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조(正祖)의 상실 극복 과정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

        이세중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 문 요 약 정조(正祖)의 상실 극복과정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 이세중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인간은 필연적으로 삶 속에서 상실과 그에 따른 슬픔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상실 경험을 마주하는 태도는 사람마다 상이하다. 누군가는 상실을 의연하게 극복하고 성장하지만, 누군가는 상실에 좌절하고 상처가 심화된다. 우리 역사의 두 임금인 연산군과 정조는 부 혹은 모의 비극적 상실을 경험한다. 연산군은 상실과 슬픔을 극복하지 못하고 폭군으로 남았으나 정조는 성군의 평가를 받는 훌륭한 왕으로 역사에 남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正祖)의 삶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고 그 삶 속에서 상실경험과 그 극복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정조의 상실 경험은 Sofka(1997)가 제시한 4가지 상실 분류체계인 죽음으로 인한 상실, 관계 상실, 기타상실(심리, 물리), 역사적 사건으로 인한 상실을 기초로 하였으며 정조가 남긴 기록과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심리적 상실을 보다 세분화하여 각각 정체성 상실, 정당성 상실, 안전감 상실, 신뢰감 상실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상실들을 어떠한 태도와 방법으로 극복하였는지, 극복 장면에서 스스로 기록한 마음의 상태는 어떠하였는지를 중심으로 해당 장을 정조의 생애 흐름에 따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정조의 상실경험 극복과정에서 발견된 (외상 후)성장의 원리와 전략을 상담학적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상실 극복과 성장의 원리는 각각 건강하게 잊고 앞으로 나아가기: 삼매(三昧)의 원리, 신뢰와 지지의 토대 마련하기: 동덕(同德)의 원리, 지금 여기에서 삶의 목적 선택하기: 원도(遠圖)의 원리, 깊은 공감으로 공동체적 삶 지향하기: 애민(愛民)의 원리로 구조화하였다. 삼매의 원리는 정조가 평생 가까이해온 독서와 활쏘기 행위를 행하는 독특한 태도에서 찾은 원리로써 해당 행위에 고도로 집중하여 상념과 고통을 잊고 한 차원 높은 경지로 나아감을 뜻한다. 삼매경(三昧境)의 도달을 돕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가 삼매(三昧)할 수 있는 대상을 함께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내담자는 이를 통해 건강한 방식으로 상실로 인한 슬픔을 잊고 더 나은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동덕의 원리이다. 정조가 평생 사귄 벗들의 모임인 동덕회와의 관계를 통해서 추출한 원리로써 ‘나’를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의미 있는 타인(들)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사회적 지지는 일생동안 내담자의 정신 건강증진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아울러 의미 있는 타인(들)은 내담자의 지지체계로서 작용하게 되고 신뢰, 안전, 정체성과 같은 심리적 상실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도의 원리는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에서 찾은 ‘목적론’적 삶과 ‘가상론적 최종목적론’과 궤를 함께한다. 정조는 그의 저서 일득록에 처사(處事) 즉 과업의 수행에 대한 글을 많이 남겼다. 그중 필회원도(必懷遠圖)라는 구절에서 추출한 원리로써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고 장기적인 그림을 그려야 하며 그 후에야 세부적인 계획이 의미가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정조는 실제로 부친 사도세자의 신원사업, 백성의 풍요로운 삶 등, 중요한 생애 과업들을 이러한 원도의 원리를 통해 수행했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이렇게 큰 목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치 그림을 그리듯 내담자의 최종적인 목표를 함께 논의하여 형상화하고 이를 위한 단기적 실천방안들을 하나하나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담 목표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끝으로 애민의 원리이다. 애민은 정조의 삶에 두드러지는 태도이다. 특히 위기 아동, 억울한 옥사에 처한 백성, 역병에 신음하는 사람들에 대한 각별한 태도를 실록에서도 수십 개의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세 그룹은 정조와 비슷한 상실유형을 겪었다고도 볼 수 있다. 정조는 이러한 백성들에게 깊은 공감을 할 수 있는 군주였으며 이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구휼과 구제책을 펼친 애민군주였다. 상담자는 1에서 3의 원리 작동 속에서 내담자의 상실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고 애민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내담자가 겪은 상실 경험과 유사한 사례와 그룹을 찾아보고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해 줄 수 있을지 논의함으로써 내담자를 공감의 영역,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깊은 관심의 영역으로 이끌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조의 상실 극복과정과 이를 통한 성장의 원리 그리고 전략을 추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정조의 삶 자체가 현대 상담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담학적 원리인 목적론, 격려, 사회적 지지, 애도, 외상 후 성장, 몰입 등과 닿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담학적 원리에 유교와 불교 등 동양 철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다층적으로 상실 경험 내담자를 치유하고 성장에 이르게 할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다만 발견된 원리와 구체적인 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정조의 삶의 원리가 적용된 상담방법이 고찰되고 정착되어 일평생을 다층적 상실로 인한 외상과 그 극복에 힘쓰면서도 사회적 공동체에 온 마음을 쏟던 성현(聖賢)의 ‘뜻’에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정조, 상실, 극복, 외상 후 성장 ※ 본 논문은 2021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자금시장 경색시 회계정보의 중요성

        이세중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자금시장의 경색과 같은 거시경제 충격이 기업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질적 수준에 따라 개별 기업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초래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업의 내부자, 즉 경영자는 외부의 투자자에 비해 기업 내부 정보에 관하여 우위를 점유하고 있다(Myers and Majluf, 1984). 이와 같이 정보의 비대칭성 혹은 본인-대리인 문제가 존재할 때 정보의 열위에 있는 상대방은 정보의 우위에 있는 상대방이 보내는 신호(Signal)를 식별하거나 적절한 감시수단(Monitoring)을 이용함으로써 정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려 한다. 이 때 기업이 제공하는 회계정보는 기업의 경영자와 투자자간의 관계에 있어 기업 외부의 투자자에게 식별수단 혹은 감시수단의 하나로 기능함으로써 정보의 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Verrecchia (2001)는 시장에서의 정보의 비대칭을 감소시키는 것이 공시의 출발점이라 지적하였으며 Francis et al (2004)은 발생액의 질적 수준과 타인자본비용 및 자기자본비용의 변화를 비교하여 발생액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타인자본비용과 자기자본비용이 모두 낮아지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한편, 본인-대리인 문제의 심각성은 거시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게 된다. Bernanke et al (1989)의 연구는 자금 수요자의 순자산 가치가 높을수록 본인-대리인 문제로 인한 대리인 비용이 감소한다는 전제하에서 자금수요자의 순자산 가치가 하락하는 경기침체기에 대리인 비용이 더욱 크게 증가할 수 있음을 적시하였다. 또한 Bernanke et al (1996)은 경기변동이 매우 사소한 충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위 연구는 이와 같은 현상을 "Small Shock, large cycle" puzzle 혹은 금융가속기(financial accelerator)라 칭하면서 이와 같은 현상의 기저에는 신용시장에서의 대리인 비용의 변화가 존재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본 분석은 이와 같은 추론에 근거하여 자금경색 발생시의 재무보고의 질적 수준에 따라 기업이 감내해야 하는 충격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회계정보의 질적 수준이 낮은 기업의 주가가 자금시장이 안정적일 때와 비교하여 자금시장 경색이 심각할 때 더욱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금시장의 경색과 같은 거시경제 충격이 있을 때 회계정보의 질적 수준의 중요도가 더욱 증가하게 됨을 의미한다.

      • 고산 등반 시에 나타나는 고산병 증상에 관한 연구

        이세중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climbers, who are going to experience high mountains first time, by providing comparative information on the symptoms of acute mountain sickness (AMS) by survey and field observation of two different groups: expert group (n=98; experienced over 6,000m mountains) and armature group (n=99; never experienced over 6,000m mountains) The results show that: 1) The majority 58% of expert group experienced AMS in the altitude between 3,000~5,000m while most 63% armatures did between <3,000∼4,000m. Comparing genders, 67% of men experienced AMS 3,000∼5,000m whilst 52% of women suffered from AMS in lower altitude (<3,000∼4,000m). 2) Age has no effects on AMS in armature group, nevertheless, in expert group, more people 6% in younger group (20~39) experienced AMS below 3,000 m while less people 2% in elder group suffered from AMS in the same altitude. Blood type has no effects on AMS. Armatures were more underweighted who we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AMS. In expert group, 24% of professional climbers did not suffer from AMS. People who have more climbing experiences below 3,000m tended to show milder AMS. 3) Among expert group, 4% of smokers and 12% of non-smokers did not experienced AMS, implying smoking has negative effects on AMS. Drinking alcohol also showed similar results. AMS took placed in 20% of vegetarians in low altitude (<3000m) 4)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AMS symptoms and prevention, 30% showed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high mountain experiences and the altitude that AMS take place. The most common symptom of AMS is head ache 63% followed by tiredness, inertia, loss of appetite, vertigo. In order to prevent AMS, gradual climbing was most effective 34% followed by keeping warm, avoiding exhaustion and dehydration. In order to overcome AMS, 47% of experts used medicine such as Diamox (acetazolamide; 46%), Aspirin and Tylenol (paracetamol). 5) Concerning training, 90% of experts and 54% of armatures answered that they practice training. The most common cardiovascular endurance training was mountain marathon 32% followed by climbing and swimming. For muscle training they practiced rock climbing 49% followed by mountain marathon, swimming, fitness training using athletic equipment, stretching. Ninety five percent of people answered that those trainings are helpful. Conclusively AMS wa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medication, smoking, drinking, diet and physique in combination with lack of oxygen, coldness, exhaustion, malnutr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S can take place below 3,000 m. However, continuous training, the experience of high mountain and gradual climbing can helpful for the prevention of AMS.

      • 150 kDa glycoprotein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 kills the HCT-116 (colorectal cancer) cells through activated of apoptotic signals : Solanum nigrum L. 에서 분리한 150 kDa 당단백질은 apoptotic signal들의 활성을 통하여 HCT-115 cells의 사멸을 유도 시킨다

        李世仲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optotic effects of 150 kDa glycoprotein (SNL glycoprotein)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 which has been used as a antipyretic and anticancer agents in folk medicine. It was found that SNL glycoprotein consists of a large carbohydrate (69.74%) and protein components (30.26%), and contains more than 50% glycine and proline-rich amino acids. With the purified SNL glycoprotein, we evaluated the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NL glycoprotein on growth of HCT-116 cell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DNA fragmentation and H33342/ethidium bromide staining assays, respectively. SNL glycoprotein has remarkable cytotoxic and apoptosis-inducing effects at 40 ㎍/ml for 4 h.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ctivities of the mitochondrial apoptotic mediators [Bid, cytochrome c, caspases and poly(ADP-ribose)polymerase (PARP)] using a western blot analysis. We found that 40 ㎍/ml SNL glycoprotein has an stimulatory effect on Bid activation, mitochondiral cytochrome c release, caspase-8, -9 and -3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in HCT-116 cells. However, SNL glycoprotei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o further evaluate the apoptotic effects of SNL glycoprotein, we studied the activity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protein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HCT-116 cells, using a western blot analysis and NO assays. SNL glycoprotein dose-dependently inhibited NF-κB protein activity and NO production. These results in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SNL glycoprotein induce apoptosis through the modulations of mitochondrial and apoptotic signal mediators in HCT-116 cells. 본 연구는 150 kDa SNL glycoprotein (까마중 당단백질 당단백질)이 대장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및 세포질 (cytosol) 그리고 핵 (nucleus) 에서 세포고사인자(apoptotic factor) 및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먼저, SNL glycoprotein의 구성성분을 알아본 결과, 69.74%의 carbohydrate 성분과 30.26%의 protein 성분으로 구성된 150 kDa의 분자량을 가진 glycoprotein이었으며, 이러한 SNL glycoprotein 은 50% 이상의 glycine 과 proline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우리는 SNL glycoprotein이 대장암 세포 (HCT-116 cells)에 미치는 세포고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NL glycoprotein을 HCT-116 세포에 처리한 하였다. SNL glycoprotein은 40 ㎍/ml의 농도에서 4시간째 50% 이상의 세포고사 (apoptosis) 를 유도 시켰으며, 그들의 carbohydrate part 보다는 protein part 에서 더 많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더 세부적인 SNL glycoprotein의 대장암 세포고사 기전을 알기 위해 우리는 HCT-116 세포로부 mitochondria 및 cytosol 그리고 nucleus 추출물을 각각 분리하였다. SNL glycoprotein은 cytosol에서 에서 caspase-8 및 Bid protein의 활성 활성(cleavage)을 야기하였으며, 이는 곧바로 cytochrome c를 mitochondria 에서 cytosol 로의 방출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게다가, SNL glycoprotein은 caspase-9와 caspase-3, 그리고 poly(ADP-ribose)polymerase (PARP)의 활성(cleavage)을 연쇄적으로 유도시켰다. 그러나 SNL glycoprotein은 이러한 세포고사 인자 활성에 있어서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을 수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SNL glycoprotein의 처리로 인한 세포 내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들 중 SOD와 GPx의 활성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CAT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 현상으로 다시 뒷받침 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SNL glycoprotein이 유도한 대장암 세포고사 현상이 ROS-independent pathway를 통해 전달되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첨가적으로 우리는 SNL glycoprotein이 유도한 세포고사 기전에 있어서 transcription factor [NF-κB (p50)] 와 Nitric oxide (NO) 들의 관련여부에 주목하였다. 흥미롭게도 SNL glycoprotein은 Fas/TNF-R1 death receptor-mediated pathway 활성 억제 (tumorigenesis) 와 관련 있는 NF-κB의 발현 억제 뿐만 아니라 NO의 production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감소시켰다. 게다가, 이러한 SNL glycoprotein의해 의해 유도된 NF-κB의 활성 억제 및 NO의 production 감소는 Fas/TNF-R1 death receptor-mediated pathway의 가장 마지막 단계의 효소인 caspase-3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SNL glycoprotein이 유도한 대장암 세포고사 신호 전달 현상은 ROS-independent pathway를 통해 전달되며, mitochondria 및 cytosol 그리고 nucleus에서 에서 각각의 세포고사인자 (apoptotic factor) 및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을 조절 함으로써 대장암세포 (HCT-116 cells)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SNL glycoprotein을 대장암세포를 억제 시키는 천연 항암제 중 하나로서 제안한다.

      • 스켈레톤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고찰

        이세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에 스켈레톤이 도입된 시점부터 발전해온 과정을 조사하고 특히 스켈레톤 선진국인 미국의 발달과정과, 미국과 한국의 비교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고찰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스켈레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연구 중심의 반성적 역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발전방안을 기술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스켈레톤 선수 및 임원을 대상으로한 심층면담법이 사용되었다.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 한국 스켈레톤의 현황과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우리나라의 스켈레톤 도입은 1999년 이루어졌으며 당시 오스트리아에서 유학중이던 강광배 선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실업팀은 2003년 강광배 선수 1명으로 강원도청 봅슬레이 스켈레톤팀이 창단되게 되었다. 이후 강광배 선수는 루지종목 선수출신들을 영입하면서 스켈레톤팀을 보강하게 되었으며 강습회를 통한 종목의 홍보와 선수발굴 및 육성으로 스켈레톤 발전의 토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부족한 훈련시설과 전무한 경기시설은 스켈레톤 발전의 해결과제로 남아있다.한국 스켈레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인력의 스켈레톤 홍보 및 마케팅에 집중해야 한다. 스켈레톤은 시설에 의존도가 큰 종목이기 때문에 시설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종목의 성장에 한계점이 따른다. 둘째, 선수집중 육성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난 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스포츠의 발전은 투자와 비례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스켈레톤 강습회의 보강을 통한 우수 선수 발굴에 힘써야 한다. 스켈레톤 종목이 도입된 후 3번의 강습회가 이루어 졌지만 실제로 강습회에서 배출된 선수를 육성시키는 상호 보완적인 시스템은 아직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대한체육회는 발전가능 종목에 대한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현재의 대한체육회는 종목들을 국제 성적이나 관심도, 인기도에 따라 훈련일수와 지원을 결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종목별 지원시스템은 새롭게 탄생하고 도약하고자 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지원이 상대적으로 미약해 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섯째, 시도지부를 확대해야 한다. 시도지부의 확대는 각 시도 내에 있는 구청이나 중·고등학교의 팀 창단을 도모하게 되고, 이는 우수 선수 발굴의 토대마련을 용이하게 해줄 것이다.

      • (The)inhibitory effect of 116 kDa phytoglycoprotein on the inflammatory factor(Mn-SOD, iNOS, COX-2, MMP-9, IL-6, and TNF-α) and the transcriptional factor(AP-1 and NF-κB) in colorectal carcinogenesis experiments

        이세중 Chonnam National Univ. 2007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UDN glycoprotein (116kDa) in inflammation-mediated colorectal carcinogenesis in vivo and in vitro. In cellula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UDN glycoprotein, the results showed that 200μg/ml of UDN glycoprotein has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superoxide anion (O₂˙ ̄), hydrogen peroxides (H₂O₂), and nitric oxide (NO) by inhibiting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s (Mn-SOD) activity in lipopolysaccaride (LPS)-treated cancerous human colon epithelial cells (HT-29 and HCT-116 cells). These cellular anti-oxidative properties of UDN glycoprotein in colon epithelial cells were associated with its suppressive effects on the activity of inflammatory-related factor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9 (MMP-9)] through modulation of the DNA binding activities of oxygen radical-sensitive transcription factors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nd activator protein-1 (AP-1)] in the cells. In colorectal anti-inflammtory activity of UDN glycoprote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UDN glycoprotein has dose-dependent blocking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on the activation of NF-κB, iNOS, and COX-2 either in LPS-treated macrophage cells (RAW 264.7 cells) or in dextran sodium sulfate (DSS)-treated mice (A/J and ICR mice). Furthermore, UDN glycoprotein (40 mg/kg) normalized the augment of disease activity index (DAI) level and shortening of the large intestine length, accompanying of inhibition of myeloperoxidase (MPO) activ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rmation, NO production,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in DSS-treated mice without any cytotoxic activity. In colorectal chemopreventive activity of UDN glycoprotein, the results revealed that UDN glycoprotein has dose dependent suppressive effects either on 1,2-dimethylhydrazine (DMH)-stimulated colon carcinogenesis or on DMH/DSS-stimulated colitis-mediated colorectal cancer in mice without any significant toxicity. In addition, 0.02% UDN glycoprotein has inhibitory effects on the frequency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ACF), on the incidence and multiplicity of tumor, on the activity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on the levels of plasmic LDH, TBARS, and NO in the mouse models. Also, the intestinal chemopreventive effects of UDN glycoprotein at multistage of colon carcinogenesis were associated with its suppressive effects on the NF-κB and AP-1 DNA binding activities, on the activity of pro-inflammatory proteins (iNOS and COX-2), and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in the mouse models.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pointed that UDN glycoprotein exerts its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chemopreventive properties via modulation of oxygen radical-sensitive transcription factors and inflammation-related factors in colorectal inflammation and cancer.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관내 (in vitro) 및 생체 (in vitro) 실험들을 통해 염증에 매개된 대장암화 과정에서 116 kDa 느릅 당단백질의 발암억제 및 이와 관련된 신호전달계를 밝히는데 있다. 먼저 in vitro 실험으로서, Lipopolysaccaride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대장암 상피 세포 (HT-29 and HCT-116 cells) 염증반응 있어서 느릅 당단백질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서 느릅 당단백질 (200μg/ml)은 LPS에 의해 유도된 미토콘드리아의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s (Mn-SOD) 활성 및 이와 관련된 superoxide aniion (O₂˙―), hydrogen peroxides (H₂O₂), 그리고 nitric oxides (NO) 라디칼들의 생산을 모두 억제하였다. 또한 느릅 당단백질은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산화적 라디칼에 민감한 전사인자들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nd activator protein-1 (AP-1)]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염증 발생에 관련된 인자들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9 (MMP-9)]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한편, in vitro 실험으로서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RAW 264.7 cells)의 염증반응 모델과 in vitro 실험으로서 dextran sodium sulfate (DSS) 처리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증 모델에 있어서, 느릅 당단백질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서 느릅 당단백질은 LPS와 DSS에 의해 유도된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산, NF-κB, iNOS, 그리고 COX-2 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모두 억제했고, 특히 0.02%의 느릅 당단백질은 DSS 처리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질병 활성도의 증가 및 대장 길이의 감소를 정상화 시켰다. 이러한 느릅 당단백질의 항염증적 효과는 neutrophil로부터 생산되는 myeloperoxidase (MPO) 활성을 억제하거나, 혈액 내에서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형성, NO 생산 그리고 lactate dehydrogenase (LDH) 방출을 억제 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in vitro 실험으로서 1,2-dimethylhydrazine (DMH) 처리에 의해 유도된 대장암 초기 모델 및 DMH와 DSS를 함께 처리함으로써 유도된 염증에 매개된 대장암 말기 모델에 있어서, 0.02%의 느릅 당단백질은 DMH 또는 DMH/DSS에 의해 유도된 이상선 와소 빈도율 및 대장암 incidence와 multiplicity, 세포 증식 지표인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활성, 그리고 혈액내 LDH, TBARS, NO 생성을 모두 억제 하였다. 이러한 느릅 당단백질의 화학적 유도에 기인한 대장암 예방효과는 DMH 또는 DMH/DSS에 의해 유도된 다단계의 대장암화 반응에서 느릅 당당백질이 산화적 라디칼에 민감한 NF-κB과 AP-1의 전사적 활성 억제, 염증 단백질들 (iNOS와 COX-2)의 활성 억제, 그리고 염증성 cytokine들 [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interleukin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때, 이러한 결과들은 느릅 당단백질은 산화성, 염증성, 그리고 대장암 발생 질환 모델들에서 항산화적 효과 및 항염증적 효과, 그리고 화학적 유도에 기인한 대장암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느릅 당단백질은 산화적 라디칼에 민감한 전사인자들 및 염증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증성 대장 질환 억제 단백질이며, 대장암 발생을 예방하는 식물성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