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훈대상 입원 노인을 돌보는 노인 배우자의 돌봄 체험

        윤재현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old spouses' experiences caring her veterans husban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 In depth interview materials that obtained were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by Giorgi. Participants are seven elderly spouses older than 65 years who take care of a veterans husband hospitalized in a veterans hospital. Results: The 6 themes of the elderly spouses' experience in taking care of their husbands who are hospitalized veterans are as follows: ‘Have no time to spare for my own self’, ‘Be hard to take care of even my own health due to ageing’, ‘Be encouraged with the help of my friends and acquaintances’, ‘Accept the realities of my hard life’, ‘Have a discrepant feelings for the government’, ‘No provision for my old age has been made’. Conclusion: Therefore, for veterans people and their families,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disease prevention educations by employees or volunteers are needed.

      • 현실에서 꿈꾸는 낙원의 형상

        윤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현실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욕구와 소망을 갖고 자신만의 풍요롭고 이상적인 삶을 꿈꾼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히 돈과 같은 물질적 부유함이 이상적인 삶을 만들어주는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 끊임없이 경쟁을 해야 하는 힘겨운 시간을 보내야 한다. 현대 사회의 경쟁적인 상황은 사람들에게 고달픔과 무력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현실과는 다른 세상을 꿈꾸며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욕구를 느끼게 된다. 그래서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대상이나 세계를 찾아서 현실을 도피하려 한다. 도피처는 사람들의 심신을 치유해주고 휴식을 줌으로써 일상생활로 다시 복귀할 수 있게 도와준다. 본 연구자도 현실에서 힘든 일들을 겪으면서 휴식과 안정을 제공해줄 수 있는 이상적인 세상을 찾으려 하였다. 그리고 어느 날 꿈속에서 환상적인 자연 풍경을 보았고, 그곳에서 현실을 잊고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만끽할 수 있었다. 꿈속에서 상상으로 이루어진 자연 풍경에서 낙원을 보았고,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낙원’이란 장소는 보통 유토피아·파라다이스·무릉도원 등과 같이 상상에 존재하는 장소를 연상시키며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장소로 정의된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작업을 발전시키면서 낙원을 꿈이나 상상에서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아닌 현실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모습으로 그리게 되었다. 특히 본 연구자는 꽃, 나무, 물 등으로 구성된 정원과 그 풍경 속에서 놀고 휴식하고 있는 동물들의 모습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색감과 형상에서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실제로 이상세계에 온 것 같은 만족감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자는 상상이 아닌 현실에 존재하는 정원, 동물이 존재하는 곳을 ‘낙원’으로 생각하였으며 그 이상적인 세상에 대해 탐구하고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현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낙원의 형상을 표현하였고, 그 모습을 그려나가는 과정에서 이상세계와 행복에 대한 사고를 전환시킬 수 있었다. 자신이 현실에서 꿈꾸는 낙원은 주변에 보이는 평범한 대상에서도 발견할 수 있으며, 자신이 삶에서 느끼는 행복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마음껏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깨닫게 되었다. During our time allowed on this planet, people dream of affluent life in numerous ways. Common sense tells us that material wealth is the driving force of ideal life of success and such social construct brings us down to suffer in endless competition. It is inevitable that such anarchic competition results in feeling of hopelessness and disparity. Meanwhile, people, who are the referent object of painful competition, seek to escape from chaotic reality. The final destination of escape provides mental comfort and heals them so that they can return back to reality with better state of mind. I have also attempted to find my very own hide away from the stress of reality so that I can be healed and find inner peace. One day, I was sleeping and within the dream, I have just glanced trough a utopian nature, where one can be emancipated from the stress of anarchy and genuinely appreciate the creation of the mother nature. Witnessing such imaginative paradise triggered to visualize again of what I have seen in my dream and portray on canvas. Paradise usually refers to utopia, or peach blossom island, which is an Asian portrayal of heavenly earth. No matter it is eastern or western view of paradise, they both share common trait in the sense that utopia exists only as imaginary world, which it is never found in the world we live in. However, as I was describing my paradise, I did not depict them as imaginary world of daydreaming, rather, attempted to draw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yet with utopian touch and hue. Especially, a blooming garden with flower, forest and flow of water caught the attention in my dream and I felt happiness and joy when seeing different animals resting with comfort in the paradise. Such imagination and experience allowed me feel as if I was in ideal world that gave me comfort and relaxation. That was the motive behind creating my work on utopia more as the garden of animals, forest, and natural aspects that we easily can see in the real world nature, rather than imaginary paradise that looks too ideal to be seen in the real world. As mentioned above, portraying a paradise based on reality was the main goal of this project, and while doing so, I was able to shift the notion and understanding of ideal world and happiness. Everyone dreams of their own comfort zone where one can be emancipated and feel relaxed within the boundary of reality. Throughout my project, I was able to realize that utopian dream of reality can be appreciated and achieved even from any daily objects around. Further, the degree of happiness that one gets to feel can vary depending on what perspective each people has.

      • SiOx/graphite complex as anode material for enhanci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y

        윤재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지용 음극재로서 SiOx/흑연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SiOx/흑연 복합체는 실란 커플링제를 활용하여 제조하였으며, SiOx를 10 wt% 첨가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란 커플링제를 활용한 SiOx/흑연 복합체의 제조는 SiOx의 서로 응집되는 경향을 막아주어 흑연에 분산되게 한다. 실란 커플링제는 SiOx에 아미노기를 부여하며, 흑연의 카르복실기와 SiOx의 아미노기와의 축합 반응을 통해 결합이 형성된다. 탄소 코팅 재료로서 피치와 열분해 탄소를 사용하였다. 피치코팅은 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석유계 피치를 사용하였다. 피치로 코팅한 샘플의 경우, 피치의 코팅 횟수에 따라, 코팅 층의 탄화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피치 코팅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0.8 - 1.5 V에서 나타나는 용량이 증가하였으며, 비가역적인 용량 증가이므로 초기 쿨롱 효율이 감소하였다. 탄화 온도의 증가에 따라 탄소 코팅층의 결정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Raman 분석의 IG/ID 값을 통해 확인하였다. 탄소 코팅층의 결정성 증가에 따라 0.8 -1.5 V에서 나타나는 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초기 쿨롱 효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G@SiOx@P-1100의 경우 461 mAh g-1의 초기 방전 용량과 86.4%의 초기 쿨롱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100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96%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메탄 분해 탄소를 이용한 탄소 코팅은 900 ℃에서 진행되었으며, TGA 분석 결과 5 wt%의 탄소 코팅층 함량을 나타내었다. TEM 분석 결과 약 11 nm의 코팅 두께를 나타내었으며, PSD 그래프를 활용하여 코팅된 탄소의 양이 약 10 nm임을 추정하였다. Raman 및 TEM 분석 결과, 형성된 탄소 코팅층은 약 0.388 nm의 d-spacing 값을 나타냈으며 탄소적층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G@SiOx@P는 430 mAh g-1의 초기 방전 용량과 약 85%의 초기 쿨롱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100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약 89%를 나타내었으며, 50 사이클 후 부피팽창률이 12.7%로 낮은 부피팽창률을 나타내었다. G@SiOx@C의 사이클 전/후 EIS 분석 결과 낮은 임피던스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얇은 SEI층을 형성하여 SiOx의 전해질과의 노출을 제한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LCO를 양극으로 full cell 평가를 진행하였을때, G@SiOx@P의 경우, 약 140 mAh g-1의 초기 방전 용량을 나타내었으며, 약 85%의 초기 쿨롱 효율을 나타내었다. 다음의 연구를 통해 결정성 탄소 층의 형성에 따라 얇은 SEI층이 형성되며, 초기 쿨롱 효율 및 사이클 수명 유지율과 부피팽창률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탄소 코팅은 SiOx의 전해질과의 노출을 제한하고 추가적인 SEI층을 형성하지 않으며 얇고 안정한 SEI층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ilicon 음극을 적용하는데 탄소 코팅이 필수적임을 보여주며, 복합체로 사용하여 더 높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 활용 방안 : 학습자의 정서안정을 고려한 음악교육의 교수학습모형을 중심으로

        윤재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use of mus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social flow with respect to the use and utility of unchanging music.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encourages students to form positive self-views such as self-exploration on the immature ego state of adolescence and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rough music educ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learners with a negative self-view, this method can alleviate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repeated projection of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and induce the formation of self-healing algorithms for positive emotions. In this study, based on middle school music class, while pursuing the fusion of the concept of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und and the concept of musical application of existing music education, focusing on the study of brain response to sound and music and the theory of music therapy, emotional stability -centered music education was designed.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induces the learners' schema formation of emotional stability and relief for environmental and social stimuli through sound 'flow-release', specific 'activity', and educational 'repetition'. These three factors give the three-dimensionality and consistency of education and actively induce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learner. The learner experiences ‘flow-release’ through the learning activity, which is a conceptual principle that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learner flows to music and releases expression or flows to expression and releases music while performing music activity. The learner's flow-release becomes more precise as it is connected with a specific 'activity.' The ‘activity’ consists of music activities that can induce emotional st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frame of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activity method and induces learners to focus more on the ‘flow-release’ process. ‘Flow-release’ and ‘activity’ increase the frequency of learners’ exposure to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repetition.’ Furthermore, this 'repetition' plays a key role in forming a schema of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through music education and inducing the transfer of real life. For transfer, the instructor sets and educates students by setting appropriate steps by comprehensively judging mutual relationships, responsiveness, and environment so that the learner’s ‘flow’ does not deviate during the ‘repetition’ process. The setting of the level suitable for the learner was able to reorganize it organically under the instructor's synthetic judgment. As a result,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aims at universal ‘emotional stability,' that is, emotional homeostasis to stimuli through music activity in public education. Thus, the ultimate goal of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i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n erroneous adolescent self-view with a potentially negative direction before it progresses to the point of pathological expression.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usic and educational curriculum.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curriculum values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and sets achievement standards, but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uses musical elements to induce emotional stability.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educational methods in that the former is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while the latter places value on the utility of music. In this study, recognizing this difference and taking a compatible position, the elements of the music subject used in the past were harmonized with the musical aspects that induce emotional stability so that actual music education could be conducted. Furthermore, this study designed the framework to organize the edu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or's environment by composing the class in consideration of evaluation and achievement factors but penetrating the core concept of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that can induce emotional stability and examines music education methods that can induce emotional stability using existing music education elements. Although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was organized based on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due to curriculum limitations, i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music education curriculum that promoted a three-dimensional approach to education through concrete modeling. Also, in this study, the education model was realized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The educational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have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current competency, but as in all public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changes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at limits emotional stability-centered music education can disappear. Finally,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text and social flow through a comprehensive discussion. ‘정서안정중심 음악교육’은 청소년기의 미성숙한 자아상태에 대한 자아탐구 및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 등 긍정적 자아관 형성에 대해 음악교육을 통해 자연히 노출되도록 유도하는 음악교육이다. 그리고 부정적 심도에 위치한 학습자의 자아관의 경우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의 반복 투영을 통해 부정적 정서 완화를 도모하고 긍정적 정서에 대한 자가치유 알고리즘 형성을 유도한다. 중학교 음악수업을 기준으로 소리를 통한 정서안정의 개념과 기존 음악교육의 음악적 활용 개념 융합을 위해 소리와 음악에 따른 뇌 반응적 연구와 음악치료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이 설계되었다.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은 학습자의 환경 및 사회적 자극에 대한 정서안정 및 완화의 도식형성을 소리를 통한 ‘몰입-발산’, 구체적 ‘활동’, 교육적 ‘반복’으로 유도한다. 이 세가지 요소가 교육의 입체성과 일관성을 부여하며 학습자의 정서안정을 능동적으로 유도한다. 학습자는 학습 활동을 통해 ‘몰입-발산’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학습자가 음악활동을 하며 음악에 몰입하고 표현을 발산하는 혹은 표현에 몰입하고 발산하는 과정을 일컫는 개념적 원리이다. 학습자의 ‘몰입-발산’은 구체적 ‘활동’과 연결되며 정밀해 진다. ‘활동’은 기존 음악교육 활동 방식의 프레임은 유지하여 정서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음악 활동으로 구성되어 학습자의 ‘몰입-발산’ 과정에 더욱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몰입-발산’과 ‘활동’은 교육적 ‘반복’을 통해 학습자의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에 노출되는 빈도를 높혀가는데 ‘반복’은 음악교육을 통해 학습자 정서안정의 도식을 형성하고 실생활의 전이를 유도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게된다. 전이를 위해 교수자는 ‘반복’의 과정 중 학습자의 ‘몰입’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호간의 관계성과 호응도 그리고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단계를 설정한 후 교육이 진행된다. 단계의 설정은 교수자의 종합적판단 아래 유기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은 공교육의 음악 활동을 통해 보편적 ‘정서안정’ 즉, 자극에 대한 정서적 항상성을 목표하며 부정적 방향성이 내재된 자아관의 심도가 병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 되기 전 음악교육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다.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은 기존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목표하는 가치의 차이가 존재한다. 기존 음악과 교육과정은 ‘이해’와 ‘활용’에 가치를 두어 성취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은 정서안정을 유도하기 위해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으로, ‘이해’와 ‘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이 아닌 음악의 효용에 가치를 두는 차이가 있다. 이 같은 차이를 인식해 양립적 입장을 취하여 기존에 활용되어진 음악교과의 활용 요소를 정서안정을 유도하는 음악적 요소들과 융화시켜 실제 음악교육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평가 및 성취 요소를 고려하여 수업을 구성하되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의 핵심 개념을 투과시켜 교수자의 환경에 맞추어 교육 시스템을 조직할 수 있도록 골조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음악교육의 이론적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 기존 음악교육 요소를 활용하여 정서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음악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은 교육과정적 제한으로 인해 기존 음악교육을 기반으로 교육을 조직하였지만, 구체적 모델화를 통해 교육의 입체적 접근을 도모한 기존 음악교육 과정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그리고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통해 교육 모델을 실제화 하였다. 조직된 방안들은 현재의 관점에서 다소 역량적 제한점을 갖추고 있지만, 모든 공교육이 그렇듯 다수의 흐름에 따라 교육 방식이 변화하는 공교육의 제한점으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정서안정 중심 음악교육의 제한적 양상이 옅어질 기류가 존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통해 요약과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 스마트 공장을 위한 생산 환경에서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윤재현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팩토리란 사람이 제품을 일일이 조립, 포장을 하고 기계를 점검할 필요 없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공장이다. 스마트 팩토리는 공장 자동화가 한층 더 진화된 모습으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공장 곳곳에 IOT (Internet of things) 센서와 카메라가 붙어있고, 이 센서와 카메라들이 공정과정에서의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는 어디에서 불량품이 발생했는지, 어떤 기계나 장비에 이상 징후가 있는지 등을 파악한다. 그리고 불량품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판단하여 전체 공정을 원활하게 제어한다. 스마트 팩토리는 모든 설비나 장치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고 모든 공정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 분석 및 판단하여 최적의 생산 환경을 만든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에는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 연구가 되어 이용되고 있는 무선 통신 기술에는 Wi-Fi, Bluetooth, ZigBee 및 LoRa 등이 있다. ZigBee와 Bluetooth는 실내에서도 짧은 통신 가능거리와 전송할 때의 불안정성 때문에 스마트 팩토리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Wi-Fi도 높은 속도를 가지나 높은 전력 소비량과 넓은 공장에서 사용하기에는 통신거리가 짧으며 또한 투과성이 낮아 장애물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서는 많은 AP(Access Point)가 필요하다. 따라서 저 전력 중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oRa를 이용하여 생산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부품 제조가 주인 중소기업의 경우 부품 생산 시의 온도, 습도나 기압 등의 환경이 생산품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공장의 구축을 위해서는 생산기계에 대한 데이터와 작업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 및 피드백 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고장 또는 부품의 교체 시점 등을 예상 할 수 있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기기의 상태와 작업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13].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생산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과 계측 값 자동 저장시스템을 통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장거리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인 LoRa를 이용하여 작업 환경 및 생산기계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Mobile과 PC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따로 구현하였다. Mobile device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산 환경 및 진동데이터를 볼 수 있으며, PC Monitoring program에서는 여러 센서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진동 데이터의 변동사항 및 표준편차를 볼 수 있게 프로그램 하였다[13].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서데이터(온습도 및 대기압 등)를 기록 및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계측 값 자동 저장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느 장소에서는 계측 값의 오기없이 간편하게 신뢰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Smart Factory is a factory where all processes are done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for people to assemble, pack, and inspect machines. Smart Factory is not an entirely new concept, but rather a more advanced version of factory automation.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s and cameras are attached throughout the factory, and they collect all the data that is large and small in the field. Based on these data, AI (Artific Intelligence) identifies where the defective product originated and if there are any signs of abnormality in any machine or equipment. In addition, the entire process is controlled smoothly by judging that the defective product does not fall into the next process. The smart factory enables all facilities or devices to b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information and to monitor, analyze, and judge all processes in real time to create an optimal production environment. Therefore, monitoring is essential in smart factory, including Wi-Fi, Bluetooth, ZigBee and LoRa, 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have been studied and used to date. ZigBee and Bluetooth are not suitable for use in smart factory because of their very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and instability in transmission even indoors. In addition, Wi-Fi also requires a lot of access points (APs) for reliable communication because it has a high speed, but has a shorter range of communication for high power consumption and low permeability for use in large factories. Therefore, it is efficient to monitor the production environment using LoRa with low power medium and long-rang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monitoring is of great importance to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s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ressure in the production of parts can affect the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data on the work environment and production machines, analyze them, and predict when parts could be replaced, and monitor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s of the production equipment. Thus, in this paper,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was implemented, incorporating a productio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an automatic storage system of measurement values for smart factory. The productio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separately implemented monitoring system for mobile and PC that can collect sensor data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duction machines using LoRa, a long-range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vibration data can be viewed in real time on mobile devices, and the PC monitoring program can graph sensor data to check standard deviations and changes in data. Using the established system,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can be recorded and vibration data of the machine tool can be collected. In addition, the automatic storage system for measurement values can be used to perform reliability tests in some places without any error of measurement values.

      • 항우울제의 타액분비 감소효과에 대한 세포내 칼슘증가제의 영향

        윤재현 전남대학교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삼환계 및 사환계 항우울제들은 구강건조를 일으킴이 잘 알려져 있으나 생체내에서 다른 부작용없이 구강건조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최근 caffeine 같은 세포내 칼슘유리물질이 유선분비를 촉진시키고 췌장 외분비선 분비를 증가시킴이 보고되었다. 저자는 고양이에서 콜린성 자극에 의한 악하선 분비와 선혈류에 미치는 몇가지 항우울제들의 억제작용을 비교하고 칼슘유리 및 유입물질들이 그 타액분비 억제작용을 개선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생체의 실험으로 적출 악하선 절편에서 콜린성 자극에 의한 칼륨유출에 미치는 항우울제와 세포내 칼슘 농도 증가제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1. 고삭신경 자극(3V, 20Hz, 1msec) 또는 설동맥내 acetylcholine 투여(20 ㎍/kg)에 의해 타액분비를 일으켰다. 이 타액분비는 amitriptyline, imipramine, niansein에 의해 용량의존 억제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amitriptyline>imipramine>mianserin 순이었다. 2. Acetylcholine에 의한 선혈류 증가효과는 항우울제들에 의해 현저히 감약되었지만 고삭신경자극에 의한 선혈류 증가효과는 항우울제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고삭신경 자극 또는 acetylcholine에 의한 타액분비는 내형질망 칼슘펌프 차단제인cyclopiazonic acid(10^(-6) mol/kg)와 선택적 세포내 칼습이온 제거제인 BAPTA/AM(10^(-5) mol/kg)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4. 세포내 칼슘유리제인 caffeine이나 ryanodine은 콜린성 타액분비를 증가시켰을 뿐아니라 항우울제의 타액분비 감소효과를 용량의존 억제시켰다. 5. 항우울제의 콜린성 타액분비 감소효과는 calcium ionophore A23187에 의해 억제되었다. 6. 적출 악하선 절편에서 carbachol(10^(-5) mol/L)에 의한 칼륨유출은 항우울제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caffeine(10^(-6) mol/L)이나 A23187(10^(-6) mol/L)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항우울제의 타액분비 감소효과가 세포내 칼슘유리제인 caffeine, ryanodine 유입제인 A23187 등에 의해 개선되며, 그 기전은 선세포내 칼슘 농도 증가에 기인함을 시사하였다. Tri- and tetra-cyclic antidepressants are known to cause dry mouth among other several major co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egree of reduced salivation due to antidepressants and to explore whether intracellular calcium-increasing agents ameliorate the salivation. Effects of antidepressants and agents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on the cholinergic submandib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induced by the chorda stimulation or intra-arterial acetylcholine were observed in anesthetized cats. Effects of antidepressants and calcium-mobilizing agents on K^+ efflux were also observed in excised gland slic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alivary secretion in response to the chorda stimulation (3 V, 20 Hz, 1msec)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antidepressant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the blood flow was not affacted. 2. Salivary secretion and increased blood flow evoked by intra-arterial acetylcholine (20 ㎍/kg) were markedly diminished by antidepressants, the magnitude of which was amitryptyline> imipramine>mianserin in order. 3. Cholinergic saliv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yclopiazonic acid, a calcium pump inhibitor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or by BAPTA/AM, a specific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4. Caffeine and ryanodine potentiated the cholinergic salivation and ameliorated the depressed salivary secretion due to antidepressants. 5. Calcium ionophore A23187 ameliorated the depressed salivation due to antidepressants. 6. Antidepressants inhibited the K^+ efflux, which were restored by caffeine or A2318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pressed salivary secretion due to antidepressants is ameliorated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 3차원 항법 성능 향상을 위한 Range/IMU 통합 다중 교류 자기장 항법 설계 및 성능 분석

        윤재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정형 실내 환경에서 안정적인 항법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 교류 자기장을 활용한 항법 시스템과 거리센서, IMU를 결합한 새로운 항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제작한다. 여기서 비정형 실내 환경이란 안개, 광학 산란, 인체 내부, 물방울 등의 영향으로 optical sensor와 radio sensor의 사용이 제한된 환경으로 정의한다. 이처럼 전자기파의 활용이 어려운 가혹 환경에서 4개의 송신기를 통해 다중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고, 수신기를 통해 중첩된 교류 자기장 신호들을 복조하여 항법에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송신기의 전압 제어 보드를 직접 제작, 검증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PS (Magnetic Positioning System)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자기장 벡터를 모델링하고 최소제곱법 (Least Square)을 통해 3차원 위치, 자세 6-DoF (Degree of Freedom)의 항법 결과로 도출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의 항법 결과를 분석하면서 수평 위치 (horizontal position)와 heading angle은 cm급 오차와 3deg이내의 오차를 갖는 것에 반해, 수직 위치 (height)와 Roll, Pitch에서 비교적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비정형 실내 환경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 잡음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IMU와 거리 센서 (range sensor)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EKF (Extended Kalman Filter)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설계한 알고리즘에서는 지면과 거리 센서 측정치의 기하학적 관계를 모델링하여 3차원 포즈 (pose) 추정 오차를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 교류 자기장 송신기를 설계하여 지상 실험과 비행 실험을 진행한다. 이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자기장 왜곡으로 인한 수직 방향의 항법 성능 저하를 개선하여 3차원 항법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한다. This study describes navigation using multiple AC magnetic fields to provide stable navigation performance in an unstructured indoor environment. Here, an unstructured indoor environment is defined a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 of optical and radio sensors is restricted because of fog, optical scattering,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and water droplets. In this study, navigation is performed using a method called MPS (Magnetic Positioning System) in this environment. MPS generates multiple AC magnetic fields through four transmitters in harsh environments where it is not easy to use electromagnetic waves. Then, the superimposed AC magnetic field signals are demodulated through the receiver and used for navigation. In this paper, the extracted magnetic field vector is modeled and derived as a navigation result of 3-dimensional position and attitude 6-DoF (Degree of Freedom) through the least square. Analyzing the MPS results, the horizontal position has a cm-level error, and the heading angle has an error within 3de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 relatively large error occurred in the vertical position (height), Roll, and Pitch. This phenomenon is because magnetic field noise is generated vertically in an unstructured indoor environment. A new type of Extended Kalman Filter (EKF) algorithm that integrates IMU and range sensor is presented to improve this limitation. The designed algorithm reduces the 3D pose estimation error by model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and range sensor measurements. Finally, to verify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ground experiments and flight experiments are conducted using a self-designed multiple AC magnetic field transmitte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 confirm that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improves the degradation of navigation perform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magnetic field distortion, thereby improving 3-dimensional pose estimation.

      • 한국 반덤핑제도의 운용과 효과에 대한 분석

        윤재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공정 무역을 규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덤핑제도는 존재해 왔다. 그러나 저개발국가들은 선진국들이 자신들의 산업을 보호하고자 보호조치로써 반덤핑제도의 자의적인 운용이 발생한다는 주장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반덤핑제소의 단기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주장이 우리나라에서도 적용되는지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반덤핑제소는 위협효과와 무역전환효과의 두 가지 효과를 야기시킨다. 위협효과란 “반덤핑제소를 통해 외국 경쟁자들의 이익을 국내 산업에게 이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덤핑제소를 받은 피제소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해당품목의 비탄력적인 수요로 인해 위협 효과는 점차 감소하고, 정상수출을 하는 이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등의 국제통상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를 무역전환효과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 1996년과 1997년의 한국 반덤핑제소의 사례를 이용하여 전술한 효과들이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하는지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의 반덤핑제소로 인해 위협효과는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제소기간 동안 피제소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에 기인한다. 둘째, 이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여 무역전환효과 역시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역전환효과는 수입원의 변경 등 적응비용의 필요로 인하여 위협효과에 비해 그 발생시점이 늦게 나타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시간적 차이는 반덤핑제소가 보호조치의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해 준다. 따라서 한국의 반덤핑제도는 수입규제의 성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수요가 비탄력적일 경우 단기적으로 국내 해당산업의 보호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Anti-dumping (AD, hereafter) legislations have been originally devised to deter unfair trade practices. Today, AD legislations have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they often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ir own domestic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short term effects of the Korean AD petitions. In general, the AD petitions generate two short term effects: in-terrorem and trade diversion effects. The in-terrorem effect refers to "the mere initiation of an investigation against a foreign rival benefiting the domestic industry by harassment of the foreign rival." Its symptom is the fall of imports from the named during the investigations. Given the inelastic demand for the imports over the short term, the AD initiations may generate positive external effects and increase the imports from the non-named, known as the trade diversion effect.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Korean AD petition cases from 1996 to 1997. We fi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our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n-terrorem effect exists from the Korean anti-dumping petition initiations. During the periods of investigations, the volumes of imports from the named substantially decline. Second, our data analysis also points to the evidence of trade diversion effect, however, this effect may be realized slowly with a time lag. The main rationale for this slow trade diversion effect may lie on the adjustment costs stemmed from switching trade partners. This slow trade diversion effect strengthens the claim that AD petitions are the protectionist measures. Since the AD petition initiations tend to block imports, this in turn ends up protecting the domestic industry at least for the short term given the inelastic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