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앨범 작품분석) 유상원의 자작곡 ‘가지 말란 그 말을’, ‘너를 만난 순간’, ‘Highway’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유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71

        졸업앨범 작품분석 - 유상원의 자작곡 ‘가지 말란 그 말을’,‘너를 만난 순간’,‘Highway’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 이 동 욱 음악학과 실용음악 전공 유 상 원 본 논문은 유상원의 졸업작품 ‘가지 말란 그 말을’, ‘너를 만난 순간’, ‘Highway’ 총 세 작품을 각각 작품의 배경과 구조, 화성 및 선율 분석, 믹싱 기법 총 3가지 방향성으로 작품을 서술하고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문의 구성은 1장 서론, 2장 본론, 3장 결론으로 구분된다. 본론에서는 작품 소개 및 형식, 화성 전개 및 선율 분석, 믹싱 & 사운드 디자인을 주제로 각 작품 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서술한다. 졸업작품에 사용된 곡의 구조, 화성적 특징, 장르와 상황에 따른 믹싱 기법을 서술하고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곡들을 분석하여 각 장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작곡, 편곡, 믹싱 활동을 하려는 아티스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ndeavors to comprehensively articulate and foster understanding of three compositions by Yoo, Sang Won, comprising his graduation works: "Do Not Leave, That Word," "The Moment I Met You," and "Highway." The overarching objective is to delineate each work through three thematic orientations, encompassing background and structure, harmonic and melodic analysis, and mixing techniques. The thesis is structured into three distinctive sections: an introductory chapter, a substantive analysis chapter, and a conclusive chapter. Within the substantive analysis, each composition undergoes a detailed examination, centering on thematic introduction, formal structure, harmonic progression, melodic analysis, and the nuanced intricacies of mixing and sound design. The intention is to explicate and encapsulate the distinct features characterizing each composition. Elucidating the structural components, harmonic complexity, and genre-specific mixing techniques employed in these graduation pieces, the analysis encompasses compositions with divergent attributes.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 nuanced understanding of each genre by analyzing song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aspiration is that this study will prove materially beneficial to artists aspiring to engage in future activities related to composition, arrangement, and mixing.

      • 초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유상이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저자는 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일환으로 구강보건교육이 학생들의 태도 습관 및 인식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소재 중곡 초등학교 3학년 223명을 대상으로 3학년용 학교구강보건교육 목표와 주제 및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을 일인당 3회씩 받도록 교습한 후 교육 효과 및 항 산 생성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후 구강보건 태도 및 습관에 관한 변화는 식사 후 잇솔질에서 61.1%로 증가되었고, 일일 3회 이상의 잇솔질 횟수는 58.8%로 비교적 높았으며, 회전법 방법의 실천과 혓솔질에서 각각 15.5% 및 27.2%로 다소 낮았다. 2. 구강보건교육 후 피교육자의 인식도 변화는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에 관하여 알게 된 점이 높게 나타났고 치아에 좋은 음식에 대한 지식변화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었다. 3.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산생성도 검사의 분포는 교육 전에는 각 산생성도 군 별로 비슷하게 고루 분포되었으나 교육 후에는 녹색군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적색군이 4.9%로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4.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항 산생성도 검사는 교육 전. 후 모두에게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구강보건 교육 전 1.75 ±0.76 점인데 비해 교육 후에는 2.67±0.91로 높았다 (P<0.01). In this study, the auther would like to deliver the result and the clinical trial regarding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This oral health education executed to find out that how the oral acid rate could be changed along with such awareness and the level of acidic bacteria cell in student’s oral. The result was obtained from a junior school located in Seoul along with total 223 students at the 3rdyear. As the dissertation focused on current educational level for student's oral health care along with executing the educational course of ‘Brushing the teeth three times per day’ along with checking student’s oral acid rate. 1. After performing the oral health educaion 61.1% of children have done toothbrushing after the meal and brushing teeth three times a day also increased up to 58.8%. Rolling method and Tongue brush activity indicates as 15.5% and 27.3%. 2. Subjects It revealed the increasement one awareness regarding the oral care education about fluoride and the sealant awareness by oral thealth education.on the other hand, the awareness of healthy food for teeth was appeared as quite limit level. 3. The experimental distribution of plaque check pH, the appearance of the acid spread indicated as similar the before/after the education. However,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green category shows highest rate up to 41.3% which overcome the red category indicated as lowest rate 4.9%. 4. The experiment focusing on degree of acid formation using Plaque check pH shows that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pre/after and male/female’s educational section(P>0.05). The degree of acid formation shows as 1.75 ±0.76 before the oral care and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it shows as 2.67±0.91 (P<0.01).

      • 소셜 감성이 암호화폐 가격 및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상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2017년 말, 전세계적으로 비트코인을 필두로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열풍이 시작되었으며, 특히 한국은 그 중심에 서 있는 상태이다. 한국의 투자자들이 그간 수익성이 있는 투자 기회를 찾기가 어려웠던 만큼 새로운 투자처에 투자 심리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이러한 한국의 열기는 자산의 본질적인 가치에 기초한 투자가 아니라 단기적 차익 실현 기대 및 사회적 분위기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심리적 현상에 좌우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살펴보기 위해 트위터와 비트코인을 대표로 선정하여 사람들의 소셜 감성이 암호화폐 가격 및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데이터는 2017년 11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총 181일간 트위터상에 노출된 비트코인 관련 게시물과 빗썸/업비트의 비트코인 가격, 거래량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트위터 데이터는 감성 분석을 통해 긍·부정어 및 중립어로 정제해주었고, 정제된 긍정어, 부정어, 중립어는 비트코인 가격 및 거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 모형에 투입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관계를 살펴본 후에는 마지막으로 Granger Causality test를 통해 인과관계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긍정어는 비트코인 가격과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부정어는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소셜 감성이 비트코인 가격 변동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나아가 사람들의 감성이 모여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암호화폐 가격 및 거래량에 대한 소셜 감성의 영향을 확인하여 사회적 현상에 대한 설명의 폭을 늘려가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암호화폐 시장 도메인에 특화된 감성 어휘 사전을 구축하여 소셜 감성을 분류하였는데, 이는 학문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At the end of 2017, the investment fever for cryptocurrency — especially Bitcoin — has started around the world and South Korea has been at the center of this phenomenon. As much as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profitable investment opportunity, it seemed that investment sentiment has put more emphasis on new investment. However, the cryptocurrency fever in South Korea is mostly based on psychological phenomenon due to expectation of short-term profits and social atmosphere rather than intrinsic value of asse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fluenceof people’s social sentiment on price and volume of cryptocurrency in terms of Twitter and Bitcoin. The data was collected for 181 days from Nov 1st, 2017 to Apr 30th, 2018, especially focusing on Bitcoin-related post in Twitter along with price and volume of Bitcoin in Bithumb/UPbit. After the collected data was refined in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ords through sentiment analysis, the refined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ords were put into regression model in order to find out influence of social sentiment on Bitcoin price and its volume.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ausal relationship was determined through Granger Causality tes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ositive word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itcoin price, while the negative words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it. In other words, the social sentiment is closely related with and affects the changes in Bitcoin pr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applied to take account of the influence of social sentiment on cryptocurrency price for future investors in cryptocurrency market. This study, for more accurate results, classified social sensitivity by constructing sentiment lexicon which is specialized in cryptocurrency domain and therefore contributed to academic insight.

      • 동작 속성에 따른 정서 차원 분석

        유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People transfer a lot of informations through their affective channel.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r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they cannot utilize their affective informations. The limitation of affective channel in computing induce more discomforts on mobile computing situation since the user has restricted input device as well as additional gadgets are required to measure his or her biosignal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nd to recognize user''s affective status, body movements are available. This study focused on hand movements, which are easily applicable when handling mobile devices. To analyze hand movements, three dimensions -direction, time, weight- were found through reconstructing sub-properties of Laman Movement Analysis. Direction dimension has five levels(horizontal, vertical, sagittal, circular, shaking) while time(sudden, sustained) and weight(light, strong) dimension have two levels each. By factorial design with three dimensions, twenty movement were videotaped. Participants rated a list of fifty korean affective words on each twenty movements. The results were studied by nonline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ime and weight dimensions are highly related with arousal level dimension of Russell''s circumplex model of affect. Strong and sudden movements reminded highly aroused affects, while light and sustained movements reminded the opposite affects. Then direction dimension was related to the kinds of affective. Linear movements like horizontal, vertical and sagittal direction were closely located with highly aroused negative affects. Circular movements was located nearby fun and delight on the graph and shaking movements was located close to anxiety and impatience.$$a$$a 전자우편이나 문자 메세지를 이용할 때 겪는 불편함 중 하나는 상대방이나 기계에 정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서 정보를 메시지에 싣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디지털 기기가 정서를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정서를 입력해야 한다. 기존의 정서 인식 방법은 생리적, 신체적 측정치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측정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현재 자신의 정서 상태와 다른 정서를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서를 기계에 입력하기 위해 동작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Fargerberg, Stahl, & Hőők, 2003). 본 연구에서는 Laman Movement Analysis에서 동작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중 노력(effort)과 모양(shape) 요소를 재구성하여, 방향성 차원, 무게감 차원, 시간감 차원으로 동작을 구분하고 총 20개의 동작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덕웅과 강혜자(2000)가 수집한 834개 정서 어휘를 평정하여 동작을 통해 표현하고 전달되기 쉬운 정서 어휘 50개를 선택하였다. 최종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0개의 동작에 대해 50개의 정서 어휘를 평정하고 데이터는 범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ussell(1980)의 이차원 정서 구조 모형에서 각성 수준 차원은 동작의 무게감과 시간감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하고 빠른 동작일수록 각성 수준이 높은 정서가 나타났다. 또한 동작의 방향성 차원은 정서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선 움직임은 높은 각성 수준의 부정적 정서와, 흔듦 움직임은 불안 및 초조와, 원형 움직임은 즐거운 정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을 통하여 정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동작과 정서를 연관 짓기 위해 방향성 차원과 무게감 차원 그리고 시간감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a$$a

      • 한국어 종성 자음군 현실 발음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 종성 자음군 현실 발음의 양상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의 차이를 관찰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기존에 이루어졌던 종성 자음군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와 기존 연구 간의 차이점을 밝혔다. 이어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설명하였다. 첫째는 피험자이다. 1차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91명을 정하였다. 둘째는 1차 실험 문장을 어떻게 구성했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먼저 실험 단어인 닭, 흙, 삵, 기슭, 여덟 5개를 어떻게 선정하였는지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대상 단어를 선정한 다음에 체언 뒤에 모음 조사를 어떻게 선정했는지를 설명하였다. 최종 ‘-은’과 ‘-이’ 두 모음 조사를 선정하여 최종 대상 단어는 ‘닭은, 닭이, 흙은, 흙이, 삵은, 삵이, 기슭은, 기슭이, 여덟은, 여덟이나’ 10개를 정하였다. 그리고 피험자들이 더 자연스러운 발음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실험할 때 단어보다 문장을 선택하였다. 대상 문장은 총 10개이고 피험자들이 실험 단어를 눈치 채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20개 상관없는 문장을 넣어서 1차 실험 문장은 총 30개 문장으로 이루어진다. 셋째는 2차 설문 조사의 구성이다. 설문지는 총 22 문항으로 구성하며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넷째는 실험 방법과 절차이다. 먼저 피험자들에게 1차 실험 문장을 보여주면서 녹음을 하게 하였다. 그러고 나서 2차 설문 조사를 바로 진행하였다. 그다음에 판정자들에게 피험자들의 녹음을 들어주고 발음한 대로 적게 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설명하였다. 먼저 1차 실험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1차 실험 결과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다음에 2차 설문 조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 발음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학습 환경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습 환경은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처음 배운 장소와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를 포함한다. 둘째, KSL과 KFL은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한국어를 학습 기간은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숙달도는 어느 정도 되면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운 것이 발음이라고 생각한 것은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심리적인 부담을 가지고 발음할 때 학습자들의 현실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comprehensive consona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observe the differences of Chinese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so as to show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Chapter 1 reveal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examines previous prior studies of the tumor consonant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reveal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is study and existing research. Subsequently, we raised the question of the research of this study. Chapter 2 describes the method of research. The first is the subject. To conduct the first experiment, 91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selected. The second is the composition of the first experiment sentence. First, we explained how we selected five experimental words. After selecting the target words, we explained how the vowel survey was selected after the introduction. Select the final two vowel surveys, ‘-eun’ and ‘-i’. The final word is set at 10. The subjects chose sentences over words when they experimented to make more natural pronunciation. There are a total of 10 target sentences, and 20 irrelevant sentences for subjects not to notice the experimental words. The first experimental sentence consists of a total of 30 sentences. The third is the composition of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2 questions and was prepared by reference to the preceding study. The fourth is the method and procedure of experiments. First, the subject was asked to be recorded by showing the first test sentence. Then we went straight to the second survey. Then the judges listened to the subjects’ recordings and wrote down as pronounced. Chapter 3 describes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I organized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And we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were then compiled. Based on the third chapter,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caus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differences. There are five kinds of them. First, the learning environment will affect the actual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es the places where learners learn Korean for the first time and teachers who teach Korean. Second, the KSL and KFL will affect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Third, the period of learning Korean will affect the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Fourth, proficiency will affect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to some extent. Fifth, Thinking that pronunciation is the most difficult thing to learn Korean will affect the actual pronunciation of learners. And learners will affect the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when they pronounce with psychological burden. Based on this, education proposals were presented.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미적특성

        유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요지 오늘날 세계는 거대한 시장인 중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1980년대부터 중국 개방화 정책의 실시에 따라서 서양 각국은 다시 중국시장을 향한 문을 개방하였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패션 시장은 이미 “Made in China”부터 “Created in China”으로 변화하였다. 2003년 WTO 가입, 2008년 베이징 올림픽대회의 개최 등으로 양권에 대한 비중이 높아졌고 많은 패션디자이너가 동양적 이미지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 중에서 중국 대표적 전통 복식인 치파오는 여러나라 디자이너의 관심을 끌었다. 서양에 가장 잘 알려져서 대표적인 모티브로 사용되고 있는 치파오 스타일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어떠한 형식과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치파오의 역사적 배경과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치파오의 유래 및 변천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치파오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복식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원래 중국 인구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漢族) 사람들의 전통 복식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고 중국 마지막 봉건왕조의 통지자인 만주족(滿洲族) 사람들이 착용했던 장포(長袍)에서 유전 내린 것을 알 수 있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치파오도 우여곡절을 지냈다. 1920년대에는 신식(新式) 치파오를 탄생하였는데 1930년대~1940년대는 치파오의 “황금시기(黃金時期)”이라고 한다. 바로 이때부터 치파오는 여성 복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중국 여성 복식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60~1970년대에는 정치원인때문에 치파오는 암흑시대에 빠지었다. 1980년대부터 중국 개방화 정책의 실시에 따라서 치파오는 다시 소생되었으며, 세계 패션 디자이너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둘째, 전통 만주족 복식 및 근•현대 치파오의 구성과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 연수치파오(連袖旗袍)는 평면에서 몸통과 소매부분은 어깨로부터 내려왔고 몸통과 소매는 하나로 재단하였다. 따라서 전통 만주족 장포는 에이치 실루엣(H- silhouette)이고 1920녀대 서양 복식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현대 치파오는 점점 서양화 되고 타이트 실루엣(tight silhouette)로 변했다. 이 때부터 전통 치파오의 색채, 문양, 소재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색채는 주로 전통적인 오방색(五方色)란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색상을 선호하였다. 동물문양이라고 하면 용(龍), 봉(鳳), 귀(龜), 린(麟)의 사령(四靈)을 들게 되고 전통 식물문은 매화를 비롯하여 대나무, 국화, 연화, 모란 등 있었다. 중국 대표적인 전통 기하문과 우화상징(寓話像徵) 문양도 전통 치파오에 많이 응용하였다. 전통 치파오의 소재를 보면 전통 만주족 장포는 주로 가죽이나 천연 옷감 재료를 사용하여 20세기 초부터 서양 복식 소재가 중국에 많이 수입하기 때문에 치파오의 옷감 재료도 다양하게 되었다. 셋째,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을 응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선 세계 4대 패션컬렉션인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세계 4대 패션컬렉션은 2000년 S/S부터 2009년 F/W까지 10년 간의(20시즌) 패션 컬렉션을 분석하였는데, 전체 컬렉션 중에 치파오 스타일을 보여준 22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그 안에서 418 장의 치파오 스타일 사진을 발췌하여 분석하었다. 2008년 67개로 가장 많이 응용되었다. 시즌별로는 S/S 시즌에 193개, F/W 시즌에 225개로 S/S 시즌보다 F/W 시즌에 더 많이 응용되었다. 컬렉션별로는 밀라노 컬렉션에 응용된 사례가 176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파리 컬렉션은 143개로 밀라노과 가깝게 높은 개수를 나타냈다. 뉴욕은 85개로 나타나 전체의 20%를 차지하였고 런던은 14개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에 중국내 현대 패션컬렉션을 분석하였다. 중국 본토 패션컬렉션은 영향력과 중요성이 제일 큰 “중국 국제 패션 위크”에서 나타난 대표적 중국 현대 패션디자이너 장조달(張肇達), 라징(羅峥), 량자(良子), 길성(吉承) 의 컬렉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도별로는 2003년부터 이전 매년에 한 번만 열렸던 게로 매년 3월, 11월에 시즌별에 따라 두 번씩 열렸으기 때문에 2003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이 급적히 증가하였는데 시즌별로는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세계 4대 패션 컬렉션과 중국 국제 패션 위크 사례를 살펴본 결과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수가 사회활동이나 정치요소 등에서 영향을 받은 것을 볼 수 있고 중국 본토 패션컬렉션은 사화적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즌별 사례 개수를 보면 세계 4대 패션 컬렉션 F/W 시즌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이 S/S 시즌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중국 패션 컬렉션은 시즌별 큰 차이가 없었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은 디자인 요소별 실루엣, 디테일, 색채, 문양, 소재로 정리하였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슬림한 실루엣을 많이 응용하고 박스형, 타이트 실루엣, 루즈 실루엣 등도 다양하게 나타났고 전통 만주족 장포의 한판에서 평면재단이 서양의 입체재단과 자연스럽게 결합된 디자인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원피스 형태를 뿐만 아니라 투피스(two piece)나 쓰리피스(three pieces)까지 나타났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디테일 특징은 칼라 형태, 여밈/금(襟) 형태와 소매 형태로 정리하였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칼라 형태를 살펴보면 20세기 초 유행했던 원보령(元寶領)과 1920~1930년대 치파오의 “황금시대(黃金時期)”에 나타난 상해령(上海領)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근•현대 치파오 칼라 형태 중의 수저령(水滴領)과 ‘V’자령(‘V’字領)을 변형시킨 새로운 현대적인 칼라 형태도 많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소매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만주족 복식의 마제수(馬蹄袖) 형태와 근•현대 치파오의 도대수(倒大袖) 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금(襟)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치파오의 좌금(左襟) 형태 기본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고 근•현대 치파오에서는 직금(直襟)과 쌍금(雙襟) 형태가 나타난데 금(襟) 형태의 제일 중요한 특성은 현대적 기하 문양이나 선 문양을 이용하여 전통 치파오 금(襟) 형태를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색채는 전통적인 선호하는 오방색 색상에서 좀 더 화려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문양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래픽화 되어진 문양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소재 응용은 광택 느낌을 살린 가죽 소재라든지 비닐 느낌의 소재 등이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은 최연과 왕애령의 선행 연구에서 나타났던 전통미, 현대미, 자연미, 융합미를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중요한 조형적 특징은 바로 퓨전(fusion)이다. 유럽풍의 로코코 시누아즈리 복식 형태와 융합했으며 “중•서합벽(中西合璧)”의 치파오 스타일을 볼 수 있었다. 동양쪽에 비슷한 역사•문화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융합시킨 새로운 치파오 스타일이 나타났는데 일본 대표적인 기모노 복식 형태 중의 오비를 결합한 퓨전 치파오 스타일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은 중국 대표적 남성복인 중산복(中山服)의 요소를 응용했으며 중성복(中性服) 스타일이 나타났다. 현재에 중국에서 활동하는 중국 디자이너들이나 세계 패션디자이너들을 막론하고 그냥 치파오 디자인하려고 창작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의 마음속에 있는 감정과 의도등을 스스로 표현해서 치파오 스타일을 이용하고 패션 디자인하였다. 그래서 치파오 패션디자인 특징이 아니고 치파오 스타일을 응용하며 현대 패션디자인 특징을 말하면 더 정확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현대 패션디자인 컬렉션에서 누구나 어디든지 다 쉽게 치파오 스타일을 찾을 수 있다면 바로 치파오의 의미와 최고 가치라고 생각한다.

      • 中韩“新”小說的對比研究 : 以鲁迅的《狂人日記》和李人稙的『혈의 누』爲主

        유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鲁迅的《狂人日记》和李人稙的『혈의 누』分别作为中国和韩国的“新”小说代表之作,在两国现代文学史上占有重要地位。他们的小说既有相似之处又有不同之处。相似的是在西方文化冲击下,日本首先进行了开化进程,随之中韩也迎来了开化之期,从而缓缓进入了全面现代化。不同的是两国家的文化背景差異以及作者的生活经历、性格差異、思想差異等,使同样经历着开化时期的他们在小说作品體现上也稍有不同。其異同的表现不仅體现在思想、政治、军事方面,也體现在了文学方面。本论文主要采用比较研究的方法对《狂人日记》和『혈의 누』的文本进行了探究,对两小说的产生背景、小说中的新與旧以及其主题意识和创作特征进行主要研究。 本文首先介绍了日本开化思想的背景,探讨了鲁迅和李人稙两人同一时期留学日本的经历,两人在留学期间所受到的日本开化思想影响为中韩两国新小说的创作提供了契機,之后,鲁迅與李人稙各自回到自己的国家,努力促进自身国家的开化进程,企图用文字来唤醒国民,使国家尽快变得更加强大,尽早步入现代化进程。 在文学方面,其“新”的表现體现在新小说的创作,中国的鲁迅创作了白话文小说《狂人日记》,而韩国的李人稙则创作了新小说『혈의 누』,作为时代的分割线,两作品極其具有划时代意义,即具有“新”的意义。他们的“新”主要體现在文體之“新”與叙述构造之“新”。两作品在當时虽然極其具有“新”的意义,但不可否认,無论是因为作者本身所受思想限制抑或當时社会国情影响,作品中难免也具有“旧”的影子,其“旧”體现在了作品的文體形式、文本内容、人物思想还有类型构造等。因此本文研究从对新小说之“新"的分析上升探究到两小说中的“新旧共存”。最后则主要叙述了两部作品的主题意识及其创作特征,两作品在对艺术化手法使用方面是一致的,都是使用了细节描写和现实主义技法。但在主题意识方面虽相似却略有不同,《狂人日记》的反封建意识意在暴露家庭和封建制度弊害,而『혈의 누』则體现为自由结婚、废止早婚、容许再嫁的婚姻观。 루쉰의 <광인일기>와 이인직의『혈의 누』는 중한 양국의 ‘신’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양국의 근대문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두 작품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가 분기를 이루는 전환기 역사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종종 비교 연구의 대상이 되곤 한다. 그러나 양국의 문화적 배경과 근대화(개화) 양상의 차이, 양자의 인생역정과 사상역정의 상이함 등으로 인해 변별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 역시 자명하다. 본 논문은 이들에 공히 부여되는 접두사, 즉 ‘새로움’(新)이란 것의 의미를 가운데 놓고 두 작품의 유사성과 변별성을 비교 고찰해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이 먼저 주목한 것은 두 작가가 유학했던 개화기 일본의 시대적·사상적 분위기이다. 이 기간 동안 접한 세계사적 사조와 일본의 개화사상은 귀국 후 이들의 창작 활동에 중요한 사상사적 자원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자신의 국가의 개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국민을 일깨우기 위해 노력했으며 ‘사람을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이것이 ‘새로움’이라는 단어에 집약되어 있다. 이들 작품에서 ‘새로움’이라는 문제의식은 우선 문체와 서술구조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나 시대적 제약으로 인해 형식이나 문체, 인물유형 등등에서 ‘낡은 것’(舊)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것은 불가피했다. 이 결과 문체와 서술구조의 측면에서는 ‘신구가 공존’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예술화 기법의 측면에서는 세부묘사와 리얼리즘적 기법 등등이 위주가 된다는 점에서는 두 작품이 일치한다. 주제의식의 측면에서도 반봉건의식이라는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광인일기》가 주로와 봉건제도의 폐해를 폭로하는 데 치중하는 데 반해 『혈의 누』는 자유결혼, 조혼폐지, 재가 허용 등에 조금 더 무게중심이 놓인다는 점에서 미세한 차별성이 드러난다.

      • J.S.Bach 나단조 미사(Messe in h-moll), BWV 232에 나타난 음악수사기법 연구

        유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나단조 미사(Messe in h-moll)』, BWV 232는 바흐 생애에서 이십 사년 이라는 가장 오랜 시간에 걸쳐 작곡된 미사 작품이다. 『나단조 미사』는 가톨릭의 다섯 부분의 미사 통상문 형식인 『자비송(kyrie)』, 『대영광송(Gloria)』,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다섯 부분은 다시 세부적으로 총 스물일곱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은 바흐 『나단조 미사』의 창작 배경을 탐구하고,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성, 화성, 선율, 리듬, 박자, 음형, 구조, 악기 등을 분석함으로써 악곡이 어떠한 음악수사기법으로 운용되었는지, 또 그 수사기법을 통해 바흐가 표현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이십 사년 동안 각각 작곡된 『나단조 미사』의 다섯 부분들이 서로 어떠한 연관성과 통일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면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바흐 『나단조 미사』에서의 음악수사기법은 선율묘사, 동기묘사, 음형묘사, 성부묘사, 숫자묘사, 장르묘사, 그리고 조성묘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음악수사기법을 사용한 바흐의 『나단조 미사』는 종교음악의 전통과, 세속음악의 요소, 음악적 형식, 그리고 신학의 극적인 내용을 서로 융합시킨 통일성 있고 치밀하게 작곡된 바흐 음악의 정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