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a, P, Mg, 및 Zn 이온이 함유된 전해액에서 PEO 처리된 Ti-40Ta-xZr 합금의 표면특성과 생체적합성

        유지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티타늄 합금 (Ti-6Al-4V)의 생체적합성 및 표면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탈륨(Ta), 지르코늄(Zr)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새로운 티타늄 합금을 제조 한 후, 합금의 표면에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PEO)을 이용하여 Hydroxyapatite (HA)와 같은 세라믹 코팅을 형성시킨 후, 합금의 생체적합성과 표면특성을 연구하였다. Ti-40Ta-xZr 삼원계 합금은 Ti-40Ta 합금을 기본으로 하여 Zr의 함량을 0, 3, 7, 및 15 wt. %의 함량으로 하여 제조하였다. Ti-40Ta-xZr 합금은 Ar 가스분위기와 1050 ℃에서 1시간 동안 균질화 시킨 다음 얼음물에서 급냉 시켰다. 또한 전기화학적 산화 피막은 0.15 M의 calcium acetate monohydrate + 0.02 M의 calcium glycerophosphate 전해질에서 DC 280V, 3분간 직류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인가하였다. 또한 생체활성을 높이기 위해 전해질에 기능성 물질인 0.0075M의 zinc acetate와 magnesium acetate를 소량 첨가하였다. Ti-40Ta-xZr합금의 코팅된 표면의 기계적인 특성은 비커스경도와 거칠기테스트, 나노인덴테이션 시험을 통하여 탄성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코팅표면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젖음성 (wettability test)을 평가하였고, AFM과 표면거칠기 측정장치를 을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의 활성 및 분화는 HEK 293 cell culture 실험을 통하여 세포증식을 알아보았다. 합금의 표면 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 EDS, XRF, 그리고 X선 회절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i-40Ta-xZr 합금의 조직은 Zr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상구조(needle-like)에서 β상의 등축정 구조가 나타났고, XRD 분석 결과에서도 β상의 피크가 증가하는 양상이 보였다. 2. 플라즈마 전해 산화방법(PEO)을 이용하여 표면에 다공성의 거친 생체활성물질인 HA로 코팅 시킨 결과, Zr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 형성된 마이크로 포어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표면뿐만 아니라 포어의 내부에서 2차 포어가 형성됨이 관찰되었다. 또한 표면에서는 TiO2, Ta2O5, ZrO2 와 같은 산화피막이 형성되었다. 3. PEO 처리한 표면에서 각 원소들이 잘 분포되었으며 또한 특정 원소들이 포어 안보다 밖에서 분포가 더 잘 이루어지는 것을 EDS line profile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EDS분석 결과로 얻은 Ca/P 비율은 Zr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4. PEO처리한 Ti-40Ta-xZr합금의 표면의 거칠기와 비커스경도, 탄성계수는 Z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5. HA코팅 된 Ti-40Ta-xZr 합금의 젖음성은 PEO처리한 시편에서 높은 젖음성이 나타났으며, Zr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접촉각이 나타났다. 또한 Ca, P에 Mg과 Zn 이온을 도핑하여 HA 코팅한 경우에는 접촉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Ti-40Ta-xZr 합금의 표면 변형은 다공성의 표면 구조로 인해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고, 생체에 적합한 기능성 물질을 도핑 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피막의 ZrO2의 산화물은 막의 습윤성을 향상시키므로 뛰어난 표면 개질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국내 시판 쌀가루의 제분형태에 따른 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지민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stock accumulation has gotten worse due to a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increase rice consumption, white rice bread was made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rice flour with different milling methods as a substitute for wheat flou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on the quality of white rice bread according to milling type of rice flour ,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general composition, water binding capacity, damaged starch, amylose content, particle size, pasting properties using a Rapid Viscosity Analyzer (RVA) and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dough by Mixolab. In addition, white rice bread was made to compare the quality, shape and texture of white bread by sensory testing. As a result, the wet-milled rice flour had a low ash content, a high crude fat content and a low damaged starch content. The dry-milled rice flour had a higher water binding capacity. The peak time was the time it took for starch to reach the maximum swollen state. The lower the peak time value, the easier starch gelatinization. Moreover, the heating time and heat consumption necessary for starch gelatinization decreased, and the peak time was shortened in dry milling. The gelatinization onset temperature and the highest viscosity varied depending on the specimen. This study analyzed the properties of the white rice read made from seven types of commercially available rice flour. As a result, the less the amount of ash, the more the volume of white rice bread, and the lower the hardness.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ce flour with a relatively low ash content was more appropriate for making white rice bread than that with a relatively high ash content. Furthermore, the less the damaged starch of the rice flour, the more the volume of white rice bread, the lower the hardness and the higher the elasticity. The less the damaged starch content, the wetter the milling method for rice flour and the longer the peak time that was the time it took for starch to reach the maximum swollen state.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white rice bread were large and the overall preference by sensory testing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sidered possible to make superior bread products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rice flou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roperties when trying to make white rice bread using rice flour as a substitute for wheat flour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and to spread rice-processed foods. 최근 쌀 소비의 감소로 재고 누적이 심화되고 있어 쌀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밀가루를 대체하여 제분방법을 달리한 시중 유통중인 쌀가루를 이용하여 쌀 식빵을 제조하였고 품질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가루의 제분 형태에 따라 쌀가루의 특성이 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쌀가루의 일반성분, 수분결합력, 손상전분, 아밀로오스 함량, 입자크기, RVA를 이용한 호화특성, Mixolab에 의한 반죽의 열 물성 특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쌀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품질의 형태와 질감, 관능검사로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제분방법과 제분 업체가 다른 쌀가루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습식제분의 쌀가루는 회분함량이 낮으며 조지방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손상전분의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수분결합능력은 건식제분의 경우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신속점도측정기(RVA)에 의한 Peak time은 전분이 최대 팽윤 상태에서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Peak time의 값이 낮을수록 호화가 용이해지고 호화에 필요한 가열시간과 열 소비량도 감소하게 되며 Peak time은 건식제분일수록 시간이 짧게 나타났으며 호화개시 온도와 최고점도는 시료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7종류의 시판 쌀가루로 만든 쌀 식빵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회분이 적을수록 식빵 부피는 커지며, 경도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회분이 많은 쌀가루보다 회분이 적은 쌀가루가 식빵제조에는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쌀가루의 손상전분의 적을수록 쌀 식빵의 부피는 커지며, 식빵의 경도는 작아지고, 탄력성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손상전분의 함량이 적고 습식제분 쌀가루일수록 쌀가루의 전분이 최대 팽윤 상태에서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인 Peak time이 길게 나타났으며 쌀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크고 관능검사에 의한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쌀 소비촉진을 위해 밀가루를 대체하여 쌀가루를 사용하여 쌀 식빵 제조하고자 할 때에 쌀가루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쌀가루를 선택하여 쌀 식빵 제조 시 우수한 제품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이며 쌀 가공 식품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무인양품의 브랜드 마케팅에서 나타나는 「라이프스타일」 개념과 특성에 의한 공유 오피스 디자인

        유지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마케팅은 더이상 일방적인 정보 전달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기업들은 소비자와 같은 눈높이에서 소통을 나누며 소비자의 의견을 수용한다. 소비자 소비 시 역시 상품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한다. 이에 따라 최근 기업의 마케팅은 상품이나 브랜드의 홍보보다 사회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브랜드는 마케팅 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같은 공익적 영향력을 강조함을 통해 결과적으로 사회적 문제의 해결은 곧 개인의 삶의 질을 상승시키는 것과 연결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일본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무인양품은 1980년 창립 당시 ‘기분 좋은 사회’를 목표로 등장하였다. 무인양품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소비자 삶의 가치를 성장시키고자 무인양품만의 ‘라이프스타일’ 개념을 브랜드 마케팅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현대 브랜드 마케팅의 특성을 통해 무인양품 마케팅 전략으로서 ‘라이프스타일’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고찰과 무인양품의 브랜드 스토어, 주거 공간, 상업 공간(호텔)의 공간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프로그램을 적용해 일상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공간 중 하나인 ‘사무 공간’을 무인양품이 ‘라이프스타일’을 소비자의 삶에 전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마케팅의 흐름과 변화 과정의 고찰을 통해 현대 브랜드 마케팅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2) 앞서 도출한 현대 브랜드 마케팅의 특성을 통해 무인양품의 브랜드 마케팅 특성을 분석하여 브랜드 마케팅에서 이들이 추구하는 무인양품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라이프스타일’의 3가지 특성으로 ①직접성, ②수용성, ③본질성을 도출하였다. 3) ‘라이프스타일’의 개념과 마케팅 전략 특성이 적용된 공간디자인의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마케팅 전략을 적용한 무인양품의 브랜드 스토어 3곳, 주거 공간 2곳, 상업 공간으로서 호텔 2곳의 공간디자인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4) 앞서 진행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의 결과에 기반하여 무인양품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라이프스타일’의 내용에 기반하여 특성을 적용한 공유 오피스 디자인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무인양품 공유 오피스 공간디자인 계획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① 직접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유 오피스 프로그램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라이프스타일’ 마케팅 전략의 특성인 ‘직접성’에 입각하여 오피스 공간을 오픈 플랜으로 계획하였으며 가변적 공간 유닛 시스템을 도출, 제안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스타트업 기업의 업무 특성을 반영하였다. 또한, 이를 공간 프로그램과 장치적 요소를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② 수용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층별 평면 계획에서의 오픈 플랜과 공간 유닛 시스템은 공간의 수평적 연계성 확보에 유리하며, 오피스 유닛과 커뮤니케이션 유닛의 적절한 조화가 자유롭게 배치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층별 프로그램 배치에 있어서도 개인화된 오피스 공간과 그룹 작업 공간, 휴게 공간 등의 수직적 교차 배치를 통하여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 마케팅 전략의 ‘수용성’의 특성에 부합되는 제안이다. ③ 본질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공간 유닛 시스템의 소재로서 우드를 사용하고, 각 오피스 공간을 비롯한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무인양품의 친환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마감재를 사용, 제안하였다. 또한, 자유로운 기업 정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중요시하는 무인양품의 기업 이념을 공간 구성에 적용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의 마케팅 전략 특성인 ‘본질성’에 부합하는 공간디자인적 제안이라 할 수 있다. Today's marketing no longer aims at one-way delivery of information. Businesses communicate at eye level with consumers and accept their opinions. Consumers also consider social influence of the companies along with their products when purchasing them. Accordingly, recent corporate marketing aims to emphasize their positive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rather than promoting their products or brands. Nowadays, brands emphasize their public influence in marketing, such as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s a result, they emphasize that solving social problems is link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Japanese lifestyle brand MUJI was founded in 1980 with the goal of creating a ‘pleasant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MUJI applied its unique concept of ‘lifestyle’ to brand marke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consumers’ lives.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s a marketing strategy for MUJI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brand marketing and analyzes examples of space design for MUJI’s brand store, residential space, and commercial space (hotel).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of the space design derived from this, ‘office space’, one of the spaces where we spend the longest time in everyday life, is proposed as a space where MUJI can deliver ‘lifestyle’ to consumers’ lives. The specific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brand marketing were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flow and change process of brand marketing. 2) The brand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MUJI were analyz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brand marketing derived above. As a marketing strategy for MUJI that they pursue in brand marketing, thre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were derived: ① Immediacy, ② Receptivity, and ③ Essentiality. 3) To derive the method of space design applied with the concept of ‘lifestyle’ and marketing strategy characteristics, the space design cases of MUJI’s three brand stores that applied the ‘lifestyle’ marketing strategy, 2 living spaces, and 2 hotels as commercial space were analyzed.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is, a co-working office space design plan that appli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ntent of ‘lifestyle’ as a marketing strategy for MUJI was proposed. In this paper, the above research process and MUJI’s co-working space design plan were proposed as follows. ① Space design by Immediacy: The office space was planned as an open plan based on ‘immediacy’, a characteristic of the ‘lifestyle’ marketing strategy, while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working program centered on startups. A variable space unit system was derived and proposed to reflect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a fast-changing startups. In addition, this was specifically proposed by utilizing spatial programs and device elements. ② Space design by Receptivity: The open plan and space unit system in the floor plan for each floor are advantageous in securing horizontal connectivity of space, and support the free arrangement of appropriate harmony between office units and communication units. In addition, even in the arrangement of programs on each floor, it is proposed to enable smoother communication activities through vertical cross arrangement of personalized office space, group work space, and rest space. This is a proposal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vity’ in the ‘lifestyle’ marketing strategy. ③ Spatial design by Essentiality: Wood was used as a material for the space unit system, and the use of finishing materials with eco-friendly brand identity of MUJI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fice space and program. In addition, MUJI’s corporate philosophy, which values free spirit of enterprise and creative ideas, was applied to the space composi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spatial design proposal that corresponds to 'Essentiality', a marketing strategy characteristic of 'lifestyle'.

      • 냉장고 자동제빙기 얼음 엉김 메커니즘 분석 및 해결 방안 연구

        유지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냉장고의 제빙실 내 얼음 보관 시 각 조건별 엉김력 분석 및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데 있다. 냉장고에서 얼음의 엉김은 Quasi-Liquid Layer가 형성된 얼음이 결합된 상태에서 얼음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서 얼음 재결정이 발생되는 현상이며, 냉장고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 조건별 얼음의 엉김력을 확인하기 위해 저온용 항온 챔버에서 정밀한 온도 제어를 실시하였고, Push-Full Gage를 이용하여 엉긴 두 개의 얼음이 분리될 때의 최대 전단력을 얼음간 엉김력으로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Ref. A Study of Ice Sintering에서 서술된 바와 동일하게 -10℃이하의 온도에서 얼음 엉김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공급 냉기의 온도차이가 -10℃를 기준으로 ±5℃일 때 얼음의 엉김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얼음 보관실 면의 온도가 -5℃이하로 유지 될 경우 얼음 엉김이 발생하지 않지만 얼음 보관실 단열재 추가 시 발생하는 재료비의 증가로 인해 실제 제품에 적용하긴 어렵다. 또한 얼음 보관실로 공급되는 냉기 유량을 최소화 할수록 얼음의 부피 감소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제빙량 감소 등 역작용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냉기유량을 최소화 하는 방안도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냉장고 사용 조건에서 얼음 엉김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얼음 보관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 최소화 제어 및 Fan On/Off에 따른 온도 차이 최소화 제어를 개선하는 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angling force and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ach condition when storing ice in the ice bucket of the refrigerator. In a refrigerator, ice tangling is a phenomenon in which ice crystals are produc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ice while the quasi-Liquid layer is combined. In order to check the tangles of ice in each condition that could occur in the refrigerato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was performed in the low temperature chamber, and the maximum shear force was determined when the two ice sheets were separated using push-full gage. Experimentation has shown that ice chaffing is significantly reduced at temperatures below -10°C as described in Ref. A Study of Ice Sintering.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upply cooling temperature is -10°C and ±5°C or the temperature of the ice storage area is kept below -5°C, ice will not become tangled, but it will be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actual product due to an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of adding an ice storage insulation. It was also possible to verify that the cooler flow supplied to the ice storage room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reduction of the volume of ice, but since adverse reactions such as reduction of ic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method to minimize cold air flow to the actual product. Thus, to improve the problem of ice chaffing under the conditions of use of the refrigerator, additional efforts are needed to minimize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ce storage room and to minimize th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 to Fan On/Off.

      • 아동의 권리 인식 및 공감과 권리옹호와의 관계

        유지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recognize, empathize, advocate on childrens rights as the subject of rights and how different are they depending on childrens general variables(gender, family economical state, academic career of father, experiences of having committee activity). This study also analyzed which is more influential on the advocacy of childrens rights(ones own-rights, others) between recognition and empathy of thos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396 students who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three measure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ognitive reasoning-capacities, the emotional empathy-level and the advocacy of rights(ones own-rights and other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om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reasoning-capabilities on the childrens rights were very hi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iance with childrens family economical state, academic career of father, experiences of having committee activity. The richer childrens family are and the higher their fathers academic careers are, the more they comprehend concept of right. And children having experience of committee activity are more understandable under the rights conflict situation than the children having not. Secondly, consequences appeared that generally emotional empathy-levels on the childrens rights were hi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iance with childrens family economical state, experiences of having committee activity. The richer childrens family are, the more sympathetic about others pain and sorrow are. And children having experience of committee activity are more affective to victims than the children having not. Thirdly, outcomes showed that children respected and protected ones own rights and others rights very well. Children cherished ones own- rights than others. The advocacy of rights was showed higher among children who are rich and have the experience of committee activity compared with, not. Fourthly, effects proved that significant influencing power was emotional empathy on the advocacy of rights(ones own-rights and others), and the cognitive ability was next. In conclusion, affective-emotional education was essential to childrens rights education.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participate in right education coordinat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 NGO. And it is required to involve self-esteem program while setting the direction of childrens rights education and developing various right education programs. Also, this study suggest that right education program has to be executed for parents and teachers, significant others to children. 본 연구에서는‘권리의 주체’로서 아동이 권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공감하며 옹호하는지 살펴보고, 그것이 아동변인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공감이 권리옹호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권리교육의 방향과 기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96명이다. 조사도구는 권리인식척도, 권리공감척도, 권리옹호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은 권리에 대하여 매우 높은 인지 수준을 보였다. 권리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가정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아동이 여유롭지 않은 아동보다,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아동이 낮은 아동보다, 임원활동을 해 본 아동이 하지 않은 아동보다 권리개념을 잘 이해하고 권리 딜레마상황에서도 올바르게 판단하였다. 또한 아동은 권리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공감을 보였다. 권리에 대한 공감에 있어서 가정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아동이 여유롭지 않은 아동보다, 임원활동을 한아동이 하지 않은 아동보다 권리침해의 피해자나 희생양이 되는 타인의 고통에 대하여 감정이입 정도가 높았다. 아동은 대체로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잘 옹호한다고 보고하였으며‘자신의 권리옹호’를‘타인의 권리옹호’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권리에 대한 옹호에 있어서 가정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아동이 여유롭지 않은 아동보다, 임원을 해 본 아동이 하지 않은 아동보다 자신의 권리를 인식, 주장하는 것과 더불어 타인의 권리를 존중, 보호하고자 하였다.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공감의 권리옹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공감’이‘인식’보다 권리옹호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권리옹호를‘자신의 권리옹호’와‘타인의 권리옹호’로 구분하였을때, 자신의 권리옹호에 대하여‘공감’의 영향력이‘인식’보다 높았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타인의 권리옹호에 대하여‘인식’에 비해‘공감’이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권리교육에서‘정서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그 방법으로 국제기구, NGO 등에서 실시하는 권리교육 프로그램에 아동들이 참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권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당위성을 제공하며, 아동과 관련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부모·교사를 대상으로 권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노인영화의 연출 미학과 제작 과정 연구 : 영화 〈오래된 시계〉를 중심으로

        유지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 노인영화의 개념과 다양한 미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단편영화 <오래된 시계>의 연출 미학과 제작과정을 분석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고는 기존 노인영화로 분류되어진 영화들의 ‘캐릭터와 스토리’ 및 ‘미장센’에 대해 연구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오래된 시계>의 연출 미학과 제작과정 속에서 노인영화의 특징들이 어떻게 활용되며 이미지화 되는지 분석했다. 기존 노인영화 연구를 위해 우선 노인영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2000년 이후 개봉된 노인영화 <어바웃 슈미트>, <그랜토리노>, <아무르>,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인턴>, <앙: 단팥 인생이야기>, <죽여주는 여자>, <나, 다니엘블레이크>을 중심으로 ‘캐릭터와 스토리’, ‘미장센’ 특징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노인영화의 ‘캐릭터와 스토리’는‘질병과 죽음’, ‘고독과 소외’, ‘경험과 연륜’을 주된 소재로 한다. 노인영화의 ‘미장센’은 주로 ‘정적인 쇼트와 자연광’, ‘따뜻한 색감과 차가운 색감’, ‘아날로그 소품’, ‘시간성을 상징하는 메타포’로 표현된다. 이러한 기존 노인영화의 특징을 토대로 <오래된 시계>에 적용된 연출 미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오래된 시계>는 독거노인의 소외감을 다룬 21분의 단편영화이다. <오래된 시계>의 주인공은 기존 노인영화의 캐릭터 유형 중 하나인 ‘고독과 소외를 느끼는 주인공’으로 설정했고 ‘경험과 연륜이 있는 주변인물’과의 관계도 다루었으며 ‘고독과 소외를 다루는 스토리’로 이야기를 전개했다. 또한 ‘정적인 쇼트와 자연광’, ‘따뜻한 색감과 차가운 색감’, ‘아날로그 소품’, ‘시간성을 상징하는 메타포’으로 미학적 방식을 활용했다. 덧붙여 제작과정에서의 ‘노인배우 캐스팅’, ‘세월이 느껴지는 공간 섭외’, ‘사실적인 의상 구축’, ‘느린 호흡의 편집’,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사운드 디자인’과정을 통해 ‘캐릭터와 스토리’, ‘미장센’을 뒷받침 하고자 했다. <오래된 시계>의 연출 미학을 구축하고 제작하는 데 있어 겪었던 고민과 한계점 또한 밝힘으로서 노인영화 제작에 도움이 될 만한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aesthetic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the short film <Old Clock> based on the thematic concep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vies featuring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 and storyline" and the "mise-en-scene" under the thematic category of the elderly, and analyzes how such characteristics are incorporated and visualized in the production aesthetic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Old Clock>. First and foremost, in order to study the exisisting senior movies, I defined the broad concept of movies that feature old people and focused on analyzing “character and storyline” and “mise-en-scène” of such movies that were released after 2000, namely <About Schmidt>, <Gran Torino>, <Amour>,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The Intern>, <Sweet Red Bean Paste>, <The Bacchus Lady>and <I, Daniel Blake>. The “character and storyline” of senior movies are primarily characterized by the keywords “disease and death”, “solitude and alienation”, “experience and wisdom from age”. The “mise-en-scène” is depicted in “still shots and natural light”, “warm and cold colors”, “analogue props”, and “metaphors that symbolize the passage of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methods of production aesthetics applied in <Old Cloc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of senior movies listed above. The subject of this study, <Old Clock>, is a 21-minute-long short film that discusses the alienation of a lonely old man. The protagonist of <Old Clock> falls into the category of "solitary and alienated" in terms of characters. The movie also covers his relations with "experienced and wise" acquaintance, and unfolds the story of "solitude and alienation." The “still shots and natural light”, “warm and cold colors”, “analogue props”, and “metaphors that symbolize the passage of time” were all implemented for the aesthetics of the movie . Additionally, I supported the said "character and storyline" and "mise-en-scene" of elderly movies with the "casting of senior actors”, “locations that show natural wear and tear”, “designing realistic costumes”, “slow paced editing”, and “sound design that shows the passage of time". I also offered ideas that might prove helpful in production of senior movies through discussing concerns and limits I have faced in sketching, designing, and producing <Old Clock>.

      • 시각장애인을 위한 햅틱 내비게이션 연구

        유지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시각장애인 수는 2017년 기준 약 25만 3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05%, 전체 장애인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 사회적 약자로 분류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정보 격차는 시대가 변함에 따라 점점 좁혀지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의 등장이 무색하게도 장애인에게 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여전히 적고, 당연히 영위해야할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시각은 가장 중요한 감각이다. 인간의 감각기관 중 시각의 비중은 80%이상을 차지하며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의 오감 중에서도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가장 민감하고 빠르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인간의 감각 중 가장 많은 정보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시각에 제한이 있는 상태이며 시각장애는 선천적인 영향보다 후천적인 영향이 커 다른 장애를 가진 장애인에 비해 문맹률이 86%로 높다. 때문에 정보에 대한 접근이 취약하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가 점자로 제한되어있던 과거에 비해 기술의 발달과 정보의 디지털화로 인해 TTS(Text to Speech)를 기반으로 정보 접근을 돕는 스마트 보조공학기기의 등장으로 시각장애인들의 정보 접근이 쉬워졌다. 그에 따라 시각장애인 스스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고자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독 보행 즉 이동의 자율성은 시각장애인들의 가장 큰 니즈(Needs)이다. 이러한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내비게이션 보조공학기기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서비스의 대부분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한 음성 피드백을 주는 방식이다. 한국의 경우 국가 안보의 이유로 GPS 오차 범위가 약 10m로 정확도가 해외에 비해 현저히 낮고 음성 위주의 피드백 제공으로 인해 다양한 생활 소음으로 인한 정보 혼동 및 위험상황의 즉각적 인지의 어려움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에 비해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국내에서의 사용은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한국의 시각장애인들은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거나 물리적 보조공학기기인 Cane을 사용하여 제한적으로 단독보행을 시도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적 한계를 사람으로서 보완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제안한다. 시각장애인, 비(非)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 해 분야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사용자 조사를 통해 파악한 문제 및 인사이트 (insight)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의 컨셉을 도출하고 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Application prototype)과 햅틱 신호 디바이스(Physical Prototype) 를 제작 하였다. 본 연구는 2단계에 걸친 사용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사용자 연구에서는 비시각장애인 9명, 시각장애인 5명,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향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컨셉을 도출하고 햅틱 피드백의 유용성, 만족도 및 학습의 편의성과 직관성을 만족하는 햅틱 피드백을 설계하였다. 2차 사용자 연구에서는 전문가 2명, 비시각장애인 4명, 시각장애인 4명, 활동보조인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타 정보와이 혼동을 최소화 하는 햅틱 신호 디바이스 형태를 파악하여 리디자인한 서비스 전반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단독 보행을 위한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의 안전하고 독립적인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As of 2017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persons who have visual impairments was about 253,000, accounting for 0.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10% of the disabled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information gap between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eople has been narrowing with passing era. However, despit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ached to the disabled is still small, so that it is not easy for them to lead an independent daily life which is essential for everyone. Vision is the most important sense i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We discern up to 80 percent of all impressions by means of sight, and the sense of vision is the most sensitive and quick to respond to stimuli among the five senses of eyesight, hearing, touch, taste, and smell,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a limitation in vision, which perceive and process the most information among the five senses. Because the acquired effect is greater than the congenital 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illiteracy rate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s 86% higher than that of the people with other impairments, which hinders access to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ast, when the form of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isually impaired was limited to Braill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igitization of information bring smart assistive technology device that helps information access based on TTS (Text to Speech), which has made it easier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access information. Accordingly, the need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perform independent activities on their own is increasing. Among them, autonomous walking, that is, autonomy of movement, is the greatest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A variety of navig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at reflect these needs are emerging. Most of the services are carried out by giving voice feedback based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n South Korea, GPS error range is about 10m for the reasons of national security, which decreases accuracy rate rapidly compared to overseas. Also the provision of voice-oriented feedback causes limitations such as information confusion due to various living noises and difficulty in immediate recognition of dangerous situations. For this reason, it is more difficult to use the same service in South Korea. Therefore, visually impaired people in South Korea require an activity assistant, or try to walk alone limitedly using cane, a physical assistive technology devi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ompensates for technical limitations with humans. Based on the problems and insights identified through user research targeting the visually impaired, the non-blind, activity assistants, and maritime experts,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s derived and based on that, the application prototype and a haptic signal device (Physical Prototype) were fabricated. This user study was conducted in 2 sub phases. In the first user research, the interviewees were 9 non-blind persons, 5 visually impaired persons, 3 experts. In these interviews(or surveys), the concept of naviga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as derived and haptic feedback was designed that satisfies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haptic feedback and the convenience and intuition of learning. In the second user research, 2 experts, 4 non-blind persons, 4 visually impaired persons, and 1 activity assistant were targeted. In this phase, the type of haptic signal device that minimizes confusion with other information was identified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redesigned service was confi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walk alone and to help users lead a safe and independent life.

      •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교환프로그램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유지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교환프로그램은 레츠(Local Exchange & Trading System, 이하 LETS)의 운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화폐를 매개로 지역주민들간 필요한 서비스나 물품을 교환하는 ‘현대판 품앗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민간단체들이 레츠의 운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한 지4년이 되었다. 지역교환프로그램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인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의 범위와 운영상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7개의 단체를 선정하여 운영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운영은 조직의 적합성(조직의 운영목적 부합성), 대상자의 적절성(대상자의 선정현황, 대상자의 거주지역의 근접성), 인력의 적합성(운영자의 정기적인 교육.훈련, 운영자의 업무전담), 자원의 적절성(재정의 정기적인 확보와 충분, 대상자의 전용공간 확보, 공공.민간.기타 관련단체와의 협력체계 확보)의 4가지 범주로 살펴보았다. 대상자 선정의 경우는 모두 보편주의 원칙에 입각해서 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징적인 것은 운영단체의 기존 회원이나 이용자를 우선적으로 지역교환프로그램의 대상자로 선정하는 경우에는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초기에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나, 회원들의 지속적인 관리 차원에서는 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영단체의 고유 목적에 동의하여 가입하고 있는 기존 회원들의 관심과 활동에 비해 지역교환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부족하였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조직의 설립목적과 지역교환프로그램 도입목적과의 부합성은 모든 단체가 일치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거주지역과 운영범위가 광역시 혹은 전국단위인 경우는 교환거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를 형성시키는데 있어서도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영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지역교환프로그램 관련 교육.훈련의 장이 매우 부족하였으며, 타 업무의 비율이 매우 높아 지역교환프로그램에 전념하여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이 매우 열악하였다. 재정의 경우는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초기에 정착시키는데 있어 필요한 인프라 구축비가 부족하고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정기적이지만 외부의 지원금을 받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인건비로 사용할 수 없는 규정이 있어 운영자의 근무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원들간의 교류를 촉진시키고 교환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회원 전용공간은 대부분 전용하지 못하고 운영단체의 다른 사업이나 프로그램과 공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다른 단체와의 협력과 연계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나, 지역사회의 공공기관이나 민간기관과의 연계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편이었다. 지역교환프로그램이 지역주민간의 상부상조 전통을 복원시키고, 지역공동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운영개선이 요구된다. 대상자의 거주지역이나 운영의 범위는 기초적으로 동.군.구의 범위로 운영되는 것(지부로서의 역할)이 바람직하며, 현재 광역시나 전국단위로 운영되고 있는 단체의 경우는 지부적 역할을 하는 운영단체들을 통합.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중앙지부나 협회의 역할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지부나 협회 성격의 단체는 지부간 연결(타 지부 회원간 교환거래 중개, 홈페이지(웹사이트) 중앙관리, 정보교류, 연구집단 양성, 교육주최, 공동 연합 행사 주최 등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부 역할의 운영단체는 지역주민조직, 회원발굴, 교환거래, 회원관리 등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구심적 역할을 하도록 한다. 지부 역할의 단체들에게 필요한 재정, 시설설비, 인력 부족 등의 문제는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주민자치센터의 고유 사업으로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해소시킬 수 있다. 이는 현재 주민자치센터가 지역주민의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조직 활동을 전개하기보다는 지역별로 차별성 없는 예술.문화.스포츠 등의 단순 기능훈련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한계점을 극복하는데 있어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민자치센터의 주요사업으로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전개함으로써 주민자치센터의 시설설비(장소, 전산시설 등)를 활용하고 사업비, 인력비 등에 있어서도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또한 민간기관과 공공기관간의 협력구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에 더불어 지역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단체들의 특성 즉,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성과 지역사회 자원 개발 능력, 지역주민운동단체의 주민들과의 높은 밀착성과 사회행동의 전개 가능성, 시민운동단체의 전문성과 대안제시 활동들이 결합되어 현금화폐 물질만능주의 사회를 비판하고 사람들의 관계가 우선시되는 대안사회를 제시할 수 있는 지역사회조직 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Local Exchange & Trading Program(LETP) is adapted the principle of Local Exchange & Trading System(LETS). LETP is contemporary ‘Korean Pum-At-Ee’ which connect a person to a person in community. Local residents pay Local Money when he exchange services and goods between themselves. The Local Money is not a cash(currency), but It is a system that residents help each other that used between LETP members. LETP is introduced to Korea 4 years ago. LETP takes aim at the community formation that residents help each oth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LETP operations and problems, and then to propose the plan for improvement of LETP operation. I researched seven organizations and I had an interview with workers in organizations. I examinated suitability or appropriateness of organizations, clients (members), workers and resources. Clients(members) is selected generally. The aim of organizations coincided with the aim of LETP, however when members of LETP live in the great distance, they cannot exchange services and goods each other easily. Workers have no educations and trainings for LETP, and they have a lot of burden for affairs. Organizations don't have a plenty of finances, equipments and institutions. Organizations don't have to spend cash(currency) for LETP operation, but at the first stage of LETP introduction, organizations need to have a suitable of finances to prepare offices, equipments, worker, and so on. Even though organizations cooperate with another LETP organizations, they don't cooperate with public(government) institutions or private(nongovernment) organizations in community. To improve LETP operation, I propose the bellow plans. Organization select clients(members) in the neighborhood and operate LETP in the neighborhood. The organization which operate LETP in the neighborhood is to be a branch of an association. A branch of an association of LETP assume responsibility for systematizing residents, out-reaching clients, exchanging services, goods, and administrating clients. The organization which operate LETP in a broad region is to be a central association(organization). A central association of LETP take responsibility for connecting a branch of an association of LETP to anothers, managing the central web site, interchanging informations, bringing up study or research group, and holding trainings and united events. To conquest poor finances, equipments, institutions and working conditions, LETP is to be a program of Local Residents Self-governme nt Center. Finally LETP organizations must criticize cash(currency) materialism and propose future society that human relations take precedence of material relations.

      • 스마트그리드 송배전 환경에 적합한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인증기법

        유지민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smartgrid has become one of the fascinating technologies that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power supplier and transmission/distribution controller through the convergence of power grid and IT technology. In the smartgrid environment, the control messages are transmitted frequently and they should be transmitted in real-time. If the control messages are manipulated or not transmitted in required time, it could lead to terrible disasters such as blackout of the whole power grid. Therefore, the integrity and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should be certified and also the process of these should be handled in a short time. So in this paper, we mention storage overhead on the sender side and some security faults in TV-HORS, one of the finest multicast authentication schemes, and propose E-HORS which reduces these problems at TV-HORS and meat the smartgrid security requirements we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