prepared cationic liposomes. Finally, siRNAs were pre-complexed with 9-arginine (9Arg) cell-penetrating peptides and then self-assembled with anti-EGFR liposomes into ternary complexes (anti-EGFR-9Arg-lipoplexes) in aqueous solution. The ternary complex presented a controlled size (180 nm diameter) and a zeta potential of approximately 7 mV. Luciferase siRNAs in the anti-EGFR-9Arg-lipoplexes were effectively transferred to LS174T-Luc colon cancer cells expressing EGFR on the cell surface. The transfected siRNAs were subsequently released into the cytoplasm, resulting in significant knockdown of luciferase gene expression. In cancer therapeutic experiments, Bcl-2/survivin siRNAs formulated in the anti- EGFR-9Arg-lipoplexes were able to significantly suppress transcription of the both genes in the same cancer cells, resulting in cancer cell death. In addition, the anti-EGFR-9Arg-lipoplexes were able to more selectively deliver the anti-cancer siRNAs to LS174T-Luc tumors xenografted in mice than the non-targeted 9Arg-lipoplexes. The Bcl-2 and survivin siRNA complexed in the anti-EGFR-9Arg-lipoplexes were intravenously injected to the mice carrying the pulmonary cancer of LS174T-Luc. Repeated systemic delivery of anti-EGFR-9Arg-lipoplexes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growth whereas non-targeted 9Arg-lipoplexes were less effective. The Bcl-2 and survivin siRNAs in the anti-EGFR- 9Arg-lipoplexes resulted in simultaneous silencing of the respective genes in LS174T-Luc tumor cells. Moreover, the mice treated with the anti-EGFR-9Arg- lipoplexes exhibited prolonged surviva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anti-EGFR-9Arg-lipoplexes may provide a promising modality for RNAi cancer therapy.

      • 재독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계승한국어 능력과 정체성 연구

        이연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계승한국어 발달과 정체성 변화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정체성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계승한국어 학습자는 성장하면서 거주 국가 언어의 입력량이 많아져 지속적인 한국어 발달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아동·청소년기는 언어 발달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계승어 발달과 정체성 변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와 정체성을 유사통시적인 방법으로 고찰하고, 한국어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요인을 살핀 후 한국어 능력, 정체성, 배경 요인의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그동안 계승한국어 학습자 대상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정체성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한국어, 정체성, 계승어 학습자의 배경 요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지금까지의 계승한국어 학습자 연구는 주로 재미 동포나 재중 동포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재독 동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배경 요인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와 정체성의 상관관계와 한국어, 정체성, 배경 요인 간의 상호 관련성은 어떠한가이다.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구어와 문어에서 복잡성과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였고, 정체성 범주를 민족정체성, 국가정체성, 문화정체성으로 분류한 후, 이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재독 아동·청소년 계승한국어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구어와 문어 능력을 살펴보고, 배경 요인과 정체성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재독 아동·청소년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발달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른 복잡성과 정확성은 측정 지표에 따라 정체와 발달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복잡성과 정확성이 상호 지지적 역할을 하며 발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어와 문어에서의 통사복잡성은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발달하였는데, 이는 구어보다 문어 산출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문어 정확성은 만 13~15세에 발달한 후 정체되었고, 구어 정확성은 만 7~15세에 발달한 후 정체되었다. 반면 어휘복잡성은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발달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숙달도에 따른 복잡성과 정확성 분석을 통해, 구어·문어 정확성과 문어 통사복잡성이 만 7~18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를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독 아동·청소년 학습자들의 자기범주화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한국 민족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령 집단별 문화변용유형 분석을 통해 계승어 학습자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독일 문화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를 거쳐 청소년 후반기에 이르러서 한국 문화정체성을 강화한다고 보았다. 문화변용유형에 따른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분리 유형’과 ‘주변화 유형’에 속하는 학습자들의 복잡성과 정확성이 ‘통합 유형’과 ‘동화 유형’에 속하는 학습자보다 높았다. 한국 문화정체성과 독일 문화정체성 점수가 모두 낮은 ‘주변화’유형 학습자들의 복잡성과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정체성이 언어 능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한국어 능력, 연령(많을수록), 한국 출생, 이주 나이(늦을수록), 초등학교 입학 전후 한국어 사용량, 부모의 한국어 사용, 한국어 영상 시청이 전반적인 한국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한글학교 입학 나이(많을수록), 부모·형제·친구와의 한국어 사용량, 초등학교 입학 전 전체 독서량, 입학 전 한국어책 독서량, 현재 한국어책 독서량은 구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글학교 재학 기간 변수는 전반적인 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글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국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배경 요인은 성별(여성), 아버지의 한국어 능력, 입학 후 한국어 사용, 부모와의 한국어 사용, 부모의 한국어 사용, 한국 영상 시청, 현재 한국어책과 독일어책 독서량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어 능력, 한국 정체성, 배경 요인의 상호관계를 규명한 결과, 한국어 능력과 한국 정체성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각각이 독립적으로 발달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배경 요인과 연령에 따라 한국어와 정체성 교육 방법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으며, 교육 모형을 설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재독 아동·청소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및 정체성 교육 과정의 핵심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의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만 7~18세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어와 문어 발달과 정체성 변화 추이를 밝히고 이를 숙달도와 문화변용유형 측면에서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둘째, 배경 요인이 계승한국어와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한국어 능력, 한국 정체성, 배경 요인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정체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령과 학습자의 배경 요인에 따른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성과는 재독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가정과 한글학교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다양한 지역의 계승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와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ident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 heritage learners in Germany, with the goal of providing guidance for Korean heritage language and identity education. Heritage learners of Korean acquire Korean as their native language, yet as they are exposed to more German language and culture, sustaining their Korean language development becomes difficul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heritage language and identity formation during the crucial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is paper employs a pseudo-longitudinal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identity amongst Korean heritage learners in Germany and the factors impacting their language and identity. It also suggests an approach to teaching Korean and identity to Korean heritage learners in Germany. In prior research,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language and identity development of heritage Korean language learners simultaneously. Moreover, most studies on Korean heritage learners have focused on those in America or China, with few conducted in Germany.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pattern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among Korean heritage learners in Germany according to age? What is the pattern of identity development of these learners? What are the effects of the background factors on heritage Korean learners’ Korean ability and identity?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identity, and background factors? In order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identity of heritage Korean learners, this study establishe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mplexity and accuracy of their spoken and written Korean. Additionally, a questionnaire was created to assess the identity category by dividing it into national identity, ethnic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This questionnaire, along with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70 heritage Korean learners in German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five points: First,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improved with age among Korean heritage learners, with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progressing in tandem and mutually reinforcing each other. The improvement of scores by age group was more pronounced in written language than in spoken language. Second, an analysis of Korean heritage learners in Germany found that they adapted to the culture of their residence upon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gradually built a German cultural identity. As they age, their Korean national identity grows stronger. Additionally, analysis of the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ers revealed that those with low scor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German cultural identity (the 'Marginalization' type) also had high complexity and accuracy score, confirming that identity and linguistic proficiency may not be correlated. Thir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background factors on Korean proficiency of Korean heritage learners showed that older learners had greater Korean abilities. Moreover, parental language input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on language acquisition than heritage learners' language use. Attendance at Korean language schools for extended periods was found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written language proficienc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school education. Furthermore, more Korean usage before and after elementary school enrollment and watching Korean videos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factors and the identity of heritage Korean learners revealed that more Korean language input from parents, more Korean usage with parents and more usage after elementary school enrollment, and watching Korean videos had a positive effect on identity. Additionally, reading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heritage Korean learners' identity,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reading activities. Fourth, a model of structural equation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Korean proficiency, Korean identity, and background factors, showing that Korean proficiency and Korean identity do not directly influence each other, indicating that each exists independently. Fifth,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age- and background-specific techniques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identity were suggested, and a core structure for a Korean heritage language and identity education curriculum was proposed for Korean herit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spoken and written Korean language and identity among heritage learners aged 7 to 18 in German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background factors on Korean language and identity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Korean proficiency, identity, and background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may be used to further explore the language and identity of heritage Korean learners in other countries.

      •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지도 방안연구

        이연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의성이란 새로운 발상, 독특한 사고 또는 어떤 새로움을 이끌어 내는 개인의 사고와 관련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의 기본적인 특성은 참신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으로 창의성은 예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며, 음악 또한 예술의 한 분야로 창의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음악과 교육과정은 사회와 인식의 변화와 음악교과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특징에 의해 창의성 계발에 목표를 둔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의 음악수업에서는 그에 합당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음악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 시킬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 기법에는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마인드 맵(Mind map), 스캠퍼(SCAMPER), 육색사고모(Six thinking hats), 속성열거법(Attribute listing), 강제연결법(Forced connection method), 시네틱스(Synetics) 등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 기법들을 적용하여 감상하기를 중심으로 음악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먼저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의 개념 및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창의적 사고 방법과 활동, 그리고 창의적 사고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관련문헌을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다음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 활동영역 중 감상하기를 중심으로 육색사고모와 브레인스토밍사고 기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육색사고모 기법은 여섯 가지 색깔 모자가 갖고 있는 사고 형태에 따라 상상하고 평가하는 기법으로 모든 유형의 아이디어를 빠르게 평가하고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브레인스토밍은 어떤 주제에 대해 자유분방하게 생각하도록 함으로써 폭넓은 사고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기법으로 확산적 사고 증진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가 감상하면서 느낀 점을 다양하게 표현해봄으로써 적극적인 음악 활동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자유로운 표현 활동이 독창성과 자신감을 길러 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reativity refers to a new idea, a unique thinking, or a special quality related to a personal thinking or ability given personality traits. Cre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distinguishing what is art and what is not art. The fundamental feature of art is pursuing what is new and fresh; 'Music' is an example of art. Thus, a course of study in music aims at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depending both on the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and the basic feature of the department. However, most music classes in Korea are not suitabl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in a more systematic and concrete way. Teaching methods are largely classified by Brainstorming, Brainwriting, the Mind Map, SCAPMER, Six Thinking Hats, Attribute Listing, Forced Connection Method, Synetics,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developing creativity and to propose teaching plan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teaching plan is based on Brainstorming and Six Thinking Hats and deals with appreciating music. First, the basic concept and theory of musical creativity are researched and compared to general creativity. Second, techniques of creative thinking are investigated in contrary to general thinking by examining related data. Third, relativity is considered between general and musical creativity. Six Thinking Hats is a technique to make students imagine and evaluate for themselves according to six colored thinking hats. This technique’s strength is to produce and evaluate all kinds of ideas quickly and promptly. Brainstorming is a technique to make students freely think of a topic in order to get some new ideas by thinking broadly;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divergent thinking. The expectation is that participants in class have a positive attitude by appreciating music and expressing freely their own feelings and thoughts. These activities can be helpful to grow students' self-confidences and originalities.

      • 액자구조와 등장인물을 통해 본 [운영전]의 비극성 연구

        이연경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운영전(雲英傳)」은 우리 고전소설사에서 거의 유일한 비극소설이다. 아직까지 작자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대체로 17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한문본을 선행본으로 하며,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이본(異本)인 한글본이 존재한다. 「유영전(柳泳傳)」, 「수성궁몽유록(壽聖宮夢遊錄)」의 제목으로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운영전」의 본문 인용은 박희병·정길수가 편역한 「운영전」을 기본으로 하며, 이에 해당하는 한문 원전을 국립도서관본(國立圖書館本) 「수성궁몽유록」을 기본으로 하여 주(註)로 달았다. 본고는 「운영전」을 여전히 비극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음에 주목하여, 「운영전」이 역시 비극소설임을 확고히 굳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운영전」을 비극소설로 확정할 수 있는 근거를 작품의 액자구조와 등장인물에서 찾고자 하였다. 「운영전」을 ‘제 1액자, 제 2액자, 속 이야기’로 구성된 이중액자구조로 설정하고 각각의 액자 안에 있는 각기의 내용들이 모두 비극임을 밝혔다. ‘제 1액자’ 부분은 서술자 유영(柳泳)의 처지와 수성궁, 분위기, 세상에 전해지지 않은 책 등으로 보아 비극적 내용을 담고 있다. ‘제 2액자’ 부분은 해당 액자의 분위기, 운영과 김진사의 슬픔, 유영의 질문에 대한 운영과 김진사의 대답 내용 등으로 보아 역시 비극적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속 이야기’ 부분 또한 죽음으로 끝나는 사랑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고 있어 이 또한 역시 비극이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인 ‘운영, 김진사, 안평대군’의 성격을 살펴보아도 또한 그러하다. ‘운영’이 죽음으로 끝난다는 비극 외에도 시문에 대한 뛰어난 실력과 입신양명에 대한 욕망이 있었으나, 궁녀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좌절할 수밖에 없는 비극성이 존재한다. ‘김진사’는 당대의 유학자들과 다른 시관(詩觀)을 가지고 있었으며, 금지된 선택을 했고, 충성스럽지 못한 노비인 ‘특’에 의지하였다는 것이 비극적 요소로 작용하여 죽음으로 끝을 맺게 된다. ‘안평대군’은 비극적 삶을 살았던 실존인물이라는 점, ‘운영’의 마음을 얻지 못했고, 열 명의 궁녀들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이상세계도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는 점이 ‘안평대군’의 비극적 성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운영전」의 비극이 갖고 있는 의미의 영역은 보다 넓게 이해해야 한다. 앞으로도 다양하고 깊이 있는 시각의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 「운영전」이 더욱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되길 바란다. 「Unyoungjeon(雲英傳)」is the almost sole tragic story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novel. So far, the author has been not identified and it is assumed that this story was written in about 17th century. Its original edition(先行本) is a Chinese version (漢文本) and there is a Korean version as a copy of a different version (異本) in the progress of translating it. The copy of a different version is called 「Yuyoungjeon(柳泳傳)」or「Suseonggungmongyurok(壽聖宮夢遊錄)」. This study quoted the body text of 「Unyoungjeon(雲英傳)」used in this study from 「Unyoungjeon」compiled and translated by Hee-Byung Park and Gil-Su Jeong, and made annotation with reference to 「Suseonggungmongyurok(壽聖宮夢遊錄)」which is the original text of a Chinese ver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m up that「Unyoungjeon(雲英傳)」is an original tragic story because there are the opinions that it is still not a tragic story.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seek the several evidences that it is possible to make it confirm as a tragic story through the frame-styled plot (story within a story) and characters. Firstly, this study set up this work as a dual frame-styled plot composed by '1st frame, 2nd frame and the tale within story' and then made clear that all stories in these frames are tragic. 'The 1st frame-styled plot' includes a tragic story based on the difficult situation of a narrator 'Yu-Young(柳泳)', 'Suseonggung', the atmosphere, the book which has been not introduced into the world and so on. 'The 2nd frame plot' also does a tragic story based on the atmosphere, the sadness and communication between 'Unyoung' and 'Kim Jinsa(進士)' - a person who has only passed the first examination among several examinations for becoming a public officer, etc. And 'the tale within story' is an obvious tragic story because a love story ends in death, too. Second,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is work is a tragic story by examining the personalities of 'Unyoung', 'Kim Jinsa' and a loyal prince 'Anpyeongdaegun' who are main characters of the work. In this work, except for the death of 'Unyoung', there is a tragedy that she could not help being frustrated due to the limit of her low class - a court lady in spite of her outstanding skills for poetry & prose and desire for power. 'Kim Jinsa' had different viewpoint of a poetry (詩觀) from the Confucianists of the age, selected prohibitions and became die tragically because he relied on 'Teuk' who was a disloyal servant. In addition, this story showed the tragic personality of 'Anpyeongdaegun' through the sad stories that he was a real person who lived a tragic life at the age of Joseon Dynasty, could not get 'Unyoung''s love and finally failed to construct a Utopia that he desired to make together with 10 court ladies. In conclusion, the range of tragic meaning shown in 「Unyoungjeon(雲英傳)」should be understood much widely. The researcher wish that 「Unyoungjeon(雲英傳)」will be evaluated more worthwhile via in-depth studies with various viewpoints from now on.

      • 3차원 집적 영상 시스템에서의 영상 화질 개선

        이연경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집적 영상 시스템에서의 영상 화질 개선 기법을 제시한다. 3차원 영상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양안 시차를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보조 도구로서의 안경이 필요하고 장시간 시청 시 피로감을 가져오며 수평 방향 시차만 제공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차원 영상 기술로 집적 영상 기술이 차세대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집적 영상 기술은 무안경식 방식으로 수직 수평방향의 연속적인 시차를 제공하여 장시간 시청이 용이한 환경을 제공한다. 집적 영상에서의 획득은 렌즈 배열 혹은 카메라 배열과 같은 광학적 장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 3차원 획득 방식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집적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집적 영상의 특징을 이용한 응용 분야 확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화 된 2D-plus-depth 영상을 기반으로 집적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해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또한 집적 영상을 활용한 응용분야로서 저 에너지 환경에서 얻은 영상의 에너지를 집적하여 고해상도 영상으로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실험 결과는 2D-plus-depth 영상에서 집적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질 열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응용 분야 실험에서는 산란 매질 환경에서 얻어진 영상의 화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presents image quality enhancement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in integral imaging systems. Three-dimensional imag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with advance in technology. Especially, stereo images based on binocular disparity mostly use in three-dimensional techniques. However, the stereo imaging has several limits of requiring eyeglasses, providing horizontal parallax only, and inducing fatigue. To overcome these limits, integral imaging has been studied as a next-generation technique since it does not require eyeglasses and can provide autostereoscopic 3D images that have full color an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parallax. Optical pickup in integral imaging demands a lens array or a camera array. Thus, a technique is required to generate integral images from traditional acquisi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images for real-time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integral imaging needs more variant applications. This thesis describes a rendering method from 2D-plus-depth imaging to integral imaging. Analyses on the generation process offer a technique for integral imaging. In addition, an improved reconstruction method is introduced to integrate energy of images in low energy environment. Experiment results with respect to generating integral image indicates that a proposed rendering from 2D-plus-depth imaging to integral imaging efficiently improves image quality. Also, a experiment result of an application in integral imaging shows that image quality in scattering medium is significantly enhanced.

      • TV프로그램 시청의 세대차이와 세대 간 소통에 관한 연구

        이연경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tion differences', which has been a critical problem in our society, 'media usage',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process of affecting viewers' awareness of reality by TV programs, which are the most common and influential media in modern society. It also argues that generation differences are a social phenomenon caused from individual's subjective perception. Regarding this, the study has a purpose to apprec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differences in watching TV programs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the study applies the 'Cultivation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discusses the impact TV viewers’ perception in terms of social reality and behavior pattern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generation of TV viewers could be divided an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ub-generation groups at the phenomenal level. For separating the generation of TV viewers, the study analyzed rating data as an indicator of empirical TV viewing behavior.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the researcher applied the five criteria of generation(kinship descent, birth cohort, life stage, historical cohort, advertising and marketing criteria) so that it could compare TV viewers’ motivations, viewing device, and amount of TV viewing according to the generation.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relevant it is between watching TV programs reflecte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t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For this, TV program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y generation. After that, through the online survey, the researcher measured viewing behaviors of TV programs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the generation differences,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V viewing patter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groups with regard to each generation. 2) There are also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watching TV programs such as motivations, watching devices, and the amount of TV viewing. 3) It has been verified that watching TV programs reflected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had an effect on the four parts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and size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Ground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overed the particular behavior of watching TV programs in sub-generation groups in various ways, and proved the influence of TV contents on viewers’ perception of social reality and behavior patterns. On top of tha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cultivation effects according to TV program characteristics, it re-verified the media effect theories and considered as to the role of TV programs as a mediator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세대차이’와 ‘미디어 이용행태’, 그리고 ‘세대 간 소통’의 관계를 탐색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TV프로그램 시청이 시청자의 현실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탐색하고, 세대차이는 개인의 주관적 지각에 의존적인 현상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TV프로그램 시청에서 나타나는 세대차이가 세대 간 소통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계발효과이론을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로 삼아 TV프로그램 시청이 수용자의 현실인식과 행위양식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TV프로그램 시청과 세대차이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TV시청자의 세대는 어떻게 구분되며, 세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현상적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TV시청자의 세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시청률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인 TV시청행태를 분석했다. 세대 구분을 위해서는 사회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세대연구의 성과와 미디어 분야에서 이루어져 온 이용자 집단 구분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기준(친족계보, 출생코호트, 생애주기, 역사코호트, 광고마케팅 기준)을 적용했다. 이들 세대 기준에 따라 TV시청자의 세대를 구분하고 세대 집단에 따른 TV프로그램 시청동기, 시청방식, 시청량을 비교했다. 그리고 둘째, 세대 특성이 반영된 TV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행태가 세대 간 소통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고찰했다. 이들 변인 간 관계는 다양한 변인이 통제된 상황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세대에 따른 선호도 차이(시청자구성비율)를 기준으로 하여 저연령층, 중연령층, 고연령층 세대의 주시청 TV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이를 전 세대에 걸쳐 고루 시청되는 통(通)세대 프로그램과 세대별(別) 프로그램(자(自)세대 프로그램과 타(他)세대 프로그램으로 구성)으로 구분했다. 이 때, 통세대 프로그램과 타세대 프로그램은 TV프로그램 시청의 세대 간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자세대 프로그램은 TV프로그램 시청의 세대 간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보았다. 이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들 프로그램의 시청행태와 세대 간 소통수준(세대 간 이해, 세대차이 지각,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능력과 불안감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을 측정함으로써 변인들 간 관계를 탐색했다. 분석결과, TV프로그램에 대한 노출정도(TV수상기를 통한 실시간 시청률)를 통해 살펴본 TV시청행태는 각 세대 기준의 하위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시청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세대 기준에 따라 특징적인 양태가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친족계보 세대 기준에 의해서는 구분된 하위 집단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세대를 구분하는 세분화 수준이 높은 경우들(출생코호트, 생애주기: 이상 7개, 역사코호트: 5개의 하위 집단으로 구분) 뿐만이 아니라 친족계보 기준과 동일하게 3개의 하위 집단을 구분하고 있는 광고마케팅 기준과 비교해서도 집단 간의 차이가 보다 명확히 구분되고 있어, 시청률을 기준으로 TV시청자를 구분하기에 유효한 기준이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TV프로그램 시청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들에서 나타나는 세대차이 역시 유의했다. TV프로그램 시청의 세대차이는 시청동기, 시청방식, 시청량의 세 가지 차원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다섯 가지의 세대 기준은 다양한 차원에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TV프로그램 시청동기에 있어서는 출생코호트, 생애주기, 역사코호트, 광고마케팅 기준이 정보추구, 휴식, 흥미의 세대 간 시청동기 요인을 유효하게 구분해내었고 친족계보는 정보추구와 휴식의 동기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차이만을 유효하게 구분해내었다. TV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식에서는 하위 집단 구분의 세분화 정도가 높은 출생코호트와 생애주기 기준에서는 TV수상기, PC/노트북, 휴대전화, 태블릿PC를 통한 TV프로그램 시청여부를 유효하게 구분해내었으나, 친족계보 기준과 역사코호트 기준에서는 태블릿PC를 제외한 세 가지 기기, 광고마케팅 기준에서는 PC/노트북을 제외한 세 가지 기기에서의 차이만을 유효하게 구분해냈다. 이를 토대로 TV프로그램 시청의 세대차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단편적이거나 획일적인 기준에 의해 명확히 구분되는 현상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세대 특성이 반영된 TV프로그램 시청이 세대 간 소통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종속변인에 대한 최종 연구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대 특성이 반영된 TV프로그램의 시청행태는 세대 간 소통의 네 가지 차원에 각각 다른 방향과 다른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통세대 프로그램은 세대차이 지각, 커뮤니케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세대 프로그램은 세대 간 이해, 타세대 프로그램은 세대차이 지각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세대 간 개방성이 높은 통세대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세대차이를 적게 지각하고 다른 세대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높은 능력을 가지며 반대로 불안감은 적게 느꼈다. 이를 통해 세대 간 개방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세대 간 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한 바는 지지되었다. 그러나 자세대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세대 간 이해수준이 높았으며, 타세대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세대차이를 많이 느낀다는 점에서는 연구자의 예측이 지지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차원의 변인들을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에 투입한 결과에서도 세대 특성이 반영된 TV프로그램의 시청행태는 세대 간 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과관계의 방향을 역으로 두고 분석을 시도한 대안 모형의 탐색 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대안 모형에서보다는 원안 모형에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군의 기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문화계발효과이론을 근거로 한 연구모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세분화된 세대 집단에서의 TV프로그램 시청행태와, 다변화된 매체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개인의 인식구조와 행위양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TV콘텐츠의 영향력을 확인했다. 아울러 TV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문화계발효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효과이론을 재검증하고 세대 간 소통의 매개자로서의 TV프로그램의 역할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