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矩形斷面에서의 二次元 溫度分布에 관한 硏究

        윤용진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관련 지배방정식과 경계조건으로 부터 차원 길이와 무차원 깊이에 대해 정상상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형단면에 대한 2차원의 무차원 온도분포 정확해 U(ζ,η)를 변수분리법에 의해 각각 유도하였다. 상기 정확해는 반복적으로 처리되어 수렴하는 해의 형태로서 정확해의 차원과 정도에 따라 필연적으로 전산처리가 불가피 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구형단면 형상에 대해 종횡비(AR)가 1/3∼3 정도의 일반적인 사용범위 내에서 정확해인 식 (18)의 U(ζ,η)를 10^-5까지 정도 높게 전산처리한 결과를 관련 Table로써 제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복잡하고 번거로운 전산처리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관계 Table에 의해 보간법으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구형단면에서 적용되는 정상상태에서의 무차원 온도분포를 2차원으로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U(ζ,η)는 AR이 적을수록 크게 나타난 반면에 η가 클수록 오히려 U(ζ,η)는 작게 초래되었다. 아울러 ζ는 중앙위치 (ζ = 0.5)에서 U(ζ,η)가 가장 높게 산정되었으며, 특히 ζ = 0.5를 기준으로 양단의 U(ζ,η)는 대칭적으로 나타났다. The exact solution, U(ξ, η), of dimensionless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the dimensional length and the dimensionless length from related equation and boundary conditions to be applied for the rectangular profile in the steady state was derived by using the separation of variable. But the exact solution above stated, as a convergence type which was repeatedly treated, was computerized according to its dimension and degree. For rectangular profile, within the boundary of general use from one third to three, the table represents the results of the exact solution, U(ξ, η) of equation (18), derived from computerizing by 10^-5. Consequently, the table shows the dimensionless temperature distribution in steady state from computerizing two dimensional temperature distribution which can be applied in the rectangular profile. Also, the smaller AR, the higher U(ξ, η).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η, the lower U(ξ, η). U(ξ, η) is calculated as the highest when ξ is located at 0.5. Especially, U(ξ, η) shows symmetrical characteristics at the condition of ξ = 0.5.

      • 정유·석유화학플랜트의 대규모 재해 전조신호 평가지표 구축 및 신호의 변화예측에 관한 연구

        윤용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정유·석유화학플랜트에서의 다양한 대규모 재해를 분석을 통하여 전조신호 도출 및 가중치를 반영한 대규모 재해 전조신호 평가지표를 구축하여, 이를 관련 사업장에 적용하고, 전조신호 변화 예측을 통하여 연구대상 사업장의 종사자에게 대규모 재해 예방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화학사고조사위원회 CSB에서 조사한 대표 사고 및 국내사고 총 94건 등의 사고사례를 근본원인분석 및 기여요인분석법으로 검토하였고, API RP 754 안전피라미드 Tier 3,4 단계의 공정안전성과지표 등을 분석하여 총 150여개의 전조신호를 도출하였다. 평가지표의 구축을 위해 도출된 전조신호 항목의 범주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쌍대비교법을 수행하여 범주별 가중치(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가중치 분석 결과, 상대적 상위인 경우 장치, 구조물, 부품 결함 및 관리상태(0.0630)가, 상대적 하위에서는 공정안전자료의 문서화(0.0069)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범주 별 가중치를 토대로 구축한 대규모재해 전조신호 평가지표를 국내 17개의 정유·석유화학플랜트에 적용하여 화학플랜트 부문 별 및 전조신호 범주 별 순위 등을 파악하였으며 결과 누적백분위를 통해 최종 4개 등급으로 결과 값이 표시되는 전조신호 평가지표로 개량하였다. 영향관계 시뮬레이션 결과, Crude 오일가격은 대규모 재해 평가지표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교육훈련 및 역량과 경험으로부터의 학습 등은 최종 전조신호인 평가지표 값과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규모 재해 전조신호 변화예측 결과, 전체 전조신호 평가지표, 물리적 전조신호 등은 지속적으로 양호한 방향으로 상승하며, 공정안전자료 등 전조신호는 정적 상태 유지 그리고 리더십과 안전문화 등은 기간에 따라 변화를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개별 상위요인 민감도 분석결과, 동적 전조신호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항목으로는 물리적위험신호, 리더십과 문화, 교육훈련 및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결합 상위요인 민감도 분석에서는 리더십과 문화, 교육훈련 및 역량, 물리적 전조신호에 세 가지 조합으로의 개선이 비용-편익 측면에서 전조신호 미래 개선 관련 최적의 조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에서의 대규모 재해에 대한 선제적 예방활동, 안전투자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평가지표(신호)의 변화 추이 예측은 위험경보제 등과 연계하여 관련 사업장에서의 위험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by analyzing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in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s, establishing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ssessment index reflecting the derivation and weighting of the warning sign was constructed, the index is applied to the relevant plant sites. These works were carried out to help the workers of related business sites in catastrophic in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y predicting the change in the warning sign of an catastrophic incid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94 representative global & domestic accidents investigated by the US CSB etc. were reviewed using the root cause analysis and contributing factor analysis method, and API RP 754 Safety Pyramid - Tier 3 and Tier 4 proces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were analyzed to derive a total of 150 waning signs for catastrophic incident. For the categories of warning signs deriv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index, the AHP pair comparison method was performed for the expert group to derive weights (importance) for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device, structure, component defects and management status(0.0630) was in the relatively high level, and the documentation of process safety information(0.0069) was the highest in the relative low level among derived weighting(importance). By applying the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ssessment index built on the basis of weights for each category to 17 domestic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s, the warning sign ranking ranges by chemical plant sector and warning sign categories were identified. It was improved as a modified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ssessment index in which the result value is displayed. In results derived from implement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simulation, crude oil pri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dex value of a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nd training & competency and learning from experience showed an overal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inal the warning sign index result. In addition, as a result of predicting changes in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overall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value, physical warning sign, etc. will continue to rise in a good direction, the signs such as process safety information remain static, and the signs of leadership & safety culture will change over time. As a result of the sensitivity analysis of individual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upper factors,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dynamic warning signs were physical warning signs, leadership & culture, training & competency in that order. In the combined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upper factor sensitivity analysis, improvement in leadership & culture, training & competency, and physical warning sign with three combinations was the best combination for future improvement of warning signs in terms of cost-benefi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emptive prevention activities for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in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s and for prioritizing safety investment.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prediction of sign change for catastrophic Incident can help systematically manage risk situations at related workplaces in connection with the risk alert system.

      • 근사고유주기에 내재된 내진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윤용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내진설계에서 근사고유주기식은 각 나라에 따라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KBC 2016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고유주기는 구조물의 강성과 질량에만 관련된 물리량이다. 질량이 일정하다고 보면 고유주기는 강성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근사고유주기식에 내재된 내진 성능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내진성능에 중요한 구조물의 수평 보유내력을 파악하기 위해 비선형 Push Over 해석을 통하여 구하였다. 비선형 Push Over 해석에 필요한 층별 횡하중은 KBC2016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진력의 수직 분포계수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3개의 층마다 동일한 강성으로 적용하였다. 해석 대상 건물의 Push Over 해석 결과로부터 밑면전단력(Base shear) 및 옥상층 변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내진성능을 파악하기 위해서 최근 국내 지진 및 구마모토 지진파를 이용하여 비선형 지진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 응답 해석에 사용된 건물은 위와 동일하게 하였으며 층간 변형각을 비교분석 하기 위해 첫 번째로 1층, 3층, 9층에 대해 각각 근사고유주기의 1.0배, 1.5배, 2.0배, 3.0배로 각 지진별 최대 층간 변형각을 구하였으며 포항 지진, 경주 지진, 구마모토(KUH_NS) 지진, 구마모토(KUN_EW) 지진을 1층, 3층, 9층으로 나누어 근사고유주기별 층간 변형각을 구하였다. Push Over 해석결과로부터 밑면전단력 계수, 옥상층 변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지진 응답 해석으로부터 최대 층간 변형각(inter-story drift ratio)등을 비교분석하여 근사고유주기식에 내재된 내진성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근사고유주기식에 내재된 내진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석대상 골조를 설계하고 Push Over해석 및 지진 응답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1층 계열의 항복 밑면전단력 계수는 T10 모델에서 100%, T15 모델에서 53%, T20 모델에서 32%, T30 모델에서 19%이다. 2) 3층 계열의 항복 밑면전단력 계수는 T10 모델에서 36%, T15 모델에서 20%, T20 모델에서 13%, T30 모델에서 6%이다. 3) 9층 계열의 항복 밑면전단력 계수는 T10 모델에서 14%, T15 모델에서 8%, T20 모델에서 5%, T30 모델에서 2.7%이다. 4) Push Over 해석 결과로 보면 현행 근사고유주기 식은 저층건물에 대해서는 보유수평내력을 보수적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5) 포항 지진의 경우 S09T30 모델을 제외한 모든 해석 대상 건물에서 최대 층간 변형각은 0.01 이내로 내진특등급 한계변위를 만족하였다. 6) 경주 지진의 경우 모든 해석 대상 건물에서 최대 층간 변형각이 0.01 이내로 내진특등급 한계변위를 만족하였다. 7) 구마모토(KUH_NS) 지진의 경우 모든 해석 대상 건물에서 최대 층간 변형각이 0.01 이내로 내진특등급 한계변위를 만족하였다. 8) 구마모토(KUH_NS) 지진의 경우 S09T30 모델을 제외한 모든 해석 대상 건물에서 최대 층간 변형각은 0.01 이내로 내진특등급 한계변위를 만족하였다. 9) 현행 기준에 의한 근사고유주기식은 충분히 안전측이고 보수적인 식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In seismic design, the approximate periodic equation is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country. Korea is currently using what is prescribed by KBC 2016. The natural period is a physical quantity related only to the stiffness and mass of the structure. If the mass is constant, the natural perio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stiffness.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 is to understand the seismic performance inherent in the current approximate natural periodic equation. The nonlinear push-over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lateral force capacity of structures that is important for seismic performance. The lateral load distribution for the nonlinear push-over analysis is the same as the vertical distribution coefficient of the seismic force specified in KBC2016. Base shear and roof top displac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push-over analysis of the analysis model building. In order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non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omestic earthquake and Kumamoto seismic wave. In order to compare the inter-story drift ratio, 1-story, 3-story, and 9-story analysis model were designed to be 1.0 times, 1.5 times, 2.0 times, and 3.0 times of the approximate natural period, respectively. The inter-story drift ratio of the Pohang, Gyungju and Kumunoto earthquakes were classified as 1-story(S01 series), 3-story(S03 series) and 9-story(S09 series). From the results of the push-over analysis, the base shear coefficient and the roof displacement were compared and discussed. From the time-history analyses, the seismic performance inherent to the approximate periodic equation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push-over analyses and time-history analyses. 1) The yield base shear force coefficients of the S01 series are 100% in the T10 model, 53% in the T15 model, 32% in the T20 model and 19% in the T30 model. 2) The yield base shear force coefficients of the S03 series are 36% in the T10 model, 20% in the T15 model, 13% in the T20 model and 6% in the T30 model. 3) The yield base shear force coefficients of the S09 series is 14% in the T10 model, 8% in the T15 model, 5% in the T20 model and 2.7% in the T30 model. 4) From the results of the push-over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approximate periodic equation evaluates conservatively the lateral force capacity of low and middle rise buildings. 5) In case of Pohang earthquake,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of all analyzed buildings excluding S09T30 model were less than 0.01, which is displacement limit. 6) In the case of Gyungju earthquakes,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in all the analyzed buildings were less than 0.01. 7) For the Kumamoto (KUH_NS) earthquake,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of all analyzed buildings were less than 0.01. 8) In case of Kumamoto (KUH_NS) earthquake,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of all analyzed buildings excluding S09T30 model were less than 0.01. 9) It can be seen that the approximate periodic equ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ndard is evaluated conservatively.

      •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윤용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경기도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부장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셋째, 배경 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집단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잠정적 직무역량을 도출하였고, 집중면접법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최종 직무역량 도출하였다. 부장교사의 직무역량은 기초역량, 일반역량, 특수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전체 역량을 탐색 후 배경 변인별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무선표집방식으로 29개 학교에 배부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요구분석 설문지는 대응표본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의 직무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총 19개의 역량이 확인되었으며,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전문가 기반 설문과 집중면접법을 실시하여 기초역량 19개, 일반역량 19개, 특수역량 22개로 총 60개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체 역량을 대상으로 요구분석 한 결과 기초역량은 ‘계획성’, ‘포용력’, 일반역량은 ‘사고의 유연성’, ‘팀 구축 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 특수역량은 ‘직무관리능력’, ‘직무지도능력’, ‘부서인화력’, ‘정확한 판단’, ‘문제해결능력’, ‘결단력’ 이상 12개 직무역량이 최우선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60개의 부장교사의 직무역량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역량이다. 차순위 직무역량으로는 ‘용기’, ‘자발성’, ‘비전 제시 및 공유’, ‘조직 활성화’, ‘직무수행능력’, ‘법률적 지식’ 등 총 12개 역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 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살펴보면 먼저 학교급간 부장교사 직무역량을 요구분석 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집단 간 최우선 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9개 역량을 확인하였고, 차순위 항목으로 4개 역량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경력별 부장교사 직무역량을 요구분석 한 결과, 모든 경력 집단에서 최우선 항목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역량은 ‘팀 구축 능력’ 하나였고, 차순위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역량은 ‘법률적 지식’ 하나였다. 최우선순위 항목에서 공통적이지 않지만 네 집단 중 세 집단이 공통적으로 포함된 역량은 기초역량에서 ‘계획성’ 있었고, 일반역량에서는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역량에서는 ‘직무관리능력’, ‘정확한 판단’, ‘문제해결능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등학교 부장교사에게 최우선 순위로 요구되는 12개 역량을 제시하였다. 최우선 역량을 제안함으로써 부장교사에게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며, 역량 향상을 위한 보다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부장교사 직무역량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역량이 부장교사 임명 시 검토 요건으로 활용되어 우수한 부장교사가 단위학교에 확산됨으로서 교육공동체가 추구하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윤용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재보험사의 최근 10년간 재물보험 사고분석 자료에 따르면 100억 이상의 고액사고 중 화학플랜트에서의 사고로 인한 손실이 전체 보험시장 피해규모 확대 및 손실심도를 높이는데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손실심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Catastrophic Incident) 발생시, 국내의 경우 보험사 클레임담당자 및 사고원인 조사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국가 관련 조사기관 등에서 손해와 가장 근접한 최종 근인(近因)만을 도출하고 있으나 화학플랜트 사고로 이어지기 까지 문제시 되어왔던 여러 중대사고 경고신호(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RCA : Root Cause Analysis)을 찾아내어 미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대사고 근본원인분석법과 스위스치즈모델을 활용한 요소분석법 등을 통하여 도출되었던 미국화학공정안전센터(CCPS)의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Self Assessment Tool의 경고신호 판단기준 항목을 우선적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에 실제 화학플랜트 내 중대사고 경고신호가 어떠한 식으로 내재되어 왔으며 외부 Auditor 들에게 지적되어 왔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해외재보험사 Loss Control Engineer가 최근 17년 동안 화학플랜트 실사 후 도출하였던 안전권고사항 614개를 분석하였다. 또한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와 관련된 안전권고사항 614개를 CCPS의 중대사고 경고신호의 9가지 카테고리 범주를 기본으로 관리적 경고신호 10개와 물리적 경고신호 8개, 총 18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분류 작업을 실시하고 색인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안전권고사항 중 상위 빈도 항목은 다시 중대사고 경고신호 세부 평가기준 항목에 추가하였다. 최종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 평가지표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 판단기준 들을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상위항목(대범주), 하위항목(소범주)으로 나누었으며, 화학플랜트 관련 전문가에게 설문서를 통한 의견도출과 AHP기법(쌍대비교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각 범주별 중요도(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 추가 판단기준 및 범주별 가중치가 적용된 최종 ‘화학플랜트에서 중대사고 경고신호 평가지표’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 평가지표 Tool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화학플랜트 내에서 향후 발생될지 모르는 중대사고의 예방을 위해서 추적 관리하여야 할 경고신호 항목 및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경고신호 항목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화학플랜트 중대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항목 들을 제공함으로써 현재까지는 중대사고가 없었더라도 이의 예방을 위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 화학플랜트 자체근무자나 외부 Auditor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해외 화학플랜트에서는 API RP 754에서 제시하는 공정안전성과지표(PSPI) 중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의 발굴과 관리를 독려하고 있는 시점에서 금번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가 이의 발굴에 대해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중심어 : 근본원인분석법, 사고 요소분석법, 스위스치즈 사고모델, 미국화학공정안전센터(CCPS), 중대사고 경고신호, AHP 기법, 해외재보험사 안전권고사항, 평가지표, 공정안전성과지표, 선행지표 According to reinsurance company's recent 10 year property incidents' loss analysis, property claim losses due to chemical plants' incidents among the largest property claim losses more than 10 billion Korean won have had a major impact on the overall insurance market's total loss amount scale and severity. In the case of catastrophic incidents in chemical plants that have a large impact on the loss severity, it is common that the closest causes of loss in time line are investigated by claim adjusters, incident investigators and national forensic investigators. But it is insufficient that endeavor for finding root cause analysis(RCA) of various serious incident warning signs that have been shown until the chemical plant incident has occurred. So in this study, at first we have studied CCPS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self assessment tool, which has been derived from root cause analysis(RCA) & swiss cheese incident model method for major catastrophic incidents. Additionally we analyzed 614 safety recommendations from international reinsurer's loss control engineer in the last consecutive 17 years to see how some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als in real chemical plants have been implicated and pointed out to external auditors and loss control engineers. In addition, 614 loss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ed to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s at chemical plants were classified into total 18 categories with 10 administrative warning signs and 8 physical warning signs based on 9 categories of CCPS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s. And frequently recommended items have been added to existing CCPS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items. For easy use of 'Assessment Index for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t Chemical Plant', major criterion of the incident warning signs at chemical plant was grouped by type and classified into the upper category(large category) and the lower category(small category). And weighting point for each category derived by applying opinions from questionnaires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pairwise comparison method) to chemical plant's relevant experts. Through these processes, we developed final 'Assessment index for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t chemical plants', to which the final additional criteria and weighting was applied. Through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t Chemical Plant',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warning sign items and elements to should be tracked and managed in order to prevent catastrophic incidents that may occur at chemical plant in the future. In addition, by providing guidelines for items of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s at chemical plants and checklist items for preventing chemical plant catastrophic incidents,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check the items that need specific improvement on site in order to prevent them, chemical plant employees and external auditors. Recently, overseas chemical plants are encouraged to identify and manage the leading indicators among the proces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PSPI) which is proposed by API RP 754, and the assessment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iscovery. Keywords ; Root Cause Analysis, Swiss Cheese Incident Model, CCPS(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Reinsurer's Recommendation, Proces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PSPI), Leading Indic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