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간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찰나의 외면」에 관한 연구

        윤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사회는 다양한 정보의 생산과 비약적인 발전을 중심으로 급진적인 변화를 이뤘으며 이러한 사회구조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사고의 변화를 야기하였다.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현대인들은 시간을 공간처럼 분할하여 중요한 것과 중요치 않은 것으로 이분화하고 다양한 목표를 향한 가능성을 간과한 채 단일한 목적지만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시간의 본질을 재인식하고 획일화된 사고가 아닌 개방적인 사고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에 대한 개념을 불교의 시간론,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의 지속이론, 사진의 현재성을 바탕으로 구축하고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 Bresson)의 찰나의 미학을 접목하여 창작된 무용작품「찰나의 외면」에 대한 분석으로 지속적인 흐름을 본질로 하는 시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찰나의 외면」에서는 작품의 주제인 시간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불교의 연기법에 따라 무대 공간을 과거, 현재, 미래의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현재의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영상을 사용하여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은 총 세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제 및 내용, 장면별 무대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영상의 이미지로 나누어 작품을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유한한 시간 속에서 선택의 갈림길에 놓인 인간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담아내었다. 무대의 상수와 하수를 잇는 긴 조명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직선패턴을 사용하여 목표를 향한 인간의 강한 집념을 절제된 움직임으로 긴장감 있게 연출하였으며, 무용수의 발을 의도적으로 흔들거려 초조함에 둘러싸인 인간 내면의 모습을 나타냈다. 시계소리의 효과음은 예기치 못한 시기에 성취의 순간이 다가올 것이라는 심리적 불안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템포를 빠르게 하고 움직임 또한 역동적으로 전환하여 장면에 변화를 주었다. 2장에서는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기 위한 인간의 간절함이 극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를 위해 무대 상수의 직사각형 조명을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만 움직임을 표현하였으며, 순간의 포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 플래시가 깜빡거리는 조명의 효과와 함께 허공을 향한 손동작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의 흐름 안에서 무음을 사용하여 순간의 정적을 연출하였는데 음악이 흐를 때는 양손을 마주잡은 채 정지 동작을 하였으며, 음악이 흐르지 않을 때는 팔․다리를 위로 뻗어 신체 범위를 확장시키고 힘있는 동작을 사용하여 음악과 상충된 움직임을 통해 순간의 포착을 쫓는 개인의 모습을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의 순간과 마주한 인간이 미래의 결과만을 지향해온 획일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시간의 소중함을 깨닫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에 무대의 상수 앞, 중앙, 하수 앞을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여 공간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중앙에서 양손을 마주잡는 동작을 반복하여 현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간의 욕망을 나타내는 점프 동작의 발의 영상 이미지가 무대 하수 뒷막에 투사되고 무대 중앙의 무용수는 영상과 동일한 움직임을 구사하여 반복적으로 각인시키면서 욕망의 끝없음을 표현하였다. 연구자는 시간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안무한 무용창작작품「찰나의 외면」을 통해 매 순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현대인들이 결과지향적인 사고가 아닌 개방된 사고를 통해 보다 여유롭고 넓은 시각으로 연속적 시간의 과정 안에서 현재의 삶을 바라봐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society in these days has experienced radical change based on 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rapid development and this society structure causes alterations of people’s lives and thoughts. Modern people who are trying to adapt themselves to thos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divide time into important things and marginal things like dividing space. Moreover, they only aim for single destination without knowing various possibilities to the objective.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recognize the nature of time and by doing so, she also raised not uniformed thoughts but open way of thinking.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construction of conception about time based on time theory of Buddhism and continuity theory of Henri Bergson. The other goal is recognizing importance of time with essence of continuous flow by analyzing「Look away of moment」(2012) choreographed by considering esthetics of moment of Henri Cartier Bresson. In「Look away of moment」, the writer divided stage space into domains of past, present, and future to deliver the importance of time. The work which consists of three chapters used video to describe unbounded desired of human and significance of present and to transmit the theme of the work to an audience. The work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work by dividing the work into topic as well as content, composition of stage space classified by scene, movement and trajectory of the dancer, image of the video. Chapter one depicted anxiety of people who lie on a crossroads. With the area limited by long lighting that connects right to left the researcher used only straight line pattern and described strong tenacity for their objective with restrained movement of the dancer. Moreover, by shaking the foot of the dancer intentionally, expressing inner side of a person who is nervous. On top of that, sound effect of a clock was used for expressing that anxiety will come with unexpected moment. The change of scene was done with transition of music tempo and dynamic change of the motion of the dancer. In the second chapter, the researcher used square light of right to represent maximization of people’s eagerness to capture a crucial moment and expressed the movement of the dancer in limited section. To indicate the capture of moment symbolically, lighting effect like the flicker of a camera shutter and hand motion pointing the air were used. Moreover, sometimes mute effect was used in the flow of music to express silence. When the music was on, the dancer was in still holding her hands and otherwise, she stretched her legs and arms upward in order to enlarge her body. With these effects, person who is chasing the capture of moment was emphasized. The third chapter described that the person who had been confronted to the present had realized the importance of time out of uniformed thoughts. By splitting stage space into right, center, left as meaning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espectively, the researcher gave symbolic meanings to those spaces. Also, with repeated motion of taking hands of the dancer together,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was emphasized. Video images of jumping feet were projected to the screen beyond the left and movement of the dancer similar to the video images were conducted also on the center of the stage and this was to highlight endless desires of people. With「Look away of moment」which i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ime, the researcher tried to make modern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anew and see their present lives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time flow with wider viewpoint through not results-oriented thoughts but liberal views.

      •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에 관한 연구

        윤세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의 다양화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서비스 경제사회로 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만족스러운 문화예술 소비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적절한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주요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및 경향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요소별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 범위에 맞는 서울 시내 문화예술공간 사례를 한 곳 선정하여 기준에 따라 공간별 구획을 한 후 현장 답사와 웹 정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화예술공간의 유형 기준에 따라 공간 구성을 세분화한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공간의 세부적인 공간을 터치포인트 방법론 중심으로 코드화하여 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각 세부 공간의 터치포인트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 구성 요소에 따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 고찰 및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공간의 리노베이션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 및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공간에서의 가장 높은 분포 결과를 보인 곳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 중 편리성, 상호성, 정보성에 부합한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를 반영하여 계획한 공간이었다. 셋째,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특성 중 다소 낮은 분포 결과를 보인 특성은 자발성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의 적극적 공간 경험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디자인의 전략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은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만족을 충족시키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공간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서비스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특성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들이 서비스 경제사회에서 문화예술공간을 포함한 공간디자인의 고품격 전략과 최적화된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한 사전 계획으로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기능의 공간에서의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 service economic society triggered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service and diversification of the consumers’experience needs. Demands on cultural art experiences are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atisfy the consumer demand, appropriate service design is essential in cultural art spaces.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elements of service design are applied in cultural art spaces in order to identify its main role. In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principle and trend of service design will be conducted and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elements in spaces will be extracted through element analysis. Based on such criteria, the scope is narrowed to the Kumho Art Hall Yonsei among the various cultural art spaces and the spacing is specified as well.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elements of service design in the space by coding the Touchpoint method in the Kumho Art Hall Yonsei and examined each cases of the property.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design that is applied to a touch point of each detailed space; then, it studied how tho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design. It considered these theories and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fterwards, it ultimately derived the results on the roles and values of the service design applied to cultural art spaces. First, the space had a fluent cultural art experience and service of the users was harmonious between the space and the property of service design. Second, the space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result among other cultural art spaces was the one reflective of the users’ experience needs - convenienc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Thir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with least distribution result needed self-complimentary strategies to satisfy the needs of service users on active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s found out that service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corporate image since it satisfies the users’ needs for cultural art experience. In addition, it could be predi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pace in order to hav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by ref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design that forms a space. And it was confirmed that property of service design is necessary as a pre-requisite for adapting optimized space design program and high-quality space design policy under service economic society. Lastly, research on service design for the user experience in various spaces must be sustained.

      • 골막 유래 세포의 즉시 이식을 이용한 골재생

        윤세정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1. 연구 목적 일반적으로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직공학적 골재생을 위해서는 채취, 배양한 줄기세포를 일정기간 osteogenic medium을 투여하여 골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이를 골형성세포로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임상에서 즉시 골재생을 위하여 조직공학적 기법을 사용하는데는 이 기간 동안 세포의 분화를 기다려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풍부한 골형성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골막유래세포를 즉시 이식하여 조직공학적으로 골재생이 가능한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2. 연구 재료 및 방법 PLGA coplomer를 L-lactide와 glycolide을 이용하여 ring-opening polymerization을 이용하여 Heparin-conjugated PLGA nanosphere를 제조하고 성견의 하악골 골막에서 골막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고 체중 25kg 내외의 성견의 하악 제1대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3소구치의 발치를 시행한 후 1개월 간 두어 자연 치유를 유도한 다음 10mmx10mm의 골막을 채취하여 골막세포를 추출하는 동시에 양측 하악골에 3 부위씩 총 6부위에 3.5mm X 8.0mm의 치과 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bone preparation을 시행한 후 폭 4mm, 깊이 4mm 크기의 골 결손부를 형성한 뒤 implant fixture를 installation 하고 골 결손부에 Bio-Oss를 혼합한 fibrin glue를 이식한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Bio-Oss, 1X105개의 골막세포를 혼합한 fibrin glue를 이식한 군, 여기에 2ug의 rhBMP-2를 혼합하여 이식한 군으로 분류하여 동물실험을 시행하였다. 4주, 8주에 H&E 염색을 시행하여 신생골 형성 및 그 양을 histomorphometry(ImagePro program)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Fibrin glue, HCPN에 하악골 골막에서 즉시 채취한 골막줄기세포를 같이 이식한 군의 경우에는 4주 소견에서 석회화된 골기질과 흡수중인 scaffold가 나타나나 성숙골은 별로 관찰되지 않고 있었으나 8주에서 골 형성이 진행되어 성숙된 lamella bone이 관찰되고 있었고 4주 소견에 비하여 bone area가 증가되어 있었다. Histomorphometry 분석 결과 BMP-2가 complexation된 HCPN을 이식하였을 때 BIC와 BIV가 증가되어 있었고 골막 줄기세포를 동시에 이식하면 신생골 형성에서 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4. 결론 즉시 이식을 위한 골막 줄기세포의 처리에 일반적인 처리 과정 외에 성장인자가 동시 투여가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고 줄기세포의 골모세포로의 다른 분화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골막세포의 즉시 이식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 Aim of the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analyze the availability of immediate implantation of periosteum-derived cell in the bone defect around dental implant for bone regeneration. 2. Materials & methods The periosteum was gained in the mandible of dog, and digested by collagenase for 1 hour to gain the periosteum-derived cells. The periosteum-derived cells were injected into the bone defect around dental implant of dog mandible with Bio-Oss and rhBMP-2. Heparin-conjugated PLGA nanosphere was used for rhBMP-2 delivery and fibrin glue was used as a loading material. No graft was served as control. 4, 8 weeks after implantation, gross evidence of bone formation was confirmed by histology. 3. results The improved and effective bone regeneration was achieved with the BMP-2 loaded PLGA nanosphere with periosteum-derived cells, but decreased bone regeneration was found without BMP-2. 4. Conclusion It was considered that periosteum-derived cell graft was not effective without BMP-2 in bone regeneration.

      • 남·북한 교육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 통일 후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윤세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only our Koreans' long cherished desire but unavoidable historic task.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ere has been only one partitioned country left in the world. For over the 50 years of the severed communication, the two Koreas have been experiencing the increasing difference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Political and economic parts are very important for our reunification. But the social union for the Korean reunification depends on the task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values and life-styl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hich was caused by the disconnection for over 50 years. That is, It is influenced by whether the two Koreas can regain the national identity and form the south and north community. It is impossible to achieve only by education, of which the functions are to union the society and to change people's consciousness and behavior styles. While the political reunification means the external and formal one, the educational reunification implies the internal and essential one. As you can see,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very different educational ideologies, systems, contents, and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unified plan for education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is much more important and urgent than anything else. First, we must adopt the 1-5-3-3-4 system as the basic school grade system, and the elastic promotion system and the standardized graduation conditions are needed to increase educational responsibility. Second, the preschool education must be divided into the pre-kindergarten and the kindergarten. and they must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which is financed by the nation and the community. In addition, Children's school attendance must be on the control of the parents. Third, the year of compulsory education must be 10 years. It must be adjusted up to the middle school in the early 8 years of the reunification, and then turn into the complete no-compensation education. Fourth, in the regard of higher education, we have to develope the industry-related universities such as industrial technology universities, open universities, and other technical colleges. Our reunification will and should be promoted and completed by education. To regain the national identity and to achieve the real national union, we should be sure to make the educational union,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one. For the educational union, we should propel and activate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e educational part on the base of the solid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And besides, we should find and remove the obstruction factors, and minimize the social disorder in the reunified country as possible. Of course, the progress is very difficult for us, but it will lead the reunified Korea to be the center in the Asia-Pacific area and moreover the power in the world. Therefore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try to work together and achieve the satisfactory educational union.

      • 교사의 역량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초등교원 양성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윤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are many researches going on about competency of teachers, because recently the teacher education is emphasizing the competency. But the preceding researches concentrate more on the elements and developments of competency, so there was a limit to find the demanding competencies in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which is the stage teachers take before they become a professional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refore, this research's goal is to observe the competencies in nee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analyze the priority of teacher required in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ing. First, in teacher's point of view, is there a distinction between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and current ability? Second, is the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contribute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teacher, as training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ird, how is the training priority of competency demanded to curriculum of University of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is research followed the survey result about observ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y, and the subject of analysis are 198 teachers, currently working and have 1~5 years career, in 76 elementary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re us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Followings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eacher's preception about importance of competency resulted very high level for 33 detail competencies, and the current ability of achievement was comparatively high. Especially, in the importance, the competencies to interacting with students resulted high level, and in the actual ability, values-related competencies resulted high level. Howev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ossession of competencies, which show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not possessing the competencies needed. Second, the analysis about contribution rate of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to teacher's competency resulted low level of contribution. Categorizing the contributions of curriculum in achieving teacher's duties into four division-liberal arts, pedagogy education, curriculum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the practical training reached most high level of contribution and curriculum education followed after. But the overall contribution level of curriculum wasn't high enough. Also, by analyzing the contributions of education curriculum in improvement of teacher's competency, the result showed that education curriculum didn't contribute to cultivate competency needed for teachers to interact with students, and also the values division had low level of contribution. Third, by analyzing the training priority of competency demanded to curriculum of University of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t resulted that education for competency about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wanted.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 members of education related-competency is ranked in both top priority and secondary priority, which shows that this competency education is also needed.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ception about importance of competency and actual ability level, observing the contribution of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and analyzing the demanding competency training priority to University of Education's curriculum throughout the research, this results have meaning to give a direction to improve the education curriculum about cultivating competency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tuden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educ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has a meaning that this research suggests for the future studies about teacher's competencies, besides their works or tasks, to research in perspective of space and time directly connected teacher's life and apply the competency analysis to not only based on works, but also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utstanding teachers. However, this research have a limitation. Since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were evaluated base on self-awareness, so it has a chance of distortion. Also, processing the research about teacher's competency without setting up the vision about the oriented competency of teacher education was a limit. Accordingly, from the research now on, will need consensual conclusion about what competency is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what kind of direction and principle should be orien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최근 교원 교육에 있어 교원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어 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는 역량에 관한 요소나 모델들을 개발하면서 전문가로서 초등 교사가 현장에 나오기 전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요구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탐색하고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요구하는 교사들의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초등교원 양성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행 능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원양성기관으로써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이 교사의 역량 제고에 기여하는가? 셋째, 초등교원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역량의 교육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초등교원 역량 탐색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국내 76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경력 1-5년의 교사 198명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집단 간 차이 검정,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량의 중요도는 33개 세부 역량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으며, 현재 수행 능력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특히, 교수-학습에 있어 학생과의 상호 작용을 요구하는 역량들이 중요도 면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실제 수행 면에서는 가치관 관련 역량들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역량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초등교사들은 필요한 만큼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낮은 수준의 기여도를 보이고 있었다. 우선 교사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교육과정이 기여한 바를 교양, 교육학교육, 교과교육, 실습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실습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었고, 교과교육의 기여도는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기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원이 역량을 제고하는 데 교육과정의 기여도를 분석하였을 때, 교사들이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데 필요한 역량들을 함양하는데 교육과정은 기여하지 못 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치관 영역 역시 기여도가 낮은 편이었다. 셋째, 초등교원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역량의 교육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 간의 관계에 관한 역량이 최우선 순위와 차우선 순위에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교육요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교원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제 수행 수준을 진단하고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기여도를 살펴본 후,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역량 교육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교사-학생 간의 상호 작용과 구성원 간의 관계에 관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개선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교원의 역량에 대해 연구할 때 직무나 역할 뿐 아니라 교사의 삶과 직결된 공간과 시간이라는 관점에서 탐색해 볼 것과 현재 직무를 중심으로 역량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우수한 수행자의 특성을 토대로 역량을 분석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사의 역량이라는 것은 자기 인식에 기반하여 평가하였기 때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이다. 또한 교사의 역량에 대해 연구하면서 과연 교원교육이 지향하는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비전 설정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향후 교원의 역량에 대해 연구할 때, 초등교원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초등교원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신념은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적 도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다중 의제 사회운동 참여자의 집합 정체성과 미시적 연대 : 노동, 기후, 페미니즘 운동 사례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윤세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sive re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social movements encompassing diverse agendas, including labor rights, feminism, and climate activism, as well as the micro-level solidarity they practice within this process. Contrary to aligning solely with the goals of specific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recent participants in 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have demonstrated a flexible approach, joining movements based on their personal values and interests. In this context, activists don't just engage with one specific agenda or organization, they engage across multiple agendas and move quickly between different organizations. This study refers to these activists as "multi-agenda activists" and analyzes their construction of a broader collective identity as social movement participants, utilizing in-depth interview methods. Initially, five main mechanisms drive the interest of newly engaged individuals in social movements towards social issues and causes. These include: 1) involvement in university-based student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lubs; 2) the routinization of social movements and frequent occurrences of large-scale collective actions; 3) the influence of pivotal social events like the feminist resurgence,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climate-related disasters; 4) engage with political parties and governance bodies; and 5)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diverse educational levels—organizational, communal, and personal. Additionally, pre-existing social networks and emotional experienc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enhancing awareness and converting this awareness into activism. The study concludes that these factors significantly shape the identity of present-day multi-agenda activists who expand their interests across multiple agendas and engage in various movements. Subsequently,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expand their identities through different pathways was categorized into additive, cohesive, and integrative processes. In the additive process, activists had multiple areas of activity and identities, but these identities were not organically connected and remained separate. Cohesive process refers to the expansion of other agendas into the central agenda that the activist considers most important, while convergence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 third identity by combining multiple identities engaged in multiple agenda activities. Identity structures that have undergone the integrate process do not have a hierarchy between identities. These three processes are not separate, and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from a process of gradual addition to a process of cohesion, or from a integrative identity to a cohesive identity. The micro-level practices of solidarity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distinct organizational perspectives. Firstly, in the establishment of inter-organizational solidarity, activists associated with particular organizations contributed to determining and implementing inter-organizational solidarity, considering the organizations' strategic plans, available resources, and the alignment between agendas. Secondly, for activists involved in organizations addressing multiple agendas, fostering solidarity was relatively smoother, leveraging the openness and utility of these organizations to embrace new agendas not yet introduced. Thirdly, by encouraging agenda-specific organizations to broaden their scope, activists aimed to apply insights gained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Final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multi-agenda activists are fostering a collective of social movement family(della Porta & Rucht, 1991) within South Korean society, termed the "pan-agenda progressive" social movement family. The prevalent shared values among these activists encompass equality, survival, and a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capitalist system. This recognition of common values led to reflection on one's own life and efforts to change the specific social environment rather than ideological and macro discourse. Consequently, distinctions between in-groups and out-groups within the social movement family are blurred, and there is mutual respect for each other's spheres of activity, acknowledg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social issues. Therefore multi-agenda activists possess the advantage of seamless communication with fellow social movement participants and experience a heightened sense of joy and safety through their engagement in social movements. In conclus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recent participants in social movements are showing interest and engaging in various issue-based movements through diversified pathways within the changed landscape of civil society. They navigate flexibly across diverse organizations, communities, and networks within broader social movement units, forming micro-level solidarity that bridges different moveme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practice of creative solidarity among activists engaged in multiple agendas, emphasizing the need to recognize the role of social movement actors wit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multiple agendas, particularly in times of complex crises. 이 연구는 노동, 페미니즘, 기후 등 다양한 의제의 사회운동을 넘나드는 운동 참여자의 집단적 정체성이 확장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과, 이 과정에서 이들이 실천하는 미시적 연대를 다룬다. 최근 한국 사회운동의 참여자들은 사회운동 조직의 목표에 자신을 동일시하기보다는 각자가 중시하는 가치와 관심사에 따라 유연하게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 명의 활동가가 특정한 하나의 의제나 조직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의제의 활동을 병행하거나 조직을 빠르게 이동하는 활동 양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복수의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활동가를 ‘다중 의제 활동가’라고 명명하고, 이들이 어떻게 사회운동 참여자로서 보다 넓은 집단적 정체성을 (재)구성해 나가는지를 심층 면접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오늘날 새로이 활동을 시작한 개인들이 어떻게 사회문제와 공익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을 때, 대표적인 기제는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1) 대학 기반 학생회, 학회, 동아리 활동. 2) 사회운동의 일상화와 대규모 집합행동의 빈번한 발발. 3) 페미니즘 리부트, 세월호 사건, 기후 재난과 같은 사회적 사건의 영향. 4) 정당(학생 위원회)과 거버넌스 기구를 통한 참여. 5) 조직적, 공동체적, 개인적과 같이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한 언어화이다. 그리고 기존의 인적 네트워크와 여러 경험을 통해서 느끼는 감정도 문제의식의 심화와, 그러한 문제의식이 운동 참여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이 오늘날 다양한 의제로 자신의 관심을 확장하고, 여러 운동에 참여하는 활동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는, 다중 의제 활동가들의 정체성이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중 의제 활동가들의 정체성이 확장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은 크게 추가하는 과정, 응집 과정, 융합 과정으로 나타났다. 추가하는 과정에서 활동가들은 다중적인 활동 영역과 정체성을 가졌으나, 그러한 정체성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개별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응집 과정은 활동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심 의제에 다른 의제들을 연결하는 확장 방식을 의미하며, 이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융합 과정은 여러 의제 활동에 참여하는 다중 정체성들이 결합하여 제3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특성을 갖는다. 융합 과정을 거친 정체성 구조는 정체성 간 위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세 가지 과정은 단절적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점진적으로 추가하는 과정에서 응집 과정으로, 또는 융합된 정체성에서 응집된 정체성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미시적 연대의 실천 양상은 조직을 기준으로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직 간 연대 형성 과정에서 조직에 속한 활동가들은 조직의 사업 계획, 조직의 자원, 연대할 의제와 조직의 중심 의제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조직 간의 연대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데 기여했다. 둘째, 활동가가 다중 의제를 다루는 조직에 소속된 경우 여러 의제 간의 연결성을 상대적으로 쉽게 수용하고 실천하며 연대를 구성해나가는 동시에, 조직이 갖는 개방성과 유용성을 활용하여 해당 조직에서 아직 도입되지 않은 새로운 의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개방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셋째, 특정 의제를 다루는 조직이 활동 영역을 확장하도록 촉진함으로써 한 활동에서 얻은 관점을 다른 활동에 적용하려 노력했다. 마지막으로, 다중 의제 활동가들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일련의 사회운동 계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범의제적 진보’ 사회운동 계열이라고 명명하였다. 다중 의제 활동가들에게 가장 넓게 공유된 가치는 평등과 생존이었으며,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적대적인 의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공통의 가치 인식은 이념적이고 거시적인 담론보다는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며 구체적인 사회 환경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향했다. 때문에 사회운동 계열의 내집단/외집단 구분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며, 사회 문제들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 하에서 서로의 활동 영역을 존중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다중 의제 활동가들은 다른 사회운동 참여자들과 대체로 원활하게 소통하는 이점을 누렸고, 사회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즐거움과 안전함의 감정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사회운동 참여자들은 변화한 시민사회의 환경 위에서 다변화된 경로를 통해 여러 가지 의제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보다 넓은 사회운동 단위인 사회운동 계열 내에서 다양한 조직, 공동체,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오가며 운동들 사이를 잇는 미시적 연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다중 의제에 참여하는 활동가들이 의제들 간의 접합 지점을 찾아내는 창조적 연대를 실천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복합위기의 시대에는 여러 의제를 총체적으로 보는 관점을 지닌 사회운동의 행위자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Encephalitozoon intestinalis의 BS-C-1 세포 감염에 대한 curcumin의 효과

        윤세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미포자충은 세포내 기생하는 원시단세포 기생충으로, 우리 주변환경 내에 널리 분포하는 기회감염성 원충이다. 장 미포자충증은 AIDS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되며, 설사의 주요 원인이다. Curcumin은 심황뿌리에서 추출된 노란색의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로 항염증, 세포사멸, 항증식성, 항산화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효과가 유발된다. 본 연구에서는 Encephalitozoon intestinalis의 BS-C-1 세포에 대한 실험실 감염을 통하여 숙주세포내 감염 및 증식상을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E. intestinalis 감염시 curcumin이 이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E. intestinalis의 정확한 검출을 위해 개발한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절대정량을 실시한 결과 최소 1개의 포자 (spore)까지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S-C-1 세포에 E. intestinalis 를 감염시킨 후 시간경과에 따라 증식된 충체수는 감염 6시간 후에 처음 접종한 양의 5배로 증가되었고, 4일 후에 7배로 증가되었다. 숙주세포에 감염된 E. intestinalis 개수는 감염 6시간 후에 가장 높았고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배양상청액에서는 감염 4일 후에 처음 접종한 양의 5배로 증가되었다. 세포와 배양상청액의 E. intestinalis 개수는 감염 2 시간 후에 배양액을 교체하여 주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E. intestinalis의 감염수를 각각 8배, 2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urcumin의 기생충 성장 억제 효과는 6.25 μM-12.5 μM에서 감염 12시간 후에 curcumin을 교체하여주었을 때 E. intestinalis의 감염률이 대조군에 비해서 33%-60%로 유의하게 (p<0.05)감소하였으며, IC50은 9.5 μM 을 나타내었다. Curcumin이 E. intestinalis의 숙주세포 침입을 억제하는지를 관찰한 실험에서는 25-50 μM curcumin에서 35-8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rucmin을 직접 E. intestinalis 포자에 각각 12시간, 24시간 처리하여 세포 감염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모두 25 μM 이상 농도에 노출시 10-13%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숙주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12.5 μM 의 curcumin이 E. intestinalis의 실험실 감염시 anti-microsporidial 효과를 보였으며, 앞으로 이러한 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다이어트의 주관적 해석으로서 섬유조형연구

        윤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예술작품은 감각과 상상력을 통해 창조되는 작가의 자기표현이다. 그것이 표현하는 내용은 예술가의 느낌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상상적이고 주관적이며, 그가 속한 시간과 공간 속에 영향을 받는다. 예술가에게 있어 체험은 작업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즉, 일상에서 불분명하게 경험되는 자연의 미, 인체의 미, 아름다운 색의 형태 등에 대한 강렬한 인상은 예술가의 감각과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 더불어 작품으로 표현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시각으로 일상의 사물을 바라볼 때 예술가는 예기치 못한 경이로움을 마주하게 되며, 그것을 통하여 사물의 이면을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 미술은 조형개념의 다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재료와 기법으로 작가의 내면적 자아표현의 길을 자유롭게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의 미술은 더욱 더 주관주의로 발전했으며 작가의 주관적인 감정과 의도 표현을 중요시 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다하여 지나친 주관주의에 치우쳐 감상자를 무시한 작가만의 세계에 한정되는 예술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주관주의는 작가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만큼 ‘나(자신)’를 표현하는데 있어 뒷받침 되는 사조라 본다. 또한, 섬유예술은 다른 시각미술과는 달리 실험정신으로서 효과적으로 재료를 다루어야 하는 복합적인 요소가 강하다. 섬유예술은 섬유라는 재료뿐만 아니라 그 예술적 표현을 위해 온갖 부수적인 재료들을 사용하고 있는 창작활동이라 하겠는데, 이는 그것이 이미 매체의 특성에 따라 기술형식의 범주를 넘어선 인간의 상상력이 지니는 미적 능력과 결부된 창의성의 범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조형세계가 시대적 요청에 의해 현대적 시각으로 바뀐 이상 현대적 표현방식으로 인한 생산과정과 가치체계의 이해는 필수적이며, 나아가 조형의 확대와 소재의 다양한 표현 방법의 확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적 삶의 체험 속에서 얻어지는 경험적 이미지를 섬유소재를 조형화함으로써 새로운 느낌과 이미지로 환기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작품 주제로는 요즘 사회의 트랜드(Trend)로 각광받는 ‘다이어트’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보편적으로 정의된 개념들, 객관적인 사실들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과, 그에 따른 이미지의 형상화 과정을 통해 본 연구자의 의도를 함축적이며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작품제작은 다이어트 일기와 프로그램을 토대로 7일간의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서 현실의 재현이 아닌 상상력을 통하여 주관적 이미지를 형상화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본 연구자의 체험을 기반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문제점을 작업의 주제로 삼고, 본 연구자의 자유로운 생각을 작품에 표현하여, 섬유예술에 있어서 관심과 사회문제를 새롭게 환기시키는데 의의(意義)를 두었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에서 섬유조형으로써의 표현에 다이어트라는 주관적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Art works are artist's self-expressions created with their senses and imaginations. The contents expressed are equated with artists' feeling, so they are imaginative and subjective, being affected by time and space they belong to. To artists, experiences are important motives for their works. Namely, intensive impressions about beautiful nature and human body as well as beautiful color tones experienced vaguely in every-day life are combined with artists' senses to be produced into art work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Artists will face unexpected wonders whenever they watch every-day objects from a new viewpoint, and thus, proceed to sublime the objects into arts. Modern fine art tends to express internal egos freely by using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as concepts of form are diversified. Today' fine art has developed into more subjective arts, emphasizing artists' subjective emotions and intentions. However, the fine art community is not dominated by those artists who are too biased towards their subjectivity, neglecting the audience. Subjectivism puts emphasis on artists' personality, so it may well be a current supporting expressions of 'ego'. On the other hand, textile arts are characterized by the complexity involving effective handling of materials with an experimental spirit, unlike other visual arts. Textile arts may be a creative activity requiring not only the material 'textile' but also various auxiliary materials for artistic expressions, and therefore, textile art works are produc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media within the category of creativity associated with human imagination and aesthetics just beyond the category of technical forms. As the world of forms has changed into an visual on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our tim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value system of modern expressions, and furthermore, understand the expanding forms and diversifying expr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ress the images experienced in the ordinary life into forms by using the material 'textile' and thereby, evoke new feeling and images. The theme of works was set as 'diet' being highlighted as a social tren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wanted to express the universal concepts and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objective facts into connotative and symbolic forms by formalizing the images. The work was designed to unfold a 7-day-long story based on diet diary and program, and to this end, emphasis was put on formalization of the subject images through imagination, not reproduction of reality as well as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did not solve some social problems but set them as theme of work and thereby, expressed researcher's liberal thoughts to evoke a social concern about the textile arts.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s by means of the subjective image 'diet' for textile 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