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악기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악수업 연구

        유예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가상악기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악수업 연구 유예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강형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여러 가지 기악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실제 학교 수업에서도 기악 수업은 가창 수업과 더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음악 실기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악기들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모두 지도하기에는 교사의 역량과 예산, 공간 등의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제약에서 자유로워지고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악기의 체험과 더불어 컴퓨터 음악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수업을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이용에 제한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를 이용하여 비용적인 면을 고려할 필요 없이 어떠한 학교 환경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 음악과의 기악 영역과 컴퓨터 음악 영역을 분석 하고 다양한 관련 문헌과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가상악기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소프트웨어와 프리웨어에 관한 개념을 정리 하였다. 또한 다양한 가상악기와 VSTi Host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 중 학생들이나 교사가 간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가상악기와 VSTi Host프로그램을 연동시켜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정 방법 등을 연구하고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수업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2차시에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1차시는 가상악기와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2차시는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활동에 초점을 두어 여러 가지 가상악기의 연주와 합주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악기의 체험과 더불어 컴퓨터를 활용한 가상악기를 학습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과 매채’ 영역에 부합하는 컴퓨터 음악의 기초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악기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학교 현장에서 접하기 힘든 악기 연주나 합주를 통하여 보다 넓은 음악적 경험과 이해를 쌓고 더불어 컴퓨터 음악에도 한 걸음 가까워지는 초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중국 유치원의 부모협력에 대한 교사 이야기

        유예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의 부모협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국 유치원의 부모협력에 대한 교사의 이야기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는 유치원 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2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5명과 예비교사 1명이 참여하였다. 2021년 1월 27일부터 4월 16일까지 참여자별로 2회에서 5회까지 총 19회의 면담에 걸쳐 진행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에서는 면담이 일관성을 유지하며 수월하게 진행되도록 질문목록을 작성하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연구자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유치원 현장에서의 부모협력에 대한 교사의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양한 부모유형을 만났는데 이 다양한 유형의 학부모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소극적 협력관계와 적극적 협력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들과 협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항의하는 학부모와 무관심한 학부모들을 만나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어려움을 겪으면서 학부모들과 서로 회피하는 소극적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또 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학부모들이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여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된 경우가 있었다. 유치원 교사들은 친밀 관계를 맺게 된 학부모들과 서로 찾아가는 적극적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력에 대한 진술을 통해 지금 사립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진 협력은 현실적 필요에 의해 학부모들과 협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홍보 수단과 학부모의 협조를 구하는 수단으로 한 협력으로 나눌 수 있다. 사립유치원은 투자자에 따라 크게 집단 사립유치원과 개인 사립유치원으로 나눌 수 있다. 사립유치원 간의 심한 경쟁으로 인해 자기만의 특색과정도 추가하였다. 집단 사립유치원은 경제적 실력이 강해 학부모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수단을 이용하여 자기를 홍보하고, 경제적 실력이 약한 개인 사립유치원은 보편적 협력수단을 이용하여 자기를 홍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협력은 학부모들의 이해와 신뢰를 얻는 수단으로 하여 공식적인 협력수단은 협조의 역할만 맡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현장에서의 부모협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를 들여다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의 적극적 협력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정이다.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다양한 기질과 성격을 가진 학부모들과 개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심에는 모두 교사의 전문성이 자리하고 있다. 교사-학부모 갈등은 두 주체의 소통 부재로 인한 오해가 큰 원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자녀에 대한 개별화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학부모상담이 현재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 취업모 가정이나 대리양육 가정 등 유아의 주양육자가 실제 교사와 상호작용하는 주체가 아닌 경우에 교사는 협력을 추구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취업모 가정이나 대리양육 가정 등은 조기교육에 대해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학부모에게는 정보를 교류하는 시간이나 방법에 대한 정확한 안내와 관리가 필요하며, 교사를 위해서는 상호작용 태도나 학부모와의 감정적 협력을 위한 전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립유치원에서의 협력은 홍보와 협조를 목적을 두어 부모협력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공식적인 협력수단들은 가끔 정보전달하는 역할도 맡았는데 전달한 내용도 유치원이 결정하였고, 이 협력수단들은 형식적으로 전달하기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요구와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은 학부모로 하여금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킬 기회를 잃게 한다. 이에 교사(유치원)가 유치원의 교육방침이나 유아의 활동상황 등을 학부모에게 정기적으로 알려 주고,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경영에 반영하고 교사-학부모 상호작용을 통해 학부모의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 中國 皇家園林 建築物 額枋 彩?의 特性 및 傳承方案 ?究 : 北京 北海와 ?和園을 事例로

        유예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Decorative Color Painting is one of the important decorative means of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With the development of history, It combines culture, folklore, politics, faith, etc. at various stages to form its own laws in decorative subjects, form composition, symbolism, etc. It contains rich and unique intrinsic value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the Chinese nation. The royal garden is large in size and rich in architectural types, providing many examples for the study of architectural color painting. This paper studies the architectural Decorative Color Painting of Beihai Park and Summer Palace, which are well preserved royal gardens in Beijing. Based on the systematic study of the distribution, color and pattern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painting, the official Colored Drawings value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transmission plan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ntent of the articl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an introduction. It mainly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The second section outlines the principles and processes for selecting the scope of research and targets of this paper and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paper. The third part is theoretical research. First of all, the literature survey will be conducted to collect literature related to reading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nges and type characteristics of sampling.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trends at home and abroad a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the gaps in the current research are found, which is the focus and direction of this paper. The fourth part is the central part of the paper. First, the distribution, color and patter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Beihai Park and Summer Palace are studied, and secondly, the evaluation system of official sampling value is established and evaluated by Delphi and AHP methods. The third is to present a plan for the succession of colored paintings based on the results. The fifth par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use of architectural Decorative Color Painting in the Beihai Park to Hexi Caihua is about 3%, Xuanzi Caihua is about 35% and Sushi Caihua is about 62%. The use of architectural Decorative Color Painting in the Summer Palace to Hexi Caihua is about 17%, Xuanzi Caihua is about 15% and Sushi Caihua is about 71%. It can be seen that Sushi Caihua is the main type of royal garden architecture.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architectural colors in the building complex, the "Yejae Space" is mainly decorated with A and B.Most of the planar arrangements of "poetic spaces" were free-form, and the exterior eaves of the building were decorated with ornamental C decorations, mainly representing the unity of the entire space.This distribution of colors not only enhances spatial consciousness and symbolism, but also enhances and clarifies the dimensions of space and prevents complexity and disorder in space. In the Beihai Park, 17 color samples of Hexi Caihua, 23 color samples of Xuanzi Caihua, and 34 color samples of Sushi Caihua were collected. In the Summer Palace, 11 color samples of Hexi Caihua, 16 color samples of Xuanzi Caihua, and 32 color samples of Sushi Caihu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lor samples collected, Sushi Caihua has a large number of color samples.Through NCS color rings and NCS color triangles, the colors of Hexi Caihua are distributed between Y60R to Y90R, R70B to B40G, B90G to G, Xuanzi Caihua is distributed between Y60R to R, R70B to B50G, G to G30Y, and Sushi Caihua is distributed between Y60R to R and G30Y. The color distribution of Hexi Caihua is in the 4 (Deep Chromatic), 5 (Dark Deep), and 7 (Clear). Xuanzi Caihua's tone distribution is in the 8 (deep), 9 (toned gray), and 0 (greyish chromatic). The color distribution of Sushi Caihua is in the areas of 4 (Deep Chromatic), 5 (Dark Deep), 7 (Clear), and 9 (Toned Grey). The blue distribution ranges from R70B to R80B, the brightness is mainly between 20 and 50, and the saturation varies between 30 and 60. Green is distributed from B30G to B30G, mainly between 20 and 50 brightness, and between 20 and 50 chroma. Red is distributed between Y70R and R, and the brightness is mainly between 20 and 60, and the saturation varies between 20 and 60. Point colors are mostly neutral colors that have been mixed and are not noticeable, but are mainly warm colors, with brightness in areas between 05 and 70 and chroma in areas between 05 and 40. If you look at this, the main colors of the color are blue, green, and red, and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are distributed over the middle range. This means that wine and color have calm and unifie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background color can be used to better implement the drawing content. Gold, point colors, and brightness and saturation are higher than the main colors, which help attract tourists' attentio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people's emphasis on unity and emphasis when using various colors. By type of pattern, there are 9 patterns in Hexi Caihua. There are 10 patterns in Xuanzi Caihua. Sushi Caihua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lants, animals, landscapes, people, and baku.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patterns, Hexi Caihua and Xuanzi Caihua have relatively few kinds of patterns in the use of patterns, focusing on abstract materials. Sushi Caihua focuses on realistic subjects,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s and a relatively free expression of content. According to a study of 13 plant patterns, Morning glory has a correlation of -0.329 with orchid at 95% significance level. Pomegranate has a -0.410 correlation with the 99% significance level of the Chrysanthemum family. There was a correlation of (-)0.406 in the 99% salience level of holly and peony. There was a correlation of 0.322 at 95% significance level between lotus and camellia. There was a correlation of 0.346 at 95% significance level between peach and camellia. There was a correlation of -0.378 with 95% significance level between pine and lotus. The system consists of 6 first-order and 30 second-order indicators. The order of importance of the 6 first-level indicators is as follows: historical values, Cultural value, artistic value, landscape value, scientific value, and social value. The order of importance of the 30 secondary indicators is as follows: the degree to which time(0.0737)> historical information retention (0.0718)> cultural richness (0.0663)> the transmission of national culture (0.0576)> the degree to which cultural characteristics (0.0571)> The archetypal nature of the times. (0.0557)> The ability to express motifs in patterns (0.0495)> the relevance of historical events/people (0.0485)> The Creation of Architectural images (0.0463)> popularity (0.0394)> spatial environmental harmony (0.0360), Meaning and symbolism of content (0.0360)> complementarity of literature materials (0.0354)> cultural identification (0.0349)> Landscape Image and Quality Improvement (0.0336)> aesthetic coordination of art elements (0.0316)> representative of technology (0.0125)>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tmosphere (0.0230)> Color and pattern diversity (0.0228)> precision of detail (0.0218)> multicultural convergence (0.0212)> Indication of spatial properties (0.0163)> correlation of social life (0.0162)> the cultivation of aesthetic ability (0.0148)> Thinking development and education functions (0.0148)> material specificity (0.0147)> literary relevance (0.0131)> Influence on the Theory of Viewpoint Theory (0.0103)> the necessity of academic research (0.0092)> Uniqueness of the method of production (0.0072). 채화는 중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장식 수단 중의 하나이다. 역사가 발전함에 따라 각 단계의 문화, 민속, 정치, 신앙 등을 융합하여 장식의 소재, 형식적 구성, 상징적 의미 등에 있어서 나름의 규율을 형성하고 있으며, 풍부하고 독특한 내재적 가치를 지닌 중화민족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황가원림은 규모가 웅대하고 건축 유형이 풍부하여 채화 연구에 많은 실례를 제공했다. 본문은 베이징에 비교적 잘 보존된 황가 원림 북해와 이화원의 건축 액방(額枋) 채화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 분포, 색채, 문양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체계적인 고찰 연구를 바탕으로 가치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전승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장 내용은 주로 아래의 5부분으로 나뉜다. 제1부는 서론이다. 주로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동기,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서술한다. 제2부는 본 논문의 연구 범위 및 연구 대상 선정 원칙과 과정, 논문에 적용된 연구 방법을 약술한다. 제3부는 기초 이론 연구이다. 먼저 문헌 연구법을 통해 관련 문헌을 수집·읽고, 건축 채화의 발전적 변화, 유형적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된다. 아울러 문헌 분석을 통해 채화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총결산하고, 현재 연구의 공백을 찾아내어 본문의 연구 중점과 방향으로 삼는다. 제4부는 논문의 핵심이다.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째는 황가 원림 건축 채화의 분포, 색채, 문양의 특성에 대한 고찰과 분석이다. 둘째는 델파이와 AHP 법을 통한 관식 채화 가치 평가 체계 구축 및 평가분석이다. 셋째는 전승 방안의 제안이다. 제5부는 결론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해의 화새 채화 사용 비율은 약 3%, 선자 채화 약 35%, 소식 채화 약 62%를 차지한다. 이화원의 화새 채화 사용 비율은 약 17%, 선자 채화는 사용 비율은 약 15%, 소식 채화 약 71%를 차지한다. 그만큼 소식 채화는 황가 원림 건축 채화의 주요 종류이다. 둘째, 전(殿)과 정(亭)은 건축 표면에 채화 종류가 가장 다양하고 화새 채화, 선자 채화, 소식 채화 세 가지 종류를 동시에 담고 있다. 루(樓), 각(閣), 당(堂) 등 건축 유형은 주로 처한 공간환경과 기능에 따라 채화 종류를 선택해 꾸미지만 소식 채화로 장식된 경우가 많다. 헌(轩), 사(榭), 재(齋), 옥(屋) 등 건축 유형은 기본적으로 소식 채화로 장식됐다. ‘예제 공간(礼制空间)’은 평면 배치 방식이 정연한 축선 대칭 형식이 많고, 공간에서는 건축 유형이 적으며, 화새 채화와 선자 채화 장식이 주를 이루며, 공간 내 중축선(中軸線)에 있는 건물 액방의 채화 등급이 양쪽 건물보다 높아 엄격한 예제와 등급 순서를 나타낸다. ‘시의 공간(詩意空間)’의 평면적 배치 방식은 대부분 자유롭게 조합하는 방식이며, 등급 구현이 목적이 아니어서 건물 액방에는 관상 성이 높은 소식 채화 장식을 사용하였고, 전체 공간의 통일성을 주로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황가 원림 속 건축 공간의 등급제도는 채화 분포를 총괄적으로 계획하고, 그리고 단체(單體) 건물 액방의 채화 설치는 건축 공간의 계획에 따라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수집된 색채 샘플의 개수를 보면, 소식 채화 색채 샘플의 개수가 많고, 선자 채화가 그 뒤를 이으며, 화새 채화의 색채 수가 가장 적다는 것은 소식 채화가 색채 종류를 가장 다양하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CS 색상환과 NCS 색상 삼각형을 통해 화새 채화의 색상은 Y60R~Y90R, R70B~B40G, B90G~G 사이 영역, 선자 채화의 색상은 Y60R~R, R70B~B50G, G~G30Y 사이 영역, 소식 채화의 색상은 각각 영역에서 나타났다. 화새 채화의 색조는 4(Deep chromatic), 5(Dark deep), 7(Clear)영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선자 채화의 색조는 0(Greyish chromatic), 8(deep), 9(Toned grey) 영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소식 채화의 색조는 4(Deep chromatic), 5(Dark deep), 7(Clear), 9(Toned grey)영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넷째, 채화 주 색채(主色彩) 중 청색의 명도는 주로 20~50 사이의 영역에서, 채도는 30~60 사이의 영역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의 명도는 주로 20~50 사이의 영역에서, 채도는 20~50 사이의 영역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빨간색의 명도는 주로 20~60 사이의 영역에서, 채도는 20~60 사이의 영역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철 색(點綴色)의 명도는 주로 05~70 사이의 영역에서, 채도는 05~40 사이의 영역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색채가 차분하고 통일된 특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바탕색으로 채화 내용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화새 채화에는 용문, 보주길상초문(寶珠吉祥草紋), 권초문(卷草紋), 영지초문(灵芝草紋), 국화초문(菊花草紋), 서번련문(西番蓮紋), 태극문, 관두문(觀頭紋), 복수문(福壽紋) 등 9가지 문양이 등장한다. 선자 채화에는 선화(旋花), 용문, 금문(錦紋), 기룡문(夔龍紋), 범어(梵文), 서번련(西番蓮), 치화(梔花), 기린(麒麟), 만자문(卍字紋) 등 10가지 문양이 등장한다. 소식 채화 내용은 제재의 종류가 다양하여 식물, 동물, 경관, 인물, 박고(博古)의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섯째, 13가지 식물 문양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능소화와 모란, 소나무와 연꽃, 석류와 국화, 나팔꽃과 난초 사이에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두 가지 식물 요소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는 뜻이다. 연꽃과 동백, 복숭아나무와 동백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두 가지 식물 요소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전체 평가 체계는 1급 6개, 2급 30개 지표로 구성된다. 가중치 계산을 통해 6개 1등급 지표는 역사적 가치(0.2634), 문화적 가치(0.2367), 예술적 가치(0.1074), 경관적 가치(0.1070), 과학적 가치(0.1016), 사회적 가치(0.0677) 순위이다. 그 결과는 채화의 ‘역사적 가치’가 가장 높았다. 30개 2급 지표는 연대 구원도(久遠度)(0.0737) >역사정보의 보존도(0.0718) > 문화 내포 풍부도(0.0663) > 민족 문화 전승도(0.0576) > 문화적 특색 반영 정도(0.0571) > 시대적 풍격의 전형성(0.0557) > 문양의 주제 표현력(0.0495) > 역사적 사건/인물의 상관도(0.0485) > 건축 이미지의 조성도(0.0463) > 지명도(0.0394) > 공간환경 화합도(0.0360) > 내용 의미와 상징성(0.0360) > 문헌 자료의 보충(0.0354) > 문화적 정체성(0.0349) > 경관적 이미지와 질량 상승도(0.0336) > 예술 요소 배합 미관도(0.0316) > 공예 기술의 대표성(0.0251) > 환경 분위기의 영향도(0.0230) > 색채 및 도안 종류 다양성(0.0228) > 세부의 정밀도(0.0218) > 다원적 문화융합도(0.0212) > 공간 성질 표식성(0.0163) > 사회생활의 상관도(0.0162) > 심미 능력 배양(0.0148) > 사유 계발 및 교육 기능(0.0148) > 구성 재료의 특수성(0.0147) > 문학적 연관성(0.0131) > 관점/이론에 미치는 영향성(0.0103) > 학술 연구 필요성(0.0092) > 만드는 방법의 독특성(0.0072) 순위이다. 이 중에서 가장 가중치가 높은 인자는 ‘연대 구원도(久遠度)’이다. 여덟째, 채화 특성 연구 및 가치 평가를 결합한 결과, 중국 문화재 보존과 개발의 원칙과 조치에 따라 ‘온고지신(溫古知新)’ 이념에 기초해 건축 채화의 전승 방안과 건의를 내놓았다. 소식 채화는 수법이 사실적이고, 의미가 풍부하여 ‘시정화의(詩情畫意)’ 공간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더욱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의 일부 모조 건축물(仿古建築)이나 신중식(新中式) 건축에서도 계속 원래의 모양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채화의 몇몇 색채와 문양의 특성은 직접 또는 재설계를 거쳐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지닌 상품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 채화의 역사적 가치의 전승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채화 이미지의 완전성과 원진성(原真性)을 유지한다. 채화의 문화적 가치, 예술적 가치의 전승에 대해서는 그 가치 특성을 더 발굴하고, 둘을 결합해 재설계하고 상품 개발상품 개발에 융합하여 경제적 가치로 전환한. 채화의 과학적 가치에 대한 전승은 주로 공예, 재료나 전승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채화는 건축의 이미지를 미화하고 높일 수 있는 경관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채화는 현대 건축에서 본래의 기능과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현대 건축에서 채화의 활용은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채화의 역사, 문화, 예술, 과학, 경관 가치가 잘 전승되고 발전하면 그만큼 사회적 가치가 높아진다. 彩畫是中國傳統建築重要的裝飾手段之一, 隨著曆史的發展, 融合各個階段的文化, 民俗, 政治, 信仰等, 在裝飾題材, 形式構成, 象征寓意等方面形成了自身的規律, 具有豐富而獨特的內在價值, 是中華民族珍貴的一項文化遺產. 皇家園林規模宏大, 建築類型豐富, 爲本研究提供了大量的彩畫實例. 因此, 本文以北京保存較爲完好的兩座皇家園林北海和頤和園建築額枋彩畫爲研究對象. 以對其分布, 色彩, 紋樣特性的系統性考察研究爲基礎, 構建起官式彩畫價值評價體系, 並根據結果提出了相應的傳承方案. 文章內容主要分爲以下五部分. 第一部分是緒論. 主要敘述了本論文的研究背景,目的和意義. 第二部分簡述了本論文的研究範圍及對象的選定原則和過程, 以及本論文所使用到的研究方法. 第三部分是基礎理論研究. 首先通過文獻調查, 收集閱讀相關文獻, 對建築采畫的發展變化, 類型特性進行全面的理解, 並作爲本研究的理論基礎. 同時通過文獻分析, 總結國內外的研究動向, 找出目前研究的空白, 作爲本文的研究重點和方向. 第四部分是論文的核心.首先是對北海, 頤和園建築彩畫的分布, 色彩, 紋樣特點的考察和分析. 二是通過德爾菲和AHP法對官式采畫價值評價體系的構築及評價分析. 三是根據結果提出彩畫的傳承方案. 第五部分是本研究的結論. 主要結論如下. 第一, 北海的和璽彩畫使用比率約爲3%, 旋子彩畫約35%, 蘇式彩畫約62%. 頤和園的和璽彩畫使用比率約17%, 旋子彩畫使用比率約15%, 蘇式彩畫約71%. 可以看出, 蘇式彩畫是皇家園林建築彩畫的主要種類. 第二, 殿和亭兩種建築類型的表面運用的彩畫種類最多, 同時包含和璽彩畫, 旋子彩畫, 蘇式彩畫三種類型. 樓, 閣, 堂等建築類型主要根據所處的空間環境和功能, 選擇不同的彩畫種類進行裝飾, 但多數是使用蘇式彩畫裝飾. 軒, 榭, 齋, 屋等建築類型基本上都是以蘇式彩畫裝飾而成的.‘禮制空間’平面布置方式以整齊的軸線對稱形式爲主, 空間內建築類型較少, 以和璽彩畫和旋子彩畫裝飾爲主. 空間中軸線建築上的彩畫等級高於兩側建築, 體現出嚴格的禮制和等級順序. ‘詩意空間’的平面布局方式大多是自由組合式, 並非以體現等級爲目的, 因此在使用了觀賞性高的蘇式彩畫裝飾, 主要體現整體空間的統一性. 綜合來看, 皇家園林中建築空間等級制度統籌了彩畫的分布, 而單體建築上的彩畫設置遵循了建築空間的整體規劃. 第三, 從收集的彩畫色彩樣本數量來看, 蘇式彩畫數量多, 其次是旋子彩畫,和璽彩畫數量最少,這意味著蘇式彩畫色彩種類最多. 通過NCS色相環分析, 和璽彩畫的顏色主要分布在Y60R~Y90R, R70B~B40G, B90G~G之間的區域, 旋子彩畫的顏色主要分布在Y60R~R, R70B~B50G, G~G30Y之間的區域, 蘇式彩畫的顏色在各個區域都有分布. 通過NCS顏色三角形分析, 和璽彩畫的色調多表現在4(Deep chromatic), 5(Dark deep), 7(Clear)領域. 旋子彩畫的色調多表現在8(deep), 9(Toned grey), 0(Greyish chromatic)領域. 蘇式彩畫的色調多表現在4(Deep chromatic), 5(Dark deep), 7(Clear), 9(Toned grey)領域. 第四, 彩畫主色彩中, 藍色的明度主要在20~50之間, 彩度主要在30~60之間變動. 綠色的明度主要在20~50之間, 彩度主要在20~50之間變動. 紅色的明度主要在20~60之間的區域, 彩度主要在20~60之間的區域內波動. 這意味著主色彩具有沉穩, 統一的特點, 作爲彩畫的底色可以更好地體現采畫內容. 點綴色的明度主要在05~70之間的區域內, 彩度主要在05~40之間的區域內波動. 作爲描繪彩畫內容和紋樣的色彩, 比主色彩的明度,彩度較高, 因此在主色彩的襯托下, 可以將所描繪的內容更加突出, 吸引遊客的目光. 第五, 通过对彩画纹样种类及数量的统计, 和玺彩画中出现了龙纹, 宝珠吉祥草纹, 卷草纹, 灵芝草纹, 菊花草纹, 西番莲纹, 太极纹, 观头纹, 福寿纹等9种纹样. 旋子彩画中出现了旋花, 龙纹, 锦纹, 夔龙纹, 梵文, 西番莲纹, 栀花, 麒麟, 卍字纹等10种纹样. 苏式彩画内容题材多样, 纹样种类也是三种彩画类型中最多的, 按照表现内容, 可分为植物, 动物, 景观, 人物, 博古五种. 第六, 通過對蘇式彩中梅, 蘭, 竹, 菊, 牡丹, 山茶, 蓮花, 水仙, 淩霄花, 松, 桃, 石榴, 葫蘆, 喇叭花13種植物紋樣的相關分析, 結果顯示, 淩霄花和牡丹, 松和蓮花, 石榴和菊花, 喇叭花和蘭花之間存在負相關關系, 說明同時出現兩種植物要素的情況較少. 蓮花和山茶, 桃子和山茶之間存在正相關的關系, 意味著同時出現兩種植物要素的情況較多. 第七, 官式彩畫價值評價體系由6個一級指標和30個二級指標構成. 通過加權計算, 6個一級指標重要度排序依次爲,曆史價值(0.2634) > 文化價值(0.2367) > 藝術價值(0.1074) > 景觀價值(0.1070) > 科學價值(0.1016) > 社會價值(0.0677). 30個2級指標重要度排序依次爲, 年代久遠度(0.0737) > 曆史信息保存度(0.0718) > 文化內涵豐富度(0.0663) >民族文化傳承度(0.0576) > 文化特色反映程度(0.0571) > 時代風格的典型性(0.0557) > 紋樣的主題表現力(0.0495) > 曆史事件/人物的關聯度(0.0485) > 建築形象的塑造度(0.04636) > 知名度(0.0394)>空間環境的協調度(0.0360),內容的象征性意義(0.0360) > 文獻資料的補充(0.0354) > 文化認同感(0.0349) > 景觀想象與質量的提升度(0.0336) > 藝術元素搭配美觀度(0.0316) > 工藝技術代表性(0.0251) > 環境氣氛的愉悅度(0.0230) > 色彩及圖案種類多樣性(0.0228) > 細部的精致程度(0.0218) > 多元文化融合度(0.0212) > 空間性質標識性(0.0163) > 社會生活的關聯度(0.0162) > 審美能力培養(0.0148) > 思維開發及教育功能(0.0148) > 構成材料的特殊性(0.0147) > 文學關聯性(0.0147) > 對觀點,理論產生的影響性(0.0103) > 學術研究必要性(0.0092) > 制作方法的特殊性(0.0072). 第八, 本文結合彩畫特性研究及價值評價的結果, 並根據中國文化遺產保護和開發的原則,基於‘溫故知新’理念,提出了建築彩畫的傳承方案和建議. 蘇式彩畫畫手法寫實,意義豐富,更有利於營造‘詩情畫意’空間的氛圍. 因此,在現代的部分仿古建築或新中式建築中也可以繼續沿用原來的模樣. 另外,彩畫的某些色彩和紋樣特點,可以直接或經過重新設計,用於生產具有經濟價值和文化價值的商品. 而對於彩畫的曆史價值傳承,應采用科學的方法,維持彩畫形象的完整性和原真性. 對於彩畫的文化價值和藝術價值的傳承,應進一步挖掘其價值特性,將兩者結合,重新設計,進行文化創意商品的開發,進一步轉換爲經濟價值. 對於彩畫科學價值的傳承主要是保護其工藝,材料和傳承人. 另外,彩畫具有美化和提升建築形象的景觀價值,但是其在現代建築中逐漸失去了原來的功能和意義. 因此,在現代建築中,彩畫的利用是需要思考和研究的課題. 如果彩画的历史, 文化, 艺术, 科学, 景观价值得到很好的传承和发展,社会价值就会随之提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