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수준 및 수행능력

        이기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하는 통합교육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의 인식 수준 및 수행 능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소속 10개 지역의 유치원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요인별 특성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특수학급 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 정도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여 교차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은 통합교육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잘 수용하고 있으며, 통합교육이 장애유아들의 사회성발달 촉진과 함께 일반유아들의 장애인을 사회한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가 크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유치원의 특수학급은 “전일제+시간제”로 운영되는 것을 선호하며, 유아의 개별화 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장애의 다양성”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해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은 “팀티칭”에 의한 협력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통합교육 발전을 위하여 가장 미흡한 점의 원인으로는 전체적인 사회전반적인 인식의 문제로 보고 있다. 둘째, 특수학급 수행능력과 관련하여 통합학급을 맡고 있는 유치원 교사들은 IEP의 계획, 실시, 수정, 평가에 대하여 특수학급 교사들과 협의하에 특수학급 교사의 요구가 있을 때 융통성 있게 수시로 변경하고 있으며, 생활지도시에는 기본생활습관을 중점으로 지도하고, 특수학급의 교육과정은 5개 생활영역과 치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유치원의 일반교사들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 위해서 특수학급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고, 장애유아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며, 장애유아의 진로교육 등에 대한 자신감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율연수나 교육청 중심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주기적인 연수 등을 통한 장애유아의 교육방법이나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기초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며 통합교육이 유치원에서 일반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육의 주체인 일반교사들이 장애유아와 통합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추어야 한다.

      •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성 기술 및 영역에 관한 연구

        이기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장애유아가 일반유치원에 통합되었을 때 장애유아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사회적 기술의 중요도에 대해 일반유치원 교사와 장애전담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성 기술 및 영역에 관한 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아 장애유아의 성공적 통합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요성이 있다. 연구대상은 일반유치원에 재직 중인 공 · 사립 유치원교사 98명과 장애전담 유아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특수교육전문가와 협의하여 만든 사회적 행동평가를 수정 보안하여 설문지로 실시하였다. 검사의 도구는 네 개의 영역으로 되어있고 전체 문항 수는 52개 항목으로 t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 유아교사가 통합환경에 배치될 장애아동에게 중요하다고 보는 사회적 기술은 환경보호적 행동영역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위험한 물건과 장소를 피한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친구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행동영역에서는 일반유아교사는 '괴롭힘과 놀림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장애전담 유아교사는 '교사의 질문에 답하거나 주의를 기울인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신변자립 행동영역에서는 두 집단 모두'화장실에 가려는 의사를 밝힌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자기관리 행동영역에서는 일반유아교사, 장애전담유아교사 모두 '어려움이 처했을 때 도움을 청한다'에 모두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둘째,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 유아교사와의 두 집단간의 인식차이는 일반유아교사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장애전담 유아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장애유아의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성 기술 영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장애아동들에게 우선적으로 사회적 기술의 습득이 있어야 할 것이며, 교사들의 장애아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보다 전문적이고 심화된 연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ypes of social skills disabled young children should have in case of being integrated into regular kindergartens, how regular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ir social skills, and what sorts of social skills disabled preschoolers should acquire in different fields to ensur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It's ultimately attempted to seek ways to integrate disabled preschoolers successful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8 teachers who taught young children. Out of them, 98 teachers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regular kindergartens, and 70 teachers were in charge of disabled young children. A social behavior evaluation inventory was modifi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the advice of an expert special educator,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revised 52-item questionnaire that covered four different areas. For data handling, t-test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crucial social skills of disabled preschooler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rea, both the regular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emphasized that they had to be able to avoid dangerous things and places. Regarding interaction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 regular teachers stress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express themselves in case of being bullied or teased. The special teachers emphasiz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answer teacher's question or pay attention to that. Concerning self-supporting, both groups found it necessary for disabled young children to tell their teacher if they would like to go to the bathroom. As to self-care, both groups considered it important for them to ask for help in case of being in trouble. Second, the regular teachers we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ir social skills in every area than the special teachers. Third, as for the impacts of integrated education experience, the teachers who were experienced in integrated education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ir social skills than the others who weren't, bu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regular teachers with no integrated education experience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ir social skills than the special teacher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disabled children should acquire social skills first of all to make integrated education successful, and teachers should get enriched, specialized training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m.

      • 아동 흡연 예방을 위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초등학교 돌봄교실의 아동을 대상으로

        이기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has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of youth smoking experience and the decrease of smoking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obacco smoking, willingness to smok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irty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caring classroom of two each elementary schools and group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study. At the beginning of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nd after the end of education, conducted on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For the control group, nine lectures (from January 17 to February 14, 2017) performed using smoking prevention video and presentation. For experimental group, horticultural activity were added to 12 lectures (from December 28, 2016 to February 14, 2017). The training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60 minutes depending on the school schedule. The collected data were compiled by Microsoft Excel (MS Office Pro Plus 2013) and R program (ver.3.3.3) was used to analyses of Pearson -test, McNemar -test,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mproved the knowledge of smoking, and the educational effect on smoking knowledge was more obviou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apply the horticultural activity to the program. 2. It is effective to expan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o younger children, such as kindergartens, considering that 5% of children experienced smoking already, even they are 1-2 grade of elementary school. 3. The attitude toward smoking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change was significant. It was significant in experimental group with horticultural activity, but not in control group only. 4.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McNemar -test was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all items, while control groups showed no significance. 5.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jects'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horticultural activity, but the frequency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ose conduct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in educat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caring classes to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child smoking,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using horticultural activity showed which can prove harmfulness of smoking is highly educationa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knowledge about smoking in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children, and education which added horticultural activity was also effective in the change of attitude, It was not an abstract situation. The method to maximize the effects is to develop and systematize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ustomized for each grade level is required. Key Words: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moking knowledge, attitude to smoking, caring classroom, willingness to quit smoking. 청소년의 흡연 경험 증가와 흡연연령의 저하로 흡연예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원예활동을 적용한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금연행동의지, 교육의 만족도 등에 미치는 교육 효과를 분석하여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내 2개 초등학교 돌봄 교실 아동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아동 30명씩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육 시작 전에 일반적 특성, 흡연지식 및 흡연태도, 금연행동의지 등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육 종료일에 흡연지식 및 흡연태도, 금연 행동의지, 교육만족도 등의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흡연예방 광고영상과 동영상 등 자료를 이용한 9회(2017년 1월 17일~2월 14일), 실험군은 매회 원예활동을 부가한 12회(2016년 12월 28일~2017년 2월 14일) 교육을 학교 일정에 따라 주 1~2회, 60분씩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Michrosoft Excel (Microsoft Office Pro Plus 2013)로 정리하여 R Program (ver.3.3.3)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Pearson -test, McNemar -test, t-test, 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예방교육은 흡연지식을 향상시켰으며, 원예활동을 프로그램 에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지식의 교육 효과가 더 확연했다. 2. 흡연태도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낮았으나, 변화의 폭은 커서, 체험활동이 수반된 실험군에서는 교육전후의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강의로만 이뤄진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흡연경험에서, 초등학교1-2학년이 대상이었음에도 54명 중 3명 (5.6%)이 있으므로 흡연교육을 유아원/유치원까지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4. 장소별 금연행동에서 교육전에 대조군이 우수하였으나, 교육후에는 비슷해졌으며, 실험군에서는 곤충앞에서와 꽃옆에서가 늘어난 반면, 대조군에서는 운동장에서가 줄어들었다. 5. 상황에 대한 금연행동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실험군에서 오히려 응답이 적어진 문항이 많았으며, 대조군에선 강아지가 아프다면에서 응답이 늘었다. 6.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73~100%로 높았으며, 점수로는 원예활동을 함께한 실험군 보다 영상과 동영상 자료로만 강의한 대조군이 높았으나, 만족 이상의 빈도로는 실험군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에서 진행한 흡연예방교육은 초등학교 돌봄 교실 아동의 흡연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원예활동을 부가한 교육은 태도 변화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행동변화는 구체적인 장소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추상적인 상황에서는 없었다. 따라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년별 수준에 맞는 단계별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화가 요구된다.

      • 역대정부의 대북정책 분석 및 발전에 대한 연구

        이기옥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반도가 분단된 지 70여년을 바라보는 현재까지도 민족의 통일은 여전히 우리에게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대한민국 역대 정부들의 대북정책은 통일을 지향하면서도 구체적인 정책과 실현에 있어서는 다양성을 보여 왔다. 본 논문은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와 현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을 분석해봄으로써 대한민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향후 바람직한 대북정책 발전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 및 남북관계를 각각 주요 사안별로 조망하여 그 교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남북관계의 변화과정을 1998년부터 2000년 6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까지 기간을 남북협력 준비기로, 제1차 남북정상회담에서부터 2007년 9월 북한의 제2차 핵실험 전까지를 남북 화해 및 협력기, 제2차 핵실험부터 현재까지를 북핵 위협 및 대결기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 남북교류 현황과 주요 사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남북협력 준비기인 국민의 정부는 ‘대북화해협력정책’으로 대북지원과 교류협력 확대를 통해 북한의 자발적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2000년 6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후 ‘6·15남북공동선언’을 채택하는 계기가 되었다. 남북화해 및 협력기는 제1차 남북정상회담 후인 2006년 10월 북한의 제1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제2차 북핵 위기의 상황이 있었지만 정경분리 원칙을 추진한 국민의 정부시기와 국민의 정부의 대북정책을 계승하여 2003년 2월 취임한 참여정부의 시기이다.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인 ‘평화번영정책’은 남북대화와 교류협력 분야의 확대를 가져왔으나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대북지원과 교류협력을 추진하여 비핵화와 군사적 신뢰구축을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북핵 위협 및 대결기는 2008년 2월 출범한 이명박 정부에서부터 2013년 2월 출범한 현 박근혜 정부까지이다. 이 기간 중 금강산 관광객 사망, 천안함 사건과 이로 인한 ‘5·24조치’가 있었다. 이후에도 연평도 포격 사건과 2013년 2월 제3차 북핵 실험의 사건이 있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상생공영정책’은 교류협력을 통한 북한의 변화라는 ‘대북포용정책’과는 달리, 대규모 경제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제시하였다. 이로 인해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다른 분야에서의 대북정책을 진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현 박근혜 정부는 2013년 2월 출범하여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라는 대북정책을 추진하여 선 신뢰구축 후 대규모 경제지원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북한은 김정은의 공포정치와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도발로 인해 국제사회의 비난과 함께 강경한 억제정책의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남북 교류 및 협력관계는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모습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는 화해와 협력의 모습으로 볼 수 있고,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개방과 억압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대북정책의 방향과 중점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남북관계 발전의 미진은 근본적으로 북한의 대남적화전략에 기안한 것이지만 대한민국의 일관성 부재도 일조한 측면이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대한민국의 대북정책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북정책의 발전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커넥티드카 전자제어장치의 보안취약점 분석 및 해결방안 마련 : 전자제어장치(ECU) 보안취약점 연구

        이기옥 세종사이버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커넥티드카는 기계 중심 기술에서 전자,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한 기술이 접목되어 “운전자 편의”와 “차량 안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커넥티드카가 발전하면 할수록 자동차 내 전장화 비율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보안 위협에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커넥티드카 내 존재하는 각종 전자제어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자제어장치 펌웨어 변조 방지를 위하여 보안인증, 펌웨어 무결성 검증, 전자제어장치 부팅 시 펌웨어 변조여부 검증 등의 정보보호 기술을 접목하여 안전하고 보안성이 높은 전자제어장치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방법은 안전한 커넥티드카 제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커넥티드카 내 전자제어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커넥티드카 전자제어장치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방법들을 향후 연구를 통해서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