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동놀이가 위축성향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수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The followings are the goals of this study: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Second, to confirm if the effect of cooperative pla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ith withdrawal would continue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 Having selected two children whose withdrawal behavior scale of the K-CBCL(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is over 70T, this study employed the multiple baselines across subjects design. Then, The cooperative play program was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a peer relationship of these two children by promoting their peer-to-peer mutual action. Also, after the period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 was observed. Then, a week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whether this peer relationship had been main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e baseline period was observed. Visual analysis by graph was adopted to analyze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target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ve pla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preschooler with withdrawal. Second, the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cooperative play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f teachers discover the withdrawn personality in children during the early stage and employ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cooperative play, such children will be able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spontaneously.

      • 단위학교 외부재원 유치에 대한 연구

        이수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towards the education conditions through fund raising and its status and problems in order to promote fund rai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education conditions of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the necessity of fund raising for schools? Third, what is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owards the status and problems of fund raising for schools? Fourth, what is the method of fund raising for school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randomly selected 230 education administrators in Jeonllabuk-do and total of 161 vali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test, F-test,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ducation administrators a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ditions in overall but they put emphasis on fund raising out of infinite potentials of education. The educations administrators working in schools think that level of school accounting and education⋅facility conditions are relatively high but they think fund raising is require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school budgets providing only the minimum expenses including fixed costs. That is, the results reflected the high level of expectation towards the education by parents of Korea. Second, fund raising is not being conducted voluntarily and proactively. Furthermore, systematic conditions and recognition are not prepared for fund raising to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Compared to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fund raising was carried out in rather passive ways or was excessively dependent on local authorities. In reality, fund raising is being conducted by depending on ability and intention of school principals but it is being carried out very carefully because of the regulations to prevent injustice. In high schools where alumni associations exist or gain attentions from the public, fund raising is relatively active compar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onating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schools of Korea like in advanced countries. Third, desirable method for fundraising is one that principals passionately devise appropriate measures. Bazaars and activities attracting fund from companies are inactive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where donation is well established in the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current situations, policies should be enacted and there should be changes in recognition. There are too many limitations in fund raising in schools of Korea and there are no positive incentives which are acting as regulations. That is, school principals are not motivated to attract funds from companies or corporations when there are no incentives when doing so. Also, the principals are public officials so they should just carry out fund raising passively when there are no rewards from the government. As mentioned above, fund raising in schools is institutionalized by implementation of school development fund policy but fund raising activities are not as active as expected due to lack of rewards and anxiety about negative comments. In addition, necessity of invest in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the public and donating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like in advanced countries while appropriate policies are enacted. When additional fund is secured, it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Also, in order for better education conditions to be created, principals, teachers, parents, local society and companies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expand funds to be invested in education.

      •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 유형

        이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인지기능이 손상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에 대한 주관적 구조를 확인하여 간호사가 수행하는 치매환자 통증사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치매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통증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2008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간호사 30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PC-QUANL program으로 Q-요인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Ⅰ은 언어적 표현에 근거한 탐색형으로, 유형 I은 치매 환자의 언어적인 통증호소에 공감하여 믿는 것과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의 단서와 여러 절차를 걸친 순차적 ·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지속적으로 탐색해 나가면서 통증확인을 하는 유형이다. 유형 Ⅱ는 신체적 증상에 근거한 추론형으로, 치매환자에게 확인되는 신체적 증상에 관한 근거자료를 통해 통증을 확인해 나가는 유형으로 아울러 주로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Ⅲ은 비언어적 표현과 기능상태를 통한 확인형으로, 얼굴표정의 직접적인 변화를 보고 통증을 확인한 후 몸의 기능을 살펴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로 삼아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으로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Ⅳ는 음성적 표현 공감형으로, 환자의 통증에 공감하고 믿어주는 정서적 접근을 주요 방법으로 통증을 확인하고 있으며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와 순차적 절차를 통한 종합적인 방법에 의해 치매환자의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유형 V는 객관적 신체 지표의 순차적 비교 확인형으로, 통증관리 경험에 기반한 객관적 신체 지표 확인의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절차에 따라 치매환자의 통증확인을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통증을 나타내는 우선순위에 따라 신체적 증상의 근거자료를 비교해 나가면서 통증을 확인하는 유형이다. 위 연구결과로부터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1) 간호사들이 통증확인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 근거한 통증확인에 대한 주관적 구조를 근거로 한 치매환자의 통증확인을 위한 통증사정도구 개발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 호텔 종사원의 역할스트레스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감성지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연구

        이수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ole stresses, innovative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between role stresses and innovative behaviors so as to propose the implications to lessen their role stresses. To do so,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subjects of hotel employ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ju City. A total of 500 copies of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470 copies collected were used for sampling. With 470 copies of the effective samples excluding insincere data among collected ones from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stablished hypothes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es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among role stresses. On the other hand, role conflict among role stress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econ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the hotel employees on emotional intelligence, bot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Thir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the hotel employees on job engagement, bot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showed negative impacts on job engagement, significantly. Four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Fif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on innovative behaviors, job engagement showed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s, significantly. Sixth, with regard to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hotel employees,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between role stresses including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innovative behaviors. Seventh, with regard to the mediated effects of job engagement of the hotel employees,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f job engagement were found between role stresses including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innovative behaviors. Some limitations to be potentially raised from the study process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nd further study directions would be proposed to overcome these. First,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limited for the hotels only in the regions of Gwangju and Jeonju, and number of respondents was not consistent by functions in the hotels, which implicates the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Second,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the survey to determine the objective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can be biased with stereotypes and subjective values of the respondents. Third, not only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factors are important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innovative behaviors of the hotel employees.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focusing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t meaning to propose the management plans with positive outcomes for human resources in the hotel organizations, suggesting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on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between role stresses and innovative behaviors of the hotel employees.

      •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이수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 2세반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와의 애착이 어린이집에서의행동문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기질과 애착이 행동문제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애착이 기질과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중재하는지 분석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15곳에 재원중인 만 1, 2세반 영아 24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보육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Saslow(1993)의 걸음마기 기질 척도(TTS)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와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Waters와 Dean(1985)의 Q-set를 박은경(2004)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Larzelere, Amerson과 Martin(1989)이 제작한 걸음마기 아동행동평가척도(TBC)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연령에 따른 기질, 애착,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질 중「활동성」과 「접근-회피」는 성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남아가 여아보다 활동량이 많고, 여아가 남아보다 새로운 상황에 회피하는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질 총점」과「적응성」,「반응강도」,「기분」은 연령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만 1세반 영아가 만 2세반 영아에 비해 기질이 더 까다롭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반응표현이 격렬하고, 부정적 기분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은 성과 연령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중「행동문제 총점」과「공격적 행동」,「미성숙 행동」은 연령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나, 만 1세반 영아가 만 2세반 영아에 비해 공격적 행동과 미성숙 행동의 행동문제를 더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문제 총점」과 「정서불안 행동」,「미성숙 행동」,「위축 행동」은 성과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만 1세반은 남아에 비해 총 행동문제와 정서불안 행동, 미성숙 행동, 위축 행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만 2세반 때는 남아보다 낮게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만 1세반과 만 2세반 간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질 및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를 살펴본 결과, 만 1, 2세반 영아 모두 기질 중 「활동성」은 애착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기질 총점」과「반응강도」,「접근-회피」는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만 1세반 영아는 애착과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만 2세반 영아는 애착과「행동문제 총점」,「공격적 행동」,「위축 행동」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만 1, 2세반 영아 모두 기질 중 「반응강도」가 애착을 중재로 어린이집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만 1, 2세반 영아가 반응표현을 격렬하게 하더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수준이 높으면 어린이집에서 나타내는 행동문제의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만 1, 2세반 영아가 반응표현을 격렬하게 하더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수준이 높으면 어린이집에서의 행동문제가 적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로 인해 어린 영아의 보육시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영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 , 행동문제에 대한 조기개입과 예방적 차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SNS를 활용한 소통능력 개선 사례 연구 : 특수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이수정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수학생의 개인적 장애가 아닌 정서 문제에 주안하여 연구하였음을 강조 한다. 부모와 자녀가 소통하지 못함으로 인한 학교폭력 문제가 나날이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특수학급 J학생 역시 정서적 불안 문제가 부모와의 소통부족임을 학생과의 상담에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J양과 생업으로 바쁜 부모가 대화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해보았다. 최근 전 국민이 소지하고 있다 하여도 무방할 스마트폰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와 연계되고 있다. SNS에는 개인의 사진이나 글을 쉽게 기재할 수 있으며 이를 불특정 다수 혹은 특정사람들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자는 이 SNS의 장점을 본 연구와 결합하여 스마트폰 중에서도 SNS를 매개로한 부모와 자녀 간 소통을 연구 내용으로 택하였다. 매개로 사용할 SNS는 학생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선택하였다. SNS에 기재할 소재 측면으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학생과 부모 모두가 원하는 수업으로써 학생에게는 놀이, 학부모에게는 자녀의 주요 교과목 학습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특수학급교사의 지도아래 주당 6시간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8개월 동안의 수업 내용들은 과정 및 결과가 사진 및 비디오로 기록되었다. 수업 활동을 학생 SNS에 기재하는 행위가 초기에는 학생이 교사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는 형태였다. 그러나 점차 학생이 스스로 자료를 SNS에 올리면서 연구가 의도하는 바로 나아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프로그램을 통해 학급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 수업활동을 부모가 확인하면서 소통활동이 되었다. 생업으로 바쁜 학부모가 활동의 사진을 보고 아이와의 이야기 거리를 만들어주었다. 둘째, 학생은 스스로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얻으며 자신감을 되찾았다. 그리고 눈에 띄게 밝은 학교생활로 전환되었다. 셋째, 특수학생의 문화예술교육활동이 증가하였다. 특수학생에게 삶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 교육이다. 따라서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수업 내용 중 생활기술과 관련한 분야역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교육하였다. 넷째, 특수학생의 관심이 문화예술 활동에 집중되었다. 텔레비전 외에는 관심이 없는 학생이 공연이야기, 그림이야기, 손으로 만들기, 요리등 하고 싶은 문화예술 활동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모자녀 간 SNS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은 소통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매체를 뛰어넘어 부모와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발전되기를 바란다.

      •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이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안도 다다오의 사회공헌가적 측면과 더불어 그가 설계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연구이다. 안도 다다오의 사고가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이해를 기본으로 두고, 사회공헌가로서 그의 활동과 공간디자인의 세부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사례의 해석은 공간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퀀스 맵, 그리고 안도 다다오가 지닌 사고의 특성에서 나타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가 그 토대이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로 제목하고 제 1장 서론, 제 2,3장의 본론, 제 4장의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대하는 안도 다다오의 사고에 대한 고찰과 그로 인한 상호 관계적 표현 양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고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사회공헌가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를 새롭게 조명하는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제 3장>은 2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그 내용으로 한다.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에서 선정한 안도 다다오의 9개 공간을 직접 조사하여 공간의 개요와 형태적 특성, 재료적 특성, 자연의 도입, 중심 공간이 나타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경험하는 인간의 동선 변화 과정을 시퀀스맵을 통해 해석하였다. 또한 제 2장에서 논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를 통해 그것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결에서는 각 사례 해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전장에서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사회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와 그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의의를 결론으로 맺음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iscovering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pace design. Tadao Ando's way of thinking is based on the harmony among human, space and nature. With this understanding, Tadao Ando's activities as a social contributor and his detail characteristics will be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is done through case study about space experiences Tadao Ando designed. Practical case interpretations rely on the categor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sequence map, and characteristics of his thinking. For this interpretation focus, I titled this thesis "A study on space characteristics of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and 3 are body. Chapter 4 is conclusio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s of research are discussed.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fundamentals of this research such as contemplation about his way of thinking on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correlation in expressing them as a result. I review his aspect of a social contributor which reflects hi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At the end of chapter 2, Tadao Ando's idea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3, case studies are done with the content of chapter 2. The method of case study is to visit and survey 9 spaces that are selected by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 space overview, formal characterics, introduction of nature and general characterics of space core are surveyed and after, the flow of human movement is analyzed through sequence map.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s mentioned in chapter 2 is derived through correlational classification At the end of chapter 3, each case is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4, with overall conclusion, characterics and meanings from conclusion ar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