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민 가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연구의 개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일반 대학원 행정학과 복지행정전공 이 민 자 지 도 교 수 이 영 균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 이주하여 적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과 갈등, 부작용 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하면 가정의 안정을 약화시키며 결혼만족도가 낮아져 이혼의 위기에 놓일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여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한국생활이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삶이 되도록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만족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3일까지 현재 남편과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최종 440부가 수집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은 30세 이하 37.3%, 출신국은 베트남 42.0%,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 70.9%를 차지하며, 종교는 무교 36.4%,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33.9%, 직업은 전업주부가 50.5%를 차지하고 있다. 결혼기간은 5년 이상~10년 미만 35.5%, 자녀수는 1명 34.8%, 한국어 수준은 ‘보통이다’ 60.0%,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여성이 65% 이상이다. 거주 지역은 전라도 51.8%, 경기도 31.1%, 서울 11.4%이며, 남편과의 만남은 결혼정보업체 30.5%, 남편 연령은 41세~50세 50.7%이며 남편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52.7%, 남편 직업은 일용직을 포함한 생산직이 38.2%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검정 결과 문화충격은 조사대상자의 출신국이 베트남 여성일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결혼정보업체를 통해 남편을 만날수록, 남편의 직업이 농업이나 무직일수록 높았다. 의사소통문제는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30세 이하 일수록, 베트남 출신 여성일수록, 무학, 무종교, 무직일수록, 결혼기간이 1년 이상 5년 미만일수록, 한국어를 전혀 못할수록, 국적취득을 못할수록, 결혼정보업체를 통해 남편을 만날수록, 남편직업이 무직이거나 농업일수록 의사소통의 문제가 높았다. 향수병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41세에서 50세일수록, 베트남 출신 여성일수록, 결혼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 일수록, 한국어는 전혀 못할수록, 남편을 결혼정보업체를 통해 만날수록 향수병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편견은 연구 대상자의 출신국이 중국일수록, 종교는 무교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감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31세에서 40세일수록, 출신국은 기타나라와 캄보디아 출신일수록, 종교는 천주교일수록, 한국어를 매우 잘할수록, 자신감이 높았다. 감성지능은 연구대상자가 31세에서 40세일수록, 대학교 졸업 이상일수록, 한국어를 매우 잘할수록, 남편과는 직접 만날수록 감성지능이 높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는 연구대상자가 필리핀 출신 여성일수록, 종교는 천주교와 원불교일수록, 결혼기간은 1년 미만으로 짧을수록, 남편과는 직접 만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충격, 향수병, 사회적 편견이 높을수록 자신감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사소통문제는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자신감과 감성지능)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문화충격, 향수병, 사회적 편견)는 결혼만족도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자신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문화충격, 의사소통문제, 향수병, 사회적 편견)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감성지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간에 회귀모형이 적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 및 이민 정책은 부처별 유사사업과 중복지원 및 정책의 혼선 그리고 예산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하며, 일원화하여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한국식 다문화 컨트롤타워’가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여성들에게 맞는 정책적 대안이 반드시 필요하며, ‘영주권 전치주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토론을 통하여 방법적 모색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하여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이 지역사회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다문화전담 상담센터 및 다국어 통역센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으로 이주한 여성결혼이민자들만이 일방적으로 한국의 역사와 문화, 언어를 습득하여 동화되기를 바라는 정책이 아니라 서로의 문화를 인정해주고 공존하는 다문화정책이 필요하며, 양국의 문화를 배우는 쌍방향의 교육이 필요하다. 여섯째, 낯선 한국생활을 적응하며 어려움을 겪는 과정 속에서 서로를 의지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자국의 여성결혼이민자들끼리 개별접촉 및 단체모임이 필요하다. 일곱째, 한국어 강사에 대한 충분한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계속적인 역량강화를 실시하여 ‘한국어 전문 강사’를 배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되고, 결혼만족도가 증진되어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결혼생활이 되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이 민 자 지 도 교 수 이 영 균 한국사회는 국제화, 세계화의 흐름과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한류의 열풍으로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는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국제결혼이 증가하며 다문화가정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생활을 하면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가부장적 가족문화와 일상생활문화 차이, 경제적 어려움, 국적 취득 문제, 자녀양육 및 교육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갈등을 겪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다소 완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들 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자본을 구조화하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지하공장, 사회복지관, 다문화가정지원센터, 외국인주민복지지원센터, 방문보건센터 등 다문화 관련 기관과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에 직접 방문조사하거나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번역을 요청하거나 한국어 수준이 중급 이상인 고국여성의 도움을 받아 총 2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은 40세 미만이 75%를 차지하였으며, 출신국가는 중국이 46.1%로 가장 높은 분포를 가졌고, 학력은 고졸 이상이 63.2%, 종교는 무교가 49.6%, 불교가 21.9%로 나타났다. 월 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기간은 7년 이상이 36.8%, 한국의 거주 기간은 7년 이상이 35.5%를 차지하였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90.8%로 나타났으며, 동거가족 형태는 부부+자녀 형태가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은 가사가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남편 연령은 40세 이상-50세 미만이 61%를 차지하고, 조사대상자의 남편 학력은 고졸 이상이 80.3%로 과반수가 훨씬 넘었다. 조사대상자의 남편의 직업은 생산직이 31.1%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한국어 수준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63.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분석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출신국에 따른 차이는 신뢰가, 학력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와 참여가, 종교에 따른 차이는 신뢰가, 월 소득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와 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기간, 한국 거주 기간에 따른 차이는 보이고 있지 않으며, 결혼형태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가, 동거가족 형태에 따른 차이는 규범이, 직업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규범이, 남편연령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가, 남편학력에 따른 차이는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참여가, 남편직업에 따른 차이는 사회네트워크가, 한국어 수준에 따른 차이는 신뢰, 참여, 규범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분석으로 연령, 출신국, 학력, 종교, 월 소득, 결혼기간, 거주기간, 결혼형태, 동거가족 형태, 직업, 남편연령, 남편학력, 남편직업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수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삶의 질(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자본 변수 신뢰,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참여, 규범 중 신뢰, 가족네트워크, 규범이 삶의 질(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자본 변인 중 신뢰, 가족네트워크, 규범이 높을수록 삶의 질(생활만족도)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사회적 자본을 통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신뢰, 가족네트워크, 규범을 확산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국제결혼을 하기 전 각국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쌍방의 교육이 필요하다. 나아가 남편 혹은 시부모와 함께 생활하면서 갈등과 오해를 줄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 이해하고 인정해주는 상호이해증진 프로그램, 적응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요구되며, 다문화가정을 위한 전문인력, 전문상담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국적 미취득에 따른 남편과 시댁의 불합리한 인권 침해와 탈가족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며, 다문화가정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장기적, 체계적 지원정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 사회적 자본, 삶의 질, 생활만족도

      • 이민관의 졸업 작품 「Alone Again」해설

        이민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Alone Again」에서 발표한 네 곡의 자작곡에 대한 작곡 배경과 의도를 설명하는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이성과의 만남을 통해 웃기도 하며, 울기도 한다. “Alone Again” 은 화자 이민관이 연애를 통해 느낀 여러 감정들과 이야기를 담았다. 이성을 만나 설레는 순간부터, 만남이 지속될수록 처음과 다르게 변화하는 감정들과 이를 통해 깨닫게 되는 새로운 가치관들을 노래로 풀어내고자 한다.

      • 조직문화와 직원가치제안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식음조리부서 직원중심으로-

        이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V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Employees in the F&B Department of Deluxe Hotel- Lee Min Department of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In a rapidly changing competition system among companies, the key factors for companies to attain achievements and sustainable growth are human resources and how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s a company has about its business and the organization in which it belongs may determine the success and failure. In particular, the human resources of hospitality industries such as hotels and accommodations, and restaurants are not only the key factors for a company's management achievements and sustainable growth, but also have direct impact in a company's service quality and profit creation. For a company, secur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through the process of having and selec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important. And for employee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key values that a company wants to pursue, to accept such values and to identify them with themselves is important. In hospitality industries, as factors for managing human resources,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 for efficient role performance of employees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such as self improvement, training and education chance provision, and reward system need to be made in advance, and the evaluation about them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future behaviors of organization members. This study examined which factors allow organization members to feel satisfied about their organization and focus on their organization, whether rewards and treatments are given regarding that, and what influences these would have in term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behaviors of organization members. Accordingly, the effects of deluxe hotels' food & beverage department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and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y suggesting foundations for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s regarding employees of the future hotel industry,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strategie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ultimately by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factors of employees of deluxe hotels are examined, and strategic measure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are mad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working for f&b department at a deluxe hotel. As for sampling method, biased sampling method was used. Prin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each hotel and self-reporting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5, 2018 to January 31 for about 17 days. Among the collected responses, 15 responses with unfaithful answers and missing values were excluded, a total of 527 responses were utilized as statistical data for positive analysis. The acquired data through the survey was processed through data coding with Windows Excel program, and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s. In addition, for validit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by calculating Cronbach’s α value,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structure concept relations. Moreover, for verifying study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re ar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deluxe hotel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affecting the decision of psychological attitude and behaviors. At the same tim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embers are developed by themselves, but they can be strengthened or reduced based on personal relations and repeated works' feedback. Therefore, organization culture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naturally affe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 memb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ffering right work order from a boss and existing work procedures or practices property would allow employees to overcome stress easi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s, and enhance positive thinking ability. In addition, if a company offers chanc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proper authority and trust depending on ability, employees would have positive thinking and confidence about themselves. In general, it is known that previous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turnover intention are affected by organization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was foun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vidual of psychological factors are previous factors which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intention or thought about turnover, the stress from the process of work performance or from the inside of organizations play the major ro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fforts to reduce stress of employees at the company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attitude toward organizations of internal customers who deal with external customers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industries which focus on profit making through satisfaction of external customers. In addition,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which has been limited to characteristics within organizations such as organizational atmosphere or leadership of bosses, this stud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factors of hotel employees by conducting the tasks of this study, and forming attitude toward organizations, this study would serve as a meaningful data which will bring about positive effects. Keywords : deluxe hotel, organizational culture, employee value propos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급변하는 기업의 경쟁체제 속에서 기업이 성과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는 인적자원이며, 자신의 업무와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결정 될 수 있다. 특히 호텔 및 숙박, 음식 등을 포함한 서비스산업의 인적자원은 기업의 경영성과와 지속적인 성장에 핵심요소일 뿐 아니라 기업의 서비스품질과 이익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유능한 인재를 보유하고 선발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직원들에게는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가치관을 심어주고 직원들이 이러한 가치관을 수용하고 조직과 자신을 동일 시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비스산업에서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요소로 조직 내에서 직원들의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조직문화 개선과 자기개발, 훈련 및 교육기회 제공, 보상제도 등과 같은 직원가치제안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평가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요인 및 향후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만족하고 몰입할 수 있게 해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보상과 대우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향후 이러한 부분이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요인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특급호텔 식음조리부서의 조직문화와 직원가치제안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호텔산업에서 종사원에 대한 바람직한 조직문화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직원들의 조직 몰입을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급호텔 직원들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식음조리부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본의 추출방법은 편의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각 호텔 별로 인쇄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1월 15일부터 1월31일까지 약 17일 동안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답변과 결측값이 발생한 15부를 제외하고 527부를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윈도우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쳤으며,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측정항목의 타당성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여 내적일관성을 보는 신뢰도 분석과 구성개념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특급호텔의 조직문화와 직원가치제안, 직원들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에는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조직문화와 직원가치제안은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인 태도와 행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은 스스로 개발되는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조직 내에서 상사와 동료 등의 인간관계와 반복되는 직무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강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조직문화와 직원가치제안은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에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의 올바른 업무지시 및 기존 업무 절차나 관행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이 조직 구성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에서 쉽게 극복할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고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회사차원에서 직원들에게 경력개발에 대한 기회제공, 능력에 따른 적절한 권한과 위임을 제공 한다면 직원들은 업무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조직몰입이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은 조직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인의 심리적 특성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직에 대한 의도나 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업무수행 과정이나 조직내부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가장 큰 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업차원에서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외부고객들의 만족도를 통한 이윤창출에 집중하고 있는 서비스 산업의 특성에서 벗어나 외부고객을 접점에서 상대하는 내부고객의 심리적요인과 조직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조직분위기나 상사의 리더십 등의 조직 내의 특성요인에 국한된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본 연구의 과제를 수행함으로서 호텔 직원들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조직에 대한 태도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어의 상 보조용언에 대한 계량적 연구

        이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계량적인 방법으로 상 보조용언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이란 한 상황의 내적 시간 구성을 바라보는 화자의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흔히 부르는 진행상, 지속상, 결과상, 완결상 등이 여기에 속한다. 상 의미는 어휘, 어미, 보조용언 등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상 보조용언에 한해 살펴본다. 본고에서 고찰한 보조용언에는 ‘-고 있1-’, ‘-는 중이-’, ‘-어 가-’, ‘-어 오-’, ‘-어 있-’, ‘-어 버리-’, ‘-어 내-’, ‘-어 놓1-’, ‘-어 두-’ 등이 있다. 상 보조용언의 특성 중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100년이 조금 넘는 ‘현대 한국어’라는 시간 틀 안에서 상 보조용언들은 사용의 변화를 보였는가? 둘째, 상 보조용언은 장르별 사용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어의 상 표지 쓰임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어의 상 보조용언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현대 한국어의 시기별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소설 말뭉치를 대상으로 상 보조용언의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고 있1-’은 1940년대부터 출현빈도가 증가하다가 1970년대에는 빈도가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는 중이-’의 영향을 받아서이다. ‘-어 가-’와 ‘-어 오-’는 20세기 초반에는 많이 쓰였으나 점차 사용의 폭이 줄어들었다. ‘-어 있-’은 약간의 기복은 있지만 꾸준히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어 두-’는 1950년대부터, ‘-어 놓1-’은 1960년대부터, ‘-어 버리-’와 ‘-어 내-’는 1970년대부터 사용빈도가 감소되었다. 상 보조용언이 장르별로 사용의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2000년대의 다섯 장르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소설 대화, 소설 지문, 드라마 대화, 드라마 지문, 신문 등 다섯 장르의 말뭉치를 구축하여 이를 본고의 주요 고찰대상으로 하고, 세종문어 형태분석 말뭉치와 세종구어 형태분석 말뭉치를 참조용으로 사용하였다. 고찰 결과 ‘-고 있1-’은 구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문어에서 주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문어에서도 특히 신문 장르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는 중이-’도 ‘-고 있1-’처럼 구어보다는 문어에서 보다 높은 사용빈도를 보이고 있지만 신문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 가-’와 ‘-어 오-’도 문어에서 더 많이 쓰인다. 이들은 구어에서는 장르별 차이 없이 모두 낮은 빈도로 사용되고, 문어에서는 약간의 장르별 차이를 보인다. ‘-어 있-’은 구어보다 문어에서 많이 쓰이고, 소설에서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다. ‘-어 버리-’는 문어에서 많이 쓰이지만 구어에서도 상당한 빈도로 쓰임을 확인하였다. 문어 중 소설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신문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어 내-’는 드라마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소설에서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보이고 있다. ‘-어 놓1-’은 장르별 차이가 크지 않지만 문어보다 구어에서 더 많은 사용빈도를 보이고 있다. ‘-어 두-’는 소설에서는 지문과 대화의 차이가 없지만 드라마에서는 대화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한중 상 대조 논의에 있어서도 병렬 말뭉치를 활용하여 계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동안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 대조 논의는 대부분이 표지 대 표지의 대응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런 연구 방법은 두 언어 상 표지들의 이상적인 대응관계를 밝힐 수 있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이런 이상적인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고 있-’과 ‘-어 있-’을, 중국어에서는 ‘在’와 ‘着’에 대해 병렬 말뭉치에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원전 텍스트에는 상 표지가 있는데 번역 텍스트에서는 별도의 제약이 없는 경우에도 상 표지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또한 습관상이나 일반적 사실을 나타낼 때 한국어에서는 ‘-고 있-’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在’나 ‘着’와 같은 상 표지가 제한적으로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고 있-’은 신문 텍스트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신문 텍스트에 상 표지를 잘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상, 보조용언, 계량적 연구, 대조 연구, ‘-고 있-’, ‘-는 중이-’, ‘-어 가-’, ‘-어 오-’, ‘-어 있-’, ‘-어 버리-’, ‘-어 내-’, ‘-어 놓-’, ‘-어 두-’, ‘在’, ‘着’ 학번: 2012-30706

      • 한중(韓中) 대형 실내공간에서 효과적인 길찾기 앱 디자인의 비교 연구 : 'myCoex' 앱과 'Xun Lu(尋鹿)' 앱을 중심으로

        이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몇 년간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있어 모바일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서비스는 방송 위치기반 서비스, 게임, 금융 등 매우 다양해졌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다양한 모바일 앱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그 중 길찾기 앱은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앱이다. 이를 통해 대규모 매장에서의 이동패턴, 쇼핑패턴 등 대량의 상황 인식 정보를 매장에 방문한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객들은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의 방향설정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길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각적 요소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myCoex' 앱의 '길찾기' 서비스는 더 효과적인 사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의 시각적 측면 범위에 한정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사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인터페이스 평가를 실시하였다. '길찾기' 서비스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성 평가를 위해 시각적 구성 요소: ①색(Color), ②레이아웃(Layout), ③타이포그래피(Typography), ④그래픽(Graphic), ⑤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은 제이콥 닐슨(Jacob Nielsen), 엘리슨 (Alison J.Head),스티브 크룩(Steve Krug), Apple社 iOS등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일관성, 간결성, 접근성, 효율성, 심미성 5가지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 원칙으로 추출하여 설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myCoex' 앱과 ‘Xun Lu(尋鹿)’ 앱의 경험이 있는 유학생들의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평가 결과를 파악하였으며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사용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색(Color)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기업 아이덴티티를 선명하게 표현 할 수 있는 주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게 적절한 보조 색과 같이 정보 구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배색해야 한다. 레이아웃(Layout)측면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앱 화면의 왼쪽부터 오른쪽까지 시선이 이동하도록, 상단부터 하단까지 배치하였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경우는 한 앱에서 하나의 글자체를 선택하여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고 글자체의 양을 잘 조절해서 간결성을 고려해야 한다. 타이포그래피는 색과 굵기, 크기로 변화를 주며 내용을 구분하는데 주목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픽(Graphic)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길 찾기를 위해 그래픽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그래픽 디자인 스타일은 전체적으로 통일하게 디자인해야 한다.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위치확인, 경로 선택, 경로확인, 목적지 확인 4가지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길찾기 과정에서 길을 잃었다면 주변을 대표할 수 있는 건물이나 상징물을 통해 위치를 확인하려 할 것이다. 경로 선택을 쉽게 하려면 적절하게 경로의 수를 제한하고 어떤 지점을 지나 도달하게 되는지를 잘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선택된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했다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주어야 한다. 이러한 디자인 방향에 따라 '길찾기'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코엑스 쇼핑몰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phone network, Variety of service were provided by mobile phone network. For example, Positioning, Games, Finance...... Universalization of mobile phones, phone apps have emerged at the right moment. Wayfinding app is one of the service. In large scale indoor spaces customers can grasp various condition by this app. In particular, providing a direction and a destination location for customer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icient wayfinding servic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visual elements of the interface design . In this report, in order to more efficient use wayfinding service restrict within the interface design visual elements then make an investigation of 'myCoex' app's wayfinding service had used by the people. To obtain wayfinding service of interface design's practical evaluation , focusing on visual elements: Color, Layout, Typography, Graphic, Navigation elements and according to combine Jacob Nielsen, Alison principle J.Head, Steve Krug, Apple iOS club's interface design principle make the survey of wayfinding service interface by checklisting UI visual design principle and visual elements. The results section based on people who had used wayfinding service made survey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control of the final results of the survey based o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object of study is described. In the elements of color, corporate identity interface design background color for the main color combined with other colors of the design. In the elements of layout, left to right, top to bottom, to the user's attention to the order of customary design. In the elements of typography, app screen font to be consistent in, and font color, thickness, size changes should be flexible to use. In the elements of graphic , in order to effectively wayfinding to clear the meaning of Graphic, Graphic design style to unify the entire design. In the elements of navigation, confirm the current location, the road selection and determination must take into account in the process to find a way, if lost, by confirming the surrounding buildings or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ings to find themselves where Location. It allows users to find the destination by destination chosen path. If such wayfinding service is uesed in the shopping process customers will be a good help in COEX shopping mall.

      • 중국 전통 패치워크 기법을 활용한 복식디자인 개발

        이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의 무형 문화유산인 중국 전통 패치워크는 중국의 문화역사에서 유구한 역사와 깊은 문화적 함의를 내포하고, 지역적 특색을 지닌 민간 전통 수공예로서 중국의 복식 및 생활용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활과 자연에 대한 애정을 독특한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기법이 과거의 문화적 전통으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대의 젊은 세대들이 원하는 대중적 디자인으로 상호 융합하여 현대적 의미에서 패치워크 기법의 계승과 동시대적 디자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디자인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활용한 상품 포지션 분석을 결합한 현대적 디자인 모델의 프레임에 착안하여 중국 전통 패치워크에 대한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지 조사와 자료 및 사진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전통 패치워크가 탄생하는 데 두 가지 요인이 있었다. 바로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배경이다. 경제적 요인으로는 물자 부족을 들 수 있다. 사회적 배경으로는 ‘여공(女工)’문화와 근검절약 정신이 확산하면서 봉건사회의 여성들 누구나 ‘여공’이 될 수 있게 되었고, 여성들이 바느질에 능통하고 강한 근검 정신을 갖게 되면서 부터였다. 물자가 부족하고 여성이 여공으로 활약하면서 중국 전통 패치워크가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다. 본문은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기능, 민족 그리고 제작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중국 전통 패치워크를 분류해 보았다. 기능 측면에서 중국 전통 패치워크는 복식류와 생활용품류로 나눌 수 있다. 민족 측면에서는 한족과 소수민족의 패치워크로 분류할 수 있고, 제작법 측면에서는 크게‘이어 붙이는 법’과 ‘깁는 법’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중국 전통 패치워크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문화적 의의는 절약하는 검소한 노동자의 근검 정신과 복을 기원하고 액을 막고자 하며 더 나은 삶을 기리는 만드는 이의 소망을 담고 있다. 중국 전통 패치워크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 패치워크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본문은 외적 요소와 내적 요소를 추출 및 선별하였다. 본문 연구를 통하여 중국 전통 패치워크 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디자인 외적 요소인 형태 요소와 색채 요소를 추출하였다. 형태 요소로는 기하학, 식물, 그리고 동물 이미지 등이 있다.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색채 요소에서 패치워크로 자주 사용되는 색상과 중국 전통문화의 ‘오색관’이 일치하고,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색상들은 비교적 대담하고 자유분방하며 선명하고 톡톡 튀며 순박함을 미의 기준으로 삼는다.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내적 요소로는 민속 요소와 민속 요소가 있다. 민속 요소는 친환경과 기복을 포함하고 있고 신앙 요소에는 다산과 토테미즘이 있다. 둘째, 패치워크 제품에 대해 구체적인 타깃시장, 스타일, 제품의 포지셔닝을 진행하기 위해 바이두 인덱스(Baidu Index), 시나 웨이보(Sina Weibo) 등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21년 1월∼2022년 3월까지로 이 시기의 검색량을 기본 데이터로 하고, ‘패치워크’ 라는 키워드를 통계대상으로 하여 검색빈도를 분석하여 단어를 검색한 이용자들의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중국에서는 패션 상품이 가장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 품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을 통해 중국 최대 전자 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淘寶)’를 크롤링하여 패치워크 패션 판매 데이터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로써 타깃 고객층,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 특징, 원단, 스타일 등을 엿볼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바이두 인덱스(Baidu Index)’, ‘시나 웨이보(Sina Weibo)’등 플랫폼을 통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바이두(Baidu)나 블로그 이용자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패치워크’를 검색한 사람들의 연령, 성별, 지역 등 특징과 최근 1년간 패치워크 상품에 대한 선호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의 두 가지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패치워크 상품 종류로는 장식화, 상의, 앞치마 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치워크 상품 스타일의 키워드는 ‘루즈함, 캐주얼, 트렌디한 브랜드’ 등이었고 타깃 소비층은 2~30대의 젊은 세대였다. 패치워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품의 디자인 개발과 시장 니즈를 긴밀히 매치할 수 있었다. 셋째,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디자인 요소를 추출한 결과와 빅데이터로 분석한 패치워크 상품 포지션을 접목하면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디자인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패치워크 디자인 요소를 현대 의류 디자인에 활용하면 상품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고안해 낼 수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한 상품 포지션을 디자인에 결합하면 소비자의 큰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일반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을 디자인하여 중국 전통의 패치워크가 대중들에게 앞으로도 전승될 가치가 있는 무형 문화재로 인식되었다. 중국 전통 패치워크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분석한 디자인 요소의 외적 특성과 내적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데이터마이닝 결과에 따른 아이템의 종류와 디자인에 따라 각각의 작품을 디자인하였다.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패치워크 상품 종류로는 장식화, 상의, 앞치마 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치워크 상품 스타일의 키워드는 ‘루즈함, 캐주얼, 트렌디한 브랜드’ 등이었고 타깃 소비층은 2~30대의 젊은 세대였다. 그리하여 제품을 상의, 앞치마와 장식화를 선정하였으며 상의는 젊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스웨트셔츠, 셔츠, 스타디움 점퍼로 선정하였다. 전통 패치워크 디자인을 활용하여 개발한 디자인은 스웨트셔츠 디자인 6개, 셔츠 디자인 4개, 스타디움 점퍼 2개, 앞치마 디자인 4개, 장식화 디자인 2개로 총 18개 아이템을 디자인하였으며 개발 후 3D 이미지 작업을 통해 앞으로의 상품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송미경 동화에 나타난 부모상 연구

        이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송미경 동화에 나타난 부모상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융의 집단 무의식과 신화적 원형의 상징을 통해, 송미경 동화에 나타난 부모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송미경 동화의 부모상이 지닌 태고 유형은 고대 창세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어머니상의 기원은 창세여신 ‘대모신(大母神)’으로부터 시작되며, 아버지상의 기원은 태초 남신의 모습에서 내려온다. 대모신은 인류 태초의 어머니이자 인류 공통의 어머니상이다. 하지만 혼인 후, 여신의 창조신 지위는 남신의 부수적 존재로 하강한다. 반면 아버지상의 변모는 힘의 대결인 신들의 전쟁에서 패배하거나, 조력자 여신을 잃고 쇠락한 남신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대신화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혼인을 통한 남녀의 결합은 두 자아를 하나로 만드는 왜곡된 통합을 보인다. 이는 자아의 고유한 개성을 불인정한다. 결국 송미경 동화에 나타난 부모상은 가족 내 부재를 통해 남녀가 분리된다. 어머니는 외부로 전진하는 실제적 부재를 통해 창세여신의 지위를 되찾는다. 아버지는 내부로 퇴행하는 심리적 부재를 통해 무의식 세계로 은둔한다. 송미경은 쇠락한 아버지를 골방이나 여행 가방 같은 여신의 자궁에 잉태시킨다. 그곳은 태아처럼 퇴행한 아버지를 품는 창세여신의 아기집이며, 태초 우주의 어둠인 흑암(黑暗)의 세계이다. 치유를 돕는 만다라의 시간은 정신적 방향 상실의 순간에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도록 이끈다. 송미경은 헌 왕에게 잉태의 시간을 내어주고 새 왕이 될 재탄생의 기회를 부여한다. 이에 아이들은 새 왕의 추대를 위한 불놀이인 불의 제전을 벌인다. 아이들은 불을 지피는 제사장의 역할을 이행하며, 전복의 주체로 거듭난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송미경 동화에 나타난 부모상의 기원과 변모 양상은 각 민족들이 공유한 신화와 공통의 신화소로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Images of Parents in Song Mikyung's Children's Literature Lee, Min Department of Children's Literature, Media and Creative Writ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analyzing the 'parenthood' that appeared in Song Mi-kyung's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the symbol of mythical circularity stemming from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first type of Song Mi-kyung's parents can be found in antiquity creation mythology. The origin of mother image begins from the creation goddess, and the origin of father image has come down from the first male god. The creation goddess is the mother of the beginning of mankind and a common mother figure of mankind. But after marriage, the goddess's creative god status brings down as the man's collateral being. On the other hand, the metamorphosis of the father image can be described as a man who lost in the war of the gods, a battle of power, or who lost the goddess of the helper and fell. This disallows the intrinsic individuality of self. In the end, the parent Image of Song Mi-kyung’s children's literature is separated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the absence of their family members. The mother regains her status as a goddess of the world through the "real absence" of the family moving outward. The father secures himself into the inner world through the "psychological absence" of a family regressing internally. As Like this, Song Mi-kyung implants her father in the womb of a goddess symbolized by a room or travel bag. This is the womb where the creation goddess incubates infirm father like a fetus, and this is the world of black cancer, the first darkness. Mandara's time to help healing leads people to find true self in a moment of loss of mental direction. Song Mi-kyung gives a recess to king and gives him a chance to be reborn as a new king. The children who became masters hold a fire game "Fire Festival," for appointed king. The children fulfill the role of the priest of the fire, and They are reborn as the main agent of overturn. In this study I could confirm that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parent in Song Mi-kyung's children's literature can be interpreted as common myths shared by each nation and common mythmes of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