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렬 ECD와 NPD를 사용한 GC로 부터 다성분 잔류 농약의 동시 분석법

        윤치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식품공전(식품공업협회, 1994년)에서 규제하는 농약은 총 112종이며 그 중에서 유기인제(23종), 유기염소제(14종), 카바메이트제(3종)의 40종 농약은 각각 다성분 동시 분석법으로 정성과 정량을 한다. 본 연구는 다성분 동시 분석법에 의해 40종 농약을 대상으로 정성법과 정량법을 확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GC에서 동일한 정지상의 두 capillary columns에서 이론단수는 BHC에서 30m×0.32㎜ i.d.×0.25㎛ crosslinked 5% phenyl silicone에서는 9.12×10^(4)이고 25m×0.20㎜ i.d.×0.11㎛ crosslinked 5% phenyl silicone에서는 2.94×10^(5)로 약 3.2배 커서 좋은 분리능을 보였다. 40종 농약의 동시 분리를 위한 액체상으로는 HP-5 capillary column 보다 HP-1 capillary column이 효과적이었다. GC에 시료 주입할 때 split mode 보다 splitless mode를 사용 하는게 검출한계를 내릴 수 있으며 splitless mode의 splitless liner 보다 single-taper liner을 사용했을 때 검출한계를 내릴 수 있었다. 내부표준물로서 triphenylphosphate와 2,4-dichlorenitro-benzene을 사용하여 토마토 시료의 농도를 구했으며 분석할 때 마다 달라질 수 있는 기기적 오차를 보정할 수 있었다. 병열 ECD와 NPD를 사용하여 농약의 화학구조별로 검출하였고 병열 ECD와 NPD system를 사용함으로 1회의 시료 분석과정을 통해 40종 농약을 동시에 분석이 수행됨으로 분석 시간을 줄일 수 있었으며 11종 농약의 동시 검출이 가능하여 각 농약 별 감응비를 구해서 보다 신빙성있는 정성 분석방법에 활용할 수 있었다. 개발한 분석법에 의해 40종의 농약 0.3∼5.0㎍을 토마토 시료에 첨가한 다음, 40종 농약의 회수율은 거의 70%이상을 얻을 수 있으며 15%이하의 상대 표준 편차를 얻을 수 있었고 검출양 범위는 4∼230ng이었다. 식품공전 중 토마토에서의 허용한계치가 0.05∼10.0ppm에 비해 본 분석법의 첨가량는 0.01∼0.78ppm으로 허용한계치의 약 1/4까지 분석이 가능함을 실재로 확인하였다. The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multi-residue pesticides added in tomato sample was establish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dual electron capture detector and nitrogen-phosphorus detector. The 40 pesticides was extracted in a glass column contained with a free-flowing power with Florisil and tomato sample by eluting 50ml methylene chloride-acetone (9+1) and 30m1 ethyl acetate. Recovery studies were performed at the 0.01∼0.78 ppm levels of 40 pesticides added to tomato sample. Their recoveries was above 70%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17.12% to 1.38%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mprove the analytical method of Korean Food Codex, in which 40 pesticides is separately analyzed by class pesticide each other.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is rapid and single for the determination of 40 pesticides in tomato. By column extraction method of 40 pesticides, further clean-up is no necessary for Gas chromatographic measure using dual electron capture detector and nitrogen phosphorus detector.

      • 이탈리아와 독일의 낭만주의 오페라 비교 분석 : Verdi의 Rigoletto와 Wagner의 Lohengrin을 중심으로

        윤치호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탈리아의 낭만주의 Verdi의 Opera Rigoletto와 독일의 낭만주의 Wagner의 Opera Lohengnin 두 작품을 비교 분석 연구 함에 있어 全體的인 요점을 기술하고저 한다. 음악( operascore ) 을 위주로 하여 분석함에 앞서 19세기 이태리와 독일의 오페라의 형태, 그당시 유명하게 활동하던 작곡자들과 그들의 작품 또 그들dl 각기 Verdi와 Wagner 에게 끼친 영향등을 살펴보고 기술 하였고 硏究 결과 음악 形式은 비슷한 면을 보여 주고 있어 각막 마다 장에 이르기 까지 반주의 Leitmotiv나 노래에까지 說明기술 하였다. 특히 두 오페라의 공통점은 Number opera에서 벗어나, Recitativo, Aria, 중창, 합창등의 개별적인 곡으로 나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는 음악의 형태를 취한점 등과 Verdi 는 Rigoletto 이전에 사용하지 않던 Leitmotiv를 사용한점, 작품 속의 저주의 동기가 Verdi는 C minor 인 반면, Wagner는 f# minor 를 사용한점이 특이 하다. 끝으로 이들이 지닌 실력에서 모방은 없다. 손처도 동시대 거장들로서 새로운 창작에 새기법을 높이 평가 한다. There are two remarkable tendencies in the 19th century Romanticism opera. One is Italian opera in which Giuseppe Verdiplayed a key role, the other is Germanic opera in which Wilhlm Richard Wagner played an important role. They worked in commonly moral world, Romantidism, but their musical world is very contraty as the great artiests of Romantic opera in Italy and German. The purpose for this thesis is that I will compare and analyze Rigoletto. Lohengrin which are their masterpieces so that we will become to understand their nature. To Verdi and Wagner, the purpose of art was in accord with the union of drama and music, but the method that they performed for the sim formed a contrast. The Operas of Verdi were human drama above all. They were rich in nationalistic parts, most of the matters were obtained from popular legends. He was sure that the opera had to be showed audience by simple and strait solo melody of a live voice therefore the operas were abundeunt in vocal the beauty of melody. And dramatic feelings were deeply expressed, too. choosing a hero of an opera, he had often used the Baritone that has the the widest power of expression of man. On the other hand, the operas of Wagner were symbolic somewhat. Most of them were based on legends or myths so characters and events got entangled by fortune under the supernatural background. He entirely depended upon the color of Harmony and Orchestra to express dramatic situation. His harmony is very chromatic after it played a role linking in the atonal music. He tried to show beautiful balance of drama and music and right combination against previous operas sang songs mostly and added to actions. He called it "Music Drama" and developed it a composite art. Therefore the operas of Wagner diminished the sections that was distinguished from an act music, they Keeped continuty by Leit Motive, at the same time, the rhythm was free and Arioso rather than the composition balanced in the conventional Aria. The basic difference of Verdi and Wagner was due to that of nature, language, thought, and expression in Italy and German. It is their greatness that each of them perfected operas of Italy and German highly refined made Romanticism through their music in their growing environments.

      • 의료기관 임상종사자(의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치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료기관(1차, 2차, 3차)에 재직하는 의사와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개인-환경 적합성,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자는 2016년 3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사를 대상으로 총 20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여, 약76%의 회수율을 보였다. 간호사를 대상으로는 총 450부를 배포하여 434부를 회수하여 약 96.4%의 회수율을 보였다. 각각 그중 부적합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의사 143부, 간호사 422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로는 IBM SPSS 22.0와 AMO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개인-동료 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희망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하지만 희망은 개인-조직 적합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과는 다른 역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직무, 개인-상사, 개인-동료 적합성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조직 적합성은 일전의 희망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이직의도에는 오직 개인-조직, 개인-동료 적합성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소명의식은 연구모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명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개인-환경 적합성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한다. 첫째, 개인의 특질인 성격과 성향이 조직과의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이직의도에 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이직은 조직원의 과업수행에 있어서 질을 악화시키고 조직에게 경제적 손실까지 입히므로 애초에 이런 긍정적인 심리가 강한 조직원을 뽑아서 이러한 확률을 사전에 낮출 수 있다. 둘째, 조직차원에서는 조직의 경직된 문화 완화, 보상체계의 개선 등을 시행하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직업에 대한 고취 등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alling and analyze relationship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PC), person-environment fit(P-E fit),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or medical workforce(doctors & nurses) working in the 1st, 2nd, and 3rd, medical institutions. We performed a survey of doctors and nurses at all of the ten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Of the 200 potential respondents(doctors), 152 surveys were returned and of the 450 potential respondents(nurses), 434 surveys were returned. 586 surveys were finally used. We used IBM SPSS 22.0 and AMOS 21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and path analysis in this study. As a result, self-efficacy and optimism are significant to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person-supervisor fit, and person-colleague fit. Among them, particularly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P-E fit(β=0.026, C.R=2.733, p<0.006 / β=0.017, C.R=3.856, p<0.000 / β=0.012, C.R=3.405 p<0.000 / β=0.007, C.R=3.034, p<0.001). However, hope has a negative effect on person-organization fit(β=-0.966, C,R=-1.727 p=0.004). All factors of person-environment fit(person-job fit, person-supervisor fit, and person-colleague fit) except person-organization fit are significant to job stress. Also,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colleague fit are significant to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then is significant to turnover intention(β=0.128, C.R=1.928, p<0.025). Finally, the group with high calling has l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an others with low calling. These suggestions of this study based 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institutions should try to select particular doctors and nurses who have positive psychology and attitude when they recruit new or experienced applicants. Second, medical institutions also should improve their irration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culture, and system etc.

      • 대학의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알리기 위한 U.I(University Identity) 연구 : 서울예술대학을 중심으로

        윤치호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 환경의 전반적 변화로 인해 대학의 교육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취업난으로 대표되는 사회 변화의 양상과 함께 대학 정원대비 입학 예정자의 비율도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결과, 대학들의 상호 경쟁이 심화되어 학생 유치를 위한 치열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대학들의 노력들 가운데 대학의 정체성 확립과 이미지 통합화를 위한 U.I(University Identity)디자인 개발은 중요한 방안으로 대두되었다. U.I는 대학의 분병한 정체성 확립은 물론 자긍심과 단결심, 연대감 성립과 더불어 대학의 미래 비젼을 제시하는 가장 효율적인 매개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새롭게 리뉴얼된 대학의 U.I디자인들은 신문,TV, 인터넷은 물론 기타 홍보매체나 대학 내 다양한 환경에 적용시켜 대학의 정체성 확립은 물론 미래 비젼을 분명하게 각인시키고 나아가 대내외적으로도 높은 홍보 효과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는 날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이 된다. 한편 문화 예술분야 교육기관으로서의 분명한 독자성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서울예술대학은 1962년에 개교한 이래 이 분야를 선도해오고 있는 특성화된 종합 예술대학임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면이 있다. 서울예술대학의 U.I디자인은 2000년에 리뉴얼되어 대학 홍보와 정체성 확립에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유명 연예인을 사용하는 홍보, 마케팅으로 치우쳐져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는 U.I 디자인과 적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서울예술대학의 효과적 U.I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환경과 변화, 미래 전망과 대학 정체성 확립을 위한 디자인 효율성에 대한 관계성을 선행 연구논문, 관련 서적,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 사례 조사는 국내외 주요 대학의 U.I 디자인의 베이직 디자인 요소와 적용 사례를 분석,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외 대학의 심볼 마크를 형태별로 여섯 가지 요인으로 조사하였다. 그 중 국내 대학은 최근 리뉴얼한 대학을 중심으로 U.I 디자인에 대해 ‘정통성’, ‘상징성’, ‘심미성’, ‘주목성’, ‘차별성’의 다섯 가지 항목 분류, 5점 리커트 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5점 만점에 고려대학교(4.18)> 서울예술대학(4.04)> 성균관대학교(3.90)> 한양대학교(3.74)>단국대학교(3.68),연세대학교(3.68)> 청강문화산업대학(3.66), 중앙대학교(3.66)> 국민대학교(3.48)> 계원디자인예술대학(3.4)> 건국대학교(2.96) 순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비교적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은 대학의 U.I 디자인 특성은, 기존의 심벌에서 리뉴얼에 있어 정통성과 상징성을 유지해 그 안에서 변화를 연출했기에 구성원의 혼란이 최소화되었다는 점이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정체성이 더욱 확고해졌다는 장점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며, U.I에 있어 디자인은 대학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 비젼, 홍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제 사례라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효율적 U.I디자인 활용 방안은 첫째, 심볼마크, 로고 타입의 형태는 대학의 정체성이 적절한 내포성. 둘째, 심벌마크, 로고타입, 캐릭터, 사인류 등의 각종 응용디자인 사용에 대한 적정한 규정과 일관된 적용과 시행 유지이며 특히 컬러에 대한 적절한 실행력이 중요하다. 셋째, 적극적인 슬로건 제정과 사용이 중요한 것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안은 모든 대학들의 U.I 디자인 적용에서 효율적이며 서울예술대학에서도 적절히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부인들이 주로 접하는 대학의 서식류와 사인, 홍보물에 있어 일관적인 U.I디자인 적용과 서울예술대학의 슬로건 제정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구성원들의 이해와 자부심을 고취시켜야 한다.. 서울예술대학의 새로운 슬로건인 ‘세계와 함께하는 종합예술대학’ 이라는 이미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대외적으로 학교의 예술적 이미지를 알리는데 효과적인 U.I디자인의 적용과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이는 결과적으로는 대학 내의 조직원들은 물론 외부적의 예비 구성원이나 기타 많은 대중들에게 대학의 정체성을 알리고 이미지를 구축하고, 홍보를 실천하는 가장 중요한 단초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들의 U.I 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 근거나 데이터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이것도 충분한 정량적 자료가 되기는 미흡하리라 생각된다. 향후 더욱 방대하고 세분화된 조사와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본 연구가 향후 대학들의 U.I 차별화 전략 수립을 통한 국내 대학들의 정체성 확립과 경쟁력 확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액상환원법을 이용한 전자소재용 미세 구리분말과 은이 코팅된 구리 복합분말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윤치호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ovel procedure for producing ultra-fine Cu powder from CuSO₄ by a wet chemical reduction with hydrazine was reported in this paper. CuSO4 first was converted into Cu(OH)₂ by the hydrolysis reaction with NaOH. Subsequently, Cu(OH)₂ was transformed to CuO slurry by the dehydration reaction resulted from stirring along with heating. Finally, the reduction reaction of CuO with hydrazine produces ultra-fine Cu powder. Sodium pyrophospate(Na₄P₂O_(7)) was used as a dispersion agent. It was found that the stirring time during the CuSO₄-CuO slurry conversion, the finer and more uniform resulting Cu powder. In particular, after 8 hours of stirring, uniform dispersed Cu powder of 270 nm was successfully produced. The explanation was based on the influence of stirring time on solubility of the starting materials. Silver coated copper composite powders were prepared by electroless plating method by controlling the activation and deposition process variables such as feeding rate of silver ions solution, concentration of reductant and variety of reductant at room temperature. It is noted that completely cleansing the copper oxide layers and protecting the copper particles surface from hydrolysis were important to obtain high quality Ag-Cu composite powders. The optimum conditions of Ag-Cu composite powder synthesis were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9.48×10-³ M and feeding rate of silver ions solution 2 ml/m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were verified by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X-ray diffraction(XRD) and atomic absorption(A.A.). 1.구리 분말 제조 액상 환원법을 이용하여 미세 구리분말 제조시 구리 화합물의 용해도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CuSO₄에서 Cu(OH)₂를 합성할 수 있었다. Cu(OH)₂는 준안정 상태의 화합물로 90℃에서 탈수 반응이 일어나 CuO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Cu(OH)2가 탈수반응이 진행되어 CuO로 변환시 용해도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따라서 구리분말 제조 시 Cu(OH)₂를 탈수반응 후 변환된 CuO에 환원제인 hydrazine을 첨가하였을 경우 약 270 ㎚의 구리분말을 제조 할 수 있었다. 제조된 분말의 결정상은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분석 할 수 있었다. 형상은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 할 수 있었다. 2.은-구리 복합분말 제조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은-구리 복합분말 제조 시 환원제의 영향과 반응조건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코어로 2~2.5㎛의 구리분말을 사용하였고 환원제로 hydrazine, hydroquinone, ascorbic acid 및 potassium sodium tartrate를 사용하였다. Ascorbic acid 와 potassium sodium tartr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반응조건에 따라 치밀하고 균일한 은 코팅층을 관찰 할 수 있었다.이때 제조된 은-구리 복합분말의 크기는 2~2.5㎛의 정도의 복합분말을 제조할 수 있었고,코팅층의 두께는 약 200㎚정도로 관찰 되었다.은이 30wt. %로 첨가되어 제조된 은-구리 복합분말의 경우 체적저항과 산화반응 분석 결과 은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은의 대체재료로의 가능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제조된 분말의 결정상은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분석 할 수 있었다.형상은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 할 수 있었다.

      • Home Assistant를 이용한 공기질 자동제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尹治鎬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현대인들은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는 특히 노인, 영유아, 어린이와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보육 시설 및 복지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직접 환기 또는 환기장치를 이용한 정화 방법이 있지만 공기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에는 많은 관심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기존 공기정화 시스템 및 스마트 홈은 초기 설치비용이 높고 설치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내‧외 공기 및 기상 상태의 주기적 분석과 실내 공기질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공기질 관리를 위해 Home Assistant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장치 및 데이터를 하나의 서버로 통합하고 자동제어 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공기 오염농도를 낮추고 낭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운영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현한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총 6일 간의 실내공기 자동제어 서비스 실험하였으며, 이 실험을 통해 자동화 관리 상태에서 공기 오염농도가 낮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 day indoors are threatened by polluted air inside without their knowledge. Particularly, child care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is need of the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due to serious impact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eople, such as the elderly, infants and children There is a method of air purification using direct ventilation or ventilation, but it takes a lot of attention and time to monitor and manage changes in air conditions. The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air purification system and smart home is that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is too high and the installation period is too long.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eriodic analysis of and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nd weather conditions were considered, and for systematic monitoring and air quality management, the Automatic Air Quality Control Service is developed so that IoT devices and data is integrated into single server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by using the Home Assistant platfor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optimal operating methods of indoor air quality and to decrease air pollution levels and to reduce effectively wasted time and cost. in additon, Air Quality Control Service was tested for a total of six day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mplemented and the result was that the indoor air pollution was low by using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