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트너 퍼빙과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 APIM 모델 적용

        유지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avoidan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unmarried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hubbing, which refers to the behavior of ignoring others using smartphones while physically interacting with them, on romantic relationship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phubbing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icularly among individuals with anxious attachment.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the role of age in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phubb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self-effect and partner effect of phubbing in couple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ecure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is specific age group. Therefore, the researchers used a self-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o examine these variables in heterosexual couples. They collected online survey responses from 215 adult male and female couples who had been dat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findings. Firstly, both the self-effect and partner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ly, both the self and partner effects of avoidant attachment and anxious attachmen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well as the self and partner effects of male rejection sensitivity.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male avoidant attachment was significant in the partner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s. Lastly, male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self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and partner effect of male partner phubb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phubbing behavior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its impact on both men and women. The findings can aid in comprehending conflicts that arise through smartphone use in relationships and provide practical guidance in counseling.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phubbing promotes further discussion on the topic. However, the study does have limitations. The sample size was small, raising questions about the statistical power and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It is also necessary to validate the partner phubbing scale and reconfirm the result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due to limitations in fitness analysis. Finally,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protective factors that may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phubbing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veral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phubb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particularly among young adult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ttachment styles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understanding its imp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 30대 미혼 남녀의 파트너 퍼빙과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편화되면서, 다른 사람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소홀히 대하거나 무시하는 행동인 퍼빙(Phubbing)이 정의되었다. 연인 관계에서 퍼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선행 연구 결과, 퍼빙이 증가할수록 관계 만족이 감소하고 불안애착인 경우 관계 만족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방의 퍼빙 행동을 민감하게 지각하고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익숙한 20, 30대 국내 남녀 연인 관계에서 퍼빙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그리고 퍼빙과 연인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과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는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성교제 중인 연인의 파트너 퍼빙, 관계 만족, 불안정 애착, 거부민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현재 연인과 교제 중인 국내성인 남녀 215쌍으로부터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과 MPLUS 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여성 파트너 퍼빙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 상대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 상대방 효과가 모두 유의하고 남성의 거부민감성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남성 파트너 퍼빙의 상대방효과에서 남성 회피애착의 조절 효과가 유의했다. 그리고 여성 파트너 퍼빙의 자기 효과와 남성 파트너 퍼빙의 상대방 효과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연인 관계에서의 퍼빙 행동이 남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국내 퍼빙 연구에 기여하였다. 둘째, 스마트폰으로 나타나는 연인 간 갈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퍼빙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퍼빙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첫째, 표본의 크기가 작아 검증력이 의심된다. 둘째, 파트너 퍼빙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완전판별모형으로 적합도에 대한 해석을 하지 못 하였으므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퍼빙과 연인 관계 만족 사이의 보호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드론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항공예찰에 관한 연구

        유지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iciency and accuracy use method of Drone in pine forests injured by Pine wilt diseas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o. of trees suspected of infection by a field survey were 20 trees(Pohang), 4 trees(Geoje) and 7 trees(Miryang), respectively, and when it took a aerial photography by Drone, they were 30 trees(Pohang), 2 trees(Geoje) and 7 trees(Miryang), respectively. 2. It was able to distinguish coniferous tree and broad-leaved tree when it was taken a aerial photography by Drone(DJI Mavic Pro) at the altitude 90m and 100m. And it was some more efficiently surveyed at the altitude 100m. 3. Probability infecting to Bursaphelenchus xylophilus showed to about 90.3% by field survey, and 97.4% by Drone survey. 4. The value of average RGB of the infected trees at Pohang, Geoje and Miryang showed as 173.7(R), 151.9(G) and 129.3(B), respectively. And the value of average RGB of the normal trees were 129.7(R), 144.3(G) and 103.8(B), respectively.

      • 심리적 안녕감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big 5 성격특성의 조절효과와 가치일치의 매개효과

        유지호 대전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leading variabl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Big 5 persona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among the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n online survey to exclud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regions and companies. The results of 378 respondents, excluding the same IP,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452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dimen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r dimens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environmental mastery and emotional commitment. Only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normative commitment,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personal growth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mputational commitme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only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ersonal growth, and environmental master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elf ­acceptance, autonomy, and purpose of life were not related. Self­ acceptance, personal growth, environmental mastery, and purpose of life wer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autonomy were not related. Second, the Big 5 personality predi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ould be moderated. However, openness to experience on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 adjustment effect. Third, value congruence mediates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l the sub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value congru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arious dependent variabl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ve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ead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sub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verifi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dimen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r dimens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raining and curriculum for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mbers. And the need for organizational efforts and support for the harmonization of values.

      • 행렬의 공동 분해를 이용한 학습 방법 : Learning with Matrix Co-Factorization

        유지호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문제에 따라 주어진 부가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보다 효율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행렬의 공동 분해는 기존의 대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가 모두 행렬의 형태로 주어진 문제에서, 이들에 포함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체계적인 방법이다. 행렬의 공동 분해는 각각의 주어진 입력 행렬을 행렬 분해를 사용하여 성분 행렬들로 분해하되, 특정 성분이 여러 데이터 행 렬과 연관되어 있을 경우 해당되는 성분 행렬을 여러 행렬의 분해 과정에서 공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본 학위 논문은 다양한 행렬의 공동 분해 방법과, 행렬의 공동 분해와 관련된 이론적 결과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변분 베이지안 행렬 공동 분해 방법은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를 다루고, 과적합 문제에 대해 강인한 학습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베이지안 크레이머-라오 바운드를 통해 이론적으로 성능을 검증한다는 면에서 본 학위 논문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룬다. 이와 더불어 본 학위 논문에선 압축된 데이터로부터의 행렬 분해 문제 및 드럼 음원 분리 문제에서 부가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한 행렬의 공동 분해 방법도 소개한다. Learning with side information aims to achieve more accurate and efficient behaviors of the learning algorithms by utilizing available additional information. Matrix co-factorization is considered as an approach for learning with side information, where additional information is given in the form of multiple matrices. Matrix co-factorization provides a way to systematically exploit the multiple matrices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trices, as well as the target input matrix, by sharing related factor matrices in the decompositions of the target and side information matrices. This thesis presents several algorithms and theoretical results for the matrix co-factorization. Variational Bayesian matrix co-factorization for relational data forms a central part of this thesis, especially with the Bayesian Cram´er-Rao bound which theoretically shows the benefits of co-factorization over simple factorization. We also present two specific matrix co-factorization models where the use of side information brings beneficial effects, one is the matrix factorization from the compressed data matrix, and the other is the drum source separation from a music signal.

      • 항공레이저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 제작

        유지호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급격한 IT 기술의 발달과 유비쿼터스와 같은 신개념 정보화 사회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3차원 지리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3차원 지리정보 구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리정보의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 지물 등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3차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는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수치지도의 레이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로, 건물, 등고선, 하천경계를 대상으로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이어 생성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LiDAR 데이터만으로 건물, 도로, 등고선 레이어의 생성이 가능하였으나 하천경계 레이어 생성이 불가능하였다. 생성된 레이어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수치지도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이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LiDAR 데이터와 함께 취득되는 디지털영상를 이용하여 수치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참조자료로 활용하여 레이어 생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LiDAR 데이터만으로 생성이 어려웠던 하천경계 레이어를 수치정사영상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된 레이어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었다. 일련의 실험과정을 수행하여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공정을 정립할 수 있었다. As the need for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creases resulting from today's advanced IT technologies and informatization society such as ubiquitous, many various studies and researches about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performance are conducted around the world.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much to be desired regarding studies and researches about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map which is the essential element for geographic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research about a metho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using LiDAR to acquire high-accurate three-dimensional digital data regarding topography, landmarks and others.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LiDAR data is used to create a layer regarding roads, buildings, contours and river boundaries which are the largest parts of the lay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is possible to create a layer of buildings, roads and contours using only LiDAR, but impossible to create a river boundary layer. The result of analyzing a created layer shows that a digital map exceeds an allowable error range. In order to increase accuracy, the experiment of creating a layer uses an Ortho image created through a digital image obtained along with LiDAR data as a referen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reate a river boundary layer, which cannot be created only through LiDAR data, using an Ortho image as well as LiDAR data, even ensuring more improved layer accuracy. Moreover, a series of experiments enable to establish a process for creat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using LiDAR data.

      • 국내 환경에서 위성링크의 실효경로길이 모델링 연구

        兪志昊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tilization of millimeter-wave band frequency is steadily increasing to admit the vast amount of data in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services. Recently, millimeter-wave satellit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quite actively in each country. In the frequency band above 10 GHz, the rain attenuation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he accurate prediction of rain attenuation statistics in the satellite link is the crucial part of the system design in the millimeter-wave band. ITU-R recommends a global rain-attenuation prediction model, but quite big error is inevitable when applied to the domestic environment. In the rain-attenuation prediction model, the effective path length is a key parameter which depends on the geological region. The ITU-R model is an experimental model and it lacks the physical meaning because the effective path-length model is frequency dependent. In this paper, an effective path-length model is proposed, which is adequate for domestic environment. The proposed model is a theoretical model, which is based on the rain-cell concept. The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domestic meteorological radar measurement data. For the verification of proposed model, KOREASAT-5(Ka band) beacon measurement system was built, and the received power level and rain rate were measured. Effective path length was then calculated using the CNU-ADD model for rain attenuation coefficient[27] and the total path loss properly corrected for satellite drift. The effective path length data obtained from the beacon-signal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from the domestic meteorological data for similar rain events.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and our approach for effective path-length modeling based on the rain cell concept works well. More works on the effective path-length model are under way, utilizing more comprehensive long-term measurement data (received beacon signals and meteorological data).

      • 석탄회를 재활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수용액 중의 금속이온 제거에의 응용

        유지호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영동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비산 석탄회(coal fly ash)를 재활용하여 높은 이온교환성 및 결정성을 갖는 고부가 가치의 제올라이트로 수열(hydrothermal synthesis)합성 하였다. 비산 석탄회는 합성에 앞서 전처리로 750℃, 24 hr동안 강열감량하여 미연탄소를 제거하였다. 합성은 알칼리 종류 NaOH와 KOH, 알칼리농도 1~4N, 고액비(S/L, g/㎖) 1:2~l:20, 및 반응시간 0~90 hr등에 따른 반응조건을 달리하여 각각 수열합성을 수행하였다. 비산 석탄회로부터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결정상, 반응시간에 따른 입자형태의 변화특성, 반응액중의 Si, Al 농도변화 특성은 등은 XRF, XRD, SEM, ICP-MS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양이온 교환 용량(CEC)값은 암모늄아세테이트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aOH] = 2N, 고액비(S/L) = 1:4, 반응시간 24 hr에서 CEC 220 meq/100g을 가진 반응 생성물이, [KOH] = 4N, 고액비(S/L 1:5), 반응시간 60 hr에서 CEC 240 meq/100g 높은 이온교환성을 가진 반응 생성물이 각각 합성되었다. XRD 결정상 분석결과, 이들 반응 생성물의 주요 결정상과 결정도는 [NaOH]은 결정도 43 %의 Na-P1 제올라이트, [KOH]는 48 %의 K-Chabazite 계열의 제올라이트이였다. 수열반응 중 용액내 Si, Al 농도분석결과와 입자 미세구조변화 과정분석(by SEM) 결과로부터 수열반응시간 경과에 따른 합성 제올라이트의 결정화 생성 과정을 알 수 있었다. Two step 수열합성은 Si/Al ratio 및 결정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수행하였고, Si/Al ratio 3, Crystallization 시간 48 hr에서 410 meq/100g의 높은 CEC값을 가진 순수 제올라이트(pure zeolite)를 합성 하였다. 순수 제올라이트의 주요 결정상은 Na-Pl과 Na-A이었다. pure 제올라이트 수율은 184 %(Al source 첨가량 기준)를 나타내었고, 전형적인 One step 수열합성의 CFA 제올라이트 수율은 96 %이었다. One step 수열합성을 통해 얻은 제올라이트 생성물 Na-P1와 K-Chabazite 제올라이트를 경수연화용 흡착제와 수처리용 흡착제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경도 유발물질인 Ca, Mg이온의 흡착평형은 빠르게 완결 (< 5분)되었다. 흡착 제거율은 Na-P1(Ca 70 %, Mg 60 %)보다 K-Chabazite(Ca 90 %, Mg 80 %) 제올라이트의 제거율이 높았다. K-Chabazite을 기준으로 Ca 경도는 제올라이트 중량당 125 mg/L(CaCO_(3) 기준)까지 > 70 %의 제거율을 보인 반면, Mg 경도는 125 mg/L에서 약 20 %의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율을 보였다. 등온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식보다는 Freundlich 식에 더 잘 부합되었고, 최대 흡착량(a_(m))은 Ca이온에 대하여 Na-P1 5.22, K-Chabazite 9.01 mg/g으로서, Mg이온의 1.25, 2.13 mg/g 비하여 높았다. Column을 통한 Na-P1 제올라이트 생성물의 Ca, Mg의 흡착 및 탈착 실험결과, Ca이 Mg에 비하여 100 hr, 650 BV 이상 더 많이 흡착 할 수 있었고, 탈착은 Mg은 30 min내 Ca은 800 min까지 서서히 회수되었다. 중금속(Cu, Cd, Cr, Pb) 을 포함한 혼합 폐수의 흡착제로서의 평가결과, 고액비 3g/200㎖, 반응시간 60min, 농도 100 ppm, pH 5에서 Pb > Cd > Cu > Cr의 순으로 제거율 보였다. 흡착제 종류별 중금속 제거효율 비교 실험결과, Na-P1 생성물은 모든 금속이온에 대해 99.9 %의 높은 제거율을 보인 반면, 상업용 경수 연화장치의 이온교환수지(IER)는 Cd과 Pb에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으나 Cu이온에 아주 낮은 제거율 (< 20 %)을 보였다. 국내 KSLT법 및 미국의 TCLP법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생성물의 용출시험 통한 환경유해성 평가결과, 모든 측정 항목에서 석탄회 원시료에 비해 최고 10배이하의 낮은 용출 농도를 보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환경기준치(폐기물 공정시험법) 이하의 농도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제올라이트 생성물(Na-P1 및 K-Chabazite)은 환경적으로 무해하며, Ca 경도가 높고 중금속이 포함된 경수와 폐수처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폐기물을 재활용한 보다 저렴한 흡착제로서 기존의 흡착제(활성탄, 천연 제올라이트, 등)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zeolite minerals that have high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degree of crystallization(%) were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produced at Youngdong domestic power plants through alkaline hydrothermal activation processes. Unburned-carbn in coal fly ash was removed by loss of ignition at 750 ℃, 24 hrs before synthesis. In one-step hydrothermal synthesis, following experimental conditions are applied to evaluate therir effect on the zeolite synthesis : alkali mineralize type(NaOH, KOH), alkali concentration[OH^(-)] 1~4N, solid-to-liquid ratio(S/L) 1:2~ 1:20, and reaction times(0~90 hr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zeolite products were analyzed by XRF, XRD, and SEM. Concentration of Si, Al in the reaction solution were analyzed by ICP-MS to evaluate the zeolite forming process with lapse of time. The Cation Exchange Capacity(CEC) value of the products were also measured by ammonium-acetate method. From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NaOH-product of CEC 220 meq/100g obtained from a reaction conditions with [OH^(-)] = 2N, S/L = 1:4, 24 hrs and KOH-product of CEC 240 meq/100g obtained at [OH^(-)] = 4N, S/L = 1:5, 60 hrs. XRD patterns analyzes of the products showed that the NaOH, KOH products composed of ca. 43 % of Na-P1 type zeolite, and ca. 48 % of K-chabazite type zeolite, respectively. Lapsed tim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conversion of fly ash to Na-P1 zeolite in the hydrothermal reaction was faster than that of K-chabazite : crystallization step ; 6~ 24 hrs(Na-P1), 24~ 60 hrs(K-chabazite) Alkali waste water produced in one step Na-P1 zeolite synthetic process contains high concentration of Si(21,130 ppm) in solution. which was used to obtain pure zeolites using Two-step process. As the results we obtained, Pure zeolite product having CEC 410 meq/100g was obtained at Si/Al ratio 3, 48 hr and, its main mineral types were identified to mixture of Na-P1 and Na-A types. The adsorption of Ca and Mg ions to the one-step synthetic zeolite products(Na-P1 and K-chabazite)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ir avaibility as an hard water softening adsorbent Adsorption equilibrium of Ca and Mg on the zeolites reached within 5 min. Analysis of the isotherm adsorption experiments data, showed that Freundlich isotherm gave better fitting the results comparable to Langmuir isotherm which suggest more than one binding sites on the zeolite surfaces. the removal efficiency of K-chabazite zeolite (Ca 90%, Mg 80%) were higher than Na-P1 zeolite(Ca 70%, Mg 60%). Langmuir isotherm analysises of the adsorption data also showed that maximum amount (am) of Ca ion on Na-P1 and K-Chabazite are 5.22 mg/g, 9.01 m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Mg ion(1.25 mg/g, 2.13 mg/g). The column test with Na-P1 zeolite products peformed and obtained the adsorption breakthrough curves of Ca(20 ppm) and Mg(20 ppm) in the column an product and their desorption curves by 0.1M NaCl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 Showed that Ca ion could remove more 100 hr, 650 BV compared to that of Mg, and recovery of Mg ion are faster than Ca's(30 min vs 800 min)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such as Cd, Cu, Pb, and Cr to Na-P1 zeolite were also investigated at various adsorptional condition for purification of waste water. Adsorption efficiency(%) are measured at the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adsorption time, pHs, and metal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all the metal ions were between 90~100 % at 3g/200㎖(S/L), [M^(2+)] = 400 ppm, pH 5.0, 60min, and their removal capacity have increased in order of Pb>Cd>Cu>Cr. Leaching properties of heavy metals in the synthetic zeolite product and raw coal fly ash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environmental hazards of the reused products. Korea standard leaching test(KSLT) and American Enviroment Protection Agency(EPA) method 1311(TCLP:Toxicity Ch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all the concentration Ag, As, Ba, Cd, Cr, Cu, Pb, Se, Hg in the leachable were below Environmental criteria of waste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 can suggest that zeolie products from fly ash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adsorbents, which is inexpensive, and higher-valued recycled waste, in waste-water treatment and water-softner system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해외관광마케팅 전략 연구 : 해외 주요 복합문화시설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호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은 문화의 고부가가치성 성장잠재력과 창조적 특성을 활용하고 문화를 도시발전과 연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러한 배경에서 추진된 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의 핵심 인프라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이 2015년 9월 개관한다. 문화전당이 개관하는 2015년에는 호남고속철도(KTX)가 완전 개통하고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와 중국문화원 유치 추진 등 광주 관광산업 발전의 중요한 전기가 마련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광주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문화전당 및 전당의 관광마케팅 전략의 변화 과정 등을 분석하고, 세계적 복합문화시설의 마케팅 사례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전당의 해외관광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전당 관련 선행 연구보고서와 학술자료, 기관 연례보고서, 그리고 발행물 등 관련 자료 분석과 함께 프랑스 파리의 퐁피두센터와 싱가포르 에스플러네이드, 일본 가나자와 21세기미술관,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영국 런던 테이트 모던 등의 관광마케팅 전략 및 사례를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전당의 Targeting(마케팅 목표 설정) 전략은 2015년 9월 개관을 기준으로 ‘단기적 시장’과 개관 이후 ‘장기적 시장’으로 나누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사전 홍보를, 장기적으로는 유럽과 북미권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단계적 시장 확대 전략이다. 둘째는 Positioning(브랜드) 전략으로, 문화전당의 브랜드와 전당이 위치한 광주의 브랜딩 전략이 효율적이고 치밀한 전략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문화전당으로 포지셔닝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는 Product(상품) 전략으로, 다양한 전시회를 포함해 전시·공연 콘텐츠의 제작 단계에서부터 각각의 성격 및 특성에 맞는 체험·참여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국가별, 연령·직업별로 세분화 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는 Promotion(프로모션 및 홍보) 전략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단체여행(group) 시장과 개별여행객(FIT) 시장으로 구분해 홍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해외 단체관광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인바운드 여행사와 한국관광공사 등을 통한 프로모션이 필요하며, 개별여행객과 소규모 단체 여행객은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유명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초청 혹은 홍보를 통해 그들이 전당에 대한 입소문을 낼 수 있는 스타마케팅을 고려해 볼만 하다. 다섯째는 도시연계 전략으로, 일명 ‘감춰진 광주(Hidden Gwangju)’ 찾기 프로젝트 추진이다. 해외관광객들에게 광주의 역사적 건물과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골목길·전통문화 등을 연계한 관광코스로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전당의 해외관광마케팅 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 문화전당의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관광마케팅을 추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Droplet Size Distribution on Steam Turbine Performance

        유지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응축은 저압 증기 터빈 내부에서 발생하며 터빈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런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수치 적 및 실험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실제 터빈의 블레이드 열에 다양한 액 적이 유입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크기의 입구 방울이 증기 터빈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수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증기 터빈의 성능에 미치는 크기 분포의 영향을 수치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은 ANSYS CFX 17.0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입구 물방울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5 가지 크기의 물방울을 설정했으며 입구 물방울 크기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블레이드 통로 내부에서 응축이 덜 발생함을 예측하였다. 입구 물방울의 표면에서 응축이 더 많이 발생하지만 입구 물방울의 응축은 핵 생성을 억제하여 총 응축량은 감소하게 됨이 예측되었다. 또한 입구 액적 크기 분포가 달라짐에 따라 블레이드 유동 내부 충격파 강도가 달라지게 됨이 예측되었다. 응축으로 인한 잠열로 인하여 입구의 물방울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1 차 충격 강도는 증가하지만 하류의 응축은 하류에서의 압력 강하가 감소하여 2 차 충격 강도가 약해진다. Condensation occurs inside low pressure steam turbine and it affect negatively on turbine performance.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However, the effect of various size of inlet droplet on steam turbine performance has not been conducted although various droplet can enter blade row in real turbine.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ize distribution on steam turbine performance has been conducted numerically. Simulation is conducted with ANSYS CFX 17.0. Setting 5 different size of droplet to predict the effect of various size of inlet droplet. As inlet droplet size range increases, condensation less occurs inside blade passage. At the surface of inlet droplet, condensation more occurs, but condensation on inlet droplet suppress nucleation, leads to less condensation inside blade passage. Different droplet mass fraction leads to different shock strength. Due to condensation latent heat, 1st shock strength increases as inlet droplet size increase, but downstream condensation leads less pressure drop at the downstream, leads to 2nd shock strength weak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