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선희 소설 연구 : 여성 주체의 수행성을 중심으로

        오현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작가 이선희의 작가적 행보와 작품을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선희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여성성’으로 설명되어온 작가이며, 실제로 그녀의 삶에서 요구받았던 역할과 소설의 주인공들에서 ‘여성’이라는 정체성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행위에 앞서는 주체 개념을 거부하는 수행성의 관점은 젠더 정체성을 고정된 형태 또는 내적 본질이 아니라 ‘반복된 행위’로 해체한다. 이러한 관점을 채택할 때 한 인간의 정체성과 그의 행위는 ‘구성’된 것으로서 그 계보를 추적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담론과 권력에 대한 직접적인 ‘저항’이 아니더라도 행위 속에서 나타난 교란의 양상을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이선희의 작가적 행보를 1세대 여성 작가들과 구분되는 ‘여류’라는 호명과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여류’는 작가들이 ‘여성성’에 부합하는 문제의식을 작품을 통해 표출했다고 이해되어왔고, 그들의 삶 또한 가정부인, 어머니 역할에 충실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선희를 포함한 여성 작가들이 분명 ‘여류’가 여성 작가의 기반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매우 제한된 위치임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 1절의 『삼천리』 좌담회 분석에서 나타난다. ‘여류’라는 분류에 문제를 제기한 박화성과 이선희를 포함하여 ‘여류작가’로 자신을 정체화했던 작가들은 ‘여성 작가가 어떤 작품을 창조해야 하는가’에 관해서는 이견을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여류’가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한 채 가십으로 소비되거나 차별받는 상황에 대해서 공통된 불만을 표출한다. Ⅱ장의 2절에서는 이선희의 초기 수필을 통해 이선희가 ‘여류’의 호명을 어떻게 전유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여성 작가와 문사 부인의 글을 함께 수록한 기획은 ‘여류’의 예술이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한편 예술을 향한 욕망 자체가 ‘허영’으로 비하되었던 정황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선희의 초기 수필은 모던걸 형상의 여성 화자를 내세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욕망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즉 창작의 능력을 의심받았던 여성들이 대신 거리를 누비고, 자신의 몸을 가꾸면서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을 충족해온 것이 예술가가 아름다움을 찾는 여정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들은 예술에의 욕망이 순간의 ‘허영’에 그치고 가정부인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절차로 여겨졌지만, 이선희가 결혼 이후 발표한 수필은 버릴 수 없는 “불량성”이 자신에게 남아있음을 고백한다. Ⅲ장에서는 이선희 소설의 여성 인물이 ‘주체’로 거듭나려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한계들을 살펴본다. 여성 주인공들은 거리를 자유롭게 누릴 수 있는 주체가 되거나(「가등」, 「오후11시」) 기존의 집을 벗어나 새로운 가정의 주축으로 발돋움하려고 하지만(「도장」, 「돌아가는 길」, 「여인명령」), 자신이 주체로 거듭나는 데에 분명한 한계가 있는 현실을 깨닫는다. 여성의 외출에는 ‘허영’과 ‘타락’이라는 낙인이 찍혔고, 가부장 중심의 호적법은 여성을 소외시켰다. 본처는 수동적인 존재인 ‘구여성’으로 여겨졌으나 이들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제 2부인이 되어버린 인물들은 자신이 호적법에서 취약한 존재임을 깨닫는 한편 남편은 두 여성과 상관없이 안정적인 상황에 분노를 표현한다. 명백한 한계에도 여성들은 ‘정상성’을 획득할 방법으로 가정부인이 되고자 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여성의 욕망은 검열되곤 하였다. 「춘우」와 「매소부」 분석에서는 여성이 왜 가정부인 되기와 스위트홈을 욕망하였는지를 추적한다. 또한 두 작품이 어떻게 남성 인물을 상대화하면서 ‘정상가정’ 담론이 사실상 남성 주체라는 위치를 수호하고 있음을 밝혔는지에 주목한다. Ⅳ장에서는 가정에서 여성이 마주하는 한계를 깨달은 주인공에게 나타나는 탈주 욕망과, 주인공이 가정 내부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호명을 교란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계산서」의 주인공은 결혼 생활 때문에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남편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렸으며, 「탕자」의 주인공은 “건전하고 진실한” 약혼 상대와 그와의 결혼 이후의 생활에 대해 의구심을 느끼기 시작한다. 여성에게 요구된 가정 내 역할을 ‘모성’과 ‘(가정)부인’의 문제로 나눈다면, 전자에 관해서 「연지」, 「여인명령」은 여성에게 한정된 미덕이자 당연시된 속성으로서의 모성을 심문한다. 「연지」의 주인공은 강요받은 모성 때문에 내면이 망가지면서도 이를 훌륭한 ‘연극’으로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일부로 구성하고, 「여인명령」의 주인공은 모성에 상응하는 ‘부성’을 요구한다. 부인 즉 아내 됨에 있어서는 「처의 설계」에서 아내의 위치를 획득하려는 두 여성 인물의 시도에 주목한다. 이들은 가부장제의 일원이 아닌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인 낙인 때문에 갈등 관계에 놓이지만, 둘은 경쟁을 통해 가부장의 권력을 강화하기보다는 오히려 그를 무력화시키는 거래를 시도한다. ‘정상성’의 범주 내에서 가장의 의무인 경제력이 없는 남편은 기생성을 버리지 못한 채 아내라는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고 만다. 또한 이선희의 소설이 여성에게 부여된 정체성의 교란을 통해 가부장제를 위협할 뿐 아니라, 시대의 주요 담론을 무력화하는 양상에도 주목한다. 이는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초점화가 이루어지는 특징과도 연관되어 있다. 특히 「계산서」와 「탕자」처럼 주인공이 화자인 경우, 시대상이 드러나는 시·공간적 배경보다 주인공의 내면이 주요한 서사를 이룬다. 「처의 설계」는 ‘정상가정’을 수호하는 전형적인 결말처럼 보이지만, 이때 주인공의 가정은 ‘근대 시민’에서 탈락한 남편과 함께 전시 체제에서 요구된 재생산의 기능을 잃어버린다. 사라진 모던걸 또한 작중에서 그녀의 목소리가 드러났기 때문에 결말의 월경(越境)에는 추방이나 도피 이상의 가능성이 남아있다.

      •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활용특성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선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의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급증 현상은 세계도시 서울에 숙박시설 부족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2012년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게 되었는데, 이 법은 용적률 완화를 포함하여 숙박시설 건립을 유도하는 다양한 지원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시계획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과밀화에 따른 주거환경 저해뿐 아니라 주변과 조화되지 못한 토지이용으로 도시경관을 훼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관광숙박시설 부지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는 교통계획과 1층부에 가로활성화 가능 용도의 배치 여부, 그리고 공개공지 계획의 적정성 및 실효성 등을 기준으로 용적률 완화 여부 및 완화 정도를 판단하여 적용하고 있다. 숙박시설은 건축법에 의한 공개공지 의무 설치 대상이다. 숙박시설에 설치된 공개공지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호텔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좋은 외부공간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외부공간 이미지가 모여 관광도시 서울에 대한 도시 이미지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서울시에 건설된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설치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활용특성을 연구함으로써 향후 숙박시설에 설치하는 공개공지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지, 그 지향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서울시에 공개공지가 설치된 45개 사례를 선정하고, 숙박시설이라는 용도 특성에 중점을 두어 접도면수, 주차출입계획, Drop-off 영역의 유무, 공개공지와 접한 저층부 시설의 종류를 분석요소로 도출한 후, 현장조사를 통해 45개 사례에 대한 분석요소별 설치현황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숙박시설에 설치된 공개공지의 유형을 ①전면/광장형, ②피로티형, ③측면/쌈지공원형, ④후면/쌈지공원형 4가지로 분류하였다. 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와 공개공지의 물리적 형태를 유형화하는 기준으로 삼았는데, 그 이유는 숙박시설의 용도 특성으로부터 도출된 분석요소들이 이 두 요소에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4가지 유형별로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한 후 다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공개공지의 이용자수와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호텔의 입지와 주변현황, 공개공지의 세부 시설 및 관리 상태를 추가 조사함으로써 공개공지 활용특성을 분석하는 자료로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설치 현황을 보면 위치는 전면에, 형태는 쌈지공원형으로 설치한 사례가 주로 많았다. 둘째, 숙박시설의 용도특성으로부터 도출한 분석요소인 교통처리계획과 관련해서는 전면주차출입을 채택한 사례가 65.5%로 가장 많았다. 셋째, 현장조사 시점에, 전체 사례 중 50%에서 주차, 상업화, 사유화 등 위법적인 사용 실태가 관찰되었는데, 이로써 많은 숙박시설의 공개공지가 법의 취지와 달리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형화별 대표사례 4곳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이용자수가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변에 유동인구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통행 외에 휴식, 대화, 만남 등의 이용행태가 일어나는 경우는 아주 드물었는데, 단순 통행을 제외한 평균 이용자 수는 100㎡당 1명 정도 수준이었다. 본 연구는 특정 조사 시점과 짧은 조사 기간으로 인해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활용실태를 다각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2012년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이 시행된 이후, 준공된 사례가 적어 최근 건설된 숙박시설의 공개공지 설치현황을 충분히 살펴볼 수 없었던 것도 아쉬운 점이다. 공개공지 관련 규정이 시행된 이후, 서울시에 준공된 사례를 중심으로 숙박시설에 설치된 공개공지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그 활용특성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주요어 : 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 공개공지, 이용행태분석, 용적률 완화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in foreign tourists in Korea has led to shortages of accommodations in Seoul. Accordingly, a "Special act on the expansion of tourist accommodation" was enacted in 2012 as one of the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The Act contains a wide range of contents which may bring about an expansion of accommodations, including floor area ratio incentives. However, easing the existing urban planning regulation can cause overcrowding, thereby degrad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lso lead to reckless Land Use which can damage the urban landscap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applying the floor area ratio incentive system depending on the suitability and feasibility of transportation, landscape and open public space planning of the subject. It is mandatory for accomodations to provide open public space by Building code. Hotels with open public space can not only make great impression to foreign tourists, but these good images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overall look of the city of Seoul. Thus, this paper aims to provide guidance to the utilization of open public space of accomodations by research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n public space provided for accommodations in Seoul, and categorizing the usage of them. First, a total of 45 cases are selected, and then the analysis factors, which are the number of sides adjacent to roads, the type of parking entrance, drop-off zone plan, building programs facing the public space, are drawn from studying the traits of accomoda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y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which are 1. Front/Square-type, 2. Piloti-type, 3. Side/pocket-type, 4. Back/pocket-type. The categorization is made by their locations and the physical forms as the above mentioned analysis factors are well reflected on them.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four types are selected, and then the usage patterns and user numbers of the open space are re-analyzed. The factors such as hotel locations, site context, facilities within the public space, and maintenance status are added as complementary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n public space for accomodations are mainly located on the front as pocket-type. Second, with regard to transportation planning, which is one of the analysis factors, it is shown that about 65.5% of the cases have the front parking entrance. Third, it is observed that about 50 percent of the cases were used illegally at the time of site investigation including the illegal parking, commercialization and privatization. This illustrates that many hotel public spaces are not being used by the purpose of the law. Fourth, the user numbers of the public space were quite low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four representative cases for each category. Despite a large floating population near the site, public spaces were mainly used as a passage. Other usages such as resting, communication and meeting were rarely occurred, only 1person/100m2 in average.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study to understand open space usage patterns thoroughly as the survey period was short and the site-survey was executed at a particular time only. Besides, the fact that there are few hotels have been built since "Special act on the expansion of tourist accommodation" was enacted in 2012 leaves much to be desired. However,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open public space provided for accomodations by means of categorizing the cases from the quantitative aspect. Key words: Accommodation facilities, Tourist accommodation, Privately-owned P\public open space, Behavior analysis, FAR(Floor area ratio) incentive system

      • 인간비만세포에서 트립타아제 유전자 발현에 전사인자 MITF-A 아형이 미치는 영향

        이선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Mast cells play a central role in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allergic diseases through release of various mediators. Tryptase may be a key mediator in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transcription of tryptase gene in human mast cells was involved in mi transcription factor (MITF). We observed that the human CD34+ progenitor drived cultures and HMC-1 cell line mast cells expressed strongly MITF-A, which is one of MITF isoforms. The overexpression of MITF-A elevated the production of tryptase in the immature human mast cell line HMC-1, while the introduction of specific siRNA against MITF attenuated their expression. Moreover, the transfection of MITF-A overexpression vector and tryptase promoter region-harboring reporter plasmid into Jurkat cells (MITF-negati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uciferase activity. Using mutant constructs of tryptase promoter, we identified that two E-box (CANNTG) motifs associate with MITF-A to transactivate tryptase gene. An experiment by EMSA also showed that these E-box are able to bind to MITF for tryptase gene transcription. These data suggest that MITF might play a role in regulating the transcription of tryptase gene in human mast cells. 비만세포는 다양한 알러지 유발 매개물을 통해 일어나는 알러지의 개시와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분해 효소인 트립타아제는 비만세포 매개 염증반응의 중요한 매개물이다. 전사인자 MITF (mi transcription factor)는 bHLH-Zip(basic- helix-loop-helix-leucine zipper) 단백질계에 속하는 분자이다. 비만세포의 분화 및 특이적 단백분해효소들의 전사활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임이 보고되었으며, 세포조직에 따라 다수의 MITF아형이 발현하고 있음이 알려졌다. 최근 마우스 골수유래 비만세포에서 MITF 아형 중MITF-A가 강하게 발현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간비만세포에서의 트립타아제 유전자의 전사활성이 MITF와 관련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 제대혈에서 전구세포를 분리하여 IL-3, SCF, IL-6존재 하에서 8주 이상 배양하여 성숙 및 분화 시킨 비만세포와 비만세포 세포주를 RT-PCR법을 통해 MITF아형 및 트립타아제 아형 mRNA발현을 분석하였다. 배양된 비만세포 세포주에서 전사인자 MITF-A, -E, H 의 다양한 mRNA가 강하게 발현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제대혈로부터 분화된 비만세포에서는 전사인자 MITF-A만 발현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트립타아제 아형 mRNA는 세포주와 제대혈로부터 분화된 비만세포주 모두에서 트립타아제 베타1 만이 발현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MITF-A가 트립타아제 전사 활성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사인자 MITF-A강제발현 프라스미드를 합성하였고, 트립타아제 프로모터영역을 삽입한 repoter 벡터 그리고 이들을 일정크기로 삭제하거나 점돌연변이 시킨 프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강제발현 프라스미드를 트립타아제 프로모터 프라스미드와 함께 Jurkat 세포에 형질도입 하였을 때. 트립타아제 전사활성이 MITF-A의 형질도입에 의해 의미 있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트립타아제 프로모터 영역을 일정크기로 단계적으로 삭제한 reporter 프라스미드를 HMC-1에 형질도입 할 경우 -817~-715 사이와 -421~-202 사이의 프로모터 영역이 삭제된 경우에서 Luciferase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이 영역에 MITF 결합예상부위인 E-box (CANNTG)가 각각 1개씩 존재하였다. 이들 결합부위를 점돌연변이 시킨 reporter 프라스미드를 HMC-1에 도입 할 경우 전사 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EMSA에서 또한 두 전사인자결합부위 모두에 MITF가 결합을 확인하였다. 한편, 미성숙 비만세포주에 MITF-A의 강제발현에 의해 트립타아제 생산이 증가되었으며 MITF 특이적siRNA 의해 트립타아제 생산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사인자 MITF-A가 인간 비만세포에서 트립타아제 프로모터의 E-box 와 결합하여 트립타아제 전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 일 것으로 사료된다.

      •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이선희 충북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하여 기혼여성을 위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고, 그 요인들과 결혼만족도 간에 실제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부부 및 가족상담전문가 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들은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원가족관계, 및 자아분화를 결혼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선택하였다. 이 네 가지 요인이 실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322명의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네 요인을 측정하는 설문지와 결혼만족도 설문지를 실시하여 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 요인 모두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구 2는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단계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부부문제의 특징을 감안할 때 전통적 행동부부치료보다 통합적 행동부부치료(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BCT)(Jacobson & Christensen, 1998)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 개발될 프로그램을 IBCT의 가정과 전략에 기초하여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 1에서 검증된 네 가지 영향요인을 치료요인으로 구조화하여 프로그램에 포함시켰다. 이 때 연구 1에서 나타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부부관계, 원가족관계, 부부의사소통, 자아분화 순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네 가지 치료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여덟 개의 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회기별로 내가먼저하기-Self Help 부부프로그램 워크북(이선희, 2004)을 제공하였다. 진행시간은 주 1회 3시간씩 총 8회기(24시간)였다. 프로그램개발 후에는 효과검증을 위해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실험집단), 그 결과를 현실치료 프로그램 집단(비교집단) 및 무처치 집단(대기집단)과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피험자 수는 모두 27명(총 81명)이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네 요인과 결혼만족도의 변화량을 프로그램 전후 및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이 지난 추수시기에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집단 간 처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처치 후 자아분화 및 결혼만족도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수시기에는 실험집단이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자아분화, 및 결혼만족도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드러내었다. 집단 내 처치 전, 후 비교 결과, 실험집단은 처치 후에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자아분화, 및 결혼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수시기에는 처치 후 시점에 비해서도 더 향상되었다. 그리고 원가족관계는 처치 전, 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추수시기에서는 이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wives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based 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To this purpose, a survey of expert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o marital satisfaction, prove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ults, verify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nd applying it for wives. In study 1, a survey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conducted targeting 61 couple and family counselors. Consequently, couple’s relationship, couple’s communications, the relationship with original family and differentiation of self have been selected as the influence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Four influence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measured targeting 322 wives to confirm the relation between above four factors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four influence factors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Study 2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nd validation of its effec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uples' problem through the author reviewed articles, it was assumed that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IBCT)(by Jacobson & Christensen, 1998)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so, newly developed program was structured based on the assumption and strategy of IBCT. And then, the four factors identified in study 1 were structured as treatment factors and included in the program. After the consideration to correlation of study 1, session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couple’s relationship,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couple's communications, and differentiation of self.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containing the four treatment factors, I Do First-Self Help Workbooks(by Lee Sun-Hee, 2004) were distributed during each session. The proceeding time was total 24 hours by eight sessions conducting three hours per one session in a week. After development, the program was applied for wives(test group) to verify its effect, and the result from it was compared with reality therapy program(compared group) and untreated group(standby group). The number of participant in each group was 27(81 in total), The effect of four factors that affect to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fter one month when program was finishe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in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post time after treating therapy, comparing with other groups. In the following time,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couple’s relationship, couple's communications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time in the test group showed that couple’s relationship, couple's communication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level in post time had more improvement than one in pre time, and one in following time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one in post time. And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with original family was improved in the following time, comparing with the pre time before starting this program.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helpful for wives in Korea to raise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discussion, the significance,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서울시 1인 가구의 연령별 공간분포 특성 연구

        이선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luste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ce of One Person Households. The study was aimed to find some clues for the future policies in association with the One Person Households. The One Person Households of Seoul are classified by four age groups based on the spacial data collection units for three time periods; 2000, 2005, and 2010. To examine the changes of Spatial Patterns of One Person Household for each five years, the analysis on the Global Moran's I and Hot Spot is conducted based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regardless of the age groups, One Person Households tend to concentrate during the studied period. The Hot Spot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ot and Cold Spot patterns of under 30s similar and those of over 40s are similar with each other groups respectively. Thus the Hot and Cold Spot patterns are divided by two groups. Besides, the pattern difference by the time period and the age groups was examined with Space-Time Cluster drawn by the Space-Time Cluster Analysis. A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Age-specific Hot Spots with 95-percent and above confidence level in the hot spot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this regress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numbers of business, types of household and housing, appraised values of land, transportation facility, public facility, education facility, and the spacial variable of seoul, which is the dummy variable. In this analysis, FLQ, which is illustrating the integration pattern of the facilities within the population and community, was deployed to mitigate the computational error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certain variable.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one-person households of 20s sh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And the Business variable affected only to the 30s. The monthly rentals housing showed strong positive impacts on all age groups except the over 60s, to which the negative relationship was apparent instead. House rental types; monthly rent and a lease in 2000, showed virtually identical impacts on all One-Person Households. However, in 2010, the monthly rental is more affected than the lease, which indicating that a propor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ith low level of income were forced to convert from lease to monthly rent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d bank interest rate All the households except the 40-50s, the apartment house affected positively while those of the detached houses were positively affected regardless of the age groups. The remainder types of housing affected a positive impact on the under 30s and a negative impact on over 40s. Appraised value of land demonst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under 30s, and the negative one to the over 40s. Considering that all age group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subway, it looks that they do not afford the expensive transit access area. Either fire stations and police stat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hich calls for the associated policy attention.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Household based on this, it is shown that 20s are tend to rent near his/her company or college while the 30s are renting around company or office with relatively better welfare systems. The 40-50s reside in a detached house which is not included in an apartment house where various types of households are mixed. The major proportion of the 60s tend to live in a monthly-rent housing with poor security that is remoted from the areas of company and rental households. As a conclusi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 One Person Households under 30s and over 40s shows clear distinctions in terms of spatial character, thus the future housing supply policies should consider this. Since the One-Person Household tend to belong to the poor income group, emphasis should place on the supply of various housing types instead of quantity based supply policy.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의 공간 분포 분석과 클러스터의 공간특성을 연령별로 도출하여 1인 가구의 향후 제도 등에 대응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2000년, 2005년, 2010년 서울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0대, 30대, 40-50대, 60대 이상으로 나누어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집계구 단위를 분석단위로 하였다. 1인 가구의 공간 분포 변화를 5년 단위로 살펴보기 위해 공간자기상관성을 기초로 Global Moran's I와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시간이 거듭될수록 moran's I와 z-score 값이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는 점점 밀집하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의 클러스터를 도출하기 위한 핫스팟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30대 1인 가구가 비슷한 클러스터 양상을, 40-50대와 60대 이상 1인 가구가 비슷한 클러스터 양상을 보임으로서, 30대 이하 1인 가구와 40대 이상 1인 가구의 분포 양극화 현상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를 시공간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시공간 클러스터를 도출하여 연도별, 연령별 차이를 탐색하였다. 핫스팟 분석 결과물인 연령별 핫스팟을 신뢰수준 95%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1인 가구와 주거지 환경 변수 즉, 사업체, 가구유형, 주택 유형 및 특성, 공시지가, 교통시설, 공공시설, 교육시설로 나눈 독립변수, 서울시 공간권역 변수인 더미변수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전에 앞서 독립변수 중 공공시설 관련 변수들은 접근성이 중요한 시설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권역 분석 후 변수화 하여 사용하였는데, 지하철, 복지시설, 대학교, 공원, 경찰관서, 소방관서가 해당 변수들이다. 또한, 회귀분석에 사용되는 변수들은 단순 개수나 비율 등으로 분석하게 되면 전체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변수가 조금이라도 집중하게 되면 높게 측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구집단 및 도시 내 시설의 집적패턴을 나타내는 지표인 FLQ지수를 활용하여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1인 가구 특성을 분류해보면, 20대는 회사, 대학교 등에 분포하는 임차가구, 30대는 회사, 오피스텔 등에 의해 분포하면서 복지서비스가 비교적 우수한 지역에 거주하는 임차가구, 40-50대는 다양한 가구유형에 거주하면서, 유일하게 공동주택에는 분포하지 않는 단독주택 거주 가구, 60대 이상은 유일하게 회사와 전세가구에 분포하지 않는 열악한 치안환경에서 거주하는 월세 가구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령별 1인 가구의 분포는 대체적으로 30대 이하 1인 가구와 40대 이상 1인 가구의 양극화로 인해 공간특성 또한 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령 맞춤형 주택 정책 대응이 필요하며, 1인 가구가 다른 가구에 비해 소득수준이 높지 않아 단순 양적 주택공급이 아닌 다양한 가구·주택 유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밀순으로부터 추출한 비 전분 다당류가 제1형 당뇨병 모델에서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 촉진 : 이선희

        이선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Diabetes mellitus is a metabolic disease associated with abnormally high levels of glucose in the blood, which is caused by insufficient production of insulin or the inability of cells to use insulin. The lack of insulin generally is in contact with a destructive process affecting the insulin producing pancreatic b cells in type 1 diabetes and a steady decline of beta cells in type 2 diabetes. The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queous extracts of Triticum aestivum attenuated blood glucose level in the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ice, which is an animal model of human insulin-dependent type 1 diabe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gulating effects of non-starch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 aestivum (TAP) on insulin secretion in pancreatic b cells and on glucose homeostasi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RINm5F pancreatic b cell line and isolated rat islets were used for insulin secretion activity. Level of Insulin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al-time RT-PCR, and 45Ca2+ uptake assay. For in vivo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y, TAP was administrated orally to STZ-induced diabetic mice. In this study, TAP (0.1 to 2 mg/ml) augmented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in the presence of stimulatory glucose concentration (16.7 mM), but not basal concentration (1.1 mM) in a dose-dependent manner. Although TAP failed to enhance the high K+-induced insulin secretion, the insulinotropic effect of TAP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diazoxide, an opener of ATP-sensitive K+ channel blocking insulin release. TAP potentiated the insulin secretion induced by other secretagogues, such as IBMX and tolbutamide. Moreover, TAP significantly increased glucose-induced 45Ca2+ uptake and subsequently enhanced phosphorylation of extra 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s (ERK1/2) and protein kinase C (PKC). In addition, specific inhibitors of ERK and PKC attenuated the increase in insulin secretion induced by TAP in RINm5F cells. On the other hand, when TAP was administrated to the fasted mice, it decreased the rise in blood glucose level after starch loading in OGTT, and increased the serum insulin level in mice. Furthermore, oral treatment of TAP markedly improved the blood glucose level through increase of serum insulin level in STZ-induced diabetic mic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islet showed that TAP induced the increase in insulin-producing b cells compared to the vehicle control.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AP has the stimulating effect on insulin secretion and production in the pancreatic b cells via K+channel closure, calcium influx, and activation of PKC and ERK1/2 signaling pathwa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AP might be useful in the control of hyperglycemia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rough the action as insulin secretagogues.

      • 궁중무용의 관람 장소 유형에 따른 지각된 가치와 태도, 관람만족, 구전의도 간의 관계

        이선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궁중무용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기된 사항들 중 장소의 다양성에 집중함으로써, 궁에서의 궁중무용 공연이 앞으로의 전통예술과 궁중무용의 가치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더 나아가 공연 장소 유형에 따른 궁중무용의 가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궁중무용 대중화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극장에서 궁중무용을 최소 1회 이상 관람한 고객(집단)과 실제 궁에서 궁중무용을 최소 1회 이상 관람한 고객(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궁중무용의 지각된 가치가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먼저,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은 개인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 순으로 고객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궁에서 관람한 집단은 문화적 가치, 개인적 가치, 예술적 가치 순으로 고객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궁중무용의 지각된 가치가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먼저,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은 개인적 가치, 문화적 가치, 예술적 가치 순으로 고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궁에서 관람한 집단은 개인적 가치, 예술적 가치, 문화적 가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궁중무용의 지각된 가치가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먼저,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은 개인적 가치, 문화적 가치, 사회적 가치, 예술적 가치 순으로 고객의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궁에서 관람한 집단은 문화적 가치, 개인적 가치 순으로 고객의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태도가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과 궁에서 관람한 집단 모두 고객의 태도는 고객의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태도가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과 궁에서 관람한 집단 모두 고객의 태도가 고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궁중무용을 관람한 고객의 관람만족이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과 궁에서 관람한 집단 모두 고객의 관람만족이 고객의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어 보면, 극장에서 관람한 집단과 궁에서 관람한 집단 간에는 궁중무용에 대한 지각된 가치 인식, 태도, 관람만족, 구전의도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람 장소 유형에 관계없이 궁중무용에 대한 관람 후 태도는 관람만족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관람만족도 또한 구전의도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view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ccording to type of viewing place of court dance Lee Sun-Hee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urt dance performances on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the royal court dance by concentrating on the diversity of the venues among the measures proposed to promote royal dance in the previous researche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resenting the concrete method of dance popularization in the future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valu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royal da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forming pla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urveyed the customers (group) who watched the court dance at least once in the theater and the customers who watched the court dance at least once in the actual cour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value of court dance on the attitude of customers who watched court dance. First, the audience group in the thea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customer in the order of the personal value and the artistic value. On the other hand, the audience group in the palac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o the attitude of the customer in the order of cultural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cond, i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value of court da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of court dance. First, the audience group in the thea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personal value, cultural value, and artistic value. On the other hand, the audience group in the pala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rder of personal value, artistic value, Respectively. Third,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of court dance on customer 's oral tradition. First, the audience group in the thea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s' oral tradition in the order of personal value, cultural value, social value, and artistic value. On the other hand, the audience group in the palace had the cultural valu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of customers who watched court dance on satisfaction. The attitude of customers in the theater group and the group in the pal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i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of the customer who watched court dance on word of mouth. The attitude of the audience in the theater and the audience in the pala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s satisfaction. Sixth, i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of court dance on oral tradition. It was analyz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customer 's oral tradition in both group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values ​​appreciation, attitude, satisfaction, and oral intention of royal dance among audience in the theater and audience in the palace. Regardless of the type of viewing place, attitude toward the court dance affects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satisfaction also significantly influences word of mouth intention.

      • 교육연극을 활용한 <청산별곡> 지도 방안 연구

        이선희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Cheongsanbyolgok> is known as most beautiful song among the songs of Koryeo Dynasty. However, there are difficult phrases to know their meanings in the works, learners have a tendency to simply learn by heart the main viewpoint of works rather than express their own thought to the works. Therefore, expressing activity plan which learners can express their own thougt to <Cheongsanbyolgok> positively will be prepared. For this, <Cheongsanbyolgok> instruction plan will be established using educational play. In literary class, educational play leads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make them to create hypertext about the work. In here, hypertext is completed by that learners change the conclusion of <Cheongsanbyolgok> and embody speaker within work as new character. Such educational play expressing activity makes learners to express their own thought to <Cheongsanbyolgok> positively, and it can be a help to raise creative expression existed withi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Cheongsanbyolgok> instruction plan using educational play as followings: First, the goal of activity is defined as that learners create hypertext about the work. Second, make participants to play simple game as a preparation activity for cooperation among them. Third, learners plan hypertext by changing the conclusion of work. Fourth, complete hypertext with embodiment by making pause and move scene and using speech balloon. Fifth, through self-evaluation and inter-evaluation for each group, participants reflect hypertext.

      • 클레오파트라의 정체성 연구

        이선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hakespeare’s Cleopatra represents the image of ‘whore’ and ‘witch’. Egypt representing ‘the other’ land of sensuality and witchcraft is an archetypal and unrealistic world unburdened by any historical mission. Antony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self-denial and self-indulgence, as well as of Rome and Egypt, loses his own identity and Roman value by Cleopatra’s seduction that relegates Antony’s manliness and soldiership with her charm. Antony, the emasculated hero, is defeated by Octavius Caesar who preserves the myth of Roman greatness. Cleopatra’s sexual conquest of Antony is connected to Antony’s political defeat by Caesar. Antony running away from Rome’s imperial project abandons his job serving for Rome because of his obsession with the love object. Egypt is closely linked to femininity as Cleopatra is a woman who is also a nation, calling herself Egypt. Unlike Roman virtue of firmness, constancy and imperviousness, Cleopatra considers ‘heavenly mingle’ or ‘mobility’ and ‘changeability’ as the supreme values. Because of her ‘infinite variety’, Cleopatra’s femininity is regarded as negative and dangerous to practice subversion. The ideology of exclusion through which the Romans perceive the power relations and gender relations is repeatedly dismantled by Cleopatra. Cleopatra’s appropriation of Antony’s military and sexual power means the dissolution of gender boundaries which can be amplified to transgression of social order. Cleopatra brings about Roman fear that she contaminates their manhood with female attributes and makes havoc of the hierarchies by which Rome exists at all. Therefore her infinite variety negates the patriarchal discourse. As the patriarchal view of disobedient women intensifies the whore image of Cleopatra, she can not be free from the imperial threat and the discourse of white patriarchy. Cleopatra’s infinite variety and theatricality are her capabilities to take control over Antony and Octavius Caesar. They form the power to subvert the patriarchal discourse. It is through her majestic and queenly death that she breaks though the image of the other. By means of subversion of Roman paradigm of a whore or a gypsy, Cleopatra makes her suicide noble. While Antony dies not as a defeated soldier but as a desirous lover, Cleopatra thinks her death is the affirmation of her large self. Her desire for Antony rather affirms than threatens her identity of the Egyptian queen. Her luxurious ritual death in best attires mocks the Roman ideal of the stoic suicide. Finally she separates herself from the possibility of her representation. It proves that she is the unrepresentable woman and the unassimilable other. Cleopatra becomes a true winner over the Roman falsehood and pretension. Finally she is newly born as an eternal queen through her ceremonial theatric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