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VB로 유도된 피부암에 대한 Opuntia humifusa의 항암 효과

        이수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has been validated that UVB irradiation induced both squamous and basal cell carcinomas, as a tumor initiator and promoter. Opuntia humifusa is a member of the Cactaceae family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our previous study to have a chemopreventive effect in 7, 12-dimethylbenz[a]anthracene and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duced skin carcinogenesis model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O.humifusa against photocarcinogenesis. O. humifusa was administrated to mice as a dietary feeding, following exposure to UVB radiation (180 mJ/ cm2) twice a week of 30 weeks for skin tumor development in hairless mice. Dietary O.humifusa inhibited UVB-induced epidermal hyperplasia, infiltration of leukocytes, level of myeloperoxidase an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and interleukin-6 (IL-6), in UVB exposed skin. Also, O.humifusa significantly inhibited both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cyclooxygenase-2 (COX-2),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cyclin D1 compared to the non-O.humifusa treated group.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humifusa could inhibit photocarcinogenesis in mouse skin and that protective effect i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not only UVB-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volving COX-2, iNO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but also the down-regulation of UVB-induced cellular proliferation.

      • IPA분석을 통한 지역 스포츠이벤트 서비스품질 평가와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재참가의도의 관계 분석

        이수길 목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역 스포츠이벤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품질에 대한 IPA분석과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행동의 관계를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스포츠이벤트 참가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요소의 추출과 재방문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연구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대상은 2012년 9월 22일부터 23일까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개최된 전라남도지사기 생활체육배드민턴대회에 참가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으로 표본을 추출하였고, 최종분석에는 662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특히, 결과도출을 위한 통계분석방법으로는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와 IPA분석(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실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의 상위 10개 문항은 ①효율적인 대회 진행, 대회 참가의 유익성, ③공정한 경기 진행, ④심판 판정의 신뢰성, ⑤문제발생시 신속한 대응, ⑥대회운영의 전문성, ⑦충분한 운영진, ⑧참가자를 지원할 준비, 대회의 전통과 명성, 참가비용의 적정성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도의 상위 10개 문항은 ①대회 참가의 유익성, ②운영진의 신속한 응답, ③대회의 전통과 명성, ④효율적인 대회 진행, ⑤공정한 경기 진행, ⑥문제발생시 신속한 대응, ⑦충분한 운영진, ⑧참가자를 지원할 준비, 심판 판정의 신뢰성, ⑩대회운영의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문항 간, 요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1, p<.001), 운영진의 신속한 응답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으며, 요인 간 분석에서도 중요도의 평균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속유지에 해당하는 Ⅰ사분면은 운영진의 신속한 응답, 공정한 경기진행, 효율적인 대회진행, 대회 참가의 유익성, 대회의 전통과 명성의 5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과잉노력지양의 Ⅳ사분면은 경기장 규모, 충분한 부대시설, 편안한 관람석, 대회장 내부 청결, 문제발생시 신속한 대응, 충분한 운영진, 참가자를 지원할 준비, 대기 및 연습공간, 많은 경기 수 보장, 의료원 및 장비 준비, 심판 판정의 신뢰성, 대회운영의 전문성, 참가자에 대한 관심, 참가비용의 적정성 등의 14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응답성과 서비스가치(경로계수 .182, t=1.990, p<.05), 중요도공감성과 서비스가치(경로계수 .587, t=5.791, p<.001),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경로계수 .808, t=19.821, p<.001), 서비스가치와 재참가의도(경로계수 .143, t=2.294, p<.05), 고객만족과 재참가의도(경로계수 .677, t=9.432,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성취도유형성과 서비스가치(경로계수 .245, t=2.432, p<.05), 성취도공감성과 서비스가치(경로계수 .706, t=8.745, p<.001),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경로계수 .841, t=20.279, p<.001), 서비스가치와 재참가의도(경로계수 .188, t=2.774, p<.01), 고객만족과 재참가의도(경로계수 .631, t=8.382,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메가 이벤트의 경우 시설이나 환경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지만 지역별 특성에 맞춘 지역 스포츠이벤트는 대회운영면의 강화를 통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잘 계획된 지역 스포츠이벤트는 투자대비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개최에 대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적인 투자보다는 대회운영에 대한 서비스품질의 향상을 추구해야 한다. 이는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회운영에 대한 높은 기대와는 달리 낮은 성과의 연구결과가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단일대회 또는 일회성 대회가 아닌 역사와 전통을 갖춘 지속적인 이벤트개최를 지향해야 한다. 이는 대회참가자의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대회가 갖은 중요성과 가치를 향상시켜 경기요소 이외의 부분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 내·외적 요소에 대한 서비스품질을 향상시켜 참가자의 만족과 재참가를 이끌어내는 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신규고객을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실행을 통해 기존 고객의 재참가를 이끌어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raw service quality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nts' satisfaction at sports events and develop research models which induce their revisit by conducting IPA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analysis of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and customer behaviors with local sports events particip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Jeonnam-do Province Governor Flag Life Badminton Tournament held in Boseong-gun, Jeollanam-do from September 22 to 23, 2012.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sample extraction and 6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to draw results included t-test(paired t-test), IPA(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top 10 items for importance included ①the efficient progress of events, ②the usefulness of participation in events, ③fair event progress, ④reliability of referee's decision, ⑤quick coping with problems, ⑥professional event operation, ⑦sufficient operation staff, ⑧preparation to support participants, ⑨the tradition and reputation of events, and ⑩appropriate participation fee. The top 10 items for performance included ①the usefulness of participation in events, ②staff's quick response, ③the tradition and reputation of events, ④the efficient progress of the events, ⑤fair event progress, ⑥quick coping with problems, ⑦sufficient operation staff, ⑧preparation to support participants, ⑨reliability of referee's decision, and ⑩professional events oper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items and between all factors(p<.01, p<.001), all importance items but staff's quick response had high means, and factor analysis also showed high mean of importance. Quadrant I(Keep up the Good Works) included 5 items such as staff's quick response, fair event progress, the efficient progress of events, the usefulness of participation in events, and the tradition and reputation of events. Quadrant IV(Possible Overkill) included 14 items such as court size, sufficient incidental facilities, comfortable seats, cleanliness, quick coping with problems, sufficient operation staff, preparation to support participants, waiting and practice space, guarantee of many game frequency, medical center and equipment, reliability of referee's decision, professional event operation, concern for participants, and appropriate participation fe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responsiveness and service value(Path coefficient .182, t=1.990, p<.05), importance empathy and service value(Path coefficient .587, t=5.791, p<.001),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Path coefficient .808, t=19.821, p<.001), service value and revisit intention(Path coefficient .143, t=2.294, p<.05),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Path coefficient .677, t=9.432, p<.001).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assurance and service value(Path coefficient .245, t=2.432, p<.05), performance empathy and service value(Path coefficient .706, t=8.745, p<.001),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Path coefficient .841, t=20.279, p<.001), service value and revisit intention(Path coefficient .188, t=2.774, p<.01),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Path coefficient .631, t=8.382, p<.001). In conclusion, although it is important to invest environment and facilities in mega events, local sports events fit to local characteristics could increase satisfaction through the enhancement of event operation. In particular, well-planned local sports events can have great return on inve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operation strategies to hold local sports events as follows. First, service quality of event operation should be improved rather than facility investment. It is supported in lower research results compared with high expectation of event oper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Second, continuous events with history and tradition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single or one-time events. It will heighten participant's interest, improv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vents, and serve as a positive element other than game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of sports events to induce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revisit. Specifically, strategies to attract the existing customers rather than new ones should be established to induce the existing customers' revisit through related active implementation.

      •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실시간 허용전류 산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수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국가 기간 전력망 중 주로 도시지역에 설치되는 지중 전력케이블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실시간으로 허용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등가회로와 알고리즘 및 이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성하였고 실험 검증을 통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의 신뢰성을 확보한 후 실제 지중 선로에 설치하여 주변 환경에 따른 실시간 허용 전류 및 용량을 산정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복잡한 형상과 전기/열적인 제반특성을 간단한 전기회로로 등가하기 위하여 IEC60287-2을 만족하는 하는 등가회로로부터 단순화된 등가회로를 유도하고 적합한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실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시 계산부하가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구성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적합한 길이의 실제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최적의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한 후 보정된 파라미터를 대입한 실험 결과 오차 검증을 통하여 얻어진 파라미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등가회로, 계산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실험 보정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장거리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수십 km 구간의 전력케이블의 온도를 1m 이내의 정밀도로 각각 측정할 수 있는 분포온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분포온도 측정장치의 오차 범위를 최적화 하고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적합한 검증 방안을 설계하고 제시된 검증 방안을 통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에 사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분포온도 측정 데이터를 개발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최적화 하였으며 실선로에 설치 후 설계된 시스템 자체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실시간 송전 전력량과 주변 환경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 km 구간의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일부 구간에서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온도가 가장 높은 구간이 나타났으며 그 구간을 Hot Spot이라고 칭하고 주변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 가능하였다. Hot Spot을 기준으로 송전용량을 제한하는 정량적인 규제가 가능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불확실성 때문에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설비 용량 산정에 여유가 있으나 본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방식으로 계산한 송전용량보다 최대 15% 정도의 증용량 송전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열적인 상태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단시간 허용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본 결과를 바탕으로 비상시 초고압 지중 전력케이블의 단시간 송전 허용 용량을 산정하는데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by the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the equivalent circuit and the calculation algorithm for dynamic rating including the software and hardware were developed to estimate the dynamic ratings of extra high voltage underground power cable systems which is mainly installed in near by urban areas to enhance the capacity efficiency, and the developed dynamic rating system was applied and evaluated its usefulness in real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To simplify the complex thermal topology of extra high voltage underground power cables, the optimal equivalent circuit was derived modified from the equivalent circuit following IEC60287-2 to enhance the adoptability to computer aided calculation. The data from the designed system was evaluated testing at appropriately long extra high voltage underground power cable. The boundaries of the error value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was fed back to upgrade the parameters used. As a final step, the test with upgraded parameters showed the acceptable result. After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prototype, the dynamic rating system for the transmission line was designed incorporating the distributed temperature system technology which could measure the distributed temperature with lower than 1m interval along multi kilometer's extra high voltage underground power cables without any interferences by electro magnetic field. The fundamental technologies were verified and the reliability was proven by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 processes for underground and electrical use. After the installation of dynamic rating system in real underground transmission system, the performances has been evaluated whether it follows the design value and the dynamic rating system has been operated for the real analysis on the real conditions. There has appeared several hot spots which means the location of highest cable temperature along the several kilometer long cable route and the detailed analysis has been followed. By this study, the value based permissible power transmission limit has been possible regarding to the hot spot condition. The static rating could upgrade about 15% on the basis of the exact values. The emergency rating also could be estimated more exactly by the concurrently measured and calculated data.

      • 전기철도차량 운행특성을 고려한 열차 전력품질 개선 연구

        이수길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전기철도차량은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부정책에 부합하고 높은 에너지 효율의 장점을 바탕으로 대중 교통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국내 철도노선의 약 56[%]가 전철화 되었으며, 2020년경에는 약 86[%]의 전철화율을 계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기철도차량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여 여객수송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전기철도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을 위해서는 충분하고 우수한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기철도의 특성상 열차부하는 시간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고 순간적으로 대전력을 사용하며, 전력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회생제동에너지를 가선으로 전송하는데, 이는 급전 선로의 전력품질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행되고 있는 차량제어방식에는 다이오드 정류방식에 의한 저항제어방식과 산업선에 운행되고 있는 전기기관차의 싸이리스터 위상제어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제어방식은 저차고조파에서 부터 고차고조파를 발생시켜 전력품질을 저하하고 전기기기의 오동작을 발생시키고 있다. 근래에 제작되어 운행하는 전동차는 견인전동기의 제어기술 발달로 대출력이면서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전력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견인전동기를 교류전동기인 3상 유도전동기가 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전류를 고속 스위칭하므로 인해 비교적 많은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교류급전방식의 경우 전기차의 추진제어장치는 유도전동기의 견인제어를 위해 인버터를 사용하여 VVVF 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버터 입력단에 필요한 직류를 공급하기 위해 브리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사용한 세미 브리지 PWM인버터를 견인 인버터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PWM 인버터 제어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를 비롯한 비선형 소자에 의해 고조파가 많이 발생한다. 고조파 성분 함유율은 국제적으로도 규제하고 있으며, 전원의 고조파 영향으로 운행 차량내 전기설비, 열차제어 오류, 철도신호설비, 변전제어설비, 역무자동화 설비 등에 기기 오동작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에 발생하는 고조파 및 전압변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철도차량의 고조파는 VVVF 인버터 차량의 수요증가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고조파 저감 VVVF 제어, 오동작 방지를 위한 차량내 전기전자 기기에 대한 고조파 노이즈 대책설계 등으로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있다. 또한 열차의 추진 및 제동으로 인한 대전력 견인 부하를 수시로 사용함으로써 고조파뿐만 아니라 전압변동에 따른 전력기기 손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기철도차량에서의 고조파 및 전압변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전기철도차량에 전력필터 및 수퍼커패시터 뱅크를 이용한 회생에너지 저장장치를 설치하여 전기철도차량 전력품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해 전기철도차량용 전력필터를 설계하여 고조파 발생기를 통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 그리고 전기철도차량용 회생에너지 저장을 통한 고조파 전류 및 전압변동에 대한 철도차량 전력계통에 유입을 방지하기위해 회생에너지 저장장치를 설계하였으며, 회생에너지 저장장치의 성능 검증을 위해 차량모의 부하를 이용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회생에너지 저장장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전기철도차량에 본 시스템을 설치하여 현장 실부하 시험을 통해 최종 성능 및 효과를 검증하여 제안된 방법이 전기철도차량에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rolling stock(RS) of electric railway has been popular as public transport means for its high energy efficiency as well as the advantage that corresponds with government's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About 56[%] of domestic railway network has been electrified, which is expect to reach around 86[%] in 2020. The demand for RS of electrical railway has been on the rise to take the most part of passenger transport. Good quality power energy shall be supplied for stable operation of electrical railway. However the load of electrical railway tends to mov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using the momentary high power and transmission of regenerative breaking energy to the wire by using power semiconductor element has deteriorated the electric power quality of railway. The old motor car with rheostatic control system by diode rectifier and the electric RS with thyristor phase control system generate both the low-order harmonic and high-order harmonic distortion which deteriorate the power quality as well as to cause the malfunction of electric devices. The motor currently manufactured tends to use the 3-phase induction motor which is the alternating current motor thanks to development of switching element which enables to do high-speed switching despite of high power in line with control technology of traction motor. But relatively large electromagnetic waves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high power at high speed. When it comes to AC traction power system, the traction control system of electric RS implements VVVF control using inverter for traction control of induction motor and to supply the DC power for inverter input, it uses semi bridge PWM inverter using bridge diode rectifier as traction inverter. However, the harmonic generated by electric RS to power supply cause the harmonic by nonlinear element including switching noise generated by inverter control.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is internationally controlled and the harmonic of the power causes the malfun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train control system, signaling system, power transformer and 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This study hence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the measures to effectively mitigate the harmonic and voltage regulation generated by rolling stock. The harmonic from electric RS is inevitably generated due to increasing VVVF inverter RS and it causes many technical challenges with regard to control of VVVF for reducing the harmonic and design to deal with harmonic noise of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s in RS. And the damage to power equipment by voltage regulation, besides the harmonic, due to frequent using of high power traction load for traction and braking has been occurred. In this study, the measure of installing the power filter and capacity bank on electric RS to improve the power quality was proposed. An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asure, a power filter for electric RS was designed and performance test was carried out, using a harmonic producer. The improved power quality by preventing the harmonic current and voltage regulation from transferring to RS power system in a way of storing regenerative energy for electric RS was proved. It’s further necessary to carry out the actual load test of the system after installing on electric RS to prove the performance so as to apply the system for electric RS in the coming days.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의 현황분석

        이수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참여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중앙과 지방이 상생하는 국가균형발전 전략을 설정하였다. 이의 추진동력을 재정이 뒷받침 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2005년도에 신설하였다. 균특회계는 여러 부처에서 추진하던 국고보조사업을 하나의 특별회계로 통합하여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방자치단체에 지출한도 범위 내에서 사업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지방의 자율성을 향상시켰다. 균특회계는 정부의 지방분권로드맵에 따라 추진되었으며 지방재정조정제도 혁신과정에서 국고보조금, 지방양여금, 지방교부세 개편과 함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당초 도입 당시 2개의 계정으로 출발하였지만 제주특별자치도의 설치로 2007년도에 제주특별자치도계정이 신설되어 현재는 3개의 계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배분하는 지출한도도 초기에는 과거의 지원실적을 바탕으로 산정하였지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재원배분모델을 개발하여 지출한도 산정의 공정성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도입된 지 4년여가 지난 지금 균특회계를 운영하면서 정체성, 대상사업, 운영체계, 예산편성방식, 재원배분방식 등에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특회계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이러한 문제점들을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하고 실질적인 해결방안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균특회계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도입배경과 과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의 해결을 위하여 포괄보조금제도를 적극 도입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지방자치단체에 포괄적인 재량권을 부여함과 동시에 성과평가를 강화하여 지방의 책임성도 강화시켜야 한다. 대상사업도 성격별로 분류하여 균특회계에 존치하여야 할 사업, 일반 국가보조사업으로 이관하여야 할 사업 등으로 구분하여 사업 구조조정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재원배분방식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차이가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재정력이 떨어지는 지방자치단체에는 지방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적 방안인 차등보조율 제도를 확대할 것도 제안하였다.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권한 배분 개선도 제시하였다. 균특회계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업들 대부분은 기초자치단체에서 계획하고 집행하는 사업인데 예산을 배분하고 결정하는 권한은 광역자치단체가 가지고 있다. 사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는 기초자치단체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여 사업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초자치단체의 책임성도 높여야 한다.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set, as one of its national challenges,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order to support the strategy financially,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in 2005. The special account served to enhance the local autonomy by integrating various projects of relevant ministries subsidized by the national treasury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financial operation and authorizing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o choose projects within the scope of their financial expenditure. The special account has been operated according to central government's road-map for decentralization, and its institutional ground has been arranged by overhauling subsidies/grants/transfer of tax revenu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course of reforming the local finance coordination system. Initially, the special account started with two sub-accounts, but as Jeju Special Autonomous Province was established, another sub-account was added to the special account in 2007. Currently, the special account is being operated three-fold. The ceiling of central government's expenditure for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past financial support, but an objective and reasonable resource distribution model was developed only to ensure that the ceiling of central government's expenditure would be estimated in a fairer way. However, at this juncture of time when some 4 years have passed since its introduction,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poses various problems in terms of identity, target projects, operation system, budget and resource distribution. Hence, this study intensively examined and analyzed such problems as found in operation of the special account and thereby, suggested their effective and institutional solutions. In order to establish identity of the special account, this study theoretically analyzed background and process of its introduction, and thereby, suggested introduction of a package subsidy system as a solution. In addi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authorize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o exercise a comprehensive discretionary power, while strengthening the performance appraisal to make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more responsible financially. The target projects need to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to those to be covered by the special account, those to be transferred to the ordinary projects subsid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so on, for sustainable project restructuring. In terms of resource distribu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financial capacity differed among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system which was designed to relieve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with poor financial capacity of their financial burde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reform measures for division of authority between metropolitan/provinci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nd uni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While most of the projects supported by the special account are planned and implemented by uni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he authority to allot and permit the budget lies in metropolitan/provincial administration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drastically mandate to the uni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he substantial authority to implement the projects and thereby, enhance efficiency of project implementations and responsibility of the uni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 배드민턴 동호인의 배드민턴 라켓 구매 결정 요인 분석

        이수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의 배드민턴 라켓 구매 성향을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과 소비자 만족도, 그리고 구매 후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 배드민턴 라켓의 개선점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배드민턴 라켓제조업체의 품질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은 목포, 무안, 신안지역에 거주하는 배드민턴 동호인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조사 하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 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와 답변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305부를 회수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인 김재업(2001), 안선영(2002), 서성필(2002), 안희주(2004),유병인(2007), 유성근(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문항을 참고로 하여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구하여 설문 문항을 추출․수정․보완하여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예비 조사(Pilot - test)를 실시하여 설문 내용의 적합성과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연구에 접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내용이 불성하여 응답 내용에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이중기입 무기입 자료 등은 자료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부호화 (coding)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프로그램 16.0 version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구매결정요인과 만족도, 구매 후 행동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T-test, ANOVA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 검증 하였으며, 위와 같은 연구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라켓 구매 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은 연령에 의한 차이는 나타났으나, 성별, 직업, 학력, 소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 후 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길 서울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원천적인 노력은 가족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선행연구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에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여가시설 이용 중인 만 60세 이상의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인 절차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로 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증가할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의 검증결과, 가족탄력성은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참여활동이 높을 것이라는 두 번째 가설의 검증결과, 가족탄력성은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는 세 번째 가설의 검증 결과 사회참여활동은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가족탄력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네 번째 가설의 검증 결과, 사회참여활동은 가족탄력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가족탄력성, 삶의 질, 노인의 가족탄력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활동

      • 공무원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요구도 분석

        이수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국가위기는 국경과 한계를 초월하여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그 유형을 불문하고 국가운영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인간 생활의 혼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 안전관리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최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재난 담당 공무원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행하였으며, 채집된 자료로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나타난 요구도의 순위와 The Locus for Focus 그래프의 1사분면에 나타난 결과 항목과의 비교를 통해 최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협력성, 대비단계, 예방단계, 대응단계가 가장 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할 상위항목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1순위인 협력성 중에서는 조직과 기관의 수행역할과 내용인지 항목이 최우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순위인 대비단계 중에서는 체제구축(대응) 항목이 최우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순위인 예방단계 중에서는 재난계획(기획, 행정 능력 등) 항목이 최우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4순위인 대응단계 중에서는 현장 안전관리(안전점검관, 담당관)와 구급(응급구조) 항목이 최우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을 상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 공무원 교육 훈련이 더욱더 적합한 시스템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전략적 방안 모색의 기틀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