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정보만족이 잠재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이론 관점에서

        유서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that the value of lectronic word of mouth(e-WOM) tourism information has over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EDT),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a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EDT;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varied opinions on EDT and recent usage trend of e-WOM tourism inform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blic who had experience on using e-WOM tourism information. With respect to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information satisfaction(which is based on EDT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atisfaction on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the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otential travelers became thorough and active on information search and pursuit of various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to make prudent travel decision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applying the intangible featured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to EDT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information satisfaction. Second, in practical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which can meet potential travelers’ need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most used e-WOM tourism information source. It will help them to find a way to choose an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source and make the best use of it, and also to develop it continuously. Third, this study reveals that identifying, assessing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and recognizing travelers’ perceived values can be useful to the marketers of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creating publicity campaigns and planning for sales promotions. Moreover, it can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and improve travel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hich would facilitate their subsequent travel decision making. 본 연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가 정보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기대불일치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관광정보 제공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조사 그리고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의 구성요인인 기대, 지각된 성과, 불 일치, 만족 간의 관계 및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조 사를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최근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이용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함께 기대불일치 이론을 토대로 기대, 지각된 성과, 일치성과 정보만족, 정보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기대는 지각된 성과와 일치성 모두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 치성은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 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중한 관광의사결정을 위한 잠재관광객들의 면밀하고, 능동적인 정보 검색과 다양한 정보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바탕 으로, 무형의 특성을 갖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를 기대불일치이론에 적용 하여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로 나타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원과 관련하여 관광기업들이나 기관들은 잠재관광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어 관광정보원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 지속적으로 발전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의 가치 차원을 구분하고 잠재관광객들이 중요하 게 생각하는 정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정보를 제공하게 될 관광기업, 관 련기관이 관광상품 또는 관광지 홍보 및 판촉활동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활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관광객들의 필요에 적합한 정보를 풍부하게 제 공할 수 있으며, 정보탐색 행동 향상 및 추후 관광의사 결정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현대 도자에 나타난 민화적 표현 연구

        유서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기술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다양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어 문화수준은 높아졌지만, 지나치게 넘쳐나는 문화들이 오히려 혼란을 가져오며 개인의 안정과 정서적 만족감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홍수 속에서 현대인들은 우리만의 독특함과 고유함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야만 보다 안정적으로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한국적이면서 친근한 전통인 민화는 우리 민족의 독창적 예술성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적 서정성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회화이다. 민화는 자유분방하고 재미있는 표현으로 풍부한 이야기가 담겨 한국적 정서와 생활사가 잘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민화는 현대인에게 휴식과 정서적 안정을 주고 전통적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흥미로운 전통문화이다. 민화는 흙을 소재로 하는 도예와 매우 비슷하다. 두 분야가 다분히 한국적이며 자연에서 어우러지며 소박하면서도 세련된 예술 분야인 것이다. 오래 전부터 민화의 소재는 도자기 위에 회화적으로 꾸준히 표현되어 왔다. 현대도예의 흐름은 점차 다양하고 창조적인 조형의 모습이 보여 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표현적 특성을 응용한 현대 도자작품을 모색하여 현대인에게 전통을 원천으로 한 정신적 가치관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민화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민화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소재와 기법, 색채 등 독특한 특징과 소재에서 보여 지는 상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민화의 특징들을 도자에 적용한 현대작품들을 찾아 소재를 중심으로 동·식물과 정물 및 풍경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민화를 현대도자와 접목시켜 표현하는 것은 전통과 현대와의 의미 있는 접목이다. 민화적인 요소들이 현대 도자작품에 응용되어 새로운 한국적 전통미를 재창조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민화에 나타난 소재와 색채는 상당히 광범위하여 도자작품으로 응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민화의 자유롭고 흥미로운 표현방식을 통한 도자작품들이 많이 제작되어 새로운 전통가치에 대한 심미적 표현이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다중 쓰레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학습 기반의 동적 쓰레드 풀 기법

        유서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웹 서버들은 다수 사용자들의 동시 접속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동시에 접속하는 다수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다중 쓰레드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고정적인 시스템 자원을 점유해야 하는 고정된 쓰레드 풀 모델에 비해 동적으로 쓰레드 풀의 크기를 변경하는 워터마크 쓰레드 풀 모델은 사용자의 요청량에 따라 쓰레드 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불필요한 자원을 점유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중 쓰레드 환경의 서버 프로그래밍을 위한 학습 기반의 동적 쓰레드 풀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쓰레드 풀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웹 서버 중 아파치 worker 다중 처리 모듈 (Multi-processing Module, MPM)에 AR(Auto Regressive) 모델을 통해 다음 주기의 작업 요청량을 예측하여 사전에 쓰레드를 생성하는 부분을 추가한다. 일정주기의 증감 추세가 없는 작업 요청량에도 필요한 쓰레드의 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작업 요청량에 따른 쓰레드의 수를 사전에 학습한다. 필요한 쓰레드의 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전에 학습 되어진 개체들과 비교하여 유사한 개체를 선택하여 예측된 작업 요청량에 따른 쓰레드의 수를 결정하고 쓰레드를 생성한다. 필요한 쓰레드의 수를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고, 불필요한 쓰레드는 삭제하게 되어 고정된 시스템 자원의 점유를 방지하여 사용하지 않는 자원을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쓰레드의 수를 고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다른 쓰레드 풀 모델에 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응답 시간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As the number of user increase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network, it is required for web servers to have an ability to process the simultaneous connection of several users. Thus, the multi-thread schemes are used to process the service requests of several users who are connected simultaneously. Comparing to the static thread pool scheme, which possesses the static system resources, the watermark thread pool scheme, which is flexible on its size of the pool, has an advantage; it controls the number of threads according to the requests so that it does not occupy the unnecessary resources. Based on this, this paper will suggest a dynamic thread pool scheme based on the learning in a server programming of a multi-thread environment. The suggested scheme adds the creation of the threads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next number of periodic requests using Auto Regressive model with the web server apache worker MPM (Multi-processing Module). In order to set the exact number of the necessary threads during the unchanged number of work requests in a certain period, K-Nearest Neighbor algorithm is used to learn the number of thread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quests. To set the required number of threads, the previously learned objects are compared. Then, the similar objects are selected to decide the number of the threads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hey create the threads. By modifying the number of threads dynamically, the unnecessary threads are deleted and the static occupancy of the system resources is avoided so that other programs can use those resources. As the number of threads is dynamically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scheme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delay time and to manage the resources more efficiently than other thread pool scheme.

      • D2D 통신 환경에서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

        유서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정보통신기술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융합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는 AI, Big Data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 모든 것이 연결된 지능화된 기술 환경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은 초연결사회와 초지능으로 정의되는 제4차 산업 혁명을 이끌어갈 핵심기반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이란 피어-투-피어 통신을 기반으로 분 산화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거래내역을 체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술이다. 이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oT 와 모바일 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떠오 르고 있지만 여전히 보안 위험성이 존재한다. 기존 블록체인 참여자의 실제 참여 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존 블록체인은 모든 참여자가 검증에 참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는 한정된 자 원을 사용하는 기존 IoT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D2D(Device-to-Device) 환경에서 블록체인 시스템을 적용하 기 위한 구축 방안을 제시하여 기존 모바일 기기 통신과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보인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Off-blockchain과 On-blockchain으로 분리한 후 3단계로 정의하였다. 먼저 0ff-blockchain의 1단계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IoT 기기의 보안성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를 받아오는 모바일 기기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On-blockchain의 2,3단계에서는 기존 사설 블록체인의 멤버십에 등록할 경우 모바일 기기 리소스를 이용한 보안 전송률 계산으로 제3자 의 도청 위험성을 줄인 후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참여시킨다. 통신 요소에 따 른 참여자의 참여도를 계산하여 각 노드가 이기적인 참여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합의의 신뢰성을 높이고 성능 향상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D2D 통신에 적합한 합의 알고리즘과 환경적 특성을 가진 SBC(Selective-BlockChain)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nvergence technolog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got the spotlight. It is an intelligent technology environment that connects everything using technologies such as AI and Big Data. Among them, the block chain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key infrastructure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fined as the hyper-connected society and super intelligence. A block chain is a technology that guarantees the stability of data by establishing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forming transaction details in a chain format. Block-chain technology has emerged as a way to addres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IoT and mobile devices already used in various industries, but there is still a security ris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tual participation of the existing block chain participants, since all the nodes participate in the verification of the existing block ch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decreases as the number of nodes increases. Thus, it is unsuitable for IoT and mobile environments using limited resources. In this paper, I propose a construction method to apply block-chain system in D2D (Device-to- Device) environment and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 and block chain algorithm. The block-chain system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s divided into off-blockchain and on-blockchain and three stages of progress. First, in step 1 of the 0ff-blockchain, the security of the IoT device transmitting the data is checked to confirm the safety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the user's sensitive data. Next, in steps 2 and 3 of On-blockchain, the risk of eavesdropping by a third party is reduced by calculating the secrecy capacity using the mobile device resource, and then registered in the smart registration service of the private block chain. After that, this system decides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consensus algorithm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calculation of each node by using secrecy capacity and resource utilization. The participant's level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resource is calculated to determine whether each node is selfish or not,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tract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s a SBC block chain system which has an adaptive algorithm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D2D communication.

      • RSA(Respiratory sinus arrhythmia)와 HRV(Heart rate variability)의 다이나믹스를 고려한 일상 감성인식기술 개발

        유서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Emotion recognition in daily life has attracted research interest as mobiles phones and wearable sensors for physiological signals have become popular. However, it does not show higher accuracy than in the laboratory setting because of these reasons: 1) Noise is likely to occur more than the experiment in the laboratory settings 2) Various context in could affect emotional changes of individuals. 3) Emotion in daily life changes dynamically across the time. Many former studies tried to overcome the low signal quality of wearable physiological sensors but less focused on the effect of various context in daily life and emotional changes across the time which could lower emotion classification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flect emotion regulation which present individuals’capacity to modulate emotional responses to explicit environment so that overcome individual differences caused by various context in daily life. This study measured emotion regulation capacity by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RSA). Also, this study reflected emotion dynamics patterns which reflect emotional changes across the time since it is anticipated to increase emotion recognition in daily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vel method to increase accuracy of emotion recognition in daily life setting using dynamics of HRV and RSA. First, the definition of dynamics pattern of RSA and HRV will be defined. Next, The defined dynamics pattern of HRV and RSA was extracted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anges across the time and depending on various environment. This study calculated two dataset using the same raw data from wearable PPG to compare the emotion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the method that former studies used and the proposed method by this study: 1) HRV and RSA dataset 2) dynamics patterns dataset of HRV and RSA. Both dataset were calculated This process has been done twice using different data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in various conditions. Firs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long-term experiment in real-life setting of this study. Second data were open database which was collected in relatively short-term real-life setting.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dynamics of HRV and RSA showed higher accuracy of emotion classification in all cases. When comparing with former studies of emotion recognition in daily life, this study obtained similar or higher emotion classification accuracy. Considering former studies used multimodal sensors which could make participants uncomfortable to achieve higher classification accuracy, this study’s results are encouraging since this study achieved higher accuracy using single wearable PPG sensor.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emotion could be recognized without limitations which could make easier to apply in various fields such as marketing, healthcare and education.

      • 자율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반응을 이용한 HMD 환경 내의 영상멀미 수준 추론 기술 개발

        유서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Visually induced motion sickness (VIMS) has attracted much interest with growth of the virtual reality (VR) and the augmented reality (AR) marke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reported a common symptom that most VR and AR users experience. Consequently, it has been reported as an obstacle to develop the VR / AR industry and usability. The symptoms of VIMS has shown subjective because of various causal factors and their combination. Former studies have used subjective evaluation although it could interfere users’ immersion of VR / AR contents and take times. However, it has been less discussed on estimating the severity levels in realtime. Therefore,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signal differences (ECG and EEG) between the severity levels of VIMS. Forty-seven participants ranged from 20 and 29 years (M= 24.163 , SD= 2.460) experienced different levels of VIMS by repetition and different velocity of yaw axis rotation. Rotation velocity and repetition have been chosen to evoke different levels of VIMS after literature survey and group interview. Their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ECG and EEG were collected during the experience.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SQ) to evaluate VIMS symptoms subjectively right after the experiment. Subjective evaluation doe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IMS levels but showed a linear decrease pattern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tition. ECG indicators expecailly time domain parameters such as pNN50, SDNN and frequency domain parameters such as HF, LF/H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pathetic activity according to the increased levels of VIMS. Beta and alpha related frequencies showed significant linear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temporal lobe in lower levels of velocity induced by rotation velocity of 30°/s. Alpha relate frequency showed linear increase in the frontal, central and parietal lobe. These results has verified the levels of VIMS as mild, moderate to severe levels. This indicate combin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imating the severity levels of VIMS although EEG signals is still controversial. keywords: VIMS(visually induced motion sickness); cybersickness; severity level; HMD; autonomous nervous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서희 경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background variables for professionalism,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infant teachers and the impact of their professionalism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what professional area should intensively be developed to boost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ir personal growth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childcare teachers who were homeroom teachers of classes for ages 0 to 2.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s from 329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all the data were analyzed because they were all comple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4.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 professionalism,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t-test and two-way ANOVA were carried out, and Duncan test was implemen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ism(infant development, daycare curriculum, interactions of caring,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to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job itself, social recognition, working environmen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professionalism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workplace, teaching career, certification, academic credential,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marital statu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ccreditation and service area)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teachers who were under the age of 29 lagged behind the most in professionalism, and the teachers who were aged 50 and up were the best in that regard.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ccording to career,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and teacher- infant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ir certifications, their professionalism significantly varied in part, and the teachers with the first-grade certificate excelled the teachers with the second-grade certificate, and the teachers with the second-grade certificate surpassed the teachers with the first-grade one.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Th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wo- and three-year colleges expressed the least job satisfaction, and the teachers who were high-school graduates and who received four-year university and higher educ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and marital statu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ccreditation, their professionalism varied significantly. The teacher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accreditation fell behind the most in terms of professionalism on infant development and daycare curriculum, a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creditation by the third(integrated) standards surpassed the teachers who did in accreditation by the second standards.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ism to teacher- 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verbal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that were the subarea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had the clos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Third, regarding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teraction of caring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that were the subareas of professionalism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all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re were more teacher-infant interactions when interaction of caring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were better. As to its impact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infant development, daycare curriculum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among the subareas of professionalism. When professionalism on infant development, daycare curriculum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were better, there was higher job satisfaction. Wh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ll pieced together, the infant teachers were better at professionalism when they were older, had more experience, acquired better certification and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ccreditation.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fant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Better professionalism led to more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was followed by higher job satisfaction as well. Thus,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fant teachers exercised huge influ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job satisfaction, and it suggests that various administrative assistance and reeducation are important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Therefore it's required to take institutional measures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by developing separat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only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영아교사의 전문성 영역을 도출하고, 개인의 성장과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0세∼만2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32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답변이 없어 총 329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영아 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위하여 t-test와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고,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영아교사의 전문성(영아발달과 보육과정, 돌봄의 상호작용, 교사-부모-지역사회 관계), 교사-영아-상호작용(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직무 자체, 사회적 인정, 근무환경)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변인들 간의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연령, 근무기관, 교사경력, 소지자격증, 학력, 담당 반 연령, 결혼 유무, 평가인증 참여 경험, 근무지역)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이 29세 미만인 경우 전문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50세 이상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환경에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 직무만족도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력에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소지 자격증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보육교사 3급보다 2급이, 2급보다 1급에서 전문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2, 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고졸, 4년제 대학 졸업, 대학원 이상을 졸업한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담당 반 연령 및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인증 참여경험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영아발달과 보육과정은 평가인증에 참여한 적이 없는 교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2차 지표보다 3차(통합)지표에 참여한 교사의 전문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정서적 상호작용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아교사 전문성의 하위영역 중 돌봄의 상호작용과 교사-부모-지역사회 관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돌봄의 상호작용과 교사-부모-지역사회 관계가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영아 교사 전문성의 하위영역 중 영아발달과 보육과정과 교사-부모-지역사회 관계가 교사 직무만족도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과 보육과정, 교사-부모-지역사회 관계가 높을수록 교사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아교사의 전문성은 연령, 경력, 소지 자격증이 높을수록, 평가인증 참여 경험이 있을 때 더 높았고, 영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아지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영아교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행정적 지원과 함께 재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영아의 발달 단계에서 필요한 영아교사만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아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제도적으로 마련하여야 한다.

      • 보육교사의 성격특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와 교사 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서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적은 보육교사의 성격특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와 교사 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설문조사의 취지 및 방법에 대한 설명 후 동의를 받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6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성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Costa & McCrae(1992)가 제시한 Big 5 모델의 성격 질문지를 이경임, 안창규(1996)가 번역하여 제작한 NEO-PI-R을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놀이교수효능감은 Gibson과 Dembo(1984)의 측정도구와 조영희(1999)의 놀이교수효능감 측정도구에 기초하여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이 개발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이나연, 이선미(2020)가 타당도를 검증한 척도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긍정적 놀이신념에 대해 Fogel(2003)의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번안하고 수정한 유미(2008)의 어머니 놀이신념 척도를 권혜진(2013)이 재구성하고 손여울(2019), 김주영(2020)이 사용한 척도에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놀이신념에 해당하는 13문항만을 분석에 활용 하였다. 보육교사의 민감성을 알아보기 위해 민광미(2014)가 개발한 민감성 측정도구를 서향원(2019)이 연구대상 및 목적에 맞춰 내용 타당도와 예비 조사를 통해 검토하고 수정 및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은 일반적 사항으로 질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Hayes(2017)이 제시한 PROCESS MACRO 버전 3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인 특성 및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에 투입된 변수의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및 주요 변수 간의 관계와 방향성 및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존재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계수(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 성격특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매개 모형(process 모델 4)을 먼저 분석하였다. 이때,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가 조절 변인인 교사 민감성에 의해 조절되는지(process 모델 7)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성격특성은 외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 신경성 순으로 나타났다. 신경성을 제외한 모든 성격특성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경성은 평균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놀이교수효능감에서는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과 놀이교수결과에 대한 기대 모두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놀이신념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최소값 1과 최대값 5로 편차도 넓게 나타났다. 교사 민감성은 적절성, 정확성, 즉시성, 일관성 순으로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타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수인 성격특성과 놀이교수효능감, 긍정적 놀이신념, 민감성 간의 관계에서는 외향성과 친화성, 성실성 및 개방성은 놀이교수효능감과 긍정적 놀이신념, 교사 민감성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신경성과는 전체적으로 부적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놀이교수효능감과 그 하위요인은 긍정적 놀이신념과 교사 민감성의 하위요인과 대부분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 긍정적 놀이신념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경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보육교사의 성격특성이 긍정적 놀이신념을 매개로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민감성이 조절된 매개효과에서 민감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민감성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긍정적 놀이신념을 매개로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경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특성 중 신경성을 제외한 외향성과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이며, 긍정적 놀이신념이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경성을 제외한 성격특성에서 교사 민감성이 조절된 매개효과에서는 긍정적 놀이신념을 매개로 민감성이 높을수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긍정적 놀이신념을 매개로 한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영유아는 놀이와 함께 성장한다.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놀이중심 보육에서 양질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개별적인 성격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교사의 긍정적인 놀이교수효능감으로 이어져야 한다. 보육 현장에서 교사의 민감성 증진을 위한 민감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놀이에서 긍정적인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lay belief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sensitivity i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intent and method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receiving consent from the subjects thereafter. A total of 36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personality traits of childcare teachers, NEO-PI-R, which was prepared by Kyung-Im Lee and Chang-Gyu Ahn (1996) by translating a personality questionnai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construct of the Big 5 model presented by Costa & McCrae (1992), was used as a questionnaire. In order to measure play teaching efficacy, the scale developed and used by Eun-su Shin, Young-ui Yoo, and Hyun-kyung Park (2004) based on the measuring tool of Gibson and Dembo (1984)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test tool of Cho Young-hee (1999) of which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Na-yeon Lee and Seon-mi Lee (2020) was used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to fit this study. Also, with respect to positive play beliefs, only 13 items corresponding to positive play beliefs out of the scale prepared by Kwon Hye-jin (2013) by reconstructing the positive play beliefs and negative play beliefs out of the mother's play belief scale prepared by Yumi (2008) by translating and modifying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 (PPBS) of Fogel (2003) and used by Sohn Yeo-ul (2019) and Kim Joo-young (2020)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this study. For the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sensitivity measure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Kwang-mi Min (2014) and review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yang-won Seo (2018) through a content validity test and a preliminary survey to fit the subjects and purpose of the study was utilized.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childcare teachers were questioned as general matter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MACRO version 3 presented by Hayes (2017)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the study subject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were checked to identify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input into the model,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 directional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lay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lay teaching efficacy, the mediation model (process model 4) was first analyzed. In this case, the bootstrapping technique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lay beliefs was regulated by teacher sensitivity, a moderating variable (process model 7).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openness, and neuroticism, in order of precedence. The ratios of all personality traits except for neuroticism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average, and the ratio of neuroticism was shown to be lower than average. In the case of play teaching efficacy, both beliefs in play teaching efficacy and expectations for play teaching results showed high averages, and beliefs in play teaching efficacy were shown to be slightly higher. Positive play beliefs appeared relatively low, and the deviation was wide with the minimum value of 1 and the maximum value of 5. Teacher sensitivity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factors of which the general tendencies were analyzed, and relevanc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accuracy, immediacy, and consistency, in order of preced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lay teaching efficacy,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 sensitivity, which are major variable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lay teaching efficacy,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 sensitivity and generall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neuroticism. It was found that play teaching efficacy and its sub-factors generally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factors of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 sensitiv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lay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and play teaching efficacy,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and play teaching efficacy. Concretely,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of childcare teacher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ut neuroticis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Fourth,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ositive play beliefs, teacher sensitivity was shown to have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with its moderated mediating effect. Concrete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ositive play beliefs. On the other hand, neuroticis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seen that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of childcare teacher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excluding neuroticism, were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a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positive play beliefs. Also, it could be seen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excluding neuroticism on play teaching efficacy mediated by positive play beliefs moderated by teacher sensitivity increased as teacher sensitivity increased. The ident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ositive play belief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fants grow with play.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interactions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in play-centered childca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of childcare teachers that would lead to positive play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multi-faceted methods to increase the positive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of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ensitivity enhancement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ensitivity of teachers in childcare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