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군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윤재성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Recently military social work is paid attentions as a method of resolving accidents a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which have been increased and becoming a major social problems in the army. Military social work is a secondary setting among various social work fields and its main purpose is helping military officials and soldiers who have psycho-social problems, family problems and adaptation troubles. Military social workers help them with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techniques and philos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the military officials on military social work. For the purpose, the military officials who are working in the Headquarter of Army were surveyed, and 204 military officials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attitudes of the military officials on military social Work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military social work,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26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² and t-test. From the analysing and arrangement of the dat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military officials agree to introduce military social work. A few respondents do not agree because army life is not hard, and introducing military social work is not necessary yet and needs so much budgets. Second, most military officials prefer recruiting both civilians and military officials as military social workers. Third, most respondents like better military officers than noncommissioned officers as military social workers, and want them place in divisions and regiments. Fourth, most respondents prefer military social worker to military counselor recently recruited in army. Fifth, most respondents want clients of military social worker should be not only military officials and their families but also privates. Sixth, most respondents think the branch of military social worker should be one of personnel administration specialities, and their unit should belong to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of divisions.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군대 구성원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군사회복 지사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장교와 부사관과 같은 직업군인이 군 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즉 군사회복지사제도에 대 한 인식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직업군인을 조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들이 군사회복지사의 역할, 직제, 예산 등 군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과 운용에 책임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군사회복지사제도라는 새로운 제도를 군 안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군의 기간인 이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럼에도 지금까지 군사회복지사제도 일반에 관한 연구나 사병을 대상으로 한 병영 내 적응문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있었어도 군의 기간인 직업군인을 대 상으로 한 군사회복지제도 도입에 관한 설문조사는 없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국내 최초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군사회복지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 며, 이런 사실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된다고 본다. 한편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이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어 군사회복지제도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만들었다. 설문 문항은 군사회복지제도의 핵심 내 용과 쟁점이 될 수 있는 사항을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현재 육군본부의 각 부처에 근무하는 직업군인, 즉 부사관, 위관장교, 영관장교이다. 전체 표본 수는 200명 정도로 잡고, 부사관, 위관장교, 영관장교 각 70명 씩 모두 210명 정도를 조사하기로 하고, 설문지 를 육군본부 각 부처로 배포하였다. 각 부처의 책임자에게 부탁하여 배포된 설문지에 조사대상 군인들이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에 답하도록 한 다음 취합하 였다. 그 결과 모두 204부가 회수되었는데, 부실한 설문지는 하나도 없었다. 그리하여 부사관 78명, 위관장교 56명, 영관장교 70명 등 총 204명의 직업군 인이 최종적인 조사대상이 되었다. 조사결과를 요약ㆍ정리하고, 우리나라 군사 회복지사제도의 도입에 시사하는 바가 큰 사항과 의미를 분석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에 대해 압도적으로 많은 군인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군인들은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에 대해 우호적 인 것으로 이해된다. 반대 이유는 군사회복지사를 둘 정도로 병영 내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는 것과 시기상조와 많은 예산이 든다는 것에 있었다. 둘째, 군사회복지사 임용방법에 대해 현역 군인을 사회복지사로 임용하는 방법과 군부대 인근 사회복지기관과 협약을 맺는 방법 중 특별히 어느 한 쪽 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양쪽을 병행하던지 아니면 어느 한 방법을 택해도 괜찮다는 입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사회복지사 충원방법에 대해 학군이나 학사장교 중에서 선발하는 것을 민간인 사회복지사 중에서 선발하는 것보다 조금 더 선호하고 있으며, 장교와 민간인을 절충해서 선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넷째, 현역 군인을 군 사회복지사로 임용할 경우 군사회복지사의 계급에 대 해 군인들의 대부분이 부사관보다는 영관급 또는 위관급 장교를 더 선호하고 있으며, 장교 중에는 영관급 장교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군사회복지사의 부대배치에 대해서는 연대 이상 사단에 군사회복지사가 배치 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군인(병)의 문제 예방과 지도를 위하여 기존의 상담방식, 즉 군 기 본권 상담관과 차별화된 군의 제도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데 대부분이 공감하 고 있었으며, 군 기본권 전문 상담관 업무도 포함하여 운용할 경우 군 기본권 전문 상담관과 군사회복지사 제도 중 하나를 선택 한다면 어느 제도를 선택 하겠는지에 대해서도 군사회복지사를 선택하겠다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이것 은 직업군인들이 기본권 상담관보다는 군사회복지사제도를 훨씬 더 많이 선호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군사회복지사의 도움 범위에 대해 대체로 직업군인들은 장교, 부사 관 등 직업군인과 그 가족 및 사병을 군사회복지사의 도움 대상(클라이언트) 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일곱째, 군사회복지사의 병과에 대해 절반 정도가 인사직능에 전문특기를 부여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고, 그 다음은 사회복지 병과를 신설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군사회복지사의 직제 편성시(사단 기준) 편성되어야 하는 부서 에 대해서는 인사처와 군전문직제의 신설에 대한 지지도가 가장 높았다. 다음은 교차분석 결과이다. 대체로 조사대상 군인의 일반적 특성과 군사회 복지사제도에 대한 인식(태도)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업군인들이 군사회복지사제도에 대해 서로 인식을 공유하 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인 경우도 우리나라 군사회복지제도에 의미 있는 시사를 주는 것은 거의 없었 는데, 굳이 찾자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다. 첫째, 근무기간이 길수록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생활이 많은 군인일수록 군 안의 심리사회적 문제 에 대해 많이 경험했을 것이고,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군사회복지사제 도의 필요성에 대해 더 많이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군사회복지사의 계급으로 40대, 50대는 영관장교를, 30세 미만 젊은 층과 50세 이상 장년층은 위관장교를 선호하고 있다. 결혼상태별로는 기혼자 가 영관장교를, 미혼자는 위관장교를 더 선호하고 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고학력자일수록 영관장교를 선호하고 있고, 전문대 이하는 부사관을 상대적으 로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기간별로는 10년 미만인 군인일 수록 위관장교를, 10년 이상 근무자일수록 영관장교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40-50대의 중년층 기혼 고학력자가 영관급 장교를 군사회 복지사에 임용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인데, 이들이 군조직의 중추 라는 점에서 제도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셋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인사직능 에 사회복지전문특기를 부여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인사처에 군사회복지사를 편성ㆍ소속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술한 대로 이들이 군의 중추란 점에서 제도도입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교의 해석 모델 개선 기법 개발

        윤재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해서는 현재 상태 교량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도록 실제 계측 자료를 사용한 모델 개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델 개선 방법 중 다양한 형식의 교량에 적용 가능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예제교량에 대한 모델 개선을 진행하였다. 모델 개선을 위해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프로그램과 구조해석 상용 프로그램간의 연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은 해석시간을 늦추며 접근성을 어렵게 만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용프로그램인 Matlab을 사용하여 코딩을 작성하고 모델 개선을 진행하였다. 해당 모델인 PS콘크리트 거더교의 격자 모델 개선에 사용된 매개변수 중 교배 확률, 돌연변이 확률, 매개변수의 증분량의 크기를 조절해주는 의 설계범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며 분석하였다. 또한 격자 모델 개선에서 결정된 매개변수값을 사용하여 PS콘크리트 거더교의 판형 모델을 개선하였다. 각각 개선된 격자 모델과 판형 모델의 처짐값을 비교하였을 때, 실제 교량과 구조적으로 비슷한 판형 모델의 오차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염색체 개체의 유전자 배열을 실교량의 재료 특성과 얼마나 근접하게 형성하는지, 정적⋅동적 특성을 적합도 함수에 잘 적용하는지에 따라 모델 개선의 성능이 우수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잡한 모델 형성에 따른 매개변수 값 선정의 중요성과 현재 모델에서의 합리적인 매개변수 설계범위를 결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a bridge, it is necessary to update the analytical model based on actual measurement data which can represent the behavior of the present state of the bridg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genetic algorithm for model updating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ridges. Model updating for a sample bridg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a model, an inter-connection is required between the genetic algorithm and a commercial software. This process slows down the interpretation time and makes accessibility difficult. To improve this, we developed a program where the whole process works only in Matlab environment. Among the parameters used to a grid model of a PC bridge, the design range of the crossover probability, mutation probability and step parameter adjusting the amount of increment of the parameter were varied and analyzed. Also the plate model for a PC bridge was improved using the determined parameter values. When the deflection values of the grid model and the plate model are compared, the error of the plate model was smaller. In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updating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the gene arrangement of the chromosome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perty of the actual bridge, and the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are well applied to the fitness func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electing parameter values by complex model formation and the reasonable parameter design range in the current model are determined.

      • UCGS공법에 의한 석회암 공동 보강에 관한 연구

        윤재성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회암(Limestone)은 일반적으로 망상형 공동이나 석회암 동굴 같은 대규모 공동을 형성시키고, 싱크홀과 돌리네 형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공동은 도로, 댐 등을 건설할 때 지반이 상부구조물을 지탱하지 못하여 부등침하 등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어 공동충전 등의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석회암 공동지대에 도로건설공사 설계시 교각하부 등에 공동이 존재하여 보강공법으로 기존에 국내 석회암 공동지대에 적용사례가 많은 고압분사공법(RJP)을 채택하였으나 시멘트성분 유출 및 고유동성으로 인한 인근 수질오염으로 적용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기존공법(RJP)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석회암 공동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게 되었다. 선정된 공법인 UCGS공법을 적용하여 시험시공을 한 결과, 시험시공 중 환경피해가 없었고 물리탐사, 확인시추 등으로 소요강도 이상의 재료가 밀실하게 보강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재료의 유실 및 이탈에 의한 재료낭비가 없어 공사비를 절감하는데 경제적인 효과가 있었다. 향후 다양한 석회암 공동지역에서 UCGS공법을 적용할 경우 시험시공을 통하여 공법의 적용성을 확인 후 본 공사에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양식장 대상생물 및 입지형태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비교

        윤재성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상에 가설된 양식시설물은 양식 대상생물에게 미치는 물리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형적으로 해류 및 조류가 미약하거나 또는 은폐된 해역에 입지한다. 그러나 양식 대상생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먹이사료 공급과 환경수용력을 고려하지 않은 밀식 양식에 따른 배설물 등 다량의 잉여 유기물이 양식시설물 밑 또는 주변 해역의 저층 퇴적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Edwards, 1978; Enell and Lof, 1983; Frid and Mercer, 1989; Ritz et al., 1989). 국외의 경우, 해상 양식시설물로 설치로 인하여 대형저서동물 군집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북유럽, 북미 및 아시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수행되었다(Brown et al., 1987; Tsutsumi et al., 1991; Wu et al., 1994; Pearson and Black, 2001; Brook et al., 2002; Yokoyama, 2002; Carroll et al., 2003). 특히 북유럽의 연어 양식장을 중심으로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로 인한 수괴의 부영양화(Gowen and Bradbury, 1987), 저층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Holmer, 1991)과 이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파괴 및 천이 그리고 유기물 오염이 대형저서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의 공간적 범위 파악 등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Ritz et al., 1989).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80년대부터 수산물의 생산량 증대를 목적으로 양식대상 생물의 다양화를 도모함은 물론 해상 양식시설물의 수적 증가와 면적의 확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양식시설물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은 1,000ha 이상의 해역에 어·패류 시설지가 설치·운영중에 있다(고, 1997). 그러나 해역 생태계의 환경수용력을 고려하지 않은 대상생물의 과도한 양식과 배설물, 그리고 효과적으로 소비되지 않은 잉여 먹이사료 등의 지속적인 축적으로 인하여 양식시설지 주변해역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남해안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적조와 빈산소수괴 등의 형성 등이 상기 요인과 복합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서식생물 및 어민에게 생태적ㆍ경제적으로 커다란 피해를 주고 있어서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양식시설물과 관련한 대다수의 연구가 유기물 오염과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패류양식 시설물이 퇴적물과 수괴에 미치는 영향(조 등, 1982) 및 대규모로 조성된 양식시설이 밀집한 남해안의 여자만, 득량만, 진해만 및 통영 가두리형 양식장에서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하게 수행되었다(Lim et al., 1999: 박 등, 2000: 윤 등, 2001: 정 등, 2002). 또한 비교적 양식시설물이 많이 입지한 해역에서 본 연구의 대상생물인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포(Lim, 1992)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 구명 연구가 수행되었다(Lim, 1993; 임과 홍, 1994; 마 등, 1995; Lim et al., 1999; 백과 윤, 2000; 윤과 백, 2001; 임과 최, 2001). 이 외에도 특정 생물군을 중심으로 다모류 군집(신과 고, 1993)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신 등, 1995; 강 등, 2002). 이렇듯 본 연구의 대상생물인 대형저서동물은 다수 종이 생활사 전반을 통해서 고착성이거나 또는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일시적인 서식처 환경변화에 반응해 능동적으로 도피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결국 이들 생물 군집의 개체수와 다양도는 해당 생태계의 건강도를 측정하는 요소로 고려되어(Pearson and Rosenberg, 1978; Thouzeau et al., 1991), 환경변화의 영향정도를 감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통영시 양식시설물 밀집해역에 시설 및 운영 중인 굴양식장과 어류양식장을 대상으로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출현 종수와 생물량(개체수 및 생체량)을 일차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생산된 자료를 기초로 대형저서동물 군집이 1) 양식대상생물(굴 및 어류양식장)과 2) 양식장의 입지(내만과 외만)형태에 어떠한가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mmunity structure with biological and geomophological components in the farming grounds, Korea Strait.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6 to January 2007. A total of 275 benthic macro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macrobenthos density and biomass were 2,204 ind./㎡ and 189.97 gWWt/㎡,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and abundance, but echinodermata showed the highest biomass. Based on the LeBris index(1988), there were 10 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8.00% of total individuals.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amphipods Caprella spp., Unidentified amphipoda the polychaetes Scoletoma longifolia, Tharyx sp., Dorvillea matsumaeensis, Sigambra tentaculata, Chaetozone spinosa, Mediomastus californiensis, Scoloplos armiger and Glycera chirori. The conventional multi-variate statistics(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pplied to assess spatio-temporal variation in macrobenthic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major station groups. The major group 1 was associated with heterogeneous sediment transects and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s Capitella capitata, Lumbrineris japonica, Anoides oxycephala, M. californiensis, D. matsumaeensis and the leptostraca Nebalia bipes. On the other hand, major group 2 was connected with homogeneous sediment sites and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 Tharyx sp.. In this area, the total specie number, abundance and biomass were lower in the oyster farming ground and inner bay but higher in the fish farming ground and outer bay.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고층아파트의 화재 해석

        윤재성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partment building is getting high-rise and multi purpose by the gravitation of population toward the cities, and it is not to easy to predict generation and spread of fire. In this study, the fire analysis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 was performed by CFAST of zone model and FDS of field model. Also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performance-based fire design that is now being implemented by domestic fire law. The fire scenario which is originated sofa in living room was conducted by conditions of closed window, closed window with sprinkler, opened window with sprinkler. And the stack effect of high-rise apartment was analyzed. As a results, the fire analysis by CFAST for temperature state, CO, CO2, O2 density, fire detector and sprinkler activation time, etc. in living room was obtained. The fire analysis by FDS for temperature state, CO, CO2, O2 density, heat release rate, soot density, visibility, fire detector and sprinkler activation time, etc. in living room was obtained. The fire analysis by FDS for soot behavior and pressure state in stair hall of high-rise apartment was obtaine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e analysis for temperature state, CO, CO2, O2 density, soot density, detector activation time, stack effect etc. can be used for performance-based fire design. 최근 첨단기술과 공법으로 건축물은 고밀도화, 초고층화, 대규모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아파트의 형태가 고층화, 다용도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화재의 발생현상 및 확산형태도 예측하기가 더욱 어려워 졌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Zone Model의 CFAST와 Field Model의 FDS를 이용하여 고층아파트 거실 내 소파에서 발생한 화재현상에 대한 창문 밀폐시, 밀폐시 스프링클러 작동, 개방시 스프링클러 작동상태 와 지하층 및 지상5층에서 발생한 화재현상에 대하여 해석하여, 현재 국내에서 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성능위주 소방설계 (Performance-Based Fire Design)에 대비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FAST를 이용하여 실내의 시간별 온도분포, CO, CO2, O2 농도, 화재감지기 및 스프링클러 작동시간 등 을 구하였다. FDS를 이용하여 실내의 시간별 온도분포, CO, CO2, O2 농도, 열방출률(HRR), 연기농도(Soot Density), 가시도(Visibility), 화재감지기 및 스프링클러 작동시간 등과 고층아파트의 계단실의 시간별 연기거동 및 압력분포 상태를 구하였다. 또한 CFAST 와 FDS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하여 시간별 온도분포, 연기농도, 감지기 작동시간, 연돌효과 등 성능위주의 소방설계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진로가치탐색을 위한 중학생용 진로가치카드개발

        윤재성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진로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진로가치탐색 활동에 사용할 중학생 대상 진로가치카드를 개발한다. 둘째, 진로가치카드 활용 프로그램을 구안한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진로가치카드의 활용결과를 분석한다. 진로가치카드를 개발은 총5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4장은 내용카드이며 구성되어 있으며, 2장은 빈카드로 작성하여 자유롭게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카드의 크기는 91mm×57mm이며, 기 연구되고 판매되고 있는 카드들의 크기를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카드에 기입할 내용은 전면에 가치 단어를 기입하고 후면에는 가치단어와 의미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카드를 구성하였다. 가치 내용 선정은 국내·외에서 개발된 카드들을 중 다음 4가지 관점에서 양적평가와 질적 평가를 통해 가치 내용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참신성’, ‘적용가능성’, ‘다양성’, ‘현실성’ 등이며 이를 위해 8명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파이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진로가치카드 활용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활동자료집과 연구물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단계1-도입, 단계2-분류, 단계3-순위결정, 단계4-의미부여, 단계5-매칭 등 총 5단계로 구안하여 점진적으로 가치와 진로를 매칭하여 활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집단를 통해 검증하였다. 평가 방식은 리커드 4점 척도(4점 만점)로 구성하였다. 4점 만점에 3.51점 이상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평가에서 가치 및 설명이 중학생 수준과 발달단계 및 상담 활동에 타당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현장 적합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중학생 학생들에게 검증하였다. 적용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평균 만족도는 4.17(리커드 척도 5점 만점)점으로 유의미 있는 평가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남녀간, 학년간의 차이를 카이스퀘어(X2) 검증하기 하였다. 대부분의 문항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나의 진로선택의 기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95% 신뢰수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의미 있는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 활동결과 전에 생각하지 않았던 진로가치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가 학년별로 2학년>3학년>1학년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주관식 평가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의견이 많은 순으로 정리하여 보면 첫 번째, ‘내가 좋아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분명하게 알게 되었다.’ 두 번째, ‘활동이 재미있고 흥미로웠다’, 마지막으로 ‘나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등으로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가치 활동을 진행한 상담자 및 활동교사의 의견을 정리하여 보면, 가장 많은 의견으로는 ‘활동을 통해 가치라는 어려운 주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라고 평가 하였다. 다음으로는 ‘흥미 중심의 본 활동이 개인의 상담과정이나 활동에 다른 형식의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라는 평가가 많았다. 이러한 평가는 기존의 가치관에 대한 활동이나 검사에 대한 한계점에 대해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교실현장에서 사용되기에는 보완해야할 단점을 상담자들이 의견을 제시하였다. 가장 많은 의견으로는 ‘용어의 어려움’, 다음으로 ‘직업이나 학과와의 연계성 부족’ 등 상담활동이나 교실현장에 사용될 수 있는 현장성있는 프로그램 개발 보급에 대한 요구의 반영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가치카드 개발 연구의 목표이자 핵심 가치인 중학생들의 진로가치 탐색 및 이해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 타당화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래서 중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본 도구가 진로가치에 대한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research to support the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career value ca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re developed for the activities to explore career values. Second, the programs are made to apply the career value cards to middle school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e applied programs with career value cards are analyzed. The career value cards consist of 55 sheets, 53 sheets of which are content cards and 2 sheets are empty cards produced to be written on the free purpose. The size of the cards is 91mm×57mm, which w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ize of the cards previously developed and merchandised. The font of the career value cards was recorded with value words, and the back consisted of the contents which explain the meaning of value words. The selection of value contents was determin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of the value cards developed i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e standards of selection are as following: freshness, applicability, variety and practicality. Delphi analyzing method collecting the opinions of 8 experts was applied to select the contents and analyze them. To produce the program applying career value cards, a variety of activity materials and researches developed and utilized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y were consulted and the program with five levels was produced as following: level 1-introduction, level 2-classifying, level 3-ranking, level 4-giving meaning, and level 5-matching. The objective of the 5-level program is to match value and career progressively. To analyze the results of applying career value cards, 15 questions were presented, and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was 4.14(Lickertis scale, five maximum score), which had a significant mean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ested by chi-square(X2). Most questions had a nonsignificant meaning, but in 95% reliable level, female students had more significant activities than male students in ‘I got a help in understanding the standard of selecting my career’. In ‘I got to consider the career value that was not considered before this activit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order as following: second grade, third grade and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most opinions of students was ‘I knew my favorite value definitely’, followed by ‘I was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and ‘I had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at was important to me’. In assessing the opinions of consultants and activity teachers who conducted the value activities, the most opinions of them was ‘I can easily come near to difficult issues on values by various activities’, followed by ‘The interest-centered activities indicated another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ing methods for counselling possessing and activities’. This assessment indicated another possibility of the limitation of activities and inspection on existing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drawbacks supplemented in classrooms were presented by counsellors. The most opinions was ‘the difficulty of words’, followed by ‘the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career and major’, which showed the reflection of needs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programs and popularizing them.

      • 대학 캠퍼스의 탄소제로화를 위한 건물 에너지절약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

        윤재성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1년 현재 전국에 설립된 대학교는 183개교에 이르고 있다. 각 대학들은 점차 증가하는 학생들과 다양한 교육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그간 급격한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여 왔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대학 캠퍼스는 과밀화되고 급기야 에너지 과소비기관으로 분류되었다. 급격한 양적 성장을 거듭하게 된 건물들은 에너지소비와 효율감소를 발생시키고, 대학건물 관점에서 에너지절감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설정과 지속적인 개선 방안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요 화두가 되고 있는 에너지절약에 대한 시대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의 탄소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조사대상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사용량 및 소비현황을 파악하고 전체 건물 중 대표적인 소비형태를 가진 기준건물을 선정하여 해당건물의 에너지 소비패턴을 실측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수립, 보정한 후 보정된 기준건물 해석모델에 Parametric 분석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절약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대학건물에서 실현 가능한 에너지 절감 목표량과 대학 캠퍼스의 탄소배출저감을 위한 에너지절약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요소기술의 성능평가결과와 접근방법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대학의 리모델링시 요소기술의 적용우선순위를 제시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프리피스톤 리니어 동력시스템의 소기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윤재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리피스톤 리니어 동력시스템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스트로크가 구속되지 않아 실린더 내의 연소압력을 최대의 팽창일로 얻어낼 수 있다. 반면에 관성에너지를 저장하는 관성차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매 사이클마다 동력을 발생하는 2행정 dual 피스톤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주지의 사실과 마찬가지로 2행정기관의 성능은 소기특성에 따라 좌우되어 사이클 변동이 증가한다. Dual type 프리피스톤 기관의 경우에는 각 피스톤이 불완전팽창 및 압축을 하는데 따른 신기도입과 유동양상의 변화로 기관이 정지하거나 피스톤이 실린더 헤드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피스톤 수소기관의 소기성능 향상은 기관의 정상운전뿐만 아니라 효율증가에 중요한 과제이다. 소기방식의 확립을 위한 해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유동가시화가 가장 신뢰성 있는 해석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가시화에 앞서 급속흡입압축팽창기를 이용하여 프리피스톤 기관의 고효율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프리피스톤 수소기관에 바람직한 소기방식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루프 소기 및 유니플로우 소기를 갖는 경우의 실린더 내 소기양상을 PIV에 의해 가시화하고 그 특성을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프리피스톤 기관의 실린더 헤드로부터 소기포트 사이의 소기유동양상을 가시화할 수 있는 단발 구동형 소기 가시화 장치를 개발하였다. 프리피스톤 수소기관의 도시열효율은 수소의 분사압력과 수소-공기 당량비 변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50%이상을 나타냄으로서 수소연소 프리피스톤 기관이 고효율 동력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리피스톤 기관의 실린더 내 소기유동은 루프 소기의 경우 convex형의 피스톤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바람직한 양상을 보였으나 루프 소기의 전반적인 유동패턴은 신기와 기연가스 간의 교환과정에 간섭될 소지가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유니플로우 소기 시에는 상대적으로 향상된 소기유동을 보였다. 유니플로우 소기의 경우 배기밸브는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원활한 소기가 이루어졌으며 밸브의 열림 시기는 지각될수록 실린더 압력강하에 의해 불완전한 형태의 유동을 나타냈다. 프리피스톤 기관은 비정상팽창을 하는 경우 루프 및 유니플로우 소기방식에서 공통적으로 소기상태가 불완전한 것이 보여졌으며 연쇄적으로 이후 행정에 불안정상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므로 임의방법으로 피스톤을 최소 스트로크 이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과 같이 일정 스트로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Free piston linear power system has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maximum expansion work because the free piston has the variable strokes. Free piston engine, which is a difficult structure to install the flywheel, has adopted the type of dual piston with two cycle. As well known, the scavenging characteristic results in higher cycle variation. Each piston is able to stop or crash to the cylinder head because of the change of intake flow and flow pattern after the incomplete expansion and compression. It is a important task for the normal driving and high efficiency of the engine to improve the scavenging performance of free piston engine.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high efficiency with free piston engine is grasped by RICEM. And this research made the visualizing equipment able to measure the flow condition and visualized the flow inside cylinder with two dimensions by a laser tomograph as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grasp of scavenging process in free piston engine. Free piston hydrogen fueled engine has the ability of high efficiency power system as the indicated thermal efficiency is over fifty percentage in case the pressure of hydrogen injection and hydrogen-air equivalence ratio is various. All of the loop and uniflow scavenging shows that the scavenging condition is incomplete when free piston is the abnormal expansion. It is desirable for the piston to keep up the regular stroke because the abnormal expansion is possible to cause the unstable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