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지보상절차의 업무중요도에 관한 연구

        윤재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상업무는 단순한 업무에서 감정평가, 수용 등의 각 단계, 등기 및 지적업무 등 다양하면서도 복잡다기한 결과이다. 하나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작품이 완성되듯이 토지보상의 업무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하나의 공익사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복잡하고도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이 필요하며 단기간에 조직과 체계를 이루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전문성 등이 부족한 문제가 드러나는 바 각 업무절차를 우선적으로 표준화하고 그 절차에 따라 각 세부업무를 파악하여 중요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1차적으로는 표준화를 기본으로 한 다음 2차적으로는 세부적인 업무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분석하고 난이도와 효율성 등을 통합적으로 산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절차를 브레인스토밍 과정에 의해 최대한 반영하여 표준화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분류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업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대분류, 중분류까지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절차로서 소분류에 대해서는 별도로 수행하진 않았다. 결론적으로 대분류 항목에서는 업무차원에서 중요도는 협의 단계, 사업인정 단계, 수용재결 단계, 재결의 불복 단계 순으로 업무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복합가중치 분석결과 중분류 상위 5개 항목은 사업인정의 준비, 기본조사, 토지 및 물건조서의 작성, 보상계획의 공고·열람, 재결신청 순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보상업무의 중요도는 대체적으로 진행단계에 따라 그 중요도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The land compensation service is the diverse and complex outcome ranging from the simple service to appraisal, expropriation, registration, cadastral services and so on. As one work is completed through one series of processes, one public undertaking finally comes to be completed through the stages of land compensation services. To resolve this complex and diverse problem, special knowledge and knowhow are needed,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constructing the organization and system in a short-term period. There is a problem of speciality in relation to this, and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procedures for each service first, identify each detail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ocedures and analyze its importance.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procedures primarily, analyze the detailed land compensation services secondarily and then analyz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this and calculate their difficulty and efficiency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study attempted to standardize the procedures for land compensation services maximally by the process of brainstorming and survey the services that might occur at the stage of medium classifi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analysis of major classification and medium classification but did not analyze the minor classification separatel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e importance of services in orders of the consultation stage, the project approval stage, the expropriation decision stage, and the stage of protest against the decision in the items of major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mbined weight showed that five top items of medium classification were in orders of preparation for project approval, basic survey, preparation of the land and object protocol, announcement and reading of the compensation plan, and application for the decision.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land compensation services generally decreased i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ogress.

      •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재정지표와 보육교사 급여성보조금 및 직무만족도

        윤재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0년대 초부터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보육교사의 낮은 보수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처우개선비라는 명목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중앙정부에서도 ‘누리과정수당’과 ‘0∼만 4세 담임수당’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지급하고 있다. 이는 보육사업에 내포된 높은 공공성에 기반하여 보육교사의 낮은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공공부문이 별도의 보수로서 급여성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급여성보조금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나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재정지표와 보육교사 급여성보조금 지원현황을 조사하고, 급여성보조금 등 보수수준과 보수체계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급여성보조금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재정지표와 급여성보조금 지원현황 파악을 위한【연구 1】과 급여성보조금과 직무만족도에 대한【연구 2】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 전국 244개 모든 광역·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보육예산 규모, 영유아일인당보육예산, 재정자립도 등 보육재정지표와 급여성보조금 지원현황을 전수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통계적 분석절차를 거쳐 연구자료로 가공되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별 지원현황을 살펴본 결과,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모두 급여성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228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을 기준으로 148개 자치단체에서 지원하고 있다. 수도권 여부로 살펴보면 수도권 지역의 98.5%, 비수도권 지역의 51.2%가 급여성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도시유형별로는 중소도시의 88.1%, 대도시의 67.9%, 농촌지역의 45.9%가 이를 지원하고 있다. 급여성보조금의 지급액을 살펴보면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에 대하여 최대금액 기준으로 광역자치단체에서 전국 평균 406,500원을 지급하고, 기초자치단체에서 전국 평균 44,271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지급액이 많았고, 도시유형별로 구분하면 중소도시, 대도시, 농촌지역 순으로 지급액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보육재정지표와 급여성보조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의 경우 일반회계, 보육예산, 보육아동수, 재정자립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보육아동수가 많은 수도권이나 대도시와 중소도시에서 급여성보조금의 지원 빈도가 높고, 보육예산비율, 재정자립도가 높은 자치단체가 급여성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셋째, 제 변인이 급여성보조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의 경우 재정자립도, 수도권여부, 중소도시변인이 급여성보조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교적 수도권에 위치하고, 자주적 지방세 비율이 높은 일반시 지역 지방자치단체일수록 재정자립도가 높다는 데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 2】에서는 보육교사의 급여성보조금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적인 할당표집을 통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수와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개인변인, 지역변인, 보수변인 등 제 변인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급여성보조금을 포함한 보수수준은 인건비지원어린이집과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 모두에서, 개인변인 중 연령과 일일평균근무시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급여성보조금은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에서 농촌지역이 대도시나 중소도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직무만족도 전체의 경우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도시유형별로는 농촌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보수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건비지원어린이집과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 모두 총 보수수준과 직무만족도 전체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특히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의 경우 급여성보조금과도 직무만족도 전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보수수준이 낮은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에서 급여성보조금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제 변인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의 경우, 1단계와 2단계에 각각 투입된 개인변인과 지역변인은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3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투입된 개인변인인 일일평균근무시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단계에서 투입된 보수변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급여성보조금을 포함하여 제 보수변인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건비지원어린이집보다 인건비미지원어린이집에서 보수관련 변인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 보수수준 및 보수체계 개선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1】과 【연구 2】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 급여성보조금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중소도시에서 대부분 지원하고 있고, 지급액도 타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곳이 대부분 재정자립도가 비교적 높고 보육아동수가 많은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생각해보면, 지방자치단체가 급여성보조금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자주재원 마련을 위한 노력과 보육교사 처우개선을 통해 보육서비스의 질을 개선하려는 정책의지가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보수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고, 선행연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보육서비스의 질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와 종합하여 분석해볼 때, 보수수준 개선은 보육의 질을 높이는 지름길이라는 결론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급여성보조금 지원제도의 발전과 파급을 위한 방안의 마련은 물론이고, 어린이집지급보수를 포함하여 보수체계 전반에 대한 개편방안의 마련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보수수준 개선과 보수체계 개편에 대한 정책제언을 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언하였다.

      • Regulation of the SLC26A3 anion exchanger activity by the NHERF4 PDZ protein

        윤재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olute linked carrier (SLC) 26A3, also known as the downregulated in adenomas (DRA), functions as a Cl-/HCO3- exchanger and is expressed at the apical membrane of secretory epithelial cells in the intestines, pancreas and salivary glands. In the exploratory yeast two-hybrid assay, the sodium/proton exchanger regulatory factor (NHERF) 4, a PDZ-containing scaffold protein also known as the intestinal and kidney-enriched PDZ protein (IKEPP), was found to interact with the SLC26A3.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role of interaction between NHERF4 and SLC26A3 was investigated using an integrated molecular physiological approach. Immunoprecipitation with the C-terminus-deleted SLC26A3 mutant revealed that the C-terminal PDZ binding motif of SLC26A3 was required for the SLC26A3-NHERF4 interaction. In addition, a direct protein-protein interaction between the C-terminus of SLC26A3 and the third PDZ domain of NHERF4 (NHERF4-PDZ3) was observed in the GST-based pull-down assay. Of note, co-expression of NHERF4 decreased the surface expression of SLC26A3 by accelerating endocytosis and consequently reduced the SLC26A3-mediated Cl-/HCO3- exchange activities. In contrast, knockdown of the NHERF4 expression by treatment with small interfering RNAs increased the DIDS-insensitive Cl-/HCO3- exchange activities in the HT-29 human colonic epithelial cells. Interestingly, modulation of phosphorylation at the NHERF4-PDZ3 altered the intensity of interaction between NHERF4 and SLC26A3. These results imply that NHERF4 is a physiological regulator of SLC26A3 by affecting its surface expression and that phosphorylation of NHERF4-PDZ3 may be one of the important regulatory factors to control the SLC26A3-NHERF4 interaction.

      • 상위클래스 항공좌석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 결정요인 분석

        윤재석 세종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We had often categorized the high incomers' purchase of luxuries as an extravagance or awaste, and criticized it as compulsive and anti-social. But as many venture capitalists have succeeded, a variety of stars have arisen, and the estate value has soared, the consumers' spending pattern has become more dignified and classier. This change is altering the public eye towards the opulent trend. It is therefore significant for the air flight industry to pay attention to the affluent class, and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class and business-class users and identify their needs. I have surveyed the people who are classified as the financially well-to-do in Korea and analyzed the results to reach an important conclusion. First, having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oosing patterns of the flight seats,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ir personal income is and older they are, more likely they buy the upper-class tickets.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ice,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link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flight seat choices, that the frequency of overseas travel, golf playing, and musical viewing is a barometer to forecast the upper-class seat purchase. This thesis has investigated the primary factors of consumers' propensity of luxurious products which would show why the wealthier people buy the luxuries. The variables are to show-off, a quest of individualism, an emotional pursuit, and a search for value. Among these, it is only the show-off factor that affects in selecting the class of the seat. It is also discovered that the servic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eat classes are what have a vital effect on the actual purchase of the upper-class tickets. This indicates that if there are more specialized programs and services introduced to the upper-classes, the sale of the high class tickets will increase. Lastly, with the assessments of the various points, I have figured a format that would explain the selecting procedure of the air flight seats, and also structured an analysis of routes. In conclusion, the starting point is the increase of the personal assets and income, and those who intrinsically have a show-off tendency but spends their free time, playing golf and going to see musicals choose the airline company that provides them with a higher quality than others and buy upper-class seats.

      • 마이크로 공진기내 나노 결정계의 나노 광학적 특성

        윤재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이크로 공진기내에 구성된 나노 결정계의 나노 광학적 특성을 살펴 보았다. 나노 결정체는 2준위 양자계로 근사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공명 근사(Resonance Approximation, Rotating Wave Approximation)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초기 조건에 대해 밀도 연산자를 시간의 함수로 계산하여 여기 에너지 전달의 시간에 대한 변화 특성, 즉 여기자(exciton)의 동역학적 특성을 살펴 보았다. 나노 결정체들 사이의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나노 결정체와 광자 사이의 상호작용, 또한 나노 결정체의 에너지 비균일 효과로써 Detuning 변수등을 변화시켜 가면서 각 나노 결정체의 여기확률을 계산하였다. 여기확률은 상호작용과 Detuning에 의존하는 특정 진동수로 진동하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전파인자를 통한 양자 간섭현상과 양자상태에 따른 Superradiance 상태와 Subradiance 상태도 볼 수 있었다.

      • Quantum optical approach for graphene plasmon scattering by quantum emitter : frequency and angular dependence

        윤재석 高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Propagating plasmon formed on the graphene layer can interact with a scatterer near the graphene layer, giving rise to various features for the plasmon scattering. We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differential scattering cross section of the graphene plasmon due to a nano-scale scatterer. Though the scattered plasmon could be realized by the energy flux of the classical fields of the plasmon and the scatterer, we utilize the quantum optical approach in which the transition amplitude between the second quantized states of the total system of plasmon and scatter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addition a quantum emitter as the scatterer is quantum mechanically controllable parameter in the study. Since the unique feature of the electronic structure of the graphene, represented by the Massless Dirac Fermion and chirality, gives rise to the corresponding dielectric function even in RPA, the scattering properties w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 graphene plasmon modes. Dispersion relation of graphene plasmon is obtained by Maxwell’s equations. We calculate the differential scattering cross section of the graphene plasmon from a quantum emitter above the graphene layer. Quantum emitter in this study has spherical shape with radius in the range of 2nm ~ 6nm, and its transition energy is in visible range. Here we consider the Rayleigh scattering whose plasmon frequency is around the THz range(10~100meV). The quantum emitter is placed very close to the layer, so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um emitter and the plasmon fields could be substantial. We are interested in the frequency and angular dependencies of the plasmon scattering from the emitter on the differential scattering cross section. As a main result of this study, the differential scattering cross section shows ω7-dependence and becomes stronger for higher spectral range. Its overall trend as a function of frequency is similar to that from the classical.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ttering are discussed relating to the controllable parameters including Fermi energy a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substrate.

      • 글로벌 사이버보안 성숙도 지수모델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윤재석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그리고 최근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등 인터넷과 디지털 경제가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사이버범죄로 인해 경제적, 사회적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IT 시장 조사기관인 쥬니퍼(Juniper Research)에 따르면 사이버범죄로 인한 피해가 2019년경에 이르면 전 세계적으로 2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개인과 사회는 물론,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공격으로 국가 안보 차원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세계 많은 국가들은 사이버위협을 사전에 대비하고, 대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사이버보안 전략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조사에 따르면 회원국 193개 국가 중 72개 국가에서 사이버보안 전략을 수립하였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의하면 해당 국가는 65개에 이른다. 조사에 따라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대략적으로 전 세계에서 50여개에서 70여개에 이르는 국가가 사이버보안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한 실제 대응은 전략 수립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사이버위협으로 인한 피해가 비단 한 개별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순식간에 전 세계로 파급된다는 점에서 사이버보안 전략 수립과 더불어 개별 국가의 현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위협에 대한 대응 수준을 높이는 구체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실제로 국가마다 처한 환경과 필요에 따라 사이버보안 수준은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국제기구를 비롯한 여러 관련 기관들이 국가별 사이버보안 수준과 격차를 분석하고 국가적 역량과 준비도, 그리고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측정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의 아시아태평양 사이버 성숙도 조사, 포토맥연구소의 사이버 준비도 지수, 옥스퍼드 대학의 사이버보안 역량 성숙도 모델, 그리고 ITU의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개별 국가의 사이버보안 역량을 평가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어려운 일이다. 국가마다 사이버보안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려는 목표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고, 목표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평가하는 방법과 지표의 개발, 그리고 조사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특히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보안 역량 평가는 각국의 정치‧사회 등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고, 국가 안보와도 연관되어 상황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 국가의 사이버보안 역량 수준 평가는 정책 추진 상황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하여 관련 정책 추진 과정에서 자원 투입의 합리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추진 주체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다양한 사이버보안위협 대응 실전 경험과 기술력을 겸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양자, 다자간 협력과 국내 보안 산업 해외진출 지원 차원에서 사이버보안 역량 분석을 통해 개발도상국가와의 협력 가능 분야를 판별하고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함으로써 해당 시장에 진출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호주전략정책연구소에서 개발한 아시아태평양 성숙도 모델, 포토맥 연구소의 사이버 준비도 지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의 사이버 파워지수, EU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보안 대쉬보드, 옥스퍼드 대학의 사이버보안 역량 성숙도 모델, ITU에서 개발한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 등 기존에 발표된 국가 사이버보안 역량, 성숙도, 준비도 평가 지수 모델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개선된 성숙도 지수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성숙도 지수모델은 디지털 경제와 정보화를 추가한 지표항목의 개선, 데이터 수집과 조사‧평가방법의 개선, 그리고 역량 성숙도 통합 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을 원용한 성숙도 단계별 수준 정의와 이에 따른 측정, 국가 프로필 마련과 세부 권고 제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아울러 오만과 르완다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한 성숙도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선 모델은 ITU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 모델의 수정 제안 등을 통해 개도국의 사이버보안 수준 파악과 역량확보를 지원할 수 있고,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해외진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개도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사이버보안 역량 제고를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진단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국제기구 등 여러 기관들이 필요한 부분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지원을 요청하는 개도국과의 협력방안을 보다 상세하게 마련함으로써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리테일테크 전환과 서비스 청사진을 활용한 무인점포 서비스 프로세스 표준화 연구

        윤재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the era of distribution 4.0 has entered. As a result, new business models using retail-tech are rapidly spreading in the retail industry.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has accelerated due to the COVID-19 incident. In this trend, unmanned stores that satisfy th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and provide efficiency and personalized consumption experience are growing.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unmanned stores have been conducted on consumers' perceptions and success factors of unmanned stor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unmanned store cases, analyzes the technology applied to each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s purchase process, uses the service process matrix to present a service blueprint, and provide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service standardization. This study collected various unmanned store cases and investigated the technologies us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purchase process to identify the recent status of unmanned stores in order to provide utilization efficiency and individualized consumption experienc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unmanned stores. Next, four types of unmanned store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service process matrix to the unmanned store service case, and a blueprint for unmanned store services for each type was proposed based on the type of unmanned store. In a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company's strategy to reduce corporate cos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experienced by customers, the service blueprint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unmanned store service process. As the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the type of unmanned store is provid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unmanned store services and standardizing processes.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collecting data for case analysis of unmanned stores among newly introduced retail-tech. In future studies, we will add and analyze cases of applying various retail techniques and analyze applied technologies including distribution outside of stores.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 발전과 함께 유통 4.0 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에 소매업에서는 리테일테크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또한, COVID-19 사태로 비대면 서비스의 확장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용 효율성과 개성화된 소비 경험을 제공하는 무인점포가 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무인점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무인점포 도입에 따른 소비자들의 인식과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인점포 사례들을 조사하여 소비자의 구매 프로세스 관점에서 각 프로세스 별로 적용된 기술을 분석하고 서비스 프로세스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무인점포 서비스를 유형화하여 서비스 청사진을 제시하여 향후 연구 방향 및 서비스 표준화의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무인점포의 특징인 이용 효율성과 개성화된 소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무인점포 사례를 수집하고 소비자의 구매 프로세스에 따라 사용된 기술들을 조사하여 최근 무인점포 현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무인점포 서비스 사례를 서비스 프로세스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4가지 무인점포 유형을 도출하고 무인점포 유형을 기반으로 각 유형별 무인점포 서비스 청사진을 제안하였다. 기업의 비용을 줄이고 고객이 경험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의 전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에서 무인점포 서비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서비스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인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 청사진을 제공함에 따라, 무인점포 서비스의 개선과 프로세스 표준화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리테일테크 중 무인점포의 사례분석을 위한 자료를 모으는 데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리테일테크를 적용한 사례를 추가하여 분석하고 매장 외의 유통까지 포함하여 적용된 기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