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형사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윤진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21. 1. 26.자로 공포된 후 2022. 1. 27.부터 시행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약칭 : 중대재해처벌법)과 2021. 10. 5.에 제정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과 관련하여 형사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에 관하여 살펴보고, 향후 중대재해처벌법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게 된 입법목적 및 배경을 살펴본 후, 입법발의안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및 후속입법 과정까지의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사를 살펴보았다. 우리 중대재해처벌법은 영국의 기업과실치사법을 외형적인 모델로 하면서 내용적인 면에서는 호주나 캐나다의 법제들을 모델로 하여 제정되었는데, 영국의 기업과실치사법은 기업을 처벌 대상으로 하는 반면, 우리 중대채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 자연인을 처벌대상으로 하고 있고, 양벌규정으로 기업도 처벌할 수 있게 규정되어 있는 등으로 국가별 재해관련 처벌법제들 간에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재해관련 법제를 마련하고 있는 국가들은 모두 중대재해 발생에 대한 기업 및 경영책임자등에게 책임감을 부여하고, 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기 위하여 상징적이고 실효적인 수단으로 중대재해 관련 법제들을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우리 중대재해처벌법의 개선방안에 참고하고자 영국, 호주, 캐나다, 미국 등 외국의 재해처벌 관련 법제와 우리 중대재해처벌법을 비교법적으로 연구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올해 시행되었기 때문에 관련 선례가 축적되기까지 법 적용 및 해석을 두고 혼란이 예상된다. 현재는 우선 법률의 명확한 해석과 형사절차 및 양형기준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이 안전 및 보건확보 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중대재해처벌법위반죄로 형사 처벌할 수 있도록 제정된 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범죄의 구성요건, 양형, 법조경합문제, 절차 등을 살펴보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비판견해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안을 형사법적인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대법원 산하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은 제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법 규정의 내용과 대검찰청이 2022년 3월경 검찰에 배포한 중대재해처벌법 벌칙해석 및 양형기준과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 및 형법상 업무상과실치사상죄에 관한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 및 관련 판례를 참고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양형을 예측해 보았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제7조 및 제11조는 중대산업재해 및 중대시민재해가 발생한 경우 법인 또는 기관의 경영책임자등을 벌하는 것 외에 그 법인 또는 기관에게 벌금형을 과할 수 있도록 양벌규정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양벌규정과 면책사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산업 현장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고자에 대한 응급구호절차와 동시에 수사기관에 대한 신고 후 수사절차가 진행되고 사고 관련자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기 전까지는 경찰이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위반 여부를 수사하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관이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의 여부를 별도로 판단하였다. 그런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위반 여부도 근로감독관에 의한 수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중대재해처벌법의 형사절차와 수강명령, 형 확정사실의 통보, 공표제도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 전까지는 중대재해 관련 사건에서 산업안전보건법 및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위반 여부가 쟁점이었기에 중대재해처벌법과 위 죄들 간의 죄수관계를 어떻게 판단되어야 할지 적용 법조의 경합관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태안화력발전소 사고,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 등으로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전부개정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경영책임자등은 거의 처벌되지 않는다는 지적 하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산업안전보건법을 참고하여 제정되다보니 법률의 규정이 산업안전보건법의 내용과 중복되거나 개념이 유사한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에 중대재해처벌법이 개념이 불명확하고, 기업 및 경영책임자등을 지나치게 처벌하여 기업 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비판의 견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죄형법정주의, 포괄위임금지원칙, 책임주의 등 형사 대원칙에 반하거나 위헌성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 근로자가 5명 미만의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에게는 중대산업재해죄가 적용되지 않도록 적용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부칙 제1조는 상시 근로자가 50명 미만인 사업 또는 사업장(공사금액 50억 원 미만의 공사)에 대해서는 공포 후 3년이 경과한 이후 법이 시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곳은 대부분 중소기업 등 소규모 사업장임에도 위와 같은 법 규정으로 인해 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이 규범력을 갖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법적용의 제외 및 유예 조항에 대한 적절성 및 필요성에 관하여 검토하고, 과실범 처벌규정의 필요성, 형벌과 징벌적손해배상이 병과되는 것과 관련하여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의 재검토 및 상시근로자 판단기준의 법제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올해 시행되어 일 년도 채 지나지 않은 법으로, 현재 관련된 선행 연구나, 판례 등이 부족하므로 본 논문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 및 업무상과실치사상죄에 대한 판례 및 해설, 해외 법제, 법무부, 대검찰청, 고용노동부, 사법정책연구원 등 유관기관 및 학계, 변호사업계에서 발간된 해설서와 자료들과 소논문을 참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jor issues that can be problematic in criminal law regarding the Act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severe accidents — the Severe Accidents Punishment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APA”), which was enforced on 05.10.2021 after being declared on January 26, 2021. Further, it examine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evere Accidents Punishment Act promulgated on May 10, 2021,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Severe Accidents Punishment Act in the fu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gislative purpose and background for the enactment of the SAPA and thereafter, examines the legislative proposal, Enforcement Decree of the Severe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follow-up legislative process of the SAPA. The SAPA of South Korea was enacted by adopting the UK’s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as an external model, whereas, its content was modeled after Australian and Canadian legislative systems. The UK's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punishes corporations, whereas, according to SAPA a natural person, such as the owner of a business or the manager of an enterprise, is subject to punishment. Accident-related punishment laws differ according to countries, such as the joint penal provisions that also punish corporations. Nevertheless, all countries that adopt legislation concerning accidents, operat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evere accidents as symbolic and effective means to assign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companies and managers in charge, for the occurrence of severe accidents and raise consciousness about accidents. Hence, to devise future improvement plans for South Korea’s SAPA, using comparative law research, we compared the legislation related to accident-related punishment in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s the SAPA was enforced only this year, confusion over th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aw can be expected until relevant precedents are accumulated. Currently, it can be argued that it is significant to first establish a clear interpretation of the law, as well as standards for criminal proceedings and sentencing guidelines. The SAPA is a law enacted to allow for criminal punishment in cases of violation of the Act, where a severe accident occurs owing to a violation of health and securement obligations by a business owner or manag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a severe accident as an offense, as well as other issues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legal disputes, and proceedings were reviewed. Critical views on the SAPA were reviewed and plans for improvement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legal issues. Currently, regarding the SAPA no sentencing guidelines have been provided by the Sentencing Commission, which is affiliated with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refore, we compiled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sentencing procedures of the SAPA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f the law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APA penalties distributed to the prosecutors by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around March 2022, as well as sentencing guidelines of the Sentencing Commission, and relevant precedent. Moreover, Articles 7 and 11 of the SAPA stipulate dual liability since they impose a fine on the corporation or institution in the event of a severe industrial accident or civil accident, in addition to punishing the pers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of the corresponding corporate body or institution. Regarding this aspect, the study examined the dual liability provisions and causes of exemption from liabilit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an industrial site, an emergency relief procedure for the accident victim is organized and a report is sent to the investigative agency simultaneously. Afterward, an investigation of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is conducted according to investigation procedures. Prior to the enforcement of the SAPA, the police investigated violations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and the labor inspector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parately made assessments regarding the possible violat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s violation of the SAPA by business owners or managers in charge of business are investigated by a labor inspector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APA, issues such as the procedure of criminal cases concerning SAPA, institutional treatment, notification of sentence, and publication of information were examined.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APA, the primary focus regarding major accidents was whether there was a viola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violations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mpeting relationship between applicable legal provision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PA and aforementioned crimes. Despite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wing to the Taean Thermal Power Plant accident and the Guui Station screen door accident, the SAPA was enforced considering that business managers rarely received punishment. As the SAPA was enacted u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s a reference, it is inevitable that the provisions of the Act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r there are similar points in concept. Consequently, there is a critical view that the SAPA has an ambiguous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corporate activities may be discouraged owing to excessive punishment of companies and the managers in char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SAPA goes against the major principles of criminal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Principle of Ban on Comprehensive Authorization, an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or whether it contains unconstitutionality. The SAPA designates that a severe industrial accident crime does not apply to a business or business owner or business managers who work with less than five full-time workers. In addition, Article 1 of the supplemental provisions specifies that the law will be enforced 3 years after promulgation for businesses or workplaces (with less than 5 billion won in construction costs) with less than 50 full-time workers. Although industrial accidents mostly occur in small-scale workplaces such 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t is difficult for the SAPA to exert regulatory power on small businesses owing to the above provisions.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relevance and necessity of the escape clauses and postponed clauses of legal applications such as the example above, the necessity of punishment regulations for negligence, and the punitive damages system in relation to the double punishment with punitive measures and exemplary damages. By investigating the enactment of judgment standards for full-time worker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path for improvement of the SAPA.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less than a year has passed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APA, there is a lack of related studies or precedents.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materials such as the precedents and commentaries related to the violat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overseas legislations;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Justice, Supreme Prosecutors' Offic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Institute for Industrial Policy Studies; and interpretations published by academia and legal professionals.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쓰기 부교재 개발 방안 연구 : 2012 KSL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윤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writing auxiliary textbook of 2012 KSL Standard Korean Textbook, issu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Research Cent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has been proceeded with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considering how much it is reflected on it, that the contents of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of 2012 KSL curriculum and with the Focused Group Interview of KSL teachers to know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it to teach the KSL students in writing. Based on the result, it is proposed a syllabus for the auxiliary writing textbook and designed a sample unit thereof in this research. Per the result of KSL Standard textbook analysis, in writing, BICS area of that reflects the contents of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directly or indirectly. In case of the indirect reflection, the contents of the writing standard of the curriculum were applied to the standard textbook in the manner of meaning extended or added. CALP area of that, in writing, provides tasks such as simple vocabulary check or connecting pictures with proper words, etc.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how to compose a writing to show special nature of each subject. In the meantime, the task difficulty exceeds the expectations of the 2012 curriculum in that the learners in the beginner level are requested to write in free more often than those who are in the middle level. The types of text in the standard book shows lack of variety by treating mainly expository writing, whereas the 2012 curriculum asks text diversity for the writing materials. The tasks do not come up with authenticity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therein. Per the results of analysis of KSL teachers’ interview, KSL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textbook, excepting the virtue of it as a guideline of what to teach in view of subject matter and the contents. Regarding the design of the writing task, KSL students are expected to carry out free-writing right after controlled writing without a bridge, even in the first level. Considering the students’ age and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textbook lacks of text diversity and interesting activities, such as games, songs, and chants, etc., which may lead students to self oriented studying. In addition, the writing area of the textbook gave an impression as a part of assessment or winding up the skills learned through the unit, which is in use of difficult expressions for the task without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of proficiency and so such expressions become a bigger task for students by themselves. In light of the above, it is requested that a writing auxiliary textbook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task in terms of texts and activities with proper writing exemplar based on the students' level, considering a specific and/or methodical step for writing study required from the beginning, and under the reality that the textbook is the one main material for students and teachers at present. The syllabus design for writing in the auxiliary textbook is ground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aims and contents therefor are based on the textbook. Subjects and texts for the auxiliary textbook are chosen for 18 weeks learning and arranged in a matrix with activities containing social interaction and games, etc. A unit, as an example for the syllabus, is composed of and provided with herein. Key word: 2012 KSL Curriculum and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the KSL Standard Textbook 1 & 2 for elementary school, Analysis of Textbook, Teachers' Satisfaction, the auxiliary textbook for writing area of KSL Standard textbook, a design of syllabus, a construction of uni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의 언어 기능 중 쓰기의 성취기준이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과 2(다문화 배경의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초등학생용 쓰기 부교재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 KSL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그를 바탕으로 편찬된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에 대한 만족도를 초점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용 부교재를 위한 교수요목을 제안하고 단원을 구성하여 보았다.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의 분석 결과 표준 한국어 교재 1과 2의 생활 한국어 영역은 대부분의 과(課)의 쓰기 과제에서 쓰기 성취기준 내용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특히 간접 반영된 경우는 성취기준 내용이 확대 혹은 추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학습 한국어 영역의 쓰기 과제는 단순 낱말 삽입 혹은 그림 연결 과제가 제시되어 있고 과목별 쓰기 과제의 특징이 무엇이며 어떤 형식을 가지고 써야하는 가에 대한 안내가 없었다. 한편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의 수준은 초급 단계에서 자유 쓰기 과제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고 중급 단계에서 오히려 초급보다 유도된 쓰기 과제가 더 많고 자유 쓰기 과제가 적어 초급이 중급보다 수준이 높다고 판단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성취기준의 쓰기 내용의 언어 재료로서의 텍스트는 다양성을 요구하지만 교재의 쓰기 제재는 설명하는 글 위주의 글이며 성취기준의 쓰기 내용을 교수 학습하기 위해 제안되는 적절한 방법으로서의 과제의 실제성과 상호 협력적 쓰기 활동이 교재의 쓰기 과제에 드러나지 않는다. 현장 교사의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주제와 가르칠 내용의 면에서는 쓰기 교육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구성의 면에서는 통제된 쓰기 후에 바로 자유 쓰기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의 수준을 상회하는 과제가 제시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어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과 현장 교사의 표준 한국어 교재 쓰기 영역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급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쓰기 지도를 하기 위해서는 표준 한국어 교재가 주교재인 현실을 고려할 때 쓰기의 특성을 교수 학습할 수 있는 부교재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 쓰기용 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교수요목의 목적과 내용의 범주는 본고의 연구 목적이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부교재 개발임을 고려하여 표준 한국어 교재의 것으로 갈음하고 내용의 중심이 되는 주제와 텍스트 유형을 18주의 교수 학습 기간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와 텍스트 유형을 교수 학습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내용을 행렬식으로 배열하였다. 제안된 초등 표준 한국어 쓰기용 부교재 개발의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의 단원을 구성하여 보았다.

      •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진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곤란을 겪는 발달지체유아 1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황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 특수교사, 방과후 교사, 부모가 협력지원팀을 구성하여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한 뒤 가설을 세워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을 실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을 증가시키는가?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을 증가시키는가?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유지될 것인가? 실험 기간은 2015년 3월 16일부터 2015년 5월 8일로 총 8주 동안 주 4회로 진행되었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로 대상유아가 소속된 학급에서 자유선택활동, 바깥활동, 간식활동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매 회기마다10분간 측정하였으며 각 상황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 여부를 기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대상 유아는 자유선택활동, 바깥활동, 간식활동의 모든 기초선 기간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보이지 않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작행동은 자유선택활동에서 기초선 기간 평균 2.91%에 비해 중재 기간 평균 21%로 증가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유지 기간에도 평균 27.2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바깥활동에서는 기초선 기간 평균 1.87%, 중재 기간 평균 21.56%로 증가하였으며 유지 기간에서도 평균 37.78%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간식활동에서는 기초선 기간 평균 1.11%, 중재 기간 평균 19.44%, 유지 기간 평균 18.33%로 증가되었다.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행동은 자유선택활동에서 기초선 기간 평균 8.75%에서 중재 기간은 평균 28.41%로 증가하였고 유지 기간에는 평균 17.77%로 유지되었다. 바깥활동에서는 기초선 기간 평균 4.16%에서 중재 기간 평균 27.6%로 증가하였으며 유지 기간에는 평균 35%로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간식활동에서는 기초선 기간 평균 3.75%, 중재 기간 평균 24.02%, 유지 기간 평균 11%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유선택활동, 바깥활동, 간식활동에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도 긍정적 행동지원의 의미 있는 연구들을 근거로 해서 여러 대상 유아와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차원적인 중재 방법으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had difficulty in social interaction, by employing an intra-situation multiple baseline design. To this end, the research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ter-school teachers, and parents formed a cooperative support team. This team set up hypotheses after performing a functional evalua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n implement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s.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questions: 1) Does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crease the social initi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2) Does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crease the social re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3) Would the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end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four times each week for an eight-week period from March 16 to May 8, 2015. In the experiment, while the young child carried out free choice activities, outdoor activities, and snack activities in his/her class according to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s, the young child's social interaction was measured for ten minutes each time us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and whether the young child's social interaction occurred in each situation wa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the baseline stage of free choice, outdoor, and snack activities, the young child showed either no social interaction or low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However, after the start of the intervention, the young child's social interaction exhibited stable increases with some levels of differences. In specific, for free choice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initiation in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2.91% in the baseline stage to an average of 21% in the intervention stage. Even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 continuous increase was shown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with an average of 27.22%. In addition, for outdoor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initiation increased from 1.87% in the baseline stage to 21.56% in the intervention stage.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a high level of 37.78% was maintained. For snack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initiation increased from 1.11% in the baseline stage to 19.44% in the intervention stage, and maintained 18.33%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For free choice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reaction increased from 8.75% in the baseline stage to 28.41% in the intervention stage.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an average of 17.77% was maintained. For outdoor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reaction increased from 4.16% in the baseline stage to 27.6% in the intervention stage, and further increased to a high level of 35% in the maintenance stage. For snack activities, the young child's social reaction yielded 3.75% and 24.02% i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stages, respectively, and a low level of 11% was maintained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positive behavior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free choice, outdoor, and snack activities. In the future, systematic and in-depth studies should be conducted using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s for positive behavioral support and including a number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significan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al support.

      •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환자 및 전자의무기록 사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정보보호 환자를 대상으로

        윤진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종이의무기록과는 다르게 전자의무기록은 환자 정보를 쉽게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관리 기준이 보다 엄격하지 않으면 환자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방안이 강구되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환자의 특성이나 이를 열람하는 사용자인 의료 종사자의 특성은 정확히 반영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환자 정보보호 정책 현황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기 위해 사용자가 접근한 로그를 대상으로 기록의 차단여부에 관한 현황과 차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및 사용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환자 정보보호를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2011년 7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일 년 동안 정보보호 환자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접근한 로그 7,539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이 된 접근로그 7,539건 중 차단건수는 470건으로 전체 접근건수의 6.2%이다. 차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특성의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차단될 확률이 높고, 29세 이하보다 45-59세 집단이 차단될 확률이 높았다. 환자의 진료과가 정신건강의학과인 경우, 직원가족일 경우, 연구목적 열람대상인 경우가 차단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민감한 진료과로 진료를 봤거나 환자 대상이 일반적이지 않을수록 차단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의 특성으로는 보건/약무직, 전공의, 간호직, 전문의 순으로 차단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1회 차단된 경우 재접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 접근 로그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전자의무기록 차단여부와 환자 및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전 연구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최근 개인정보보호법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의 보호 및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접근권한에 대한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 및 사용자의 지속적인 권한교육이 필요하며, 명확한 상관관계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 아로마복부마사지와 카테킨 섭취가 복부비만여성의 체성분조성, 혈청지질농도, DNA손상 및 총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윤진희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비만이란 단순히 외모상의 문제가 아니라 섭취에너지가 소비에너지보다 많아져 잉여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비정상적인 체지방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대사 장애가 유발된 상태이다. 또한 비만은 그 자체가 성인병일 뿐만 아니라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비만은 유전적․대사적․생화학적 요인과 식생활, 생활양식 등의 환경적 영향으로 발생하는 복합적 만성질환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50세 이하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당뇨나 갑상선 질환 같은 대사적 이상, 우울증 등 정신적이나 신체적 질병이 없고 체질량지수(BMI) 23㎏/㎡ 이상, 체지방률(BFP) 30% 이상,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0.85 이상, 허리둘레 80㎝ 이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한 후 본 연구수행에 동의한 여성 41명을 최종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자가마사지그룹(SM) 11명, 아로마복부경락마사지그룹 (AM) 15명 및 아로마복부경락마사지와 카테킨섭취 병행그룹(AMC) 15명으로무작위 배정하여 세 그룹으로 분류한 후 동질성검정을 거쳐 2010년 7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 복부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영양소 섭취는 Can-pro 3.0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 사항으로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0.02세였고, 신장은 평균 162.41 ㎝, 체중이 평균 69.36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그룹별 연령은 40대가 63.4%로 가장 많았으며, 체중은 60 ㎏ 이상이 85.3%로 성인여성의 비만이 복부비만으로 이어질 경우 성인병유발의 위험을 증가시켜 건강상의 문제가 우려되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되었다. 혼인 여부는 기혼이 29명(70.7%)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은 전문직이 20명(48.8%), 월평균소득은 500만원 이상이 13명(31.7%)으로 가장 높았다. 교육정도는 대졸 23명(56.1%), 대학원졸 이상 10명(24.4%)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의 변화는 16회 복부마사지 후, 각 그룹 모두 감소하였다. SM그룹의 경우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감소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AM그룹의 경우 엉덩이둘레보다 허리둘레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AMC그룹은 SM그룹과 AM그룹보다 감소량이 크게 나타났으나 각 그룹의 신체계측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체성분의 변화에서는 체중, BMI, 제지방량, WHR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체중의 변화에서 AMC그룹이 2.79 kg 감소하여 AM그룹의 1.66 kg 감소에 비해 약 1.7배, SM그룹의 0.3 kg 감소에 비해 약 9.3배의 효과를 나타냈으며(p<0.001), 세 그룹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BMI의 변화에서도 AMC그룹은 AM그룹과 SM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량이 컸다(p<0.01). 그러나 제지방량의 경우 AMC그룹에서 1.43 ㎏이 증가되어 AM그룹 0.71 ㎏, SM그룹의 0.29 ㎏ 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p<0.05) 아로마블렌딩오일을 이용한 복부마사지와 카테킨의 병행섭취의 효과가 AM그룹보다 약 2배, SM그룹에 비해 약 5배 정도의 제지방량 증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WHR의 경우에서도 AMC그룹이 SM그룹이나 AM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4. 피부두겹두께의 변화는 SM그룹과 비교하여 AM그룹과 AMC그룹이 많은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AMC그룹의 경우 복부(p<0.01)와 장골상부(p<0. 05), 및 대퇴부(p<0.01)의 두겹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아로마복부경락마사지와 카테킨을 병행 섭취했을 때 지방분해효과가 피부두겹두께의 감소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5. 혈청지질의 변화는 TG(p<0.05)와 TC(p<0.05), LDL-C 및 HDL-C에 있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TG의 경우 AMC그룹이 14.25 ㎎/㎗ 감소하여 AM그룹의 7.20 ㎎/㎗, SM그룹의 6.42 ㎎/㎗의 감소에 비해 약 2배정도의 많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TC의 경우 AMC그룹이 23.33 ㎎/㎗ 감소하여 SM그룹 0.63 ㎎/㎗에 비해 감소가 유의한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LDL-C의 경우 AMC그룹(p<0.05)이 14.88 ㎎/㎗로 AM그룹 5.47㎎/㎗와 SM그룹 2.64 ㎎/㎗에 비해 많은 감소량을 보였고, HDL-C의 경우 AMC그룹이 5.02 ㎎/㎗ 증가하여 SM그룹 1.91 ㎎/㎗에 비해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총항산화능을 나타내는 TAS(total antioxidant status)의 실험 전과 실험 후 변화량에 대한 비교는 AMC그룹은 130.26 uM이고, AM그룹이 75.73 uM이며, SM그룹이 24.91 uM로 AMC그룹의 경우는 AM그룹에 비해 1.7배, SM그룹에 비해 5.2배 높게 나타나 아로마복부경락마사지만의 효과보다는 마사지와 함께 카테킨 섭취를 병행했을 때 항산화능의 개선이 관찰 된 것으로 사료되나, 세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지질과산화물의 지표로 사용되는 MDA(malonaldehyde)의 변화는 SM그룹, AM그룹, AMC그룹이 0.04 uM/g crea, 0.09 uM/g crea, 0.25 uM/g crea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특히 AMC그룹의 경우 SM그룹에 비해 6배 높은 감소량을 보였다. 한편 DNA의 산화정도를 나타내는 8-OHdG (8-hydroxy-2'-de oxyguanosine)의 경우에서도 0.14 ng/mg crea, 0.42 ng/mg crea, 0.53 ng/mg crea의 감소량을 나타내 SM그룹에 비해 AM그롭과 AMC그룹이 약 3배 이상 높은 감소량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8. 연구대상자들의 에너지섭취량은 대상자의 평균이 1998.23 ㎉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2010)에서 필요 추정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1,900 ㎉의 약 105.17% 수준이었다. 나트륨 섭취량은 소변 칼슘의 배설을 증가시키는데 평균 3844.36 ㎎로 KDRIs(2010)의 권장량 1500㎎보다 매우 높은 256.29% 수준인 반면 칼륨은 2627.88 ㎎로 권장량 3500㎎에 비해 55.91%로 낮아 나트륨과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AMC그룹 269.50 ㎎, AM그룹 261.20 ㎎, SM그룹 287.02 ㎎으로 SM그룹이 다소 높게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타민의 섭취량은 KDRIs(2010)의 권장량과 비슷한 섭취 수준을 보였으나 항산화효과가 있는 비타민 C의 섭취량이 71.52 ㎎으로 71.52%에 그쳐 비타민이 부족한 경향을 보여 섭취량의 증가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카테킨 섭취와 아로마블렌딩오일을 이용한 복부경락마사지가 비만과 관련된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으로써 향후 비만 및 이상 지질대사에 대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체 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또한 카테킨의 경우 우수한 항산화제로써 활성산소발생과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비만과 건강증진을 위해서 카테킨이 많이 함유된 녹차나 섭취하기 간편한 캡슐을 지속적으로 섭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체요법 중 아로마블렌딩오일을 이용한 복부마사지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건강기능성식품인 카테킨 병행섭취의 식이요법을 병행하여 성인여성들의 복부비만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향후 보다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복부비만개선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진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show how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influence on geometric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for children. The followings are major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effects of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geometric ability? 2. What are the effects of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including 21 experiment group and 21 comparative group. They all are in S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 division of Seoul. In order to measure geometric ability for them, this study used geometric ability test fr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measurement (Hong Hye Gyeong, Lee Jeong Wook, Jeong Jeong Hee, 2006)' as a test tool, and is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figure, three-dimensional figure, symmetry and deformation in subdomain. To measure spatial ability for them, this study used composition of content based on ‘Configuration system of spatial ability (Hong Hye Gyeong, 2001; Del Grande, 1990)’ as a test tool, and is composed of eye-motor coordination, spatial reasoning, figure-grand perception, visual memory and of position-in- space perception. This study was done on a preliminary inspection, pretesting, experimentation handling, and post-inspection in regular sequence and it has shown that both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are a homogeneous group as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from the pretesting about geometric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Experimentation handling has taken 5 times a week for 4 weeks, 20 times in total. measure geometric ability for them, this study used geometric ability test fr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measurement (Hong Hye Gyeong, Lee Jeong Wook, Jeong Jeong Hee, 2006)’ as a test tool, and is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figure, three-dimensional figure, symmetry and deformation in subdomain. To measure spatial ability for them, this study used composition of content based on ‘Configuration system of spatial ability (Hong Hye Gyeong, 2001; Del Grande, 1990)’ as a test tool, and is composed of eye-motor coordination, spatial reasoning, figure-grand perception, visual memory and of position-in- space perception. This study was done on a preliminary inspection, pretesting, experimentation handling, and post-inspection in regular sequence and it has shown that both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are a homogeneous group as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from the pretesting about geometric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Experimentation handling has taken 5 times a week for 4 weeks, 20 times in total. Experiment group experiments on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with tools, comparative group experiments on manipulation game with teaching aid in free choice play class. In order to analysis data, this study used SPSS 18.0 program, and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o understand how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influence on geometric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for children, set pretesting as a covariate variable and implement ANCOVA.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hav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with the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systematic activity in overall geometric ability. Subdomain in geometric ability show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in ‘symmetry and deformation’, however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in ‘two-dimensional figure and three-dimensional figure'. Next, the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hav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with the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systematic activity in overall spatial capability. Subdomain in spatial capability show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in ‘eye-motor coordination, spatial reasoning, figure-grand perception, visual memory.’ however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in 'position-in-space percep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had an increase effect on geometric and spatial ability for children. What is important is children are naturally active themselves. Morever, the natural gross motor physical activities can make use of enhancement of children's geometric and spatial ability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42명으로 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1명으로 각각 배정하였다. 유아의 기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2006)가 개발한 ‘유아 수학 능력 검사도구’ 중 기하능력 검사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하위 영역은 평면도형, 입체도형, 대칭과 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 공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홍혜경(2001)이 Del Grande(1990)가 범주화한 공간능력 구성 체계를 기초로 하여 내용 구성 한 것을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하위 영역은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형태-바탕 지각,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 공간내에서 위치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기하 능력과 공간 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처치는 4주간 주 5회씩 총 20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은 도구를 사용하여 대근육 신체활동을, 비교집단은 교구를 사용하여 조작놀이 활동을 자유선택놀이 시간내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근육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조작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전체 기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하 능력의 하위 영역에서는 ‘대칭과 변형’ 은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평면도형’ 과 ‘입체도형’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근육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조작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공간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능력의 하위 영역에서는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형태-바탕 지각,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공간내 위치지각은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아 스스로가 활동의 주체가 되어 자유롭게 활동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유로운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윤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로 대변되는 21세기 교육은 강한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창의적인 음악성의 발달을 위해 학생들이 음악 속에서 상상력을 키우도록 하는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음악적인 표현 수단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즉흥연주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음악에 대하여 미리 계획을 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가 매개체(악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악기나 목소리로 표현되는 것으로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 음악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인 표현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스스로 음악적 개념들을 탐색하고 발견하며 이를 음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인 표현능력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실제 음악 수업에 활용 가능한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에서의 창의성의 중요성을 여러 문헌들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즉흥연주의 의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 음악교육에서 즉흥연주와 관련된 제 논의를 오르프, 달크로즈,코다이, MMCP, CMP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7차 교육과정에 명시된 즉흥연주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음악과 교재분석을 통해 즉흥연주 관련 지도 내용을 조사해 보고 이를 근거로 실제 음악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즉흥연주 지도방안과 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수업안의 주요내용으로는 리듬문답하기, 노랫말에 어울리는 리듬과 가락만들어 연주하기, 가락패턴을 모방·변형하기, 리듬과 가락 오스티나토 및 보르둔을 이용한 즉흥반주하기, 4/4 박자 겹리듬 만들어 연주하기, 장단을 즉흥적으로 변화시켜 이어치기, 이야기 즉흥극 만들기, 계속되는 느낌의 가락과 끝나는 느낌의 가락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등이다. 즉흥연주는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표현이 허용될 수 있고, 악보에 얽매이지 않음으로써 기보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도 부담감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즉흥연주를 통해 학생들이 음악수업을 통해 상상력을 키우도록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면 아이들의 창의적인 표현능력은 더욱 더 신장될 수 있다. 즉흥연주는 음악수업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며, 교실 수업에서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diversity characterized in 21st century, education is reinventing itself to meet new expectations like creativity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and creativity through music education by imagining, thinking, and feeling with musical tools. Improvisation performance is to improvise without any preparation. It is the most helpful for children to understand musical concepts intuitively and to enlarge expressive creativity compared to any other activities. This is primarily because improvisation is conducted through musical instruments or voice to convey musical idea without any vehicles like score. A sample of 5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iscover teaching guidelines on improvisation based on songs from music textbooks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The research is to help children expand expressive creativity independently from the process of inquiring, finding musical concepts, and converting into musical sou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was examined from literatures on the subject. Importanc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were studied to reach a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Secondly, methods of Orff, Jaques-Dalcroze, Kodaly,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MMCP), and Comprehensive Musicianship Program (CMP) related to improvising performance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were evaluated. Improvisation related contents lis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ere examined as well. Thirdly, improvising teaching guidelines and program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were devised based on existing teaching guidelin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music textbooks for fifth grade. The music program is composed of rhythm dialogue, creating new rhythm and melody to go with a story, imitating and transforming a melody pattern, use of an ostinato pattern, the bordun, making a double-4/4 pattern, connecting within improvising up beats and down beats, music story improvisation, improvising a mode with continuous feeling with a mode of ending feeling. Freedom of choice and expression is allowed while improvising performance. It is accessible to those who have a lack of musical no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of the score. Expressive creativity of children will expand rapidly if children have a chance to increase creativity through music classes and to express “what they imagine, think, and feel” in the class. Improvising performance is the most crucial in music classes. More applicable methods that include improvising performance in music class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選擧資金 規制에 관한 憲法學的 硏究 : 政治的 表現의 自由 확대를 위한 選擧資金制度의 改善方案을 중심으로

        윤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선거는 국민주권의 실현수단이다. 국민은 선거를 통해 대의기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의사를 실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선거제도는 대의기관을 구성하는 과정에 관한 규칙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의민주주라는 우리의 정치체제를 고려하면, 바람직한 선거제도는 선거과정에서 국민의 정치적 의사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선거의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선거제도는 민주주의를 위한 다양한 가치들보다 선거의 공정성을 최우선의 가치로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선거 최대의 적은 돈이라는 지배적 패러다임 하에 선거입후보자는 물론 일반국민의 선거자금 지출에 대해서도 강한 규제를 행하고 있다. 문제는 일반 국민의 선거자금 지출은 단순한 기부행위를 넘어서 정치적 의사의 표현이 될 수 있음에도 현행 선거자금 규제제도에 의해 정치한 분석 없이 강한 통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선거과정에서 선거의 공정성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일반국민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거의 공정성을 해하지 않으면서, 일반국민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제도개선안 도출을 최종 연구 목적으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고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연구 범위와 방법을 설정했다. 제2장에서는 정치적 표현 자유의 헌법적 의의를 설명하고 나아가 정치자금 기부 행위와 정치적 표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선거자금 지출이 정치적 표현임을 논증했다. 제3장에서는 현행 선거제도의 개관과 선거자금 규제제도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정치적 표현 자유의 증진을 위해 현행 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제4장에서는 미국, 독일, 일본의 선거자금 규제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바탕으로, 각국의 선거자금 규제제도의 시사점을 정리했다. 제5장에서는 원칙 허용․예외 금지의 포지티브 방식의 규제를 규제개선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선거에 있어 국민의 자유로운 정치적 표현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체의 정치자금 기부 허용과 정치광고 등을 통한 일반국민의 독립지출 허용 등을 선거자금 규제 개선안으로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