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재실험을 통한 유리별 파괴현상에 관한 고찰

        이규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data, glass-specific destruction is used as a logical tool for estimating fire causes compared to fire-site exposure frequencies, and the use of functional glass supply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lack of research has made it difficult to extend fire detection. In this paper, based on the fir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glass presented in the previous paper, we include new types of glass in the experimental subjects and construct experimental conditions and methods closer to the actual fire site to present more practical outcome data, thereby expanding the learning boundaries in this field and calling fire inspectors' attention to ultimately contribute to extinguish. Research Method: Plate glass, tempered glass, bonded glass, and double-layer glas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for glass types, and the actual laboratory was designated as a house building with a spatial volume of 28㎥, which is 2.4 m(L)×4.8 m(W)×2.4 m(H). In the experimental stage, we used a fire simulation program to predict whether the target fire environment was implemented under the conditions envisione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ur times per glass of the same type, with three types of shocks applied each time: physical shock, hydrothermal shock, and rapid cooling shock. Research Results: Physical impact experiments show that rough wave ripple ripple marks and glass patterns flowing in one direction were found on the plate glass, which was directly impacted by pieces of debris on both sides of the film, had a gentle wavy shape like an electric welding bead, while the opposite glass had a straight line of advantage pattern. Since the tempered glass was not destroyed, the price of the hand axe,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on both sides of the glass, and incomplete glass patterns such as a high-voltage welding bead on the middle floor, and the double-layer glass was similar to tempered glass, but the glass patterns were found to weak waves on both sides. In the case of heat shock, heat-induced destruction has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physical destruction. No curved ripple mark close to the patternless flexural fracture line and straight line was formed on the plate glass. The glazing was completely destroyed by a sequence of windows, and no fracture lines and ripple marks were formed. The tempered glass was burnt as the entire glass fell to the floor due to a hydrothermal shock, and the fragmented glass was partially oxidized to both sides of the fracture, showing two calm waves inside. In the case of double-decker window glass due to heat shock, the insulated glass fell to the floor due to heat and the glass on the outer side remained functional due to relatively less heat shock. In the case of glass inside, the fracture line was curved and a ripple mark of a fine solid line was found. According to the rapid cooling impact experiment, the internal temperature was fixed at 300℃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was immediately destroyed as a result of the sudden cooling at 84℃, and the joint glass was immediately destroy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error during rapid cooling due to overheating. The surface of tempered glass was destroyed in 120 seconds at 75℃ and was not identified, and the double-layer glass was not destroyed at 35℃ on the outside surface during rapid cooling, but it was destroyed in 120 seconds, resulting in a crush phenomenon. Resultant Summary: For physical impact, sheet glass, junction glass, and double-layer glass were characterized by ripple marks and fragmentation lines, indicating the type and direction of impact, but reinforced glass found no clue. In the case of water heat shocks, plate glass, bonded glass, and double-layer glass had no patternless curved fracture lines and no ripple marks, and the type of impact could be expected with deformed debris and ripple marks. The impact of the sudden cooling could infer the phenomenon of crazed glass, bonded glass, and double-layer glass, but the tempered glass was destroyed, but it could not be discovered. Limitations and Expected Effects: This paper summariz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glass by glass that can be shown by fire in the absence of basic research on glass. However, the failure to present accumulation data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multiple experiments remained a limitation of this study. Nevertheless, we present a screening process to estimate the type of impact and the level of fire progress due to the fragmentation of broken glass, flexibility of fracture surface, and the expansion of knowledge base in the field of glass fire detection makes it meaningful to present on-site adaptation procedures of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job performance of workers on the site of fire investigation. 연구 배경 및 목적: 소방청 자료에 의하면 유리별 파괴 현상은 화재 현장 노출 빈도에 비해 화재 원인추정을 위한 논리 도구로 활용이 아주 저조한 수준이며, 기능성 유리 보급량이 현저히 증대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화재감식의 확장 지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 논문 연구에서 제시한 유리의 화재 반응 특성을 기초로 새로운 종류의 유리를 실험 대상에 포함하고 실험조건과 방법을 실제 화재 현장에 가깝게 구성하여 더 실용성 있는 결과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이 분야의 학습 경계를 넓히고 화재조사관의 주의를 환기시켜 화재 감식기법 진화에 궁극적으로 기여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유리 종류로는 판유리, 강화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제 실험실은 2.4m(L)×4.8m(W)×2.4m(H) 크기의 공간 체적 약 28㎥인 가건물로 정하였다. 실험단계에서 구상한 조건에서 목표한 화재 환경이 구현되는지를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측해 보았다. 실험은 동종의 유리별로 총 4회 실시하였으며 매회 마다 가해지는 충격의 종류는 3가지로 물리적 충격, 수열 충격, 급냉 충격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충격 실험을 보면 판유리에서는 거친 파도물결 리플마크와 한 방향 측면으로 흘러나가는 유리패턴이 확인되었고, 접합유리는 양면이 필름에 붙은 파편 조각으로 충격을 직접 받은 유리는 전기용접 비드처럼 잔잔한 물결 모양으로, 반대편 유리는 일자형으로 일직선으로 유리 패턴을 볼 수 있었다. 강화유리는 파괴가 되지 않아 손도끼로 가격, 산산이 조각나 유리면 양쪽에 일직선 모양과 중간층에 고전압 용접비드처럼 불완전한 유리 패턴이 형성되었고 복층유리는 강화유리와 비슷하나 양면에 일직선의 중간층에는 약한 물결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열 충격의 경우 열로 인한 파괴는 물리적 파괴와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다. 수열 파단선과 파단면은 판유리는 무패턴 굴곡형 파단선과 직선에 가까운 곡선 모양의 리플 마크가 형성되지 않았다. 접합유리는 수열에 의해 창문 유리가 전체적으로 소실되어 파단선과 리플마크가 형성되지 않았다. 강화유리는 수열 충격에 의해 유리 전체가 바닥에 떨어져 그을림이 많았고 산산 조각난 유리는 일부 기형적인 파편과 리플 마크는 파단면 양면과 중간에 산화되어 형태는 없으나 내부에 2개의 잔잔한 물결 모양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열 충격에 의한 복층 창문 유리의 경우 수열을 받은 쪽 유리는 열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고 외부 쪽에 있는 유리는 열충격을 비교적 덜 받아 기능을 유지했다. 안쪽에 있는 유리의 경우 파단선은 곡선 모양이 있었으며 가는 실선의 리플마크가 발견되었다. 급냉 충격 실험을 보면 내부 온도는 300℃로 고정되고 판유리의 경우 외부온도는 84℃로 급냉 결과 즉시 파괴되어 크래이즈드 현상이 식별되었으며, 접합유리는 과열로 급냉 시 외부온도 오류로 즉시 파괴되고 크래이즈드 현상이 발생했다. 강화유리는 외부 온도표면은 75℃로 120초에 파괴되었고 식별되지 않았으며, 복층유리는 급냉 시 외부표면 35℃에 파괴되지는 않았으나 120초에 파괴되어 크래이즈드 현상이 발생했다. 결과 요지: 물리적 충격의 경우 판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는 리플마크와 파단선의 특징으로 충격 종류와 방향을 알 수 있었으나 강화유리는 단서를 찾지 못했다. 수열 충격의 경우는 판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는 무패턴의 굴곡형 파단선과 리플마크가 없는 것으로 충격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강화유리는 기형적 파편과 리플마크로 충격 종류를 예상할 수 있었다. 급냉 충격으로는 판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는 크래이즈드 현상을 유추할 수 있으나 강화유리는 파괴 되었으나 크래이즈 현상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한계점 및 기대효과: 본 논문은 유리에 대한 기초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유리별 기본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다만, 동일 조건, 다수 실험에 의한 축적 데이터를 제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았다. 그럼에도, 파괴된 유리의 파단선, 파단면의 굴곡성, 크래이즈드 현상으로 충격의 종류와 화재의 진행 수준을 추정할 수 있는 화재감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유리화재 감식 분야의 지식 기반 확대로 연구 결과의 현장 적응 절차 제시가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재조사 현장 업무 근무자의 직무능률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On the real roots of the q-Beronulli polynomials of order k

        이규석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베르누이 다항식을 일반화 시킨 차수 k를 갖는 q- 베르누이 다항식을 소개하고, 수학 software 인 Mate-ematica를 이용하여 차수 k를 갖는 q- 베르누이 다항식들의 그래프 개형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이 다항식들에 대한 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치알고리즘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근사해들을 구하였다.

      • 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for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이규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높은 신뢰도를 만족하는 전산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오랜 기간 엔지니어들의 꿈이었다. 전산 모델을 통한 높은 신뢰도의 예측 및 해석을 위해선 정확한 입력 변수 값이 필요하다. 하지만, 미지 입력 변수의 존재는 전산 모델을 이용한 예측 및 해석의 신뢰도를 저하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모델 보정이란, 전산 모델의 미지 입력 변수의 값을 추정하는 과정을 뜻하며, 궁극적으로 정확한 미지 입력 변수 값의 추정을 통한 전산 모델의 신뢰도 향상을 목표로 한다. 높은 신뢰도의 전산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많은 관심과 함께, 모델 보정 기법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대표적인 방법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이다. 올바른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위해선 다양한 종류의 불확실성 요인들에 대한 고려, 동시에 효율적이고 정확한 모델 보정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보정 기법 개발을 위하여 다음 네 가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주제 1: 측정 오류를 고려한 실험 데이터의 불확실성 모델링, 2: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의 볼록 최적화 문제 확인을 위한 민감도 정보 유도 및 민감도 정보를 이용한 강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3: 정확하고 효율적인 순차적 통계 기반 최적 설계 루프 구성, 4: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결과에 대한 직관적이고 통계적인 검증 방법 개발 연구주제 1: 모델 보정은 전산 모델을 이용한 해석 값과 실험 값으로부터 얻은 두 확률 분포 일치도의 최대화(혹은 불일치도의 최소화)를 통해 미지 입력 변수 값을 추정한다. 정확한 모델 보정을 위해선 실험 측정 값의 불확실성을 적절히 묘사하는 확률 분포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험 중에 발생하는 시스템 측정 오류와 랜덤 측정 오류에 의해 실험 값의 불확실성이 부정확하게 모델링 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연구 주제는 최대 우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측정 시 발생하는 측정 오류들을 고려한 실험 데이터의 불확실성 모델링을 목표로 한다. 연구주제 2: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효율적인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주로 구배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을 사용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보정 척도(Calibration metric)를 이용하고, 구배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결과, 부정확하고 불안정한 보정 결과를 보여왔다. 따라서, 두번째 연구 주제는 1) 위 부정확하고 불안정한 보정 결과에 대한 이유를 분석하고, 2) 유도된 민감도 정보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주제 3: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미지 입력 변수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통계 기반 최적 설계(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를 사용한다. 통계 기반 최적 설계는 확률 분석(Probabilistic analysis)을 포함한 최적화 방법이다.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위해서 확률 분석은 해석 값의 확률 분포를 얻기 위한 불확실성 확산(Uncertainty propagation)을 담당한다. 하지만, 확률 분석은 많은 양의 계산을 필요하므로 최적화 과정과 동시에 진행될 때, 효율적인 최적화 루프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번째 연구는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순차적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순차적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두 개의 순차적 최적화 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번째 루프는 효율성을, 두번째 루프는 정확성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을 순차적 최적화 및 불확실성 확산(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SOUP)이라 한다. 연구주제 4: 모델 보정의 마지막 과정으로, 모델 검증 과정은 보정 된 결과가 유효한 결과인지 확인한다. 검증은 정량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네번째 연구주제는 새로운 검증 척도인 확률 일치도(Probability of coincidence: POC)를 제안한다. 확률 일치도는 전산 모델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와 실험으로부터 얻은 측정 결과의 확률적인 일치도를 계산한다. Highly credible computational models have long been a dream of engineers. One factor that impacts the credibility of a computational model is the existence of unknown input variables in the model. For this reason, model calibration – a process of estimating unknown input variables in a computational model – has been explored, with the goal of providing solutions that could ultimately improve the credibility of computational models.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OBMC) is recogniz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estimating the unknown input variables in a computational model through the use of optimization techniques. For OBMC, a question of fundamental importance arises: How can OBMC be carried out accurately and efficiently under various sources of uncertainties and errors? In order to facilitate OBMC for model calibration in a statistical sense, this doctoral dissertation aims to address four essential issues: 1) Research Thrust 1 – Characterize the uncertainty in experimental observations considering the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2) Research Thrust 2 – Derive analytical sensitivity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convexity of the optimization problem formulated by OBMC, and conduct robust OBMC using the derived analytical sensitivity information; 3) Research Thrust 3 – Formulate an 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 loop for accurate and efficient OBMC, and the associated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es; 4) Research Thrust 4 – Validate the calibrated computational model that is derived from OBMC not only in a statistical sense, but also with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Research Thrust 1: The process of model calibration estimates unknown input variables of a computational model with a goal of maximizing the agreement (or minimizing the disagreement) between probability distributions that result from computational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observations. To execute accurate model calibration, a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is required that describes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data). However, experimental observations may include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When characterizing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no consideration of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may degrade the accuracy of calibrated results. Thus, Research Thrust 1 proposes a method that utilizes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ith modeling of systematic and random errors to properly develop a probability distribution that describes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Research Thrust 2: Occasionally, 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s are effective for use in OBMC. However, the calibrated results derived from gradient-based algorithms that use existing calibration metrics result in inaccurate and unstable calibration. Therefore, Research Thrust 2 aims to 1) investigate the fundamental explanations of the inaccurate and unstable calibrated results that arise from using existing calibration metrics, and 2) enhance the robustness of OBMC by providing gradient information. Research Thrust 3: OBMC is a probabilistic method used to estimate unknown input variables through the use of 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 (OUU). OUU combines the optimization process with the probabilistic analysis; this is used for the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 in OBMC. Performing OBMC using an OUU formulation requires a high computational cost because the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es are associated in a loop.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BMC, Research Thrust 3 presents a sequential OBMC approach that makes use of first 1) an efficient, and then 2) a highly accurate uncertainty propagation method, in sequence. The proposed method is called 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SOUP). Research Thrust 4: As the final process of model calibration, model validation checks whether the calibrated result is valid or not. The valid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way. Research Thrust 4 proposes a new validation metric called probability of coincidence (POC). The POC calculates the probabilistic degree to which the computational prediction agrees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 맥도널드와 롯데리아의 서비스품질과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이규석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 패스트푸드점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 및 충성도를 연구하는 논문으로써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패스트푸드점의 성공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패스트푸드점의 고객 만족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패스트푸드와 서비스품질,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하여 패스트푸드의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와 선택속성에 관안 연구,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증연구를 위하여 224부의 설문지를 서울지역 소재 패스트푸드점 중 맥도널드와 롯데리아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에서 2009년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방법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의 처리 분석 방법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맥도널드와 롯데리아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서비스품질의 다섯가지 요인중에서 유형성에 대해 높게 평가를 하고 있으며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서 모두 롯데리아가 맥도널드보다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의 요인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고객들이 느끼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성공 요인을 찾고 고객 서비스 품질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더욱 강화해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도구로 활용한다. Objective of this research presents theoretical basis about success of fast food restaurant by providing some service and searches customer's dissatisfaction factor as paper that occupy unique position and studies quality of service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degree of It fast food restaurant in domestic and customers satisfaction of fast food restaurant is purposeful to study effect getting by customer loyalty degree. Investigated theoretically about fast food and quality of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egree for this objective and executed research,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egree in research and choice attribute about choice action of fast food through virtue research. Also, for supporting research 224 questionnaires to McDonald and customers who use Lotte lea among Seoul area site fast food restaurant from September 1, 2009 to September 30, 2009 questionnaire do. Did statistical analysis because enumeration method used magnetism recording style question district court which respondent writes directly, and processing analysis method of data uses SPSS 12.0 programs. Users who use actual proof analysis wave and McDonald and Lotte lea are evaluating high about corporealness among five factors of quality of service and all Lotteria were expose that more general satisfaction is high than McDonald in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and customer loyalty degree. Also, was confirmed that factor of quality of service exerts influence of chisel (+)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egree. Suggestion point of this research is previewing that need to find success factor and improve customer service quality analyzing factors that feels guests, and utilize by a tool to because satisfaction of customers about service appears high this more strengthen and improves consumer's purchase desire.

      •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위한 라이다 센서 정밀 모델링

        이규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제 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 개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상환경 내에서 주행 시험을 시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자율주행 시뮬레이터에서도 실제 자율주행 시스템에서와 같이 가상 인지 센서(카메라, 라이다, 레이다) 데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한다. 인지 센서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센서의 구동 방식에 대해 정의한 센서 모델, 그리고 가상 환경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다. 실제와 유사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실제 센서의 오차 요소가 고려된 센서 모델과 실제 환경의 복잡도와 특성에 따라 구현된 가상 환경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센서 중 라이다의 정밀한 센서 모델링을 위한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라이다 센서 모델을 라이다의 기하학적인 데이터 취득 방식을 모사하기 위한 기하학적 모델, 라이다의 반사강도 취득 과정을 모사하기 위한 복사학적 모델로 구성한다. 그리고 라이다 데이터가 가지는 오차 요소를 분석하고 모델링하여 정밀한 센서 모델링을 수행한다. 또한 실제 환경과 유사한 가상 환경 구축을 위해 실측 라이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경 모델링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라이다 센서 모델링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실측 데이터와 비교 평가한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방법에 따라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에 대하여 라이다 센서 모델링과 환경 모델링을 수행하고 라이다 시뮬레이터를 구축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 결과, 실측 데이터와 기하/복사학적으로 개선된 유사도를 확인하였고, 실외 주행 환경에서의 정밀 시뮬레이션 결과를 자율주행 측위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유사한 경향의 측위 오차 누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시뮬레이터에 활용되기 위한 정밀한 라이다 센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방법과 그 영향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정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실측과 비교함으로써 라이다 정밀 모델링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utonomous driving development using real vehicles, autonomous driving simulators that can conduct driving tests in a virtual environment are actively used. The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recogni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virtual perception sensor(camera, LIDAR, radar) data as in a real autonomous driving system. Perception sensor simulation data is generat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sensor model defined for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erception sensor and the virtual environment. For sensor simulation that generates data similar to real, a sensor model in which the error factors of the real sensor is considered and a virtual environment model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mplex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al environment are requir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precise sensor modeling of LIDAR among perception sensors of autonomous vehicles. The LIDAR sensor model is composed of a geometric model to simulate the geometric data acquisition process of LIDAR, and a radiometric model to simulate the intensity acquisition process of LIDAR. And precise sensor modeling is performed by analyzing and modeling the error factors of LIDAR data. In addition, to build a virtu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environment model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actual LIDAR data and simulation data is generated. Finally, in order to validate the LIDAR sensor modeling, the generated simulation data is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real LIDAR data. In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LIDAR sensor modeling and environmental modeling were performed for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nd LIDAR simulator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valid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imilarity improved geometrically/radiometrically to the real LIDAR data, and accumulation of positioning errors with a similar tendency was appeared by applying the precision simulation results in the outdoor driving environment to the autonomous driving localization algorithm. Through this, the method of precise modeling of LIDAR sensors and simulation for use in the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and its impact were evaluated. Finall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recise simulations with actual measuremen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recise modeling of LIDAR sensors could be verified.

      • 방열소재와 성형방법이 열전도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석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자제품 및 전장제품 및 모바일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심기기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가 추구되고 있으며, 고 집적화 되어 다기능을 수행하게 될 전자소자는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 발생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하여 주변 소자의 오작동 및 기능을 감소시켜 부품 및 제품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낮게 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제품 및 전장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열 소재를 제작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폴리머)에 고 열전도성 필러 Alumina(Al203), Boron Nitride(BN), aluminium Nitride(AlN)을 사용하여 단일 및 복합으로 혼합하고 성형방식에 따라 제조하여 이들의 열 전도성을 분석하였다. 열 전도성 필러의 함유량을 높이면 높일수록 열 전도성 복합체의 열전도율은 높아졌다. 고분자 수지(폴리머)에 열 전도성 필러의 함유량을 Vol. 55%, 61%, 67%, 69%, 70%로 혼합하여 밀도, 비열, LFA(레이저 플래시 방식)장비를 이용하여 열확산 계수를 측정한 결과 열 전도성 필러를 가장 많이 함유한 시료가 열전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열 전도성 필라 입자크기가 열전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열 전도성 필러(Alumina) 입자크기 5µm, 40µm, 70µm, 120µm를 사용하여 2가지의 입자크기를 5µm(40µm, 70µm, 120µm) 혼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한 결과 입자크기가 가장 큰 5µm, 120µm을 혼합한 복합체가 열전도율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2종류의 열 전도성 필러 Alumina/BN, Alumina/MgO를 혼합하여 열 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BN의 입자 형태는 판상 형태를 가지고 있어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점도가 구상형태의 알루미나 혼합보다 높아지고 시편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품의 성형을 위해 알루미나의 혼합 비율 및 함량을 조절하여 Alumina/BN, Alumina/MgO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단일 소재를 사용한 Alumina 복합체 보다 고 열 전도성 재료를 사용한 복합체가 열전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형방식에 의한 열전도율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가공방식은 코팅 가공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열 프레스를 사용하는 방식은 고방열 복합체를 성형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따른 열 전도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코팅 성형방식보다 열 압축성형 방식으로 제조한 시료가 열전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EM 측정을 통해 필러의 분산 및 압축에 의한 필러들의 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Recently, core devices used in electronic products, electronic products, and mobile fields are pursuing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multi-functionality as time goes by, and electronic devices that will perform high-integration and multi-function will generate more heat. Such heat generation decreases the function of the device to reduce the malfunction and fun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parts and products and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refore, high-temperature conductive fillers Alumina (Al203), Boron Nitride (BN), and aluminum nitride (AlN) are used in polymer resins (polymers) to produce heat-dissipating materials used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electronic products and electronic equipment to the outside. It was mixed in a single and complex using and prepared according to the molding method to analyze their thermal conductivity.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the high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The conten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n the polymer resin (polymer) is shown in Vol. 55%, 61%, 67%, 69%, 70% of the mixture, density, specific heat, and LFA (laser flash method) were used to measure the thermal diffusion coefficien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high. In addition, to find out whether the thermal conductivity filler particle size affects the thermal conductivity, two different particle sizes of 5µm (40µm, 70µm, 120µm) are mixed using various thermally conductive filler particle sizes of 5µm, 40µm, 70µm, and 120µm. As a resul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the composite with a mixture of 5µm and 120µm with the largest particle size measured the highest thermal conductivity.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two types of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Alumina / BN and Alumina / MgO were mixed to prepare a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Since the particle shape of BN has a plate shape, even with a small amount added, the viscosity is higher than the mixing of the spherical shape of alumina and it is difficult to prepare the specimen. Alumina / BN and Alumina / MgO composites were prepared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and content of alumina for molding of the product. As a resul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us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umina composite using a single material. Final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lding method was compared. The general processing method mainly uses the coating processing method, but the method using a heat press is also used when forming a high heat dissipation composit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rmal conductivity, samples produced by thermal compression molding method showed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coating mold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