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이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후위기에 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학교 환경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학생들은 현 문제를 직면하고 있는 미래세대로서 사회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되었고, 학생들이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생태적인 관점으로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접근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도 ‘생태전환교육’이라는 환경교육 용어를 제시하였고, 생태시민 육성을 새로운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생태시민 육성을 위해서는 학령기 전반에 걸쳐 자연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자연을 지키고자 하는 태도인 생태감수성과 전 지구적 환경문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 문제의 원인이 나와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며 환경 문제에 관하여 생태적으로 의사결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시민성을 기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 현장에서는 생태전환교육을 교사 개인의 재량에 맡기며 계기 교육이나 교육부 사업의 일환으로 일회성에 그치는 프로그램 형식으로만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학생은 복잡한 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서 지식을 단순화하여 제시해야 하고 배운 내용을 행동으로까지 나타내기 위해 반복된 연습과 단서 제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생태전환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효과적이라고 평가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도록 적용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A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1~3학년 6개 학급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15명이다. 연구자가 독립변인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을 고등학교 담임 교사 5인에게 교육하고, 연구자를 포함한 6개 학급 각 반 담임 교사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 1~3회씩 총 10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중재 후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장애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생태감수성 평균 총점과 하위영역 중 자연에 대한 관심 영역, 정서 안정 영역, 자연에 대한 동정 연민 영역의 평균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은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감수성뿐 아니라 세 가지 하위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시민성 평균 총점과 하위영역 중 정의 영역, 참여 영역 평균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은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시민성뿐 아니라 두 가지 하위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및 생태전환교육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The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total of 10 sessions, one to three times a week in a creative activity clas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by their homeroom teacher.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if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would have effect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cological sensi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 and sub-domains (i.e., students’interest in nature, aesthetic experiences in nature, emotional stability, and compassion for nature) of ecological sensibility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Seco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 and sub-domains (i.e., responsibility, rights and justice,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ion) of ecological citizenship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positively affected th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special sch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 의료사고 수사에서 검시조사관의 역할에 대한 연구

        이서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2005,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KNPA) has been implementing a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system, which calls for hiring general public servants in a series of health and medical technologie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death toll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are involved in a crime. Th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investigator in charge through medical examination, environmental survey,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with the medical team and the bereaved family, even in cases where a medical accident is suspected to cause death, and provides the report to the detective in charge. In addition, in relation to medical accident cases such as complaint, other than incident of defense, investigators are asked to cooperate in their work, such as consulting medical knowledge or interpreting hospital medical chart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experience, recognition, and work support activities for medical accident investigation, identify the scope of work, and use it as a basic data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ffective investigation of medical accident incidents using th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in 17 local police agencies across the nation. As of March, 2019, there are 143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s in KNPA excluding six newly hired employees and two people who were on leave.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35 people, and used a total of 104 questions to analyze the final data, except for questionnaires that did not respond or those that were incomple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79.9% of the respondents had received requests for advice on investigation of medical accidents, 35.5% of the tasks for consulting on medical knowledge, 34.9% of the tasks for analyzing or interpreting medical charts, and 6.5% of those who received requests for joint investigation such as search and seizure. About 71.2 percent of thos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s were feeling burdened by their advisory work on medical cases. Among the reasons for feeling the burden of consulting work in investigating medical accident cases, 22.1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the burden of too much work, 13.5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a lack of medical knowledge, 12.5 percent of the limits as general-level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without investigative authority, and 11.5 percent of the cases were unclear rules of work. A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efficient investigation of medical accidents, 45.2 percent of the total workforce for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and 31.7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they would hire more police officers in the field of medical accidents, and 76.9 percent said they would hire more workers.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recommendations can be suggested. More specifically, the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s office should clarify the number of manpower and work regulations, and increas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related to medical accident investigation so that they can work efficiently to support medical accident investigation.

      • 초등학교 공간을 활용한 장소특정적 연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이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place-specific dramatic play using elementary school place and to explore effects of programs on participants. This researcher felt the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earch that enable children to relate more closely to everyday places around them.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 How is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program using elementary school space organized? B. How does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program using elementary school space affect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linked 'site-specific art' with drama education to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for participants to be connected with the everyday place of school.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linking the place identity compon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presented by Relph(2005) with drama resources by Courtney(2010). Participants' reactions were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process and the sense of place was analyz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sense of place by Relph(2005) and Shanmai(1991).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8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November, 2021 to the third week of December, 2021.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help of artist ‘L’, a community theater expert and a theater director, and som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coaching with L.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recognized the school as a place with personal and collective meaning, not an objective and physical space. Participants formed an attachment to school by dramatically expressing personal memories. In addi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living-through’, participants felt the insideness within the place. Participants introduced their inner self into the place while looking at the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an imaginary persona, and gave a new meaning to the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another life. Second, participants in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diversified their perspectives on everyday space. They recognize that everyday space can be varied by their imagination and gives new uses and stories to it. In the safe fence of art where imagination and expression was freely allowed, participants were able to create their own stories by recognizing everyday space as an "empty pla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derieved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igid and fixed school spaces can be used at the level of children's eyes through drama education. Drama education allows children to express their own meanings given to places as imagination and play. Through this, children become subjects who create the place, not objects that are given the space. Second, through drama education, space and place can be alive. The power of imagination and story brought space and place to a new perspective, and brought life to the fossilized space. Third, perspective of space were diversified and enriched through drama education. Participants set up and reconstructed the space through dramatic play, and recognized it as a variable space. If the school place, which children passively accepted, is recognized as a place full of fun, imagination, and meaning through art, children will be able to become subject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nrich their lives.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공간을 활용하여 장소특정적 연극놀이를 실행하고,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어린이들이 주변의 일상적인 장소와 더욱 친밀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적 실천과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교 공간을 활용한 장소특정적 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나. 초등학교 공간을 활용한 장소특정적 연극놀이는 참여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자가 학교라는 일상적인 장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장소특정적 예술’을 교육연극과 연계하였다. 이에, 장소특정적 연극놀이 프로그램은 Relph(2005)가 제시한 경험에 따른 장소 정체성 구성요소와 Courtney(2010)의 드라마 자원을 연계하여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과정 중 참여자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Relph(2005)와 Shanmai(1991)의 장소감 논의를 바탕으로 장소감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서울 A 초등학교의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첫째 주부터 12월 셋째 주까지 약 8주간 진행되었다. 커뮤니티 연극 전문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예술가 L의 조언을 받아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일부 활동은 코티칭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진행 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특정적 연극놀이의 참여자는 학교를 객관적,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이 아닌 개인적, 집단적 의미가 있는 장소로 인식하였다.참여자들은 개인적인 추억과 기억을 연극적으로 표현하며 학교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였다. 또한, 살아보기의 경험을 통해 장소에서의 내부성을 감각하였다. 참여자들은 상상의 페르소나의 관점으로 장소를 바라보면서 장소에 자아를 이입하기도 하고, 다른 존재의 관점에서 장소를 새롭게 바라보았다. 둘째, 장소특정적 연극놀이의 참여자는 일상적인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각화할 수 있었다. 일상적인 장소를 가변적으로 인식하며 고정된 공간이 아닌 새로운 쓰임과 이야기를 부여하였다. 상상과 표현의 자유가 허용된 예술의 울타리에서 참여자들은 일상적 공간을 ‘백지의 장소’로 인식하여 자신만의 이야기를 공간에 부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직되고 획일화된 학교 공간을 교육연극을 통해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다. 교육연극은 어린이들이 장소에 부여한 자신만의 의미를 상상과 놀이로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은 공간을 부여받는 객체가 아닌 장소를 만들어가는 주체가 된다. 둘째, 교육연극을 통해 공간과 장소를 살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상상력과 이야기가 가진 힘은 공간과 장소를 낯설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였고, 화석화된 공간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셋째, 교육연극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인식과 관점이 다양하고 풍성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연극적 활동을 통해 학교의 공간을 재구성하며 학교를 가변적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어린이들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였던 학교 공간을 예술을 통해 재미와 상상, 의미가 가득한 장소로 인식하게 된다면, 어린이들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서 주체가 되어 자신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가꾸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학 포기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이서정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첫 번째로 고등학생의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얻는 데 있어 기저를 이루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의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수학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1개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458명의 학생 중, 수학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은 312명이었으며 수학을 포기했다고 응답한 학생은 1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3.0 및 Mplu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수학 포기 여부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학 비포기 집단에 비해 수학 포기 집단의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또한, 수학 비포기 집단에서 각 변인들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관련을 맺었으나, 수학 포기 집단의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은 그 과정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릿이 목표를 향해 포기하지 않고 노력을 기울이는 특성임을 고려할 때, 개인이 해석하는 노력의 중요성과 양이 과제 성공에 대한 믿음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은 학습 장면에서 강조되어온 노력의 중요성을 재검증해준다. 또한,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목적달성을 향한 열정과 노력을 기울이는 태도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그 효과가 미약하였으므로, 수학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경험의 촉진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지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수학학습에서 성공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어려운 과제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기술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 간에는 스스로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장기적 목적을 향한 열정과 노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그러한 학생들에게 보다 실패를 긍정적으로 승화하고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적 및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그릿은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효능감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본 연구는 그릿이 성취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춰 온 기존의 관점과 달리 학습 과제를 잘 해낼 수 있다는 스스로의 긍정적인 믿음에도 그릿이 기여함을 밝혔다. 이는 학습 장면에서 목표를 향한 열정과 노력의 가치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생들의 학력격차를 심화시키는 주 교과인 수학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효능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가 수학 포기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함으로써, 본 연구는 수학학습 지속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and grit. Also,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were analyzed.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by multi-group analysis not only verifie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and those who have not but also allows us to see how the path coefficients of each group diff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ich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mathematics learning,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7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Of the 458 students selected for the analysis, 312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give up on mathematics and the rest of 146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ave up on mathematic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plus 3.0 program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Nex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mindset and academic self-efficacy. Final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gave up on mathematics or no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rect paths from growth mindset to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path from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found between growth mindset and academic self-efficacy. At la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group of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and those who did not in the path from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The path coefficient of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than i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in the group who did not give up on mathematics, all variabl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significantly. However, growth mindset of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it.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grit played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positiv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academic self-efficacy. Considering that grit is a trait of a person to push oneself to achieve goals,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the amount of effort perceived by an individual improve his or her belief on successfully completing an academic task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effort emphasized continuously in learning situation. Also, in the case of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pursuing goal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was les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the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require positive experience to obtain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help the students to create habit to succeed in mathematics learning and learning skills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effectively. Finally, for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the belief that their own intellectual abilities can be improved did not trigger them to pursue long-term goal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Hence, it is required to provide such stud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support that allows them to cope with failure positively and adaptively.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grit also makes a contribution to an affirmative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the required tasks well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accomplishment result. This fact suggests that both the interest on a goal and the value of endeavor need to be underlined more in the field of learning. Moreover, the study provides concrete and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continuing mathematics learning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it.

      • L.v.Beethoven의 Violin Sonata No.5 Op.24 F Major 分析 硏究

        이서정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후대 사람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으며 지금도 그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는 Ludwig van Beethoven(1770~1827)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 기법으로 고전주의의 음악을 최고의 경지에 올려놓는 한편 19세기의 낭만주의 음악의 문을 열어놓은 작곡가이다. Beethoven의 이러한 음악적인 업적은 서양 음악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고전적인 형식과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이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요소의 힘과 에너지를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발산하고자 했던 Beethoven의 수많은 혁신들은 이후의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 결정적인 작곡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들에 의해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음악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Beethoven의 Violin Sonata No.5 Op.24 "Spring"은 그의 Violin Sonata 중에도 독창적이고 훌륭한 곡으로 손꼽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을 통하여 Beethoven의 음악 세계의 중심이 되는 음악어법을 형식, 주제, 동기와 선율, 조성, 화성,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악곡 분배 기법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고 알아보았다. 이 작품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herzo를 가진 확대된 4악장의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였다. 둘째, 여성적 성격의 제1주제와 남성적 성격의 제2주제를 제시함으로 제 1주제가 남성적이고 제 2주제가 여성적인 성격이었던 당시의 전통적 소나타의 기법에서 탈피하고자 하였다.. 셋째, 동기와 선율의 전개 방법에 있어서는 서로 대립되는 성격을 가진 4개의 동기를 이용하여 곡 전체에서 대립적인 요소를 부각시키며 주요 선율을 이끌어 나갔으며 동음의 반복을 통해 박진감과 긴장감을 더해나가는 수법과 반음계로 선율을 장식하는 등, 콜로라투라와 같은 낭만적 장식적 요소들을 선율에 첨가하였다. 넷째, 조성은 B♭ Major인 제 2악장을 제외하면 모두 원조인 F Major이고 전조에 있어서는 공통화음 전조, 반음계적 전조, 이명동음 전조를 사용하는 등 과감한 전조기법이 특징적이다. 다섯째, 화성에 있어서는 차용화음과 변성화음, 부속화음, 부감화음, 독일6화음, 나폴리6화음과 같은 반음계적 화성이 특징적인데, 특히 부감화음 같은 불협화음의 자유로운 사용은 매우 주목할 만 하다. 여섯째, 곡의 흐름에 있어서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악곡 분배를 동등하게 하여 바이올린의 음악적 위치를 피아노와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려 다루었다는 점은 이 곡의 음악적 의의를 한층 더 높여주고 있다. Beethoven의 Violin Sonata No.5 Op.24 "Spring" 작품 분석을 통하여 고전 소나타의 형식과 틀에 근거하면서도 음악의 전개 수법에 있어서 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이를 자유롭게 변형시키고 발전해 나가, Beethoven만의 개성적 예술의 음악어법을 추구하였음과 그의 이러한 예술성으로 인해 후세의 수많은 작곡가들에게 깊은 감명과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자살의도 없는 자해시도자의 억제조절과 과제조절 결함에 대한 체계적 연구

        이서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해는 행동조절의 문제이다. 자해는 부정 정서 상황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반복된 자해 경험은 일상에서 자해 행동통제와 관련된 적응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확인하기에 앞서 연구 1에서는 일련의 자해 사고 및 행동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구조화된 인터뷰 양식을 한국어로 번역하여(자해 사고 및 행동 면접지 한국어판)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임상적 활용의 유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후 연구 2와 3에서는 개발된 면접지를 활용하여 자해 집단을 선별하고 행동조절과 관련된 신경인지 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2의 목적은 자해 경험을 보고하는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과 달리, 부정정서 상황에서 행동 억제조절능력의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 조작에 효과적인 사회적 배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부정정서와 중립정서조건에 무선 할당하고, 멈춤신호 과제를 실시하여 행동 억제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해보고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에 비해 No Signal 시행과 Stop Signal 시행 모두에서 정확률이 낮았고, No Signal 시행에서의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자해보고 집단은 부정정서조건에 할당된 경우 같은 조건에 할당된 건강대조 집단에 비해 No Signal 시행과 Stop Signal 시행 모두에서 정확률이 저조하며, Stop Signal 시행의 멈춤 신호 간격도 상대적으로 짧았다. 이는 자해 경험자가 부정정서 상황에서 행동 억제조절능력의 결함이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연구 3의 목적은 반복 자해 경험을 보고하는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과 달리, 과제조절능력의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처리 속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성발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보이스키를 사용하였고, 대상간섭 과제를 사용하여 행동억제능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해보고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과 달리, 추상자극에 비해 대상자극에서 반응시간이 현저히 길어질어지는 대상간섭 효과가 나타났다. 자해보고 집단의 대상간섭 효과는 과제 조절 능력의 결함을 시사한다. 상기 연구 2와 3의 결과를 통해, 자해는 단순히 충동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기보다는 부정정서 상황에서 행동 억제조절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 반복적 자해 행동을 보이는 이들은 과제조절능력이 저조하여 일상에서 접하는 대상자극으로부터 유발된 반복행동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자살의도 없는 자해 경험자의 억제조절능력에 대한 자기보고식 심리 측정이나 신경생리학적 이미징 연구의 결과를 보완적으로 지지해주며 치료적 함의를 갖는다. 아울러 자해 치료 및 진단적 관점에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Self-injury is a behavioral control problem due to a deficiency in executive control ability. However, self-injury occurs frequently in specific situations, and repeated self-injury experiences lead to adaptation problems with regard to self-injury behavior control in daily activities. Prior to confirming this, Study 1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ructured interview sheet(the Self-Injury Thought and Behaviour Interview-Korean; SITBI-K), which can effectively evaluate a series of self-injury thoughts and behaviors, in Korean, and examined the usefulness of clinical application. Subsequently, studies 2 and 3 used SITBI-K to select self-injury group and identified behaviour control as a neurocognitive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the non-suicidal self-injury(NSSI) group had deficits in Inhibitory control in negative emotional situations, unlike the health control group. To this end, the social exclusion paradigm, which is effective for emotional manipulation, was used to random assign to th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conditions, and the effective stop signal task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bility to inhibitory control. We used an effective stop signal task to identify Inhibitory control, and random assignment to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conditions using social exclusion paradigm. As a result, NSSI group showed lower accuracy in both No Signal and Stop Signal trials and a faster response time in the No Signal trial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NSSI group was less accurate in both No Signal and Stop Signal trials than in the control group assigned to the negative emotional condition, and the stop signal delay of the Stop Signal trials were relatively short. This supports previous studies and reflects deficits in inhibitory control of Self-injurer in negative emotional situations. The purpose of Study 3 was to identify that self-injury group had deficit in task control, unlike health control group. For this purpose, we used voice key to measure the speech reaction time known to accurately reflect the speed of cognitive processing. As a result, the self-injury group, unlike the health control group, showed a objective interference effect in which the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object stimulus than in the abstract stimulus. The effect of O-I effect in self-injury group suggests a deficit in task control ability.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2 and 3,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lf-injury is not simply because of impulsiveness, but rather because of inhibitory control deficits in a negative emotional situation. In addition, those who exhibit repetitive self-injury behavior may have difficulty in suppressing repetitive behavior caused by object stimulu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due to poor task control ability. And these results complement the results of self-reported psychological measurements and neurophysiological imaging studies on the self-reported self-injury control ability of suicidal self-injury and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In addition, we suggest further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elf-injury treatment and diagnosis.

      •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

        이서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인식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정서인식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과정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매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383(남 180, 여 203)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TMMS: Slaovey et al., 1995), 부정적 정서조절에 대한 기대(NMRS: Catanzaro & Mearns, 1990), 인지적 정서조절(CERQ: Garnefski, 2001), 불안(BAI: Beck et al., 1985), 우울(BDI: Beck et al., 1961), 신체 증상(SCL-90-R: Dergatis, 1977), 주관적 안녕감(ISWB: Campbell et al., 1976)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AMO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부분 매개 모형은 정서인식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와 정서인식이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과정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모두 가정한다.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과 대안 모형인 직선매개 모형과 단순가산효과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이 모든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x, CFI, NNFI 그리고 RMSEA 모두 좋은 수준의 부합치를 보여 부분매개 모형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타당한 모형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모형 검증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그리고 정신건강의 단편적인 관계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간명한 인과적 설명을 제시하며, 실제 장면에서 작용하는 기제를 설명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정서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해줄 뿐 아니라, 정신건강을 위한 예방과 개입에 함의를 가진다.

      • 1960년대 모즈룩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슈즈 디자인 연구

        이서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rpetually recurring and circulating fashion trends follows new directions along with the flow of the times. Fashion styles and characteristics predominated in a particular era are continually changing with the time and serve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designers. A reinterpretation using this source as a design motif in a contemporary manner can serve as a springboard for innovative design and guide for new product development. The 1960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recovery after World War II, a majority of young people became a major consumer group. ‘Mods’, which originated as a subculture of those who resisted the tradition, and ‘Mods Look’, which refers to their clothing, can be considered a code that convey a message through sty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s Look, to analyze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design elements for visualizing Mods Look.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of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ing products that embodied the distinctive design features of 'Finoacinque.' Additio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shoes as an independent fashion categ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rminology, sociocultur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Mods Look for general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Subsequently,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components and types, and design elements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shoes were examined. Then, a more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British women's Mods Look during the Swinging London era and deriv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e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ds Look that emerg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mplicity is represented through the silhouette of a straight and concise line that emphasizes the form by understated details. Second, geometry emerges in the divis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curves in the visual concentration effect. Third, expressivity is represented through the silhouette's clarity, which is visually emphasized and highlighted by the use of color contrast. Design elements for employing the shoe design were examined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ods Look as a frame of reference. The three design elements analyzed are ‘simple form’, ‘structural element’, and ‘color use,' and the following details were investigated a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se elements. The shoe last was newly developed to express simple form. Two types of form were employed to represent geometric elements: round form and square form. By simplifying the silhouette of the Mods Look costume, four lasts were created: a right-angled wide square shoe toe with a height of 2cm, a round-shaped shoe toe with a height of 5cm, a wide round shoe toe with a height of 2cm, and a square toe designed like gathering forward. Structural elements were represented through variations in the upper pattern, the bottom, the decoration, and subsidiary materials. It featured a straight, curved upper pattern without incision lines, which was partially divided or incised to demonstr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shoe is emphasized by a conical shaped heel and over-sole at the bottom. In addition, strap details were added to increase practicability, and the restrained decoration of circular buckles and studs was used. Color and texture contrast of the heel and color contrast and matching of the divided and incised upper are used. The texture contrast between the glossy sheepskin and the matte coated conical heel highlighted the shape, and the incision-cut shoes emphasized the visual effect with a distinct color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achromatic-colored shoe and a bright background color expresses a light atmosphe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rmative features of Mods Look and to develop a unique shoe design for brand to express the analyzed design elements. Using design to establish a brand firm’s identity i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differentiation from other brands. Consequently, developing products that convey an established and distinctive image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serve as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er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primary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shoes as a distinct fashion category, as well as a new visual data for approaching shoe brand design in the future. 패션 트렌드(Trend)는 순환과 반복을 거듭하며 시대의 흐름에 맞게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된다. 디자이너 브랜드에 있어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과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은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 특정 시대의 패션 양식과 특성은 변화를 거듭하며 디자이너에게 영감이 되고, 이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은 창조적인 디자인의 토대가 되어 새로운 제품 개발을 위한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슈즈는 발을 보호하는 기능적인 산물에서 21세기에 들어서 패션 트렌드의 한 영역에서 스타일링을 완성하는 중요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슈즈가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에, 기초적인 학문적 연구와 자료는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발달 과정과 구성 요소, 종류 등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모즈룩(Lods Look)은 기존의 전통에 대항하던 이들의 하위문화에서 시작한 모즈(Mods)의 의상을 일컫는 것으로, 스타일로 메시지를 대변하는 하나의 코드(Code)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즈룩을 고찰하고, 사회·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바탕으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여, 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슈즈 브랜드 ‘피노아친퀘(Finoacinque)’의 독특한 디자인 특성을 구현하는 연구·개발을 위함이다. 아울러 독자적인 패션의 한 분야로 슈즈를 연구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먼저 모즈룩의 일반적인 고찰을 위해 용어 정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특성 순서로 살펴본 후, 슈즈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의와 발달과정, 구성요소 및 종류, 그리고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았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스윙잉 런던(Swinging London) 시기의 영국 여성 모즈룩으로 범위를 한정 짓고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도출한 모즈룩의 조형적 특성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성은 절제된 디테일로 직선적이고 간결한 라인의 실루엣으로 드러난다. 둘째, 기하학성은 수평, 수직선과 곡선의 면 분할을 통한 시각적 집중 효과에서 나타난다. 셋째, 표현성은 색상 대비를 활용해 시각적으로 강조한 형태의 명확성으로 나타난다. 위와 같이 모즈룩의 조형적 특성을 틀로 삼아, 슈즈 디자인으로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디자인 요소 세 가지는 ‘단순한 형태’, ‘구조적인 요소’, ‘색채 활용’이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스트 개발을 통한 단순한 형태 표현이다. 기하학적인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라운드, 스퀘어의 두 가지 형태로 한정하였다. 모즈룩 의상의 실루엣을 단순화시켜 2cm 높이의 직각에 가까운 넓은 스퀘어 토, 5cm 높이의 원형에 가까운 둥근 라운드 토, 2cm 높이의 둥글고 넓은 라운드 토, 3cm 높이의 앞으로 모이는 형상의 스퀘어 토 네 가지의 라스트를 개발하였다. 둘째, 갑피 패턴, 저부, 그리고 장식과 부자재 변화를 통한 구조적인 요소 표현이다. 절개 라인이 없는 일자, 곡선형 갑피 패턴으로 설계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분할하거나 절개하여 표면의 입체감을 나타냈고, 저부에는 원추형의 굽, 오버 창을 사용해 슈즈의 형태를 강조했다. 스트랩 디테일을 추가하여 실용성을 높여주었고, 원형 버클·스터드의 절제된 장식을 사용하였다. 셋째, 분할·절개한 갑피와 굽의 색상 및 질감 대비, 색상 대비, 배색을 통한 색채 활용이다. 유광의 양가죽과 무광 코팅 작업한 원추형 굽의 질감 차이를 통해 형태에 주목하게 하였고, 절개로 면 분할한 슈즈는 명확한 색상 차이로 시각적 효과를 강조하였다. 무채색 계열의 슈즈와 화사한 배경 색상의 뚜렷한 경계 차이를 통해 경쾌한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모즈룩의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디자인 요소를 브랜드 특유의 독창적인 슈즈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브랜드의 확고한 정체성을 디자인으로 전개하는 것은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위한 필요조건이다. 따라서 확고하게 독자적인 이미지를 표현한 제품 개발은 글로벌 시대에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독자적인 패션의 한 분야로써 슈즈를 연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향후 슈즈 브랜드의 디자인 접근에 필요한 새로운 시각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