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는 합성피혁 공장의 공정별 노출수준과 산업환기시스템 연구

        이선우 창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사용자의 건강문제는 사회적으로 최근에 문제가 되는 산업위생분야의 중요 유해요인이다. 많은 중․소규모 합성피혁제조업체에서의 DMF 작업장 노출수준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그중에 산업환기(Industrial ventilation)는 중요한 환경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피혁제조 공장 7곳을 선정하여 각 공정별 DMF의 농도를 개인 노출수준과 기중 농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각 공정별 산업환기시스템의 제안은 환기시스템의 측정과 개선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환기시스템은 시각적 관찰 후, 적당한 장비를 이용하여 산업환기시스템의 후드 개구면 속도, 송풍 및 배기량, 송풍정압, 송풍기 회전수 등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공장내부의 환기에 관여하는 구조와 후드의 형태에 따른 공기흐름을 연구하였고, 정량적, 정성적인 정보를 수집 후 현 공정별 조건에 적합한 후드형태와 배기량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선을 위하여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를 이용하여 재디자인하였고, 프로그램으로는 AIRPAK과 STAR-CD를 사용하였다. 가장 경제적인 견해와 실험으로 효과적인 산업환기시스템(Industrial ventilation system)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표준환기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시 DMF에 근로자가 최소한으로 노출되는 방안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합성피혁제조 사업장 각 공정에서 DMF 노출수준은 DMF 측정농도의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가 연속작업 경우 기중농도 4.68ppm ± 3.83ppm이였고, 간헐작업 경우 기중농도 63.94ppm ± 46.95ppm이였다. 측정 결과로 연속작업에서의 설정된 노출기 준 만큼 현 재정되지 않는 간헐작업에서의 노출기준의 재설정도 아주 중요한 과제 임을 알 수 있다. 2. 합성피혁제조사업장을 중심으로 총 20대의 송풍기(flow fan)를 측정한 결과 측정 대상 송풍기 20대중 40% 가량인 8대가 60% 미만의 풍량(flow rate) 대비 효율을 보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반면에 효율이 80% 이상인 경우는 전체 중 35%(7대)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송풍기 효율저하의 원인은 국소배기장치의 과도 한 압력손실 발생 및 유지관리 부족과 노후로 인해 송풍기 자체 성능감소가 원인 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송풍기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오랜 사용으로 인해 노후된 송풍기는 교체가 요구되었다. 3. 수세조와 응고조를 제외한 나머지 공정은 활성탄 흡착탑이 설치되어 있었다. 활성탄 흡착탑의 차압 측정결과 대부분 200㎜Aq 전후의 높은 차압이 발생되고 있어 활성탄 공극이 막혀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국소배기장치의 성능 향상이나 지역 주민의 악취 민원 문제를 고려하여 활성탄을 자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4. 합성피혁제조사업장의 산업환기실태 조사를 수행한 후 전산유체역학과 현장 실험 을 통한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설계자료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 각 공정별 후 드(Hood) 및 송풍량의 표준환기방안을 정리하였다. ※ 주요어 :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산업환기시스템(Industrial ventilation system), 개인시료포집장치(Personal air sampler), 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송풍량(Fan flow rate), 후드(Hood)

      • 韓國 華僑의 料食業 事業과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室內建築計劃 特性 : 淸州 K 차이니즈 레스토랑 室內建築事例를 中心으로

        이선우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 restaurant is a place where the food culture,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country can be appreciated. They can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culture and mindsets of the country once one understands the spa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hose restaur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explor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restaurants, by analyz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of the Chinese restaurants and the eatery businesses of Chinese people in South Korea. For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rrent status of Chinese restaurants in South Korea and surveyed some representative cases in order to analyz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Chinese restaurants.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nterior construction plans of K Chinese restaurant in Cheongju, which is one of the reputed Chinese restaurants in Cheongju city8. Since the ancient times, Korea and China have been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history. Some of the representative products of such an history are the Chinese people living in South Korea, Chinese food, and Chinese restaurants. Especially, Jjajangmyeon,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hinese foods in South Korea, had been an icon of dining culture in South Korea until the economy of South Korea entered its growth phase. As of March 2017, which is 25 years after the official initia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 were some 3,000 Chinese people registered as foreigners in Cheongju alone. However, the number of Chinese people with Taiwanese nationality, who have been commonly referred to as ‘Overseas Chinese’ is less than 300. This is the case not only in Cheongju but over the entire South Korea. The dramatic decrease in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or the Chinese people with Taiwanese nationality, resulted in the current scarcity of Chinese restaurants run by this group, which used to be the icon of the dining culture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necessity to carry on the tradition of these Chinese restaurants and help them develop has been pointed out. But, the researches on this topic has been scarce to be found. Immigration of Overseas Chinese into Korea started with Im-o-gun-ran incident in 1882. And, while this ethnic group went through the Manbosan incident that escalated into a wide-spread Anti-Chinese sentiment in the country,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War, they managed to maintain their economic strength. How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discriminatory policies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 1960, the economic power of Overseas Chinese in South Korea dwindled, finally resulting in their exodus from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author reviewed the history of rise and fall of the Chinese restaurants run by this Hwagyo group in South Korea over the path of above mentioned history. The researcher started with a review on the history of Overseas Chinese in South Korea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food into Korea focusing on Incheon, where there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inatown in South Korea. then,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Hwagyo group and Chinese restaurants in Cheongju.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traditional expressive elements that bes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construction of Chinese restaurants, the researcher researched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staurants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Chinese restaurants in South Korea. The common elements of traditional expressions of Chinese restaurants included the window muntin with traditional grid patterns of China, the lightings using red lanterns and the palace lanterns, color patterns using red and yellow, the lucky symbols based on the images of dragons or phenixes, and objects such as ceramic urns, etc. It has been confirmed that such traditional expressive elements have also been used in K Chinese restaurant in Cheongju, and, based on this finding, a spatial structure for interior construction of traditional Chinese restaurants has been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process, it has newly been found that, in order for the Chinese restaurants run by Overseas Chinese in South Korea to not only survive but also develop further, they should focus more on specializing and making them more luxurious through differentiating the interior space where the food is shared, in addition to the food itself. And, it was noted that the relevance of this strategy is not limited to Chinese restaurants. 레스토랑은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있는 음식문화를 향유하는 곳으로 그 공간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정신을 이해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 화교의 요식업 사업과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실내건축계획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내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을 고찰하고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대표적 사례를 조사하여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전통적 요소를 분석한후 청주지역의 대표적 전통 차이니즈 레스토랑인 청주 K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실내건축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고대로부터 한국과 중국은 정치, 경제, 문화,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산물로 대표되는 것은 한국 화교와 중화요리 그리고 차이니즈 레스토랑이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 중화요리인 짜장면은 한국의 경제성장이 본격화 되기전까지 한국의 외식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이었다. 한중수교 25년을 맞이하는 2017년 3월 현재, 청주지역에 등록된 중국인 수가 3천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예로부터 한국 화교로 통칭되던 대만국적을 보유한 중국인수는 300명에도 미치는 못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현상은 비단 청주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 전체에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만국적을 보유한 한국 화교의 급격한 감소 현상으로 인해 한때 한국의 외식문화를 상징하던 한국 화교가 운영하는 차이니즈 레스토랑이 자취를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명백을 잇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으나 그 연구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 화교는 1882년 임오군란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이주하여 정착하기 시작한 이후 1931년 대규모 배화사건으로 확대된 만보산 사건을 겪고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도 그 경제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1960년부터 시작된 한국 정부의 외국인 차별정책으로 인해 한국 화교의 경제력은 급속히 위축되어 결국에는 화교가 한국을 이탈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속에 함께한 한국 화교의 차이니즈 레스토랑에 대한 흥망성쇠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는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화교의 역사, 중국음식의 한국 유입배경, 차이니즈 레스토랑 등에 대한 자료를 먼저 조사한후 청주 화교와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역사적 배경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실내건축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전통성 표현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과 대만의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건축적 특징을 조사하여 국내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건축적 특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차이니즈 레스토랑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전통성 표현요소는 중국 전통 격자문양이 반영된 창살, 홍등과 궁등을 이용한 조명, 적색과 황색을 사용한 색채, 용이나 봉황 등 행운을 기원하는 길상문양과 도자기 등의 소품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통성 표현요소들이 청주에 있는 K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실내건축계획과 시공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통 차이니즈 레스토랑의 실내건축계획을 위한 공간구성을 제언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한국 화교가 운영하는 차이니즈 레스토랑이 그 명맥을 유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보다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음식과 더불어 음식을 공유하는 공간구성의 차별화를 통한 전문화, 고급화 전략을 세워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하며 이는 비단 차이니즈 레스토랑에 국한되지 않음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 한국교회 실내디자인의 개선방안 : 청주 서남교회를 중심으로

        이선우 청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6.25 war after the national economy, culture, and the growth of sexual intercourse and the ark of the Protestant churches of our country, which has shown grow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chapel of the center according to the economic capacity of the church today, and fine-grained functional space, advanced, largerare social, cultural, transformed and positioned itself as an important and ever. Particularly open convenience that can be shared with the community as a space-efficient design of worship space and the lack of space (such as education, fellowship, service, administration, meals, and other) are required. Functions (worship, evangelism) the original church basically satisfying the premise that, to maximize the function of economics and social functions, at the same time to care for the future creation of cultural evangelism by strategic design strategies were suggested. This study a similar topic destination Cheongju Southwest Church and scale of the existing church space (Shinchon Holiness Church, Vineyard Church, Church) Jangchoong Case element space (chapel, choir, fellowship hall, board rooms, etc.) for a detailed based research was reflected in the data analysis features. For detailed case analysis of target selection and the church building elements clearly limited, however, several factors limit miheu pham angles to these points in the future to complement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6.25전쟁 후 국민경제의 변화, 외래문화의 유입, 성의 개방화와 맥을 같이 해온 우리나라의 개신교회는 근대의 예배당 중심의 건축에서 성장을 거듭하여 오늘날에는 교회의 경제능력에 따라 세분화된 기능별 공간과, 첨단화, 대형화되어 사회,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예배공간과 부속 공간(교육, 친교, 봉사, 행정, 식사, 기타 등)으로 지역사회와 공유 할 수 있는 열린 편익공간으로서의 효율적인 설계의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교회 본연의 기능(예배, 전도)을 기본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기능적인 경제성을 극대화 하고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배려함으로서 미래문화적 전도창출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설계 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대상인 청주서남교회와 비슷한 규모의 기존의 교회 공간(신촌성결교회, 포도원교회, 장충교회)을 사례로 하여 요소별 공간(예배당, 찬양대, 친교실, 방송실, 기타 등)에 대한 세부 특징을 분석한 자료를 연구의 토대로 반영하였다. 그러나 사례분석대상 교회를 선정함과 세세한 요소를 명확하게 한정짓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의 한계와 미흡함이 있어 향후 이러한 점을 다각도로 보완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노후아파트의 관리문제 해결방안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방안

        이선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노후아파트의 관리문제 해결방안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방안 본 연구는 노후아파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입주자의 쾌적한 주거환경과 재산권보장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건축물로 자리 잡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공역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아파트가 국내의 가장 보편적인 주거패턴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정부는 가능하면 민원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사적자치의 원리에 따라 입주자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한다는 논리로 관여하지 않고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주택 200만호 공급정책으로 건설된 1기 신도시 내 노후아파트는 현실적으로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입주자대표회의의 관행에 의한 아파트관리는 사회적 문제로 발생하고 있다. 국가나 정부 또는 공직자들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공의 복지나 이익을 위해서, 즉 공익을 위해서 존재한다. 공익이란 곧 개인의 이익을 총합한 것이라고 볼 수 도 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해서는 진보된 자기이익의 추구로 구성의 오류나 죄수의 딜레마현상을 극복하고 모든 주체들의 이익 극대화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택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은 행위 또는 거주자공간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하나의 권리, 국가의 복지정책차원에서 주요핵심 사안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소유이익에 있어서 공동체 또는 모든 구성원에 최소 50%이상 도움이 된다면 다수의 이익과 공동의 이익으로 정당성이 있고 공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유재산이자 사회적자산인 아파트는 사익과 공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효율적 관리를 위한 공공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공동주택관리 이념으로 소유권과 관리권의 분리, 효율성과 형평성, 통합관리를 통한 공익과 사익의 조화는 효율적 관리를 위한 최소한 있어야 할 하나의 가치원리로 보고, 정부의 ‘제도적인 측면’에서 관리주체의 ‘서비스제공 측면’에서 입주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그리고 선진외국제도에서 벤치마킹할 부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노후아파트의 환경을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에 영향력이 큰 이슈를 핵심이슈로 선정하여 문헌자료의 분석과 현실적인 의견을 반영하고자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핵심이슈는 다시 패러다임 전환과 논리적 연관성에 따라 세부해결과제를 파악하여 체계적 입법화, 전문역량 강화, 효율적 관리, 공 · 사익조화를 목표로 해결과제명을 도출하고, 해결과제명은 공동주택관리법 제정, 입주자중심 관리, 전문지원기관 설치, 정부중심 통합관리이고 최종목표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통한 재산권보장과 지속가능한 도시 건축물로 자리 잡도록 하여 사익과 공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공동주택관리법(가칭) 제정은 공동주택관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 기존에 산재되어 있는 관련법령들을 일원화하여 제정할 필요가 있고, 적극적인 공적지원을 확충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정비하여 효율적 관리가 작동될 수 있는 필요한 내용들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입주자중심 관리는 분양아파트의 경우 아파트관리에 관한 모든 권리는 당연히 입주자(소유자)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입주자(소유자)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당연히 입주자가 관리주체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주택법」제2조(정의) 제14호에서는 관리주체에 관한 정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입주자대표회의의 전횡이 발생하고 아파트관리와 관련하여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입주자는 조합(법인화)이나 총회(협회)를 구성하고, 현재의 입주자대표회의는 이사회(운영위원회)역할로, 관리주체는 전문관리사(회사)의 역할로 소유와 관리가 분리되고 입주자중심의 아파트관리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지원기관의 설치는 관리사무소장 등의 개인역량과 능력에만 의존하여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과학적 · 체계적 · 전문적인 효율적 운영으로 사익과 국익 모두에게 도움이 되게 하여야 한다. 정부중심의 통합관리는 공동주택관리이념을 가장 효율적으로 실현시키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상부의 정부중심 공적지원과 하부의 입주자중심 자율운영이 상호조화를 통해 공동주택관리시스템을 체계화한 것으로 운영관리, 유지관리, 생활관리, 자산관리, 공익관리를 동시에 추구하는 사익과 공익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다. 중앙정부는 법 ․ 제도 등 큰 틀을 제공하며, 우수관리단지를 선정하는 등 공동주택관리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여야 하고, 지방정부는 모범관리단지 선정과 우수사례를 홍보 ․ 확산하여 도시의 특성에 적합한 차별화된 공동주택관리를 유도하고, 선정된 모범관리단지에는 조례 등을 통한 포상, 예산지원, 세제상 혜택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입주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여야 한다. 노후아파트의 관리문제는 입주자 스스로 해결하기에는 너무나 큰 사회적문제로 적극적인 공적지원이 요구되고 공공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후속연구에서 노후아파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공적지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고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lighted Apartment Maintenance and Its Efficiency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 on efficient management of blighted apartment issue, and it will enable residents of blighted apartment to live in quality of amenities and sustainable environment and protect their property right on their own apartment. Living in apartment has become most popular feature of housing in Korea, which means conflicts are provoking in apartment. For example, technical repair and maintenance are needed to many of blighted apartments, such as the 2 million of apartment built in 1st new town of Korea, and representative community of apartment has been taking the role of apartment maintenance. Yet Korean government has been tending to avoid intervention into them, not to make internal conflict to be public grievance. Even though, it is indubitable that government has a duty of protecting common interests, which is sum of personal interest. Therefore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promote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by giving every individual a chance to pursue his or her own profit and preventing market failure. Conflicts in apartment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y issues to be dealt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and protecting civil right, because more than half of Koreans are now living in apartment. If more than half of the residents in an apartment community benefits from possessing their own apartment, the benefit can be considered as common benefit. An apartment therefore can be seen as arena of a common interests and a private interests conflict each other, and that is why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needed in here. To better maintenance of apartment, sustaining balance should be considered as ultimate goal, such as balance between equity and efficiency, common and private interests, and appropriation and property right. Based on the perception of balanc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on the apartment maintenance policy of government, living service from apartment maintenance interested,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partment maintenance of foreign nations. To perform the study, issues on the environment of blighted apartment were analyzed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and key issues that provoke conflict in blighted apartment were chosen: enactment of apartment maintenance law, resident-oriented maintenance of apartment, initialization of support center for apartment maintenance, governmental integrated management on apartment. Then referenc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performed. Firstly, Apartment maintenance law should be enacted in the manner of coordinating the current regulations in force related to apartment and legalizing public support on apartment maintenance, in order to enable government to provide supports to apartment residents without any barriers. Secondly, Housing law of today ambiguously indicates the responsible person of apartment maintenance and it has been often mattered that representative community of apartment tyrannizes over maintenance issues of apartment, and other resident are excluded from them. Therefore, division of responsibility for apartment maintenance into apartment possession and management is one of the prior steps to solve the problem. To achieve the division, apartment residents should organized cooperation or association, and representative community of apartment has to be only in change of steering community matters, as other communities of developed nations do. Plus, for efficient operation support center for apartment maintenance, not only assistance of apartment managers is needed, but also scientific operation system with reasonable cost is necessitated. This research also suggests integrated maintenance system for apartment by the government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reach the goal of apartment management. In other words, the system provided by government can be useful tool for pursuing common and private interests together in dealing apartment maintenance. To be more specific, central government could provide laws and institutions regarding apartment maintenance, and local authority could offer incentives or financial aid to well-managed apartment by residents.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necessitated for proper maintenance of blighted apartment because residents of the apartment are faced with difficulty in maintain their habitation only by themselv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e material for building consensus on maintenance of blighted apartment and present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issue. Keywords: Private Interests, Common Interests, Blighted Apartment, Integrated Maintenance

      • 감자뿔나방과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한 포스핀의 훈증활성과 산소협력효과

        이선우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감자뿔나방과 북방수염하늘소는 중요한 저장 및 검역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나뿔나방과 북방수염하늘소의 각 충태에 대한 phosphine (PH3)과 ethyl formate (EF)의 살충활성 및 산소협력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감자뿔나방의 경우 PH3과 EF에 대한 감수성이 상온(20°C)에서 저온(5°C)보다 높았다. 그리고 감자뿔나방과 북방수염하늘소 모두 약제에 대한 내성이 번데기가 가장 높았다. 두 충에 대하여 산소 협력시험 시 PH3의 경우 산소농도가 높아질수록 살충률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여, 산소협력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H3는 감자뿔나방과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하여 효과적인 훈증제로 판단되며, PH3의 산소협력은 효과적인 훈증소독 기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oth potato tuberworm, Pthorimaea operculella and Sakhalin pine longicorn beetle, Monochamus saltuarius have been known as crucial storage and quarantine pest. In this research, I tested the insecticidal activities and synergistic effects of oxygen with phosphine (PH3) and with ethyl formate (EF) against on each insect stage of the two pests. As a result, in P. operculella, the tolerance to PH3 and EF was higher under low temperature (5°C) condition than room temperature (20°C). Tolerance was the highest in the state of pupa in both pests. In the test of PH3 with different oxygen level, PH3 with higher oxygen level resulted in higher mortality in both pests, confirming synergistic effect of oxygen with PH3. Therefor, PH3 is an effective fumigant against P. operculella and M. saltuarius and its synergistic effect with oxygen proves PH3 with oxygen may be a more effective fumigation method for the control of the two pests.

      • 진로교육 관점에서 본 자유학기제 수학수업프로그램 분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이선우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에서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는 진로탐색기회를 주기위해, ‘자유학기제’를 채택하였고, 이러한 자유학기제의 특징이 전국에 중학교 학교교육에 반영되어 2015년부터 지금까지 전면 시행되어 왔다. 한편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도입으로 인해 진로와 관련한 활동중심 수업, 융합수업 등 새로운 수업방식에 대한 심적 부담을 느끼고 있었고, 교육부 및 연구기관들은 자유학기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에 관련하여 과목별로 다양한 수업프로그램 및 평가 자료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수학과목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수업프로그램이 상당히 개발되었지만, 그 자료들에 대한 분석 및 활용 그리고 평가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교육청 및 국책연구기관 등)에서 개발한 자유학기제 수학수업프로그램을 진로교육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중등 현직/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자유학기제 수학교과에 체계적인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진로교육관점에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수업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2. 진로교육과 자유학기제 수학수업프로그램에 대한 중등 현직/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론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유학기제 수학수업 프로그램은 진로교육 관점에서 주로 ‘자아의 이해’, ‘수학 직업세계의 이해’, ‘수학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 ‘수학직업과 교육’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수학직업과 경제 이해’영역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고, ‘인간관계 이해’, ‘수학 직업에 대한 의사결정능력’영역의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셋째, 현직/예비교사들은 진로교육에 대해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현직교사들은 실시여부가 낮았고,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로 수업시간부족, 교과 진로지도 프로그램부족, 교사의 전문적인 진로지식 부족을 주로 지적했다. 넷째, 현직/예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에 관련한 연수나 행사에 대부분 참여 경험이 없었고,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웹사이트 탑재 지식여부에 대해서 모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에 대해 중등 현직/예비 교사들은 프로그램1을 보고 ‘자아의 이해’, ‘수학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 ‘수학 직업과 교육’이 부족하다고 판단했고, 프로그램2는 ‘자아의 이해’, ‘수학 직업과 교육’, ‘수학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순으로 부족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대해서 중등 현직/예비 교사들은 먼저 개발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적용되지 못한 이유를 프로그램의 문제보다는 ‘수업진도에 대한 부담감’, ‘교사의 준비시간 부족’ 등 주로 외부적인 요인에 무게를 두었고, 이어 ‘교사의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부족’이 영향을 끼쳤다. 일곱째, 교사의 프로그램개발에 앞서 먼저 학생들이 미래 설계를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 그리고 진로체험기관과, 정부차원의 정책 및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활용도 높은 자유학기제 수학수업프로그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수학교사들에게 진로와 관련한 전문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을 확대하기 보다는 기존의 자료에 나타난 내용 및 활동에 대한 효과성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추가적인 자료의 홍보 및 배포가 필요하다.

      • ECM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선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에 속한 지식근로자들의 창의적인 활동에서 산출되는 컨텐츠들은 정형화된 산출물뿐만 아니라, 비정형화된 산출물들도 지적재산권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저작물들이다. 특히 회사의 경영에 있어서 지적재산권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개인이 사용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관리하는 저작물에 대해서도 강제적으로 자산화를 유도하는 정책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ECM(Enterprise Contents Management) 시스템이 구축된다. 특히 국내와 같이 고속 통신망 인프라를 가진 작업환경 하에서는 기존에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진행되어오던 많은 기업의 업무들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르는 업무환경도 많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기존에 기업의 내부 인트라넷을 이용하여 작업하던 방식과는 다르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지적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요구한다. ECM과 같은 대규모 전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한 서버 자원에 대해서 역할별로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ECM은 윈도우즈(Windows) 서버를 기본 운영체제로 하여, IIS 웹서버, 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SharePoint, 모니터링 서버, 통계서버로 구성된다. 각 계층별 서버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은 개선기회를 도출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에 목적이 있다. 시스템의 성능 카운터를 많이 사용하면 정확한 측정이 되겠지만, 시간과 비용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ECM 시스템을 분석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워크 기반 ECM 시스템의 평가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 계층별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웹서버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큰 영향을 주는 성능 카운터를 찾아 구축된 ECM의 성능을 측정하였고, 성능 평가 전후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ECM의 성능 개선에 효용이 있음을 보인다.

      • 인터넷 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응집력의 조절효과 : 폭력적 인터넷 게임을 사용하는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

        이선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공격성모델(GAM)이론에 입각하여,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게임의 유해요소 중, 게임내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어, 남자청소년(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학교 학생)들 중 폭력적 인터넷게임을 사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와 이 관계에서 가족응집력이 조절변수로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서대문구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2학년 1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폭력적 인터넷게임을 사용하는 남자 청소년 4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PASW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계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인 남자 청소년들 중 인터넷 게임 비 중독집단 36.9%, 중독 잠재군 집단 56.5%, 중독집단 6.1%로 나타났다. 이는 절반이상의 남자청소년들이 인터넷게임 중독위험에 놓여 있거나 중독상태에 있어 남자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 중독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1년 내의 학교폭력가해행동을 조사한 결과 전체학생의 절반가량이 최근 1년 이내에 학교폭력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세부 유형별을 살펴보면 위협협박(30.6%), 욕설폭언(38.2%)등 언어적 폭력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체폭력도 10.3%로 나타나, 남자청소년들의 학교폭력가해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가족응집력의 평균은 3.19점으로 나타나 보통이상의 가족응집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터넷게임중독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β값은 3.198(p<.001)로 나타나, 인터넷게임중독이 증가하면 학교폭력가해행동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응집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먼저 Model 1에서,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β값은 -.870으로서,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가해행동과 유의한 부적관계(p<.05)로 나타났다. 또한 Model 2에서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항의 영향력은 β=-1.117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p<.05). 즉, 인터넷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응집력은 두 변인사이의 관계를 완충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폭력적 인터넷게임 사용문제 및 인터넷게임중독의 문제에 대한 국가정책적인 대안모색, 둘째 남자청소년들에 대한 폭력적 인터넷 게임중독과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다각도의 접근, 셋째 학교폭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사례관리체제 확충과 이를 학교 내에서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사 제도의 정착,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요소인 가족개입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확대 및 가족응집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치료프로그램의 확충을 통해 학교폭력을 줄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인접변전소의 IEC 61850 비동기 데이터를 이용한 역상전류 차동방식 기반 송전선로 후비보호 기술 개발

        이선우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대한민국의 전력계통 보호 환경은 Local에서 주보호 및 후비보호를 수행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중앙집중식 보호 환경에서는 중앙보호장치가 인접 변전소의 전압 및 전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후비보호를 수행함으로써 개선된 성능의 보호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C 61850을 기반으로 한 중앙집중식 보호 환경을 구현하고 인접변전소 데이터 취득 방안 제시 및 취득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동기데이터 기반 역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을 이용한 154kV 송전선로의 후비보호 제안을 목표로 한다. 인접변전소 데이터 취득을 위해 중앙보호장치는 변전소 내부에 위치하는 Smart IED로부터 IEC 61850에서 제안하는 GOOSE를 통해 전류 및 전압의 페이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인접변전소의 중앙보호장치와 R-GOOSE(Rutable GOOSE)를 통해 Smart IED로부터 전송받은 전압, 전류 페이저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인접변전소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비동기데이터 기반 역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은 송전선로 사고시 역상전류의 방향이 항상 고장점임을 이용하여 동작전류로 방향요소를 포함한 양단 역상전류 크기 합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154kV 송전선로 주보호방식인 정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보다 고장저항에 강인하며 정상상태 시각동기오차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 제거 효과를 얻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환경 구현 및 데이터 취득, 제안하는 비동기 데이터기반 역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의 성능 검증을 위해 IEC 61850 IED 개발 툴인 SISCO사의 상용 라이브러리 MMS Easer Lite Library 6.20002v를 사용하여 OMAP-L138이 탑재 된 개발보드인 SGI EVM을 기반으로 GOOSE 데이터 송신 및 페이저 연산을 수행하는 Smart IED와 GOOSE 데이터 수신, RGOOSE 데이터 송신 및 비동기 데이터를 이용한 역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을 수행하는 중앙보호장치를 구현하였으며 PSCAD로 설계한 계통의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154kV 송전선로 주보호로 사용되는 보호 방식은 정상전류 비율차동 보호방식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Currently, the power system protection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erforms main protection and backup protection in the local area, but in the centralized protection environment proposed in this paper, the central protection device can obtain voltage and current data of adjacent substations, By doing this, improved performance protection is possibl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mplement a centralized protection environment based on IEC 61850, propose a method of acquiring adjacent substation data, and develope the protection of the 154kV transmission line using the asynchronous data-based Negative Sequence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based on the acquired data. For the acquisition of adjacent substation data, the central protection unit receives current and voltage phasor data from the Smart IED located inside the substation through the GOOSE proposed in IEC 61850. also, it is possible to acquire adjacent substation data by using R-GOOSE(Routable GOOSE). The proposed asynchronous data-based negative sequence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method uses the sum of the negative sequence current magnitudes at both ends including the direction element as the operating current. It is more resistant to high fault resistance than positive sequence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and can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steady-state time synchronization error. SGIEVM was us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SGIEVM was implemented using the commercial library MMS Ease Lite Library 6.20002v of SISCO, a IED development tool based on IEC 61850, for the performanc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environment, data acquisi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asynchronous data-based negative sequence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